KR102633367B1 -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67B1
KR102633367B1 KR1020220147514A KR20220147514A KR102633367B1 KR 102633367 B1 KR102633367 B1 KR 102633367B1 KR 1020220147514 A KR1020220147514 A KR 1020220147514A KR 20220147514 A KR20220147514 A KR 20220147514A KR 102633367 B1 KR102633367 B1 KR 10263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composition
flavor
par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7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지
임세미
이근석
김현덕
김병용
Original Assignee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7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4Flavour masking or reduc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75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animal origin, e.g. chitin
    • A23L29/281Proteins, e.g. gelatin or collagen
    • A23L29/284Gelatin; 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5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23P20/18Apparatus or processes for coating with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by spray-coating, fluidised-bed coating or coating by cas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Zo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콜라겐을 과립화함으로써,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가 개선되고, 특히 소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며, 이로 인해 섭취시 기호도 또한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은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Granule composition with agent for removing unpleasant taste and smell of collage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폴리페놀, 폴리페놀산화효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제거하고 풍미가 향상된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인체 내에서 양적 및 기능적으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단백질로, 인체 내 모든 세포의 뼈대를 형성하는 세포 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조직(connective tissue)의 주요 구성 인자를 의미한다. 콜라겐을 다량 함유하는 인체 조직으로는 피부(skin), 뼈 및 연골 등의 골(bone) 조직, 건(tendon), 인대(ligament) 등이 있다. 이러한 조직들의 노화로 인해 피부 주름 및 처짐, 골다공증 등의 인체 노화 질환들이 비롯되며, 이는 조직의 콜라겐 합성 감소로 인한 체내 콜라겐 양 및 기능 감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라겐의 체내 생성량은 연령에 따라 감소하게 되는데 20대에 콜라겐 생성량이 최대이며, 40대는 70% 수준으로 생성되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건강 관리를 위하여, 식품 등으로 섭취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콜라겐은 분자량에 따라 고분자 콜라겐과 저분자 콜라겐으로 나눌 수 있다. 고분자 콜라겐은 일반적으로 분자량 5,000 Da 이상의 것을 일컫는데, 분자량이 큰 만큼 체내 흡수율이 떨어지고, 기능성을 나타내기가 힘들다. 따라서, 분자량 5,000 Da 이상의 고분자 콜라겐은 일반 식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반면 저분자 콜라겐은 분자량 1,500 Da 이하의 것으로 체내 흡수율이 높아 피부 탄력 등의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저분자 콜라겐은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및 일반의약품 등에 사용된다.
콜라겐은 인체 내 구성성분이기도 하지만 육류 및 어류에도 다량 존재한다. 특히 돼지 껍데기, 닭 날개, 도가니탕, 닭 발 등에 많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사람들이 많이 섭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동물성 식품 중 육류 제품을 통해 콜라겐을 섭취하고 있지만, 식물성 식품 내 콜라겐 함량도 소량이지만 존재한다. 또한, 최근 들어 가장 각광받고 있는 콜라겐은 어류에서 유래한 것으로, 어류의 지느러미나, 비늘로부터 추출해낸 콜라겐이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흡수율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어류 콜라겐이 육류 콜라겐에 비해 초기 흡수율이 약 1.5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어류 및 육류의 콜라겐을 포함하여 다양한 유래 콜라겐은 특유의 이미 및 이취로 인해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콜라겐을 제품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저감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재 출시되고 있는 콜라겐 함유 제품들은 콜라겐 특유의 이미 및 이취를 감소시키기 위해 강한 향의 착향료 또는 강한 단맛을 내는 성분을 배합하고 있으나, 제품의 칼로리가 높아지고 섭취 후 입에 잔존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는 여전히 남는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가 개선되고, 특히 이취 제거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며, 이로 인해 섭취시 기호도 또한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이 기능성이 우수한 콜라겐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현대인의 건강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출원에 이르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49201호
콜라겐은 특유의 이미 및 이취로 인해 섭취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폴리페놀산화효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를 함유하는 천연물 원료를 최적화하고, 이를 이용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를 제거함으로써, 콜라겐 섭취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성분: 생강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2성분; 및 사과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3성분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성분: 생강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2성분; 및 사과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3성분을 정제수에 첨가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과립건조기에 콜라겐을 넣고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과립화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콜라겐을 과립화한 결과,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가 개선되고, 특히 소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며, 이로 인해 섭취시 기호도 또한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은 인체에 유익한 콜라겐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성분:
생강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2성분; 및
사과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3성분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은 다양한 유래 콜라겐을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돈피 콜라겐 또는 피쉬 콜라겐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콜라겐은 추출한 것, 시판되는 것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은 일반적인 추출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고, 예컨대 식물을 추출 용매와 함께 침지 또는 가열 환류한 후, 여과하고, 건조하여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추출 용매는 통상적인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임의로 이용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알코올류, 함수 알코올류, 클로로포름, 디클로로에탄, 사염화탄소,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헥산 등의 유기용매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은 시판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강 농축액은 생강을 원료로 추출, 여과, 농축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 것, 시판되는 것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과 농축액은 사과를 원료로 추출, 여과, 농축 등의 과정을 거쳐 제조한 것, 시판되는 것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성분은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제2성분은 폴리페놀산화효소를 함유하며, 제3성분은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예컨대 산화가 잘 되는 금속, 구체적으로 칼륨을 함유한다. 이에, 상기 제1성분에 함유된 폴리페놀, 제2성분에 함유된 폴리페놀산화효소 및 제3성분에 함유된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에 의한 산화반응으로 콜라겐의 이취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성분, 제2성분 및 제3성분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5 : 0.5 내지 5, 구체적으로 1 : 0.5 내지 2 : 0.5 내지 3, 보다 구체적으로 1 : 0.5 내지 2 : 0.5 내지 2.5, 보다 더 구체적으로 1 : 0.5 내지 1.5 : 1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제1성분, 제2성분 및 제3성분의 중량비가 1 : 5 : 5를 초과하거나, 1 : 0.5 : 0.5 미만일 경우 상기 산화반응 저하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유의적이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성분은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3, 구체적으로 1 : 0.5 내지 2.5, 보다 구체적으로 0.5 내지 2일 수 있다. 상기 제1성분으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상기 범위로 포함할 경우 레몬밤 추출물 또는 로즈마리 추출물을 포함할 경우 비해 콜라겐의 이미 개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성분으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모두 포함할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제1성분으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제2성분으로 생강 농축액을, 제3성분으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의 중량비는 1 : 0.5 내지 3 : 1 내지 5 : 1 내지 5, 구체적으로 1 : 1 내지 3 : 2 내지 4 : 3 내지 5, 보다 구체적으로 1 : 1.5 내지 2.5 : 2.5 내지 3.5 : 3.5 내지 4.5일 수 있고, 1 : 2 : 3 : 4일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의 중량비가 1 : 3 : 5 : 5를 초과하는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개선 효과가 오히려 나빠지고, 이로 인한 종합적 기호도가 나빠질 수 있다.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의 중량비가 1 : 0.5 : 1 : 1 미만일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은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몬밤 추출물 0.5 내지 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25 내지 9 중량부, 생강 농축액 0.5 내지 15 중량부, 사과 농축액 0.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5 내지 6 중량부, 생강 농축액 1 내지 8 중량부, 사과 농축액 1.5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 0.5 내지 1.5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0.75 내지 3.75 중량부, 생강 농축액 1.25 내지 5.25 중량부, 사과 농축액 1.75 내지 6.7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 0.75 내지 1.25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1.5 내지 3 중량부, 생강 농축액 2 내지 4 중량부, 사과 농축액 3 내지 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 0.8 내지 1.2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 1.75 내지 2.5 중량부, 생강 농축액 2.5 내지 3.5 중량부, 사과 농축액 3.5 내지 4.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을 3 중량부, 9 중량부, 15 중량부 및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개선 효과가 오히려 나빠지고, 이로 인한 종합적 기호도가 나빠질 수 있다.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을 0.5 중량부, 0.25 중량부, 0.5 중량부 및 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하거나,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의 산화반응 저하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유의적이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분사 가능한 액상일 수 있고, 상기 액상은 수소수, 생수, 수돗물, 해수 또는 심층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과립기에서 분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물 원료 중에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콜라겐을 과립화한 결과,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가 개선되어 섭취시 기호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콜라겐의 이취에 대한 소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콜라겐의 고유한 기능성은 유지하고, 이취, 이미 및 기호도는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최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확립하였으므로, 본 발명의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콜라겐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과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과립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당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당류는 설탕, 올리고당, 유당, 당알콜, 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텍스트린, 아스파탐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사이클로덱스트린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당류는 과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7 내지 1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립 조성물은 과립 상태로 이용될 수도 있으나, 다른 여러 형태, 예를 들어 분말, 정제, 캡슐제, 액제, 젤리, 고형바, 환제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립 조성물 필요에 따라 첨가제의 종류 및 성분을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부형제, 붕해제 및 유동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의 예로는 전분, 칼슘 카보네이트, 설탕, 만니톨, 소르비톨, 유당수화물, 젤라틴, 미결정 셀룰로오스,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소듐 알지네이트,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붕해제는 과립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붕해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전호화전분, 크로스포비돈, 전분글리콘산나트륨, 크로스카멜로오스나트륨,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전분,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동화제는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활석, 폴리에틸렌글리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 칼슘, 나트륨 스테아레이트 푸마레이트, 나트륨 마그네슘 라우릴 설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강도가 현저히 낮아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식감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은 콜라겐의 고유한 기능성을 유지하고, 이미, 이취 및 기호도가 향상되어 콜라겐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1)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제1성분: 생강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2성분; 및 사과 농축액으로 이루어진 제3성분을 정제수에 첨가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과립기에 콜라겐을 넣고 상기 단계 2)에서 제조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과립화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 제1성분은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이에 제1성분으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제2성분으로 생강 농축액, 제3성분으로 사과 농축액을 정제수에 첨가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은 1 : 0.5 내지 3 : 1 내지 5 : 1 내지 5의 중량비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 1 내지 3 : 2 내지 4 : 3 내지 5의 중량비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1 : 1.5 내지 2.5 : 2.5 내지 3.5 : 3.5 내지 4.5의 중량비로 첨가될 수 있고, 1 : 2 : 3 : 4의 중량비로 첨가될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또한, 상기 단계 1)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몬밤 추출물은 0.5 내지 3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은 0.25 내지 9 중량부, 생강 농축액은 0.5 내지 15 중량부, 사과 농축액은 0.5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은 0.5 내지 2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은 0.5 내지 6 중량부, 생강 농축액은 1 내지 8 중량부, 사과 농축액은 1.5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은 0.5 내지 1.5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은 0.75 내지 3.75 중량부, 생강 농축액은 1.25 내지 5.25 중량부, 사과 농축액은 1.75 내지 6.7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고, 보다 더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은 0.75 내지 1.25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은 1.5 내지 3 중량부, 생강 농축액은 2 내지 4 중량부, 사과 농축액은 3 내지 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으며, 보다 더 구체적으로 레몬밤 추출물은 0.8 내지 1.2 중량부, 로즈마리 추출물은 1.75 내지 2.5 중량부, 생강 농축액은 2.5 내지 3.5 중량부, 사과 농축액은 3.5 내지 4.5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분사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 내지 25 중량부로 분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전에 콜라겐 및 당류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당류는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과립화 및 건조는 40 내지 65℃에서 수행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45 내지 6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50 내지 55℃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과립화 및 건조를 수행하여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의 산화반응의 반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과립화 및 건조 온도가 65℃를 초과하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내 폴리페놀산화효소의 변형으로 촉매 기능이 저하되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개선 효과가 유의적이지 못 할 수 있고, 40℃ 미만이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내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매 기능이 활성화되지 않아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립 조성물은 10 내지 50 메쉬(mesh), 구체적으로 15 내지 30 메쉬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과립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첨가제의 종류 및 성분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과립화 공정을 이용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과립 공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층 과립기(Fluid bed granulator), HSM(High speed mixer), 분무건조기(Spary Dryper), 동결건조기(Freeze dryer) 및/또는 마이크로파 진공 공정 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입도 분포를 고르게 할 수 있는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유동층 과립기에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콜라겐을 과립화한 경우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을 동시에 혼합하여 분말화한 경우에 비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강도가 현저히 낮아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식감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과립 조성물은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은 콜라겐의 고유한 기능성을 유지하고, 이미, 이취 및 기호도가 향상되어 콜라겐의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오레가노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타라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또는 마조람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스피드믹서에 피쉬 콜라겐 분말 740 g, 콜라겐의 15%에 해당하는 사이클로덱스트린 110 g을 혼합하여 과립 조성물 1 kg 기준 콜라겐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 850 g을 제조하였다. 또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오레가노 열수 추출물, 레몬밤 열수 추출물, 타라곤 열수 추출물, 로즈마리 열수 추출물 및 마조람 열수 추출물 분말 각각을 구입하여 과립 조성물 1 kg 기준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150 g을 제조하였다.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150 g의 96 내지 99%(144 g 내지 148.5 g)의 물에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1 내지 4%(1.5 g 내지 6.0 g)를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서 50℃ ~ 55℃로 설정하고 상기 콜라겐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을 넣은 후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과립화 및 건조시킨 후, 스피드밀을 이용하여 20 mesh로 균일하게 정립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오레가노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타라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또는 마조람 추출물을 포함하고,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배 농축액 또는 크랜베리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 1 kg 기준 콜라겐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 850 g을 제조하였다.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배 농축액 및 크랜베리 농축액 각각을 구입하여,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오레가노 열수 추출물, 레몬밤 열수 추출물, 타라곤 열수 추출물, 로즈마리 열수 추출물 및/또는 마조람 열수 추출물 분말과 함께 과립 조성물 1 kg 기준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150 g을 제조하였다.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150 g의 92 내지 98.9%(138 g 내지 148.35 g)의 물에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1 내지 4%(1.5 g 내지 6.0 g)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0.1 내지 4%(0.15 g 내지 6.0 g)를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오레가노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타라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또는 마조람 추출물을 포함하고,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배 농축액 또는 크랜베리 농축액을 포함하며,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바나나 농축액 또는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 1 kg 기준 콜라겐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 850 g을 제조하였다.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바나나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 각각을 구매하여,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배 농축액 또는 크랜베리 농축액, 및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오레가노 열수 추출물, 레몬밤 열수 추출물, 타라곤 열수 추출물, 로즈마리 열수 추출물 및/또는 마조람 열수 추출물 분말과 함께 과립 조성물 1 kg 기준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150 g을 제조하였다.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150 g의 88 내지 98.8 %(132 g 내지 148.2 g)의 물에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1 내지 4%(1.5 g 내지 6.0 g),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0.1 내지 4%(0.15 g 내지 6.0 g)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 0.1 내지 4%(0.15 g 내지 6.0 g)를 추가하여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콜라겐 과립 조성물의 제조
유동층 과립기에서 50℃ ~ 55℃로 설정하고 피쉬 콜라겐 분말 740 g을 넣은 후 정제수 260 g을 분사하여 과립화 및 건조시킨 후, 스피드밀을 이용하여 20 mesh로 균일하게 정립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사이클로덱스트린을 포함하는 콜라겐 과립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콜라겐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 850 g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유동층 과립기에서 50℃ ~ 55℃로 설정하고 상기 콜라겐 및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물을 넣은 후 정제수 150 g을 분사하여 과립화 및 건조시킨 후, 스피드밀을 이용하여 20 mesh로 균일하게 정립하여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 혼합 분말의 제조
스피드믹서에 피쉬 콜라겐 분말 740 g,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열수 추출물 분말 1.5 g 및 로즈마리 열수 추출물 분말 3.0 g,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4.5 g,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 6.0 g을 혼합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관능평가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최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g)
실험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혼합물 콜라겐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사이클로덱스트린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콜라
겐의
이미

이취 제거용 조성물
오레가노추출물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 - - - - - - - - - - -
레몬밤추출물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 - - - - - - - -
타라곤추출물 - - -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4.5 - - - - - -
로즈마리추출물 - - - - - -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 - -
마조람추출물 - - - - - - - - -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148.5 147 145.5 148.5 147 145.5 148.5 147 145.5 148.5 147 145.5 148.5 147 145.5
Total 1000
그 다음, 관능평가를 위해, 상기 제조한 과립 조성물 2 g을 충분히 훈련된 전문관능시험 요원 25명에게 각각 섭취하게 한 후, 콜라겐 이미, 이취, 식감 및 전체적 기호도를 하기 [표 2]의 5단계로 평가한 후, 그 평균점으로 판정하였다. 한편, 비교군으로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콜라겐 과립 조성물을 이용하였다.
점수 1 2 3 4 5
이취 냄새를 거의
느낄 수 없다
냄새가 약하다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냄새가 강하다 냄새가 강하고 불쾌하다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아주 나쁘다
종합적 기호도 매우 좋다 좋다 보통이다 나쁘다 아주 나쁘다
구분 비교예 1 실험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5 4.61 4.86 4.89 3.21 3.54 4.32 4.73 4.86 4.89 3.01 2.89 3.5 4.03 4 4.9
이취 4.5 3.32 3.45 3.6 2.8 2.82 3.01 3.5 3.5 3 3.32 3.12 3.42 3.44 4.01 4.97
종합적 기호도 5 4.04 4.91 4.92 2.02 2.34 2.43 4.32 4.21 4.41 3.2 2.89 3.12 4.01 4.51 4.91
그 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4 내지 6)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10 내지 12)이 콜라겐 과립 조성물(비교예 1)과 비교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식감 및 종합적 기호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이 최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혼합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관능평가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최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혼합 및 이의 혼합 비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 1>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추가로 3번째로 효과가 우수한 오레가노 추출물의 혼합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4]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분 함량(g)
실험군
16 17 18 19 20 21
혼합물 콜라겐 740 740 740 740 740 740
사이클로덱스트린 110 110 110 110 110 110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오레가노추출물 - - 3.0 1.5 0.75 0.75
레몬밤추출물 1.5 3.0 1.5 3.0 1.5 3.0
로즈마리추출물 3.0 1.5 1.5 1.5 3.0 1.5
145.5 145.5 144 144 144.75 144.75
Total 1000
구분 실험군
16 17 18 19 20 21
2.12 2.81 3.97 4.1 3.19 4.3
이취 2.45 2.56 3.51 4.12 3.41 3.67
종합적 기호도 2.51 2.88 3.89 4.21 3.77 3.67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오레가노 추출물 혼합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18 내지 21)에 비해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혼합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16 및 17)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혼합하는 경우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경우(실험군 4 내지 6, 및 실험군 10 내지 12)에 비해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1 : 2의 비율로 혼합한 경우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이 최적의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혼합 조합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관능평가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최적의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2>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는 상기 <실험예 2>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혼합 및 혼합 비율로 하였다.
성분 함량(g)
실험군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혼합물 콜라겐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사이클로덱스트린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콜라
겐의
이미

이취 제거용 조성물
레몬밤추출물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로즈마리추출물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생강농축액 0.15 - - - - - - - - - - - -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 - - - - - - - - - -
- - - - 6.0 - - - - - - - - - -
배농축액 - - - - - 0.15 - - - - - - - - -
- - -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 - - - - -
- - - - - - - - - 6.0 - - - - -
크랜베리농축액 - - - - - - - - - - 0.15 - - - -
- - - - - - - - - - - 1.5 - - -
- - - - - - - - - - - - 3.0 - -
- - - - - - - - - - - - - 4.5 -
- - - - - - - - - - - - - - 6.0
145.35 144 142.5 141 139.5 145.35 144 142.5 141 139.5 145.35 144 142.5 141 139.5
Total 1000
구분
실험군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4.31 3.78 3.04 2.31 3.21 4.98 4.3 3.5 3.02 3.2 4.8 4.78 5 5 5
이취 3.61 2.61 2.3 1.67 2.34 4.31 4 3.89 3.4 3.99 4.6 4.71 4.87 4.88 4.89
종합적
기호도
4.2 3.54 3 2.61 3.21 4.23 4.21 3.01 3.05 3.1 4.02 4.21 4.82 4.85 4.86
그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22 내지 26)이 배 농축액 또는 크랜베리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과 비교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생강 농축액을 1 : 2 : 3의 비율로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25)에서 이미 및 이취 강도가 가장 낮아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식감 및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 생강 농축액이 최적의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4>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관능평가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최적의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8]의 조성으로 상기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과립 조성물을 제조하고, 상기 <실험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이때,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는 상기 <실험예 3>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및 생강 농축액 혼합 및 혼합 비율로 하였다.
성분 함량(g)
실험군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혼합물 콜라겐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740
사이클로덱스트린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110


콜라
겐의
이미

이취 제거용 조성물
레몬밤추출물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로즈마리추출물 3.0 3.0 3.0 3.0 3.0 3.0 3.0 3.0 3.0 3.0
생강농축액 4.5 4.5 4.5 4.5 4.5 4.5 4.5 4.5 4.5 4.5
바나나농축액 0.15 - - - - - - - - -
- 1.5 - - - - - - - -
- - 3.0 - - - - - - -
- - - 4.5 - - - - - -
- - - - 6.0 - - - - -
사과농축액 - - - - - 0.15 - - - -
- - - - - - 1.5 - - -
- - - - - - - 3.0 - -
- - - - - - - - 4.5 -
- - - - - - - - - 6.0
140.85 139.5 138 136.5 135 140.85 139.5 138 136.5 135
Total 1000
구분 실험군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01 3.5 4.71 4.89 4.88 4.45 3.87 3.77 3.56 3.5
이취 4 3.61 4 4.25 4.23 4.12 2.89 2.54 2.42 2.4
종합적 기호도 4.05 4.07 4.05 4.06 4.02 4.2 4.12 3.78 3.75 2.88
그 결과,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43 내지 46)이 바나나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과 비교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레몬밤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생강 농축액 및 사과 농축액을 1 : 2 : 3 : 4의 비율로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46)에서 이미 및 이취 강도가 가장 낮아질 뿐만 아니라, 섭취시 식감 및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 사과 농축액이 최적의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5>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또는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소취율 분석
가스검지관(GASTEC)을 이용하여 콜라겐 이취의 주성분인 트리메틸아민(Trimethylamine)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또는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소취율을 확인하기 위해 가스검지관(GASTEC) 측정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2>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중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과립 조성물(실험군 16), 상기 <실험예 3>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중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과립 조성물(실험군 25), 상기 <실험예 4>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 및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를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중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과립 조성물(실험군 46) 각각을 시험병에 넣고 37.5℃ 온도 조건에서 마그네틱 바로 진탕한 후, 가스검지관 No. 180L을 사용하여 용기 내 상부 head space 내에 잔존하는 악취원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을 각각 3회씩 반복하여 얻은 각 가스검지관 측정값을 평균화하였다. 또한, 비교군으로 상기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을 이용하였다.
구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험군 16 실험군 25 실험군 46 비교예 3
검지관(ppm) 36 35 27 11 3 15
소취율(%) - 3 25 69 91 58
그 결과,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사이클로덱스트린만을 포함하는 콜라겐 과립 조성물(비교예 2)은 소취율이 미미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로서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모두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46)의 경우 소취율이 91%로 나타났고, 이는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16)과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및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실험군 25)에 비해서도 현저히 높은 수치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을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과 함께 과립으로 제조하는 경우(실험군 46) 단순 혼합을 통한 분말로 제조하는 경우(비교예 3)에 비해 소취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를 통해 폴리페놀 함유 천연물 원료로 레몬밤 추출물 및 로즈마리 추출물, 폴리페놀산화효소 함유 천연물 원료로 생강 농축액,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촉진인자 함유 천연물 원료로 사과 농축액을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이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가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로 제조하는 경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6)

  1. 레몬밤 추출물:로즈마리 추출물:생강 농축액:사과 농축액을 1:2:3:4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로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과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돈피 콜라겐 또는 피쉬 콜라겐인, 과립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분사 가능한 액상인, 과립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은 수소수, 생수, 수돗물, 해수, 심층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을 포함하는 것인, 과립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과립기에서 분사되는 것인, 과립 조성물.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과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당류를 더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는 설탕, 올리고당, 유당, 당알콜, 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텍스트린, 아스파탐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과립 조성물.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를 과립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부로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19. 1) 레몬밤 추출물:로즈마리 추출물:생강 농축액:사과 농축액을 1:2:3:4의 중량비로 정제수에 첨가하여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2) 과립기에 콜라겐을 넣고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분사하여 과립화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단계 2)에서 콜라겐의 이미 및 이취 제거용 조성물은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5 중량부로 분사되는 것인,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전에 콜라겐 및 당류를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를 콜라겐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로 혼합하는 것인,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과립화 및 건조는 40 내지 65℃에서 수행되는 것인, 콜라겐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147514A 2022-11-08 2022-11-0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514A KR102633367B1 (ko) 2022-11-08 2022-11-0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7514A KR102633367B1 (ko) 2022-11-08 2022-11-0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67B1 true KR102633367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7514A KR102633367B1 (ko) 2022-11-08 2022-11-08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36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109A (ja) * 2006-01-11 2007-07-26 Yakult Honsha Co Ltd 美容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9201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및 가바 유래 이미 또는 이취 마스킹 제제
KR20200108265A (ko) * 2020-09-07 2020-09-17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이취가 개선된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1129532A (ja) * 2020-02-20 2021-09-09 森永乳業株式会社 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2100213A (ja) * 2020-11-19 2022-07-05 大正製薬株式会社 コラーゲンと鉄を含む飲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85109A (ja) * 2006-01-11 2007-07-26 Yakult Honsha Co Ltd 美容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049201A (ko) 2018-10-31 2020-05-08 (주)아모레퍼시픽 콜라겐 및 가바 유래 이미 또는 이취 마스킹 제제
JP2021129532A (ja) * 2020-02-20 2021-09-09 森永乳業株式会社 飲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00108265A (ko) * 2020-09-07 2020-09-17 종근당건강 주식회사 이취가 개선된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22100213A (ja) * 2020-11-19 2022-07-05 大正製薬株式会社 コラーゲンと鉄を含む飲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45309A1 (zh) 新型低钠盐的组成、制备和用途
JP2008189571A (ja) 糖尿病及び/又は肥満の治療・予防剤
CN110743004A (zh) 具有美白功能的虾青素直饮粉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9252746A (ja) 栄養補助食品
CN104473084A (zh) 蓝莓皮、渣多维营养咀嚼片
CN103340356B (zh) 一种保健型麦胚咀嚼片及其生产工艺
KR102633367B1 (ko) 콜라겐의 이미 또는 이취 제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과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91621B1 (ko) 이취가 개선된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758961A (zh) 一种美白祛斑的果味片及其制备方法
JP2008201763A (ja) 抗酸化組成物
JP2002125619A (ja) リコペン組成物、その製法及び用途
JP2005237291A (ja) 健康食品
JPWO2002021941A1 (ja) 新規酢海藻粉末又は顆粒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51608B1 (ko) 저온 효소추출법을 이용한 단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397695B (zh) 一种海参番茄红素茶多酚片及其制备方法
JP5270893B2 (ja) 異味成分を含有する速崩壊性顆粒の製造方法
JP2009060915A (ja) 麦若葉由来の素材を含む美容健康食品
JP2022083948A (ja) 経口固形組成物
JP2003023970A (ja) 魚のうろこから得られるコラーゲン、キチン質複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食品への利用方法
KR20200053795A (ko) 이취가 개선된 과립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2065205A (ja) 麦若葉由来の素材を含む美容健康食品
KR20040046570A (ko) 양파 및 마늘을 이용한 분말청국장의 제조방법
JPH09187230A (ja) ペットフード
JP2005237290A (ja) 健康食品
JPH07102286A (ja) 粉末風味料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