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003Y1 -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 Google Patents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003Y1
KR200362003Y1 KR20-2004-0017405U KR20040017405U KR200362003Y1 KR 200362003 Y1 KR200362003 Y1 KR 200362003Y1 KR 20040017405 U KR20040017405 U KR 20040017405U KR 200362003 Y1 KR200362003 Y1 KR 200362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shoulder
region
larynge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4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경
Original Assignee
윤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인경 filed Critical 윤인경
Priority to KR20-2004-00174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0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1/00Garments for childre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8Trimmings;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0Pockets; Making or setting-in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41D2400/482Carrying facilities for bab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의 머리 등을 보호하는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본 유아가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로서: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유아 후두(後頭)의 중앙 부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의 주연부로서 유아 후두의 측면 주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후두보호부;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유아 머리의 측면부를 보호하면서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의도하는 측면보호부; 및 유아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후두보호부의 상기 제 2 영역의 하부 또는 상기 측면보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한쪽 끝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어깨착용수단;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A PROTECTIVE APPARATUS WITH ONE BODY TIPE FOR BABY}
본 고안은 유아의 머리 등을 보호하는 보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가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에 관한 것이다.
발육이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는 운동신경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고 또한 중추신경계도 미성숙되어 있는 상태이며, 머리 무게의 비중이 높고 걸음걸이도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넘어지는 습성이 있다.
머리 무게의 높은 비중과 운동신경이나 근육의 미성숙에 의하여 유아가 넘어질 때 머리가 바닥에 그대로 부딪치게 되고, 이때의 충격이 유아의 머리에 그대로전달되는 결과 큰 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사고로 인한 연간 유아 뇌상 사망자는 수백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뇌상에 의한 증상으로서 안면마비 및 청신경 마비 등의 뇌신경 마비 장애, 반신마비나 언어장애 등의 중증 장애, 심지어는 식물상태에까지 이르는 경우도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신체적 장애가 아니라도, 유아는 작은 충격에도 뇌신경의 손상을 쉽게 입게 되고, 성인의 경우 뇌신경 손상을 잘 이겨낼 수 있는 반면에 유아의 경우에는 악성으로 발전, 심각한 뇌기능 저하에 빠질 수 있다는 보고서도 있다.
유아가 자주 넘어지는 일이 위와 같은 심각한 사고로 까지 이어지기 때문에, 어떻게 하면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지금까지 다양한 수단이 알려졌으며, 머리에 띠를 두르거나, 에어가 주입된 머리보호 에어매트를 활용하는 수단들이 애용되어 왔다.
그러나, 유아의 머리 부분 중 뒷 부분 뿐만 아니라 측면도 함께 보호하면서,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으며, 유아가 착용시 보다 예쁘게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모두 만족함과 동시에 베개로도 활용할 수 있는 보호용구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즉 종래에는 기능적인 면만 중시하였지 아이를 예쁘게 보여주는 미적인 효과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유아가 간단하고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는 기능, 잠을 잘 때에는 베개로도 활용할 수 있는 기능, 수영장 같은 곳에서는 튜브와 같은 기능을 모두 함께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더욱이 유아의 머리 뿐만 아니라 유아의 목과 어깨 및 등, 등의 척추나 신경 등을 동시에 보호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음에도 이에 대한 연구도 불충분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이 목적은 유아가 넘어졌을 때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유아의 뇌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구를 제공함에 있으며, 이 보호용구의 착용은 기본적으로 간단하고 편리하도록 고안하고자 한다.
그렇기 때문에, 보호용구의 각 부분이 분리되어 있는 보호용구가 갖는 문제점으로서, 착용시 이를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 등을 피하는 방안을 강구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아의 후두부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도 넘어질 수 있으며, 구를 수도 있기 때문에 유아의 머리 측면도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함과 동시에, 유아의 목과 어깨 그리고 등 등도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기에는 잠이 많다는 것을 중시하여 유아가 잠을 잘 때 보호용구가 베개로서 기능하도록 함에 있다. 만일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에서 수영장에 간 경우에는 수영 구명튜브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호용구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다용도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의 부모나 가족은 유아를 사랑하고 매우 예쁘게 보이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러한 인간의 통념이자 상식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보호용구를 유아가 착용할 때 보다 예쁘게, 깜찍하게 보이도록 미적인 구성을 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그 실시예의 개시내용 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이며, 본 고안의 특유한 효과에 대응될 것임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아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아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유아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8은 유아가 본 고안을 배게로 하여 잠을 자고 있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면 사시도로서 측면보호부의 기능을 강조하고 있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9에서 나타난 측면보호부가 실제로 기능하게 되는 상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수단을 강조하여 설명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어깨착용수단에 대한 확대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착용상태에 있어서 여유공간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아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아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유아의 착용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후두보호부
20 : 후두보호부 제 1 영역
30 : 후두보호부 제 2 영역
31 : 후두부호부 제 3 영역
40 : 측면 보호부
50 : 날개
60 : 멜빵
70 : 멜빵고정수단
80, 81, 82, 83 : 벨크로 파스너
90 : 장식부
100 : 기저귀 주머니
110 : 목수용부
120 : 어깨 등 보호부
130 : 여유공간
140 : 교차부
150 : 멜빵 체결수단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유아가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로서: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유아 후두(後頭)의 중앙 부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주연부로서 유아 후두의 측면 주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후두보호부;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유아 머리의 측부와 얼굴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의도하는 측면보호부; 및
유아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하는 어깨착용수단;을 포함하는 일체형의 유아 보호용구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후두보호부는, 상기 후두보호부의 제 1 영역의 배면에 형성되고, 이중 완충기능을 위한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일정한 장식기능의 형상을 갖는 제 3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목을 수용하는 목수용부; 및, 상기 목수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유아 목 근방에서 양쪽으로 갈라져 유아의 목, 어깨 및 등을 보호해 주는 어깨 등 보호부를 일체형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두보호부와 연결되며 유아의 기저귀를 수납할 수 있는 기저귀 주머니를 더 포함하도록 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의 상기 후두보호부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오목하게 들어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유아의 후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영역 중 유아의 목을 수용하는 부분에 여유를 줌으로써, 유아가 잠이 들 때에 배게로서 활용가능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제 1 영역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은 유아의 후두를 수용하고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측면보호부는 5˚~ 20˚정도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도록 하여 유아의 머리 측면이나 얼굴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 어깨착용수단은,
전방(유아의 가슴방향)쪽으로 2개의 체결수단, 후방(유아의 등방향)쪽으로는 1개의 체결수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결수단에 의하여 유아의 하의에 집게 형식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어깨멜빵으로서,
상기 2개의 체결수단과 연장되는 어깨멜빵 부분과 상기 1개의 체결수단과 연장되는 어깨멜빵 부분이 만나는 교차부는 3차선 차로와 같은 형상이고, 그 교차부의 후면에는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그 벨크로 파스너와 쌍을 이루는 다른 쪽 벨크로 파스너는 상기 목수용부에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어깨착용수단은,
상기 후두보호부의 상기 제 2 영역의 하부 또는 상기 측면보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한쪽 끝이 고정되어 설치되고,
어깨멜빵으로서, 다른 한 쪽 끝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암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후두보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수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어서, 유아가 보호용구를 착용할 때 유아의 팔을 베낭 매듯이 집어 넣는 방식이 아니라 유아의 팔은 그대로 둔 채 상기 어깨멜빵을 움직여 상기 암수 벨크로 파스너의 접착에 의해 착용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상기 어깨착용수단은 어깨멜빵이 아닌 어깨끈으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두 말할 것도 없다.
그리고 본 고안의 상기 완충부재는,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PVC, 폴리우레탄 재질에 공기(air)가 주입된 것으로서 충격을 충분히 흡수함과 동시에 착용감과 탄력성의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공지 구성 및 기능 등 이미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6에서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은, 유아가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지면서 제 1 영역(20), 제 2 영역(30), 제 3 영역(31)과 상기 제 1 영역(20) 부분의 여유공간(130)으로 구성되는 후두부호부(10)와, 날개부(50)를 포함하는 측면 보호부(40), 목수용부(110), 어깨 등 보호부(120), 멜빵(60), 멜빵고정수단(70)(다른 실시예에서는 멜빵 체결수단(150)), 멜빵(60)과 후두보호부(10)의 일정한 부분에 각각 쌍으로 형성된 벨크로 파스너(80)(81)(82)(83), 장식부(90)를 포함하여 일체형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기저귀 주머니(100)를 추가하여 더욱 기능을 향상시킨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 사시도를, 도 5는 도 1의 고안을 유아가 착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유아가 앞으로 넘어졌을 때에는 반사적으로 유아의 팔이 먼저 바닥에 닿고 직접적으로 유아의 머리가 땅에 부딪치는 것은 아니므로, 본 고안은 주로 유아 머리의 뒷 부분(後頭)과 머리 측면부를 보호함으로써 넘어졌을 때 뇌상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의 머리가 닿는 부분을 후두보호부(10)로서 형성하고, 이 후두보호부(10) 중앙에는 유아 후두의 중앙 부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영역(20)이 구성되어 있으며, 제 1 영역(20)이 전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영역(20)를 둘러싸는 제 2 영역(30)이 형성되고, 이 제 2 영역(30)은 유아의 머리 측면부를 보호한다.
상기 중앙부의 제 1 영역(20)은 상기 제 2 영역(30)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도록 하고 있는바, 일반적으로 유아의 뒷머리의 형상이 뒷머리 아래 부분과 측면부분 보다 머리 뒷부분 중앙 부분이 튀어나와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유아 뒷머리의 형상을 고려하면서 유아 뒷머리를 자연스럽게 수용하도록 하고, 동시에 후술하는 베개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제 1 영역(20)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영역(20)을 둘러 싸도록 형성된 상기 제 2 영역(30)에 있어서,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았으나, 유아가 편안하게 본 고안을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영역(30)의 상부 골곡보다 하부 골곡을 완만하게, 즉 보다 얇게 구성하여 여유를 줌으로써 유아의 목을 편안하게 수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두보호부(10)의 제 2 영역(30)의 상부에, 예컨대 텔레토비의 형상과 유사한(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함을 첨언한다) 장식부(90)가 형성되고, 이 장식부(90)의 형상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본 고안을 착용한 유아가 더욱 예쁘게 보이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을 유아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깨착용수단으로서 한 쌍의 멜빵(60)이 구비되며, 이 멜빵(60)의 한쪽 끝은 상기 후두보호부(10)의 일정한 부분, 바람직하게는 후두보호부(10)의 상기 제 2 영역(30)의 하부 또는 상기 측면보호부(40)의 하부 근방에 고정수단(70)에 의하여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 끝은 벨크로 파스너(찍찍이)(80)를 부착하여 둔 상태로 별도로 고정시키지는 않는다.
본 고안의 어깨착용수단은 반드시 멜빵(60)일 필요는 없으며 어깨끈과 같은 것을 생각할 수도 있으며, 위 고정수단(70)은 접착부재이거나 박음질부재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두보호부(10)의 제 2 영역(30)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천사와 같이 맑고 깨끗한 아기의 이미지를 두드러지게 하기 위한 양 날개(50) 형상부를 포함하는 측면보호부(4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2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사 날개 형상의 장식미를 갖는 본 고안의 측면보호부(40)는 구조적으로 전방을 향해 약간 기울어져 있다. 이를 통하여 유아가 옆으로 넘어졌을 때 상기 측면보호부(40)가 유아의 얼굴측면에 상처가 생기거나 머리의 측면부로부터 뇌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지나치게 앞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유아의 시선을 방해하고, 미적 효과도 훼손되므로 대략 5˚~ 20˚정도의 각도로 전방을 향해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측정되었다.
유아가 넘어졌을 때 유아의 머리를 보호해주는 후두보호부(10)나 측면보호부(40)는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완충부재로서, 먼저 메모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메모리폼은 1960년대 미 항공우주국(NASA)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우주선이 대기권을 벗어날 때의 중력 때문에 우주비행사들이 척추와 목에 받는 엄청난 충격과 진동을 완화시키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즉 이 메모리폼을 완충부재로 활용함으로써 아이가 넘어졌을 때 생기는 충격을 분산시키고 흡수하여 유아의 머리를 보호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메모리폼은 몸을 압박하지 않는 부드러운 소재라서 오랫동안 착용하거나 이를 배게로서 활용하여 오랫동안 누워있어도 혈관에 무리가 가지않고 유아의 약한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장점이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는 PVC, 폴리우레탄 외피 재질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형성된 것으로 함으로써 공기의 탄력에 의하여 유아의 머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에는 공기주입구(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배면도를 나타내며, 도 7은 이에 대응하는 착용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먼저 상기 후두보호부(10)를 형성하는 부재로서, 상기 제 1 영역의 배면에 충격흡수를 더 배가시키는 제 3 영역의 완충부재가(31) 부가되어 있으며, 아이를 더 예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장식기능의 형상을 갖도록 하고, 도 3에서는 하트모양으로 구성하였다. 제 3 영역(31)의 완충부재는 상기 제 1 영역이 유아의 뒷모리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기 위하여 개구모양으로 오목하게 형성됨으로써 충격흡수성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이중완충기능), 또한 유아가 누웠을 때 일정한 높이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배게로서의 역할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후두보호부(10) 배면의 일정한 위치에 상기 어깨 멜빵(60)의 한쪽 끝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80)와 쌍을 이루는 벨크로 파스너(81)가 2개 부착되어 있어서, 예컨대 어깨 멜빵의 암 벨크로 파스너(80)와, 후두보호부(10)의 배면(정면이어도 상관없으며, 측면보호부의 일정한 위치에도 형성할 수 있으나, 수려함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후두보호부(10)의 배면으로 실시하고 있다)의 수 벨크로 파스너(81)를 상호 부착시킴으로써 어깨멜빵이 완성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에에서 유아는 본 고안을 착용함에 있어서 가방이나 베낭을 매듯이 팔을 베낭과 보호용구 사로 집어 넣어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팔은 자연스럽게 그대로 둔 상태에서 상기 어깨멜빵(60)을 움직여서 암수 벨크로 파스너의 접착에 의해 착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착탈수단이 구비된 멜빵이나, 팔에 묶어서 보호용구를 고정시키는 어깨끈도 본 고안의 어깨착용수단이 될 수 있음을 두 말할 것도 없다.
도 8은 유아가 본 고안을 착용한 상태에서 잠이 들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아의 뒷 머리의 중앙부분은 후두보호부(10)의 상기 제 1 영역에(20)서 수용하고, 이를 제 2 영역(30)에서 더욱 지지해주며, 제 3 영역(30)은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보다 편안한 쿠션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날개를 포함하는 측면보호부(40)가 구비되어 있어서 유아가 옆으로 움직이면서 잠을 자더라도 본 고안에서 떨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편안한 자세로 잠을 잘 수 있는 것이다.
-제 2 실시예-
한편,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를 제시하는데, 도 4는 기저귀 주머니(100)가 더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후두보호부(10)의 하부와 연결 또는 연장되어 기저귀를 수납할 수 있도록 기저귀 주머니(100)를 형성하며, 이 기저귀 주머니와 상기 후두보호부(10)의 소재는 동일한 소재로 할 수도 있으나, 기저귀 주머니(100)가 기저귀를 수납하는 데 편리함으로 줄 수 있는 소재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기저귀 주머니(100)는 유아 자신의 기저귀를 자기 자신이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기저귀를 교체할 때 편리함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그렇기 때문에 유아가 더 깜찍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한편 유아의 척추와 등에 가해지는 충격에 완충작용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 제 3 실시예 -
도 9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이 그대로 적용되지만(예컨대 후두보호부(10) 및 측면보호부(40)), 유아의 목과 어깨, 등 또는 척추부위를 보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및 어깨착용수단에 차이가 있다.
도 9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람의 손으로 상기 측면보호부(40)를 만져 밀면 미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유아의 얼굴 측면이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측면보호부(40)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탄력성을 갖게 되고,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측면보호부(40)는 전방으로 대략 5°에서 20°정도 앞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도 10에서 나타나 있는 것 처럼 유아가 위험한 가구 모서리에 부딪치더라도(옆으로 넘어지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측면보호부(40)가 앞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얼굴이나 측면 머리부분이 충분히 보호될 수 있다.
상기 후두보호부(10)으로부터 밑으로 연장되어 목을 수용하는 목수용부(110)가 형성되고, 이 목수용부로부터 하측으로 다시 연장되며 유아 목 근방, 정확하게는 상기 목수용부(110)가 끝나는 부분에서 양쪽으로 갈라져 유아의 목, 어깨, 등, 척추 부분 등을 보호해 주는 어깨 등 보호부(120)이 상기 후두보호부(10) 등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목수용부(110)의 일정한 부분에 벨크로 파스너(83)가 형성되어 있고, 이 벨크로 파스너(83)와 쌍을 이루는 벨크로 파스너는 어깨멜빵(60)의 한 부분에 부착되어 있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어깨착용수단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실시예의 어깨착용수단은 한 쌍의 어깨멜빵(60)의 한쪽은 고정수단(70)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고 다른 쪽 끝에 벨크로 파스너(81)가 부착되어 있어서 본 고안의 후두보호부(10) 등의 배면 어느 일정한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 대응되는 벨크로 파스너(82)가 상호 쌍을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유아 어깨 바로 밑 겨드랑이 사이로 어깨멜빵(60)이 착용되는 구조이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한 쌍의 어깨멜빵(60)의 한쪽 끝은 유아의 하의의 앞쪽에 체결하고, 반대쪽 끝은 유아의 하의의 뒤쪽에 체결하는 구조로서, 배가 많이 나온 성인이 착용하는 하의가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어깨멜빵과 유사한 형태이다.
어깨멜빵(60)의 3개의 체결수단(150)들을 가진다. 2개의 체결수단(150)은 전방(유아의 가슴방향)쪽으로, 1개이 체결수단(150)은 후방(유아의 등방향)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체결수단(150)들은 본 고안에서 강조하는 미적인 수려함을 위하여 별모양으로 장식되어져 있고, 장식모양은 어떤 것이어도 좋다. 한편, 상기 3개의 체결수단(150)들은 유아의 하의의 어느 부분을 집게 형식을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본 고안을 착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도 유아의 팔을 베낭 매듯이 집어 넣는 방식이 아니라 팔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보호용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방 2개의 체결수단(150)과 후방 1개의 체결수단(150)이 만나는 교차부(140)는 3차선 차로 또는 새총모양의 형상을 갖고, 교차부(140)의 보호용구 방향, 즉 유아의 등방향의 일면에는 벨크로 파스너(82)가 붙어있어서, 이와 한 쌍을이루는 상기 목수용부(110) 근방의 벨크로 파스너(83)과 부착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에서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장식적 기능을 위하여 상기 교차부(140)에 하트 모양의 장식부재를 부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도면의 지면(紙面)방향으로 벨크로 파스너(82)가 부착되어 있다. 쌍을 이루는 벨크로 파스너(82)(83)가 서로 부착되어 있는 상황에서는 본 고안의 보호용구는 완전히 일체형으로 형성되게 되지만, 힘을 가해서 붙어있는 벨크로(82)(83)들을 떼어내면 어깨멜빵(60)만 분리가능하게 된다. 벨크로 파스너의 부착은 분리와 결합은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과 보관에 편리함이 제공될 것이다.
한편, 도 13은 유아의 보호용구 착용감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후두보호부(10)의 제 1 영역(20)의 한 부위에 여유공간(130)을 두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주의하여야 할 것은 너무 여유공간(130)을 크게 하며 베게로서의 기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충격으로부터 유아의 머리를 보호하는 데 있어 불충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 14 내지 도 16은, 상기 제 1 실시에의 도 5 내지 도 7에 대응하는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대해서는 위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본 고안의 각 구성요소는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일체형으로서 형성되어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하면서, 이상의 실시예들은 단지 본 고안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첨언하는 바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유아가 넘어졌을 때 머리에 가해지느 충격으로부터 발생되는 뇌손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용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서써 착용시 이를 일일이 결합시키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 유아의 후두부만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도 넘어질 수 있으며, 구를 수도 있기 때문에 유아의 머리나 얼굴 측면도 보호할 수 있으며, 더욱이 유아의 머리 부분 뿐만 아니라 목과 어깨 및 등을 보호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유아가 본 고안의 보호용구를 착용할 때(예컨대 어깨착용수단에 대해서)의 편의점을 더욱 고양시켰다는 점도 본 고안의 효과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 유아가 잠을 잘 때 보호용구가 베개로서 기능하도록 함으로써 잠이 많은 유아기의 특성을 고려한 장점이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에서는 굳이 언급하지 않았으나, 일체형으로 형성된 본 고안을 유아가 착용한 상태에서는 수영 구명튜브로서의 기능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유아의 부모나 가족은 유아를 사랑하고 매우 예쁘게 보이기를 원하기 것이 인간의 통념인바, 본 고안은 다양한 장식미를 추구함으로써(천사의 날개 형상, 장식부(90), 제 3 영역(31) 형상 등) 보호용구를 유아가 착용할 때 보다 예쁘고 깜찍하게 보이도록 하는 미적인 수려함이 있다.
그밖에 본 고안의 특유한 구성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특유한 효과는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한 범위에서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뿐만 아니라, 이들로부터 용이하게 추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효과 및 산업발전에 기여하는 잠정적 장점의 가능성들에 의해 보다 넓은 범위로 포섭될 것임을 첨언한다.

Claims (11)

  1. 유아가 넘어졌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재로 이루어진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로서:
    유아가 뒤로 넘어졌을 때 유아 후두(後頭)의 중앙 부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1 영역과 제 1 영역을 둘러싸는 주연부로서 유아 후두의 측면 주위에 미치는 충격을 흡수하는 제 2 영역으로 이루어지는 후두보호부;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유아 머리의 측부와 얼굴을 보호하면서 동시에 장식적 효과를 의도하는 측면보호부; 및
    유아 어깨에 맬 수 있도록 하는 어깨착용수단;
    을 포함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되는 장식부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보호부는,
    상기 후두보호부의 제 1 영역의 배면에 형성되고, 이중 완충기능을 위한 완충부재가 구비되며 일정한 장식기능의 형상을 갖는 제 3 영역을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보호부로부터 연장되어 목을 수용하는 목수용부; 및
    상기 목수용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며 유아 목 근방에서 양쪽으로 갈라져 유아의 목, 어깨 및 등을 보호해 주는 어깨 등 보호부를 일체형으로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보호부와 연결되며 유아의 기저귀를 수납할 수 있는 기저귀 주머니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두보호부의 제 1 영역은 상기 제 2 영역보다 오목하게 들어가 볼록하게 튀어나온 유아의 후두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 2 영역 중 유아의 목을 수용하는 부분에 여유를 줌으로써, 유아가 잠이 들 때에 배게로서 활용가능하게 형성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의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은 유아의 후두를 수용하고도 통풍이가능하도록 여유공간이 형성되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보호부는 5˚~ 20˚정도 전방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착용수단은,
    전방(유아의 가슴방향)쪽으로 2개의 체결수단, 후방(유아의 등방향)쪽으로는 1개의 체결수단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체결수단에 의하여 유아의 하의에 집게 형식으로 부착되도록 하는 어깨멜빵으로서,
    상기 2개의 체결수단과 연장되는 어깨멜빵 부분과 상기 1개의 체결수단과 연장되는 어깨멜빵 부분이 만나는 교차부는 3차선 차로와 같은 형상이고, 그 교차부의 후면에는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구성되며, 그 벨크로 파스너와 쌍을 이루는 다른 쪽 벨크로 파스너는 상기 목수용부에 부착되어 있는,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착용수단은,
    상기 후두보호부의 상기 제 2 영역의 하부 또는 상기 측면보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한쪽 끝이 고정되어 설치되고,
    어깨멜빵으로서, 다른 한 쪽 끝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암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후두보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수 벨크로 파스너가 부착되어 있어서, 유아가 보호용구를 착용할 때 유아의 팔을 베낭 매듯이 집어 넣는 방식이 아니라 유아의 팔은 그대로 둔 채 상기 어깨멜빵을 움직여 상기 암수 벨크로 파스너의 접착에 의해 착용하도록 하는 것인,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메모리 폼(memory foam)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PVC, 폴리우레탄 재질에 공기(air)가 주입된 것인,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KR20-2004-0017405U 2004-06-21 2004-06-21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KR200362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05U KR200362003Y1 (ko) 2004-06-21 2004-06-21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405U KR200362003Y1 (ko) 2004-06-21 2004-06-21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003Y1 true KR200362003Y1 (ko) 2004-09-16

Family

ID=49437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405U KR200362003Y1 (ko) 2004-06-21 2004-06-21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00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79B1 (ko) * 2010-08-20 2011-04-12 임동규 아기 수면보호대
KR101382223B1 (ko) * 2013-09-17 2014-04-07 최정호 목 젖힘 방지 기능 및 뒤통수 보호 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류
KR101617211B1 (ko) * 2014-09-22 2016-05-02 한유나 유아용 뒤통수 보호 착용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579B1 (ko) * 2010-08-20 2011-04-12 임동규 아기 수면보호대
KR101382223B1 (ko) * 2013-09-17 2014-04-07 최정호 목 젖힘 방지 기능 및 뒤통수 보호 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류
WO2015041425A1 (ko) * 2013-09-17 2015-03-26 최정호 목 젖힘 방지 기능 및 뒤통수 보호 기능을 갖는 유아용 의류
CN105555159A (zh) * 2013-09-17 2016-05-04 崔正浩 具有防止脖子后仰功能及保护后脑勺功能的婴儿衣服
US10143244B2 (en) 2013-09-17 2018-12-04 Jung Ho Choi Clothing for infant having functions of preventing neck from bending back and protecting back of head
KR101617211B1 (ko) * 2014-09-22 2016-05-02 한유나 유아용 뒤통수 보호 착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6049A (en) Head support
EP1968412B1 (en) A combination carrier unit and head support apparatus
JP5276227B2 (ja) 休息用頭頸部枕
US8287045B1 (en)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child seat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KR200469068Y1 (ko) 힙시트가 구비된 아기띠
US20100155446A1 (en) Device for Carrying a Child
FI126421B (en) Headband for improved travel comfort and safety
ES2368227B2 (es) Protector de cuello.
CN203897393U (zh) 防护头盔
KR200362003Y1 (ko)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US6263515B1 (en) Protective headwear for a child
TWI730515B (zh) 用於車輛的睡眠輔助靠墊
KR20180086793A (ko) 지진 머리보호대 겸용 방석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CN200980350Y (zh) 幼儿头戴保护垫
KR20090011833U (ko) 유아용 보호구
KR101617211B1 (ko) 유아용 뒤통수 보호 착용구
KR200176044Y1 (ko) 유아용 머리 보호구
JP2002253394A (ja) 頭部サポート部材付ベビーキャリア
EP1034710A1 (en) Protective headgear
CN201967765U (zh) 一种防护安全帽
KR20210001496U (ko) 유아용 보호구
JP6412578B2 (ja) 首の反り返り防止機能及び後頭部保護機能を有する乳児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