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836B1 - 풍절음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풍절음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836B1
KR102632836B1 KR1020210127481A KR20210127481A KR102632836B1 KR 102632836 B1 KR102632836 B1 KR 102632836B1 KR 1020210127481 A KR1020210127481 A KR 1020210127481A KR 20210127481 A KR20210127481 A KR 20210127481A KR 102632836 B1 KR102632836 B1 KR 102632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pport
wind noise
noise reduction
re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7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856A (ko
Inventor
고석주
Original Assignee
고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석주 filed Critical 고석주
Priority to KR1020210127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836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절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부에 착용되는 구조물과, 구조물에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거치부와, 거치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마주하는 내측면이 사용자의 얼굴 양측에 각각 밀착되는 커버부 및, 커버부의 반대되는 외측면에 대응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마주하는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풍절음 저감장치{wind noise re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풍절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물을 착용시 사용자의 귀를 전방에서 커버하여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풍절음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안경은 야외 운동이나 레저 활동시 강렬한 햇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거나 피로함을 덜어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사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
이중, 라이딩용 스포츠 안경은 사용자의 안면에 위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과 설치된 상태로 사용자의 눈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렌즈 및, 렌즈의 양측에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고, 장착 위치로 회동시킨 후 사용자의 귀에 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라이딩용 스포츠 안경은 주행시 사용자의 눈을 햇빛과 바람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은 있으나, 주행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사용자의 귀에 다량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기능이 없었다. 즉 자전거 등을 이용해 라이딩을 즐기는 경우 귓바퀴로 유입되는 풍절음으로 인해 주변 소리를 쉽게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풍절음으로 인해 사고의 위험성이 큰 상황이므로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라이딩용 스포츠 안경에 관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02284호(2000년 02월 07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스포츠용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을 착용시 사용자의 귀를 전방에서 커버하여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풍절음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는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부에 착용되는 구조물과, 상기 구조물에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거치부와,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마주하는 내측면이 사용자의 얼굴 양측에 각각 밀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반대되는 외측면에 대응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마주하는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경사지게 안내하여 상기 귀의 외곽으로 회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경사면은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에는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고,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다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물은 사용자의 얼굴에 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후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대의 반대되는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평 절곡부와, 상기 수평 절곡부의 절곡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2차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수직 절곡부 및, 상기 수직 절곡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체결홀 및, 전단의 나사부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의 반대되는 폭방향을 지지하고, 후단의 머리부가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조물을 착용시 사용자의 귀를 전방에서 커버하므로 사용자의 귀로 들리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 주행시 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의 경사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는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체결홀과 체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체결홀과 체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보조 커버부가 적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보조 커버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쿠션부가 적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의 경사면이 볼록한 곡률을 갖는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홈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체결홀과 체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체결홀과 체결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보조 커버부가 적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보조 커버부가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쿠션부가 적용된 상태를 후방에서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는 사용자의 진행 방향에서 불어오는 공기(A)를 커버하여 귀(21)에 전달되는 풍절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10)과, 거치부(100)와, 커버부(200) 및, 경사면(300)을 포함한다.
구조물(10)은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부에 착용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머리부에 착용되는 자전거 헬멧, 이어폰용 밴드, 모자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사용자의 얼굴에 착용되는 안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거치부(100)는 후술 될 커버부(200)를 구조물(10)에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조물(10)의 측부 또는 하부에 고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거치부(100)는 구조물(10)의 측부 또는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10)은 사용자의 얼굴(20)에 거치되는 렌즈부(12) 및, 렌즈부(12)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후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대(11)를 포함하는 안경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11)는 사용자의 눈을 전방에서 커버하는 렌즈부(20)의 양측에 수평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후방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하단이 귀(21)의 상단에 거치될 수 있으며, 폭방향 일측이 사용자의 얼굴(20) 양측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치부(100)는 지지대(11)의 반대되는 폭방향과 수직하게 밀착되는 몸체(110)와, 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1차 절곡되어 지지대(11)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평 절곡부(120)와, 수평 절곡부(120)의 절곡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2차 절곡되어 지지대(10)의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수직 절곡부(130) 및, 수직 절곡부(130)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지지대(11)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10)는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부분으로, 몸체(110)의 하단에는 후술 될 커버부(200)의 상단이 결합될 수 있고, 몸체(110)의 일측과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은 일정 넓이로 밀착되므로 후술 될 커버부(200)가 흔들림 없이 거치될 수 있다.
수평 절곡부(120)는 몸체(110)의 상단과 후술 될 수직 절곡부(130)의 상단을 연결시키는 부분으로, 수평 절곡부(120)는 몸체(110)의 상단으로부터 지지대(11)의 폭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될 수 있고, 수평 절곡부(120)의 하단이 지지대(11)의 상단에 수평하게 안착될 수 있다. 즉 수평 절곡부(120)가 지지대(11)의 상단에 안착되므로 후술 될 커버부(200)가 일정 높이에 거치될 수 있다.
수직 절곡부(130)는 몸체(110)와 반대되는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부분으로, 수직 절곡부(130)는 수평 절곡부(120)의 절곡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된다. 즉 수직 절곡부(130)와 몸체(110)가 지지대(11)의 폭방향 양측을 각각 파지하므로 후술 될 커버부(200)가 흔들림 없이 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40)는 거치부(100)를 지지대(11)의 상단에 안착시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과 밀착된 상태로 하강된 후 수평하게 돌출된 끝단이 지지대(11)의 하단에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걸림돌기(140)의 돌출된 끝단은 볼록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100)를 지지대(11)의 상단에 결합시키는 경우, 지지대(11)의 상단이 몸체(110)와 수직 절곡부(130)의 사이 간격으로 통해 수직하게 삽입된다. 이때 수평 절곡부(120)의 하단이 지지대(11)의 상단에 안착되고, 몸체(110)와 수직 절곡부(130)가 지지대(11)의 폭방향 양측을 파지하며, 걸림돌기(140)의 상단이 지지대(11)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므로 거치부(100)가 외력에 의해 지지대(11)의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거치부(100)를 지지대(11)로부터 분리시키는 경우, 거치부(100)를 지지대(11)의 상부로 상승시켜 분리시킬 수 있고, 수직 절곡부(130)의 하단을 몸체(110)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벤딩시켜 걸림돌기(140)를 걸림 해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1과 12에서처럼 몸체(110)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체결홀(150) 및, 전단의 나사부(161)가 체결홀(150)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지지대(11)들의 반대되는 폭방향을 지지하고, 후단의 머리부(162)가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사부(161)의 전단에는 탄성 소재(고무 등)로 구비되는 탄성부재(고무 등, 163)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홀(150)은 지지대(11)의 폭방향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될 수 있고, 체결홀(150)의 내주면과 나사부(161)의 외주면에는 나사결합 방식으로 맞물림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63)는 후단이 나사부(161)의 전단에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전단이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과 밀착 또는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63)는 지지대(11)와 밀착시 전후 방향으로 압축되어 접속시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하므로 지지대(11)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 소재를 사용하므로 지지대(11)와 밀착시 마찰 저항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치부(100)와 지지대(11)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머리부(162)를 파지한 상태에서 체결부재(160)의 나사부(161)를 체결홀(150)을 통해 삽입시킨 후, 머리부(162)를 결합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부(161)를 체결홀(150)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고, 나사부(161)의 전단은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을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나사부(161)에 의해 몸체(110)의 폭방향 일측이 지지되므로 지지대(11)와 거치부(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반면, 머리부(162)를 결합 해지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부(161)의 전단을 지지대(11)의 폭방향 일측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고, 거치부(100)를 지지대(11)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지지대(11)의 상부로 분리시켜 구조물(10)과 분리된 상태로 보관 및 휴대할 수 있다.
아울러, 수직 절곡부(130)와 마주하는 몸체(110)의 일측과 수평 절곡부(120)의 하단 및 몸체(110)와 마주하는 수직 절곡부(130)의 일측에는 지지대(11)와 밀착되는 완충부재(고무, 스폰지 등, 미도시)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완충부재는 몸체(110)와 수평 절곡부(120) 및 수직 절곡부(130)의 접촉 압력 및 충격에 의해 지지대(11)의 표면이 손상(스크레치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 쌍의 커버부(200)는 거치부(100)의 하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30)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마주하는 내측면이 사용자의 얼굴(20) 양측에 각각 밀착된다. 여기서 커버부(200)는 사용자의 귀(21)를 전방에서 커버하기 위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일정 폭을 형성하므로, 공기가 사용자의 귓바퀴로 유입되는 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귀(21)를 통해 들려오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부(200)는 도 6 내지 15에서처럼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커버부(20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200)와 전술한 거치부(100)는 수지 계열의 소재(플라스틱 등) 등을 이용해 일체로 성형(사출 성형 등)할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전단이 좁은 폭으로 형성되고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형상을 가지므로 진행 방향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경사면(300)은 커버부(200)들의 반대되는 외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전방으로 갈수록 마주하는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면(300)들은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커버부(200)는 경사면(300)에 의해 후단이 좌우 방향으로 넓은 폭을 형성하므로 전방에서 불러오는 공기(A)의 흐름이 사용자의 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전방에서 불어오는 공기(A)의 흐름이 사용자의 귀(21)로부터 회피되면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이동되므로 사용자의 귀(21)를 통해 들려오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전거 등을 타고 주행하는 경우, 진행 방향(전방)에서 반대되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A)의 흐름은 경사면(300)에 의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안내되고, 경사면(300)에 의해 후방으로 경사지게 안내된 공기(A)는 귀(40)의 외곽(측방, 상방, 하방)을 향해 회피 이동된다.
또한, 경사면(300)에는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고,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다수의 홈부(310)가 형성될 수 있고, 홈부(310)들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으며, 홈부(310)의 개수, 직경, 깊이 등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홈부(310)는 공기의 저항을 감소키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진행 방향에서 불어오는 공기(A)는 경사면(300)의 표면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형상 저항을 발생시키고, 홈부(310)는 주위에 작은 회오리(난류)를 일으키면서 공기(A)의 형상 저항을 감소시킨다. 즉 홈부(310)는 공기(A)의 저항을 감소시키므로 사용자가 자전거 등을 타고 주행하는 경우 주행 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200)는 도 13과 14에서처럼 후단에 보조 커버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커버부(210)는 커버부(200)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귀(21)의 측방을 커버할 수 있고, 보조 커버부(210)들의 마주하는 일측이 귀(2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커버부(210)들의 마주하는 일측에는 사용자의 귀(21)가 수용되도록 오목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고, 보조 커버부(210)들의 반대되는 일측면은 경사면(300)과 하나의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자전거 등을 타고 주행하는 경우, 진행 방향(전방)에서 반대되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하는 공기(A)의 흐름은 경사면(300)과 보조 커버부(210)의 일측면을 따라 후방으로 안내될 수 있고, 보조 커버부(210)가 사용자의 귀(21)를 측부에서 커버하므로 귀(21)를 통해 들려오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는 커버부(200)들의 마주하는 일측에 쿠션부(22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쿠션부(220)는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소재(스폰지, 실리콘, 천 등)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접착제 등에 의해 커버부(200)들의 마주하는 일측에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쿠션부(220)들의 마주하는 일측에는 공기를 소통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기홈(22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통기홈(221)은 양측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통기홈(221)의 길이방향 양측은 쿠션부(220)들의 가장자리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즉, 쿠션부(220)들은 마주하는 일측면에 사용자의 얼굴(20) 양측에 각각 밀착되므로, 커버부(200)와 사용자의 얼굴(20)이 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쿠션부(220)가 커버부(200)에 작용하는 힘을 완충하므로 커버부(200)가 사용자의 얼굴을 장시간 압박하는 경우에도 통증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쿠션부(220)들의 사용자의 얼굴(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밀착되므로 커버부(200)를 사용자의 얼굴(20) 양측에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고, 통기홈(221)이 쿠션부(220)와 얼굴(20)의 접촉 면적 사이를 통해 공기를 소통시키므로, 사용자의 얼굴(20)과 쿠션부(220) 사이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구조물(10)을 착용시 사용자의 귀(21)를 전방에서 커버하므로 사용자의 귀(21)로 들리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고, 공기(A)의 저항을 줄일 수 있어 주행시 속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1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어 보관 및 휴가가 용이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풍절음 저감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구조물 11: 지지대
12: 렌즈부 20: 얼굴
21: 귀 100: 거치부
110: 몸체 120: 수평 절곡부
130: 수직 절곡부 140: 걸림돌기
150: 체결홀 160: 체결부재
161: 나사부 162: 머리부
163: 탄성부재 200: 커버부
210: 보조 커버부 220: 쿠션부
221: 통기홈 300: 경사면
400: 홈부 A: 공기

Claims (5)

  1. 사용자의 얼굴 또는 머리부에 착용되는 구조물;
    상기 구조물에 고정 또는 탈부착 가능한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를 전방에서 커버하고, 마주하는 내측면이 사용자의 얼굴 양측에 각각 밀착되는 한 쌍의 커버부; 및
    사용자의 얼굴과 반대되는 상기 커버부의 외측면으로서, 전방으로 갈수록 마주하는 방향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경사면은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경사지게 안내하여 상기 귀의 외곽으로 회피 이동시키되,
    상기 커버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형상을 갖고,
    상기 경사면은 사용자의 얼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볼록한 곡률을 형성하며,
    상기 구조물은 사용자의 얼굴에 거치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고, 전후로 길이를 갖는 한 쌍의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부는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안착되는 수평 절곡부와,
    상기 수평 절곡부의 절곡된 끝단으로부터 하부로 2차 절곡되어 상기 지지대의 마주하는 폭방향 일측에 수직하게 밀착되는 수직 절곡부 및,
    상기 수직 절곡부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걸림 위치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절음 저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는 오목한 곡률을 형성하고, 가장자리가 원주를 이루는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절음 저감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수평하게 관통되는 체결홀 및,
    전단의 나사부가 상기 체결홀을 통해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부와 반대되는 상기 지지대의 폭방향 일측을 지지하고, 후단의 머리부가 회전조작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절음 저감장치.
KR1020210127481A 2021-09-27 2021-09-27 풍절음 저감장치 KR102632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481A KR102632836B1 (ko) 2021-09-27 2021-09-27 풍절음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7481A KR102632836B1 (ko) 2021-09-27 2021-09-27 풍절음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56A KR20230044856A (ko) 2023-04-04
KR102632836B1 true KR102632836B1 (ko) 2024-02-05

Family

ID=8592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7481A KR102632836B1 (ko) 2021-09-27 2021-09-27 풍절음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83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613A (ja) * 2000-11-21 2002-05-31 Yosuke Yamakawa 風切り音防止アイウエア
JP2008289832A (ja) 2007-05-28 2008-12-04 Akihiro Ono 風切音防止、耳カバー
KR200455089Y1 (ko) 2010-11-26 2011-08-19 김인겸 보조안경
JP2019189229A (ja) 2019-07-05 2019-10-31 株式会社Subaru 車両の風切音低減構造
JP6716068B1 (ja) * 2018-12-10 2020-07-01 剛史 ▲高▼沢 風切音軽減装置
JP2020184052A (ja) 2019-04-29 2020-11-12 广州成呈智能科技有限公司 ノイズの影響を下げることができる保護メガネ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61Y2 (ja) * 1992-12-14 1996-01-10 株式会社日本光器製作所 眼鏡用サイドカバ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6613A (ja) * 2000-11-21 2002-05-31 Yosuke Yamakawa 風切り音防止アイウエア
JP2008289832A (ja) 2007-05-28 2008-12-04 Akihiro Ono 風切音防止、耳カバー
KR200455089Y1 (ko) 2010-11-26 2011-08-19 김인겸 보조안경
JP6716068B1 (ja) * 2018-12-10 2020-07-01 剛史 ▲高▼沢 風切音軽減装置
JP2020184052A (ja) 2019-04-29 2020-11-12 广州成呈智能科技有限公司 ノイズの影響を下げることができる保護メガネ
JP2019189229A (ja) 2019-07-05 2019-10-31 株式会社Subaru 車両の風切音低減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856A (ko)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6944B2 (ja) ヘルメットの快適性ライナーのために調整装置を備えたヘルメット
EP2526800B1 (en) Headgear with a spring buffered occipital cradle
JP5214672B2 (ja) ヘルメットの頬パッド
US20140173811A1 (en) Unit composed of helmet and protective eye mask
KR102207958B1 (ko) 헬멧
CA2337895A1 (en) Eye covering
CN107884955B (zh) 保护眼镜
WO1998030182A1 (en) Hearing protective eyewear
KR102632836B1 (ko) 풍절음 저감장치
US6347412B1 (en) Sound reflector for a bicyclist
JP2003049316A (ja) 顔面保護板付ヘルメット
US20090300827A1 (en) Device reducing wind noise
US20140189944A1 (en) Goggle apparatus
CN213128263U (zh) 一种带护目镜的安全帽
JP6407793B2 (ja) 頭部装着表示装置
KR100424200B1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1559752B1 (ko) 레저 스포츠용 헬멧
JP3151488U (ja) 帽子用眼鏡
CN205757460U (zh) 一种多用自行车头盔
JPS6020094Y2 (ja) スポ−ツ用眼鏡枠
KR200459163Y1 (ko) 모자
KR101554902B1 (ko) 레저 스포츠 헬멧용 보호안경
US20210191148A1 (en) Eyewear attachment and eyewear assembly
CN213128261U (zh) 一种焊工用安全帽
JP3178391U (ja) 保護メガネ付き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