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4200B1 - 유아용 머리 보호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머리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4200B1
KR100424200B1 KR10-2002-0024694A KR20020024694A KR100424200B1 KR 100424200 B1 KR100424200 B1 KR 100424200B1 KR 20020024694 A KR20020024694 A KR 20020024694A KR 100424200 B1 KR100424200 B1 KR 100424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horizontal member
infant
horizontal
ver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124A (ko
Inventor
박덕규
Original Assignee
박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규 filed Critical 박덕규
Priority to KR10-2002-002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420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4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42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들이 머리에 착용하는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왕관형의 모자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장식용 모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탄력성을 갖는 발포부재 밴드로 이루어져 머리둘레에 씌워지며, 그 상부에는 장식편(1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수평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양측에는 장식편(2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수직부재(20)와; 상기 수직부재(20)의 양측에서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장식편(3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경사부재(30)와; 상기 수평부재(10)를 둥글게 하여 그 양측단이 마주하도록 하고,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의 끝단을 마주하는 부위에 합치도록 하여 탄성 로우프(41)로 고정시키면 각각의 부재들이 둥근 모자 형태로 결합되어 유아들의 머리에 씌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머리 보호대{a head gear for baby and small children}
본 발명은 유아들이 머리에 착용하는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왕관형의 모자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장식용 모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머리는 딱딱한 두개골(頭蓋骨)이 뇌(腦)를 둘러싸고 있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뇌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유아(幼兒)들의 머리는 두개골이 완전하게 골화(骨化)되어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쉽게 뇌가 손상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아들을 키울 때는 머리를 다치지 않도록 하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나, 현실적으로는 장기간 지속적으로 유아들에게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사소한 부주의로 인하여 유아들이 뇌를 다쳐 입원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고, 년간 뇌 손상으로 인하여 입원하는 유아 환자의 수도 상당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유아들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보호대의 개발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심하고 키울 수 있는 보호대의 제안이 절실히 요구되었다.
물론, 어린이들이 롤러스케이트, 롤러보드, 스케이트, 자전거 등을 탈 때 머리에 착용하는 헬멧(helmet)은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헬멧은 쿠션재 외부에 딱딱한 합성수지 외피가 씌워져 있어, 착용하면 답답할 뿐 아니라 딱딱한 합성수지 외피에 의하여 또 다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유아들이 착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충격 흡수성을 갖는 완충부재를 왕관형의 모자로 형성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장식용 모자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충격 흡수성을 갖는 완충부재 밴드로 이루어져 머리둘레에 씌워지며, 그 상부에는 장식편(1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수평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양측에는 장식편(2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수직부재(20)와;
상기 수직부재(20)의 양측에서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장식편(3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경사부재(30)와;
상기 수평부재(10)의 양측단에 뚫려진 구멍(12)들과,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들의 끝단에 형성된 구멍(22)(32)들에는 탄성 로우프(41)가 삽입되어 묶음되는 고정부(40)와; 상기 수평부재(10)를 둥글게 하여 그 양측단이 마주하도록 하고,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의 끝단을 마주하는 부위에 합쳐지도록 한 곳을고정시키는 고정부(40)와; 상기 고정부(40)에 의하여 각각의 부재들이 둥근 모자 형태로 결합되어 유아들의 머리에 씌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예시한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부재, 수직부재 및 경사부재의 끝단들이 보호대의 후방에서 탄성 로우프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예시한 일부 단면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의 작동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평부재 10a : 천
11, 21, 31 : 장식편 12, 22, 32 : 구멍
20 : 수직부재 30 : 경사부재
33 : 보조편 40 : 고정부
41 : 탄성 로우프 50 : 클램프
51 : 지지관 51a, 52a : 통공
52 : 작동봉 53 : 스프링
60 : 턱끈 70 : 깃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보호대는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 이들을 결합시키는 고정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10)는 충격 흡수성을 갖는 완충부재 밴드로 이루어져 머리둘레에 씌워지며, 일정 두께와 폭을 갖는 수평부재(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밴드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상기 완충부재는 충격 흡수성이 양호한 재질로 되어 있고, 주로 무독성 수지를 발포 성형한 발포부재로 구성되어 가볍고 부드러우며 잘 휘어지는 특성이 있어 유아들이 사용하기 적합하다. 그러나, 완충재는 매우 다양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꼭 발포부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수평부재(10)의 상부에는 장식편(11)들이 연속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평부재(10)의 중앙에는 수직부재(20)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직부재(20)의 양측에는 장식편(21)들이 연속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재(20)의 양측에는 경사부재(30)들이 약 45도의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그 일측에는 장식편(31)들이 연속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도 탄력성을 갖는 발포부재 밴드로 구성되어 수평부재(1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은 상기 부재들의 형상을 갖는 금형의 내부에 무독성 수지를 주입한 후 발포시켜 일체로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을 각각 형성하여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킬 수도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꼭 이들 부재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작의 편의성과 접착제가 갖는 유해성 등을 고려하면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재(10)의 양측단에는 구멍(12)들이 각각 뚫려져 있고,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들의 끝단에도 구멍(22)(32)들이 각각 뚫려져 있으며, 이 구멍(12)(22)(32)들에는 탄성 로우프(41)가 삽입되어 묶음된다. 전술한 구성은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의 일단이 한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40)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수평부재(10)를 둥글게 하여 그 양측단이 마주하도록 하고,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의 끝단을 마주하는 부위에 합쳐지도록 하여 탄성 로우프(41)를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에 뚫려진구멍(12)(22)(32)들에 삽입하여 탄성 로우프(41)를 묶으면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이 둥근 모자 형태로 결합되어 유아들의 머리에 씌울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고정부(40)는 각각의 부재들이 합쳐지는 부위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므로 발명은 탄성 로우프(41)를 사용하는 고정부(40)의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둥근 모자형태를 이루어 결합된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이 발포부재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성이 매우 양호한 것이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발포부재의 특성상 매우 가볍고 부드러워 그 착용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아들이 거부감 없이 착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에 돌출 형성된 장식편(11)(21)(31)들은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 사이에 형성되는 과도한 공간부를 효과적으로 커버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통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장식편(11)(21)(31)들에 의하여 보호대가 왕관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므로 미려한 장식효과와 함께 동화 속의 왕자나, 공주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유아들에게 거부감 없이 친숙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40)에 묶어지는 탄성 로우프(41)는 고무줄과 같이 탄력성이 양호한 로우프로 구성되어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이 합쳐진 부위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수축 및 이완이 가능하여 유아들의 머리크기에 관계없이 머리에 밀착되어 잘 벗겨지지 않는 등의 이점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4a와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용 클램프(50)를 사용하여 탄성 로우프(41)를 묶음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프(50)는 2개의 통공(51a)들이 뚫려진 지지관(51) 내부에 2개의 통공(52a)들이 뚫려진 작동봉(52)이 삽입되어 스프링(53)으로 탄력 지지되고, 지지관(51)과 작동봉(52)에 각각 뚫려진 2개의 통공(51a)(52a)들에 탄성 로우프(41)의 양단이 각각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에는 도 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봉(52)을 눌러주면 작동봉(52)의 통공(52a)들이 지지관(51)의 통공(51a)과 일치되어 탄성 로우프(41)를 삽입하여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고,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눌렀던 작동봉(52)을 놓아주면 스프링(53)의 탄발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봉(52)이 지지관(51)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지지관(51)과 작동봉(52)의 통공(51a)(52a)들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되므로 이들 사이에 탄성 로우프(41)가 끼여져 고정된다.
따라서, 작동봉(52)을 눌러주면 탄성 로우프(41)가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이므로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의 구멍(12)(22)(32)들을 관통하는 탄성 로우프(41)의 묶음상태를 느슨하게 하거나 조여줄 수 있고, 작동봉(52)을 놓아주면 그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므로 유아들의 머리 크기에 따라서 보호대의 둘레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유아들의 머리에 씌워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0)의 양측 하부에 턱끈(60)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턱끈(60)의 하부에는 클램프(50)를 결합하여 보호대가 유아들의 머리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수평부재(10)의 양측 상부에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깃(70)을 결합시켜 왕관의 형태와 더욱 유사하게 구성할 수도 있고, 경사부재(30)의 장식편(31)에 발포부재로 이루어진 보조편(33)을 부착하여 경사부재(30)와 수직부재(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보다 조밀하게 유지하여 유아들의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 사이의 공간부를 효과적으로 커버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10)의 내측면에는 땀 흡수가 잘 이루어지고 통풍성을 갖는 면으로 된 천(10a)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천(10a)의 부착은 금형의 내부에 무독성 수지를 주입하여 발포시킬 때 천(10a)을 삽입하여 수평부재(1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꼭 천(10a)의 부착방법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머리 보호대는 수평부재(10), 수직부재(20), 경사부재(30)들이 왕관(王冠) 형태를 이루어 결합되고, 발포부재로 이루어져 충격 흡수성이 매우 양호한 것이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유아들의 머리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발포부재의 특성상 매우 가볍고 통풍이 잘 이루어져 착용감이 양호하면서도 장식편(11)(21)(31)들에 의하여 왕관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므로 미려한 장식효과와 함께 동화 속의 왕자나, 공주와 같은 분위기를 연출하여 유아들에게 거부감 없이 친숙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으로서 머리 보호대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충격 흡수성을 갖는 완충부재 밴드로 이루어져 머리둘레에 씌워지며, 그 상부에는 장식편(1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수평부재(10)와;
    상기 수평부재(10)의 중앙에서 수직으로 형성되며, 그 양측에는 장식편(2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수직부재(20)와;
    상기 수직부재(20)의 양측에서 경사를 이루어 형성되며, 그 일측에는 장식편(31)들이 연속으로 돌출된 경사부재(30)와;
    상기 수평부재(10)를 둥글게 하여 그 양측단이 마주하도록 하고,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의 끝단을 마주하는 부위에 합쳐지도록 한 곳을 고정시키는 고정부(40)와;
    상기 고정부(40)에 의하여 각각의 부재들이 둥근 모자 형태로 결합되어 유아들의 머리에 씌워짐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0)는 수평부재(10)의 양측단에 뚫려진 구멍(12)들과, 수직부재(20)와 경사부재(30)들의 끝단에 형성된 구멍(22)(32)들을 탄성 로우프(41)가 관통 삽입되어 고정용 클램프(50)에 의하여 묶음되고, 클램프(50)는 2개의 통공(51a)들이 뚫려진 지지관(51) 내부에 2개의 통공(52a)들이 뚫려진 작동봉(52)이 삽입되어 스프링(53)으로 탄력 지지되며, 지지관(51)과 작동봉(52)에 각각 뚫려진 2개의 통공(51a)(52a)들에 탄성 로우프(41)의 양단이 각각 끼워져 자유롭게 길이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의 양측 하부에 턱끈(60)의 양단을 각각 고정시키고, 턱끈(60)의 하부에는 클램프(50)를 결합하여 보호대가 유아들의 머리에서 벗겨지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10)의 양측 상부에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깃(70)을 결합시켜 왕관의 형태와 더욱 유사하게 구성하고, 수평부재(10)의 내측면에는 땀 흡수가 잘 이루어지고 통풍성을 갖는 면으로 된 천(10a)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2002-0024694A 2002-05-06 2002-05-06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0424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694A KR100424200B1 (ko) 2002-05-06 2002-05-06 유아용 머리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4694A KR100424200B1 (ko) 2002-05-06 2002-05-06 유아용 머리 보호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24A KR20030087124A (ko) 2003-11-13
KR100424200B1 true KR100424200B1 (ko) 2004-03-25

Family

ID=3238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694A KR100424200B1 (ko) 2002-05-06 2002-05-06 유아용 머리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42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95U (ko) 2017-03-30 2018-10-11 권정수 자해방지용 헬멧
KR20190000294U (ko) 2019-01-24 2019-02-01 권정수 자해방지용 헬멧
KR102197046B1 (ko) * 2019-12-02 2020-12-31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재난 보호용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906Y1 (ko) * 2009-07-08 2011-06-02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절첩식 헬멧
KR102225378B1 (ko) * 2019-11-21 2021-03-09 주식회사 오라운드 유체 주입식 헬멧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4022U (ko) * 1977-03-04 1978-10-03
JPS57125730U (ko) * 1981-01-28 1982-08-05
JP2001115325A (ja) * 1999-10-06 2001-04-24 Tanizawa Seisakusho Ltd 簡易組立式保護帽
KR200254479Y1 (ko) * 2001-08-09 2001-11-24 한동섭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US6349416B1 (en) * 1999-07-23 2002-02-26 Soccordocs, Inc. Headguard-protective sports headban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24022U (ko) * 1977-03-04 1978-10-03
JPS57125730U (ko) * 1981-01-28 1982-08-05
US6349416B1 (en) * 1999-07-23 2002-02-26 Soccordocs, Inc. Headguard-protective sports headband
JP2001115325A (ja) * 1999-10-06 2001-04-24 Tanizawa Seisakusho Ltd 簡易組立式保護帽
KR200254479Y1 (ko) * 2001-08-09 2001-11-24 한동섭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895U (ko) 2017-03-30 2018-10-11 권정수 자해방지용 헬멧
KR20190000294U (ko) 2019-01-24 2019-02-01 권정수 자해방지용 헬멧
KR102197046B1 (ko) * 2019-12-02 2020-12-31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재난 보호용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124A (ko) 200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1743B1 (en) Football helmet having improved impact absorption
US3478365A (en) Protective helmet for babies
JP2727300B2 (ja) 保護用帽子
KR102142990B1 (ko) 가변형 헬멧
US8782819B1 (en) Spider web protective inserts for a football helmet or the like
JPH026606A (ja) フルフェース型ヘルメット
KR102207958B1 (ko) 헬멧
KR102099555B1 (ko) 접이식 헬멧
KR100424200B1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0889369B1 (ko) 머리보호용 모자
US20210298405A1 (en) Hat with flexible panels
KR100406219B1 (ko) 헬멧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JP5994732B2 (ja) 帽子用保護具及び帽子
KR200254479Y1 (ko)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200268773Y1 (ko) 유아용 머리보호대
KR100454294B1 (ko) 머리 보호용 모자
CN201967765U (zh) 一种防护安全帽
JP2006124896A (ja) 帽子及びヘルメット
KR100305355B1 (ko) 유아용 안전모자
KR20110011657U (ko) 안전모용 땀흡수밴드
KR200301370Y1 (ko)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KR200264875Y1 (ko) 유아용머리보호용구
KR102633718B1 (ko) 유아용 단계별 끈 조절 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