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370Y1 -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370Y1
KR200301370Y1 KR20-2002-0030492U KR20020030492U KR200301370Y1 KR 200301370 Y1 KR200301370 Y1 KR 200301370Y1 KR 20020030492 U KR20020030492 U KR 20020030492U KR 200301370 Y1 KR200301370 Y1 KR 200301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body portion
laryngeal
head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0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학
Original Assignee
이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학 filed Critical 이찬학
Priority to KR20-2002-0030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3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3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가 뒤로 넘어질 때의 충격을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착용이 간편하면서 활동성이 양호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유아의 등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결속수단에 의해 밀착되는 몸체부와, 그 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굴곡지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유아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재가 설치된 후두완충구로 구성된다.
또한, 몸체부와 후두완충구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분해 및 조립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몸체부의 상부와 후두완충구의 하부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보호장구가 머리부위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유아에게 거부감없이 쉽고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착용후에는 유아가 뒤로 넘어질때의 충격을 완충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a safety apparatus for a little child}
본 고안은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초기 걸음마를 시작하는 연령대의 유아들의 머리 보호를 위해 의복식으로 제조되며, 머리에 직접 접촉되지 않는 구조로 인해 착용성 및 활동성이 용이하도록 된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안전장구로는 주로 운반용 캐리어 또는 차량용 시트용구등에 채용되고 있으며, 그중 외출시 유아의 머리부위를 보호하기 위해 헬멧등의 보호장구를 채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존의 유아가 주로 거주하는 방이 바닥에 딱딱한 온돌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카페트 문화가 발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유아들이 넘어지면서 받는 충격에 의해 중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후 2~4년생 유아들은 중추신경의 발달이 아직 미숙하여 잘 넘어지게 되며, 이 경우 유아들이 앞으로 넘어질 경우에는 무의식적으로 손을 짚거나 하여 머리를 직접 땅 바닥에 부딪히는 경우가 그다지 발생하지 않으나, 뒤로 넘어질 경우에는 무방비 상태로 넘어지게 되어 머리를 심하게 부딪힐 우려가 있었다.
이에 따라, 유아가 대략 자력으로 앉은 상태에서 뒤로 넘어가지 않을 때까지 머리를 보호하는 보호장구가 별도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종래,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의 일예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264875호 "유아용 머리보호장구"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유아의 머리부에 착용되는 머리띠(혹은 모자)(30)와, 그 머리띠(30)에 큐숀이 양호한 재료로 부착되는 완충부재(10)로 구성된다.
그 완충부재(10)는 가스가 주입된 튜브(11)와 자체 탄성력을 갖는 큐숀재를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보호장구는 유아의 머리에 띠형상이나 모자에 착용되어 유아가 넘어지더라도 머리를 보호하는 유용한 기능을 갖고 있다.
또, 종래의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는 모자 또는 헬멧등의 형상으로 제작되어 그 내측면이 머리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보호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유아에게 보호장구를 착용시킬 때 대부분의 유아는 그 보호장구가 머리 부위에 닿는 것을 싫어할 우려가 있으며, 또한 유아가 그 보호장구를 쉽게 벗어버리거나 헐겁게 착용된 상태에서 이탈될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그 장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머리부위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여 접촉저항을 완화시키고 착용성 및 활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보호장구 110 : 몸체부
112 : 프레임 114 : (몸체부의)외피
115 : 충전재 117 : 통공(117)
120 : 후두완충구 122 : 보강재
124 : (후두완충구의)외피
125 : 완충재 310 : 결속끈
315 : 벨크로 테이프 410 : 나사산
510 : 고정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유아의 등부위에 밀착되도록 결속수단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상단측으로 굴곡지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유아의 머리 후두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재가 설치된 후두완충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부와 후두완충구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분해 및 조립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상기 후두완충구의 하부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과, 상기 높이조절수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와 상기 후두완충구의 하부에 각기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통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들중 각기 하나에 선택 삽입되어 그 높이를 조정하는 고정핀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그외에도, 본 고안은 상기 결속수단이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부에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어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결속끈을 구비하여 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 유아의 등부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결속수단에 의해 밀착되는 몸체부(110)와, 그 몸체부(11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상측으로 굴곡지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유아의 후두부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재(125)가 설치된 후두완충구(120)로 구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부(110)는 그 내부에 적당한 강도와 경도를 갖는 금속재질의 프레임(112)이 내장되고, 그 프레임(112)의 외측에는 유아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해 의복 섬유로 된 외피(114)가 결합되며, 그 외피(114)와 프레임(112)사이에 플라스틱이나 솜등의 충전재(115)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나, 더 바람직하게는 도 5에서와 같이, 제조공정의 용이성을 위해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그 결합수단은 구조가 몸체부(110)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산(410)이 형성되고, 그 나사산(410)에 대응되는 나사산(410)이 후두완충구(120)의 하단 내주면에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상호 분리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또한, 후두완충구(120)는 내부에 내장된 프레임(112)의 외측에 의복 섬유재질인 외피(124)가 마감되고, 그 프레임(112)과 외피(124) 사이의 유아의 후두부와 대응되는 부위에는 요홈형태를 갖는 완충재(125)가 마련된다.
그 결속수단은 몸체부(110)의 후면에는 유아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결속끈(310)이 마련되며, 그 결속끈(310)의 단부에는 상호간의 접착을 위한 벨크로 테이프(315)가 마련되어 있다.
그 결속끈(310)은 몸체부(110)의 후면 상부에 유아의 어깨를 중심으로 크로스 교차하도록 "X"자 형태로 마련되고, 그 하부에는 유아의 배꼽부위를 감싸도록 수평으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의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를 유아에게 착용시키는 방법을 먼저 설명하면, 몸체부(110)를 유아의 등부위에 밀착시킨 후에 본 고안의 결속수단인 결속끈(310)을 유아의 겨드랑이와 복부부분에 교차되도록 한 다음에 각 결속끈(310)의 단부에 마련된 벨크로 테이프(315)로 접착시키면 유아에게 착용이 완료된다.
그 보호장구를 유아에게 착용하기 전에 몸체부(110)의 상단부에 후두완충구(120)를 결합시키는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과정은 후두완충구(120)의 하단 내주면 나사산이 몸체부(110)의 상단부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도록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한편, 후두완충구(120)를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때는 후두완충구(1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각각의 나사산 방향에 의해 분리된다.
이에 따라, 후두완충구(120)는 몸체부(110)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아에게 착용된 후에도 후두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후에, 유아가 외출시 또는 앉은 상태에서 뒤로 넘어지게 되면, 유아의 후두부가 후두완충구(120)의 완충재(125)에 접촉되어 완충되므로, 바닥면과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다른 구성요소와 동일하나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와의 결합시 결합수단 대신에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것으로, 그 구조는 유아의 성장에 맞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수직 높이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높이조절수단은 몸체부(110)의 상부와 후두완충구(120)의 하부측에 각각 대응되는 형상의 통공(117)이 다수개 형성되고, 그 통공(117)들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를 일체로 결합시키는 고정핀(510)으로 구성된다.
이는 유아의 신체조건에 따라 후두완충구(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유아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의 통공(117)을 일치시킨 후에 고정핀(510)을 수평으로 삽입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면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후에 본 고안의 보호장구를 유아에게 착용하는 것과 착용한 후에 사용하는 기능 및 작용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고안은 유아가 뒤로 넘어질 때의 충격을 완충시킬 뿐만 아니라, 착용이 간편하면서 활동성이 양호하도록 그 구조가 개량된 유아용 머리보호장구에 관한 것인바,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보호장구가 머리부위에 직접 접촉되지 않으므로 유아에게 거부감없이 쉽게 착용됨과 아울러,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속되어 그 착용상태가 견고할 뿐만 아니라, 착용후에는 유아가 뒤로 넘어질때의 충격을 완충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유아의 등부위에 밀착되도록 결속수단을 갖는 몸체부(110)와,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부로부터 후방 상단측으로 굴곡지게 결합되며 내측면에 유아의 머리 후두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완충재(125)가 설치된 후두완충구(1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와 후두완충구(120)가 결합수단에 의해 상호 분해 및 조립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와 상기 후두완충구(120)의 하부가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와 상기 후두완충구(120)의 하부에 각기 대응되도록 복수개의 통공(117)들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17)들중 각기 하나에 선택 삽입되어 그 높이를 조정하는 고정핀(51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수단은 상기 몸체부(110)의 후면에 설치되며 단부에 벨크로 테이프(315)가 설치되어 상호 결합가능한 복수개의 결속끈(310)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KR20-2002-0030492U 2002-10-12 2002-10-12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KR200301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492U KR200301370Y1 (ko) 2002-10-12 2002-10-12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0492U KR200301370Y1 (ko) 2002-10-12 2002-10-12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370Y1 true KR200301370Y1 (ko) 2003-01-29

Family

ID=49329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0492U KR200301370Y1 (ko) 2002-10-12 2002-10-12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95B1 (ko) 2010-07-2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목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695B1 (ko) 2010-07-20 2012-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9778B2 (en) Headgear
KR102128634B1 (ko) 등산가와 트리클라이머용 보호헬멧
US20150320134A1 (en) Protective lightweight helmet
EP2800492A1 (en) Helmet provided with an adjustable device for the helmet comfort liner
CA2536562C (en) Human limb/joint protective pad and method of making
US20020189004A1 (en) Headguard to reduce injury severity to the wearer
US6802079B2 (en) Protective mouth shield
CA3125706A1 (en) Uncoupled anterior cranial shield
KR200301370Y1 (ko)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CN218357266U (zh) 一种颅脑抗打击护具
US3127614A (en) Football shoulder pad and cushion liner therefor
US6553569B2 (en) Protective mouth shield
GB2463258A (en) Safety helmet with additional neck protection
KR100406219B1 (ko) 헬멧
CA2852446A1 (en) Head gear - face and neck protector for kung fu martial arts
KR100424200B1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0660405B1 (ko) 격투기용 몸통보호대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CN206101740U (zh) 一种具有反冲保护装置的骑行头盔
EP1694151B1 (en) Headband
CN219396354U (zh) 一种户外运动护具
JP2012072527A (ja) 頭部保護具
WO2004110571A2 (en) Takraw padding
KR200362003Y1 (ko)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JPH05192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