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1833U - 유아용 보호구 - Google Patents

유아용 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11833U
KR20090011833U KR2020080006441U KR20080006441U KR20090011833U KR 20090011833 U KR20090011833 U KR 20090011833U KR 2020080006441 U KR2020080006441 U KR 2020080006441U KR 20080006441 U KR20080006441 U KR 20080006441U KR 20090011833 U KR20090011833 U KR 2009001183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head
protect
inject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4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청우
Original Assignee
방청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청우 filed Critical 방청우
Priority to KR20200800064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11833U/ko
Publication of KR200900118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83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3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18Blou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reflective or luminous safety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8Ches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31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5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 A41D13/0556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 A41D13/0562Protector fastening, e.g. on the human body with releasable fastening means with hook and loop fastene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05Hats; Caps; Hoods made of separ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08Clothing or clothing accessories, e.g. scarfs, gloves or be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olaryng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없이도 유아의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여 유아의 행동반경을 넓히고, 보호자 또한 유아에게 얽매이지 않고 개인시간을 얻을 수 있으며, 외관상의 미려함도 충족할 수 있는 유아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보호하는 원판 형태의 제1머리보호부와;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1결합홈을 갖고, 유아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1거치끈이 구비되며, 상기 머리보호부의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 되는 제1결합돌기를 갖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등을 보호하는 한 쌍의 보조보호부와;
유아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2거치끈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입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가슴과 배를 보호하는 판형태의 제2몸체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머리 전면과 측면을 보호 하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제2머리보호부와;
상기 제2머리보호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 상부를 보호하는 제3머리보호부;로 구성된다.
제1,2몸체, 제1,2,3머리보호부, 제1,2,3결합돌기, 제1,2거치끈, 보조보호부, 만보기, 알람, 비상벨, LED등, 벨크로부, 모자창

Description

유아용 보호구{PROTECTOR FOR INFANT}
본 고안은 유아용 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자가 없이도 유아의 안정성을 확보 가능하여 유아의 행동반경을 넓히고, 보호자 또한 유아에게 얽매이지 않고 개인시간을 얻을 수 있으며, 외관상의 미려함도 충족할 수 있는 유아용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보행 기능을 학습하기 시작한 유아는 호기심이 많아 탐색 행동이 활발해 지는데, 신체 중 머리 부분이 다른 신체 부분보다 먼저 발달을 하고 몸체가 팔, 다리보다 먼저 발달하는 과정에서 결국 신체적 불균형이 심해 유아가 앉고 설 때 끊임없이 넘어지게 되어 특히 머리 부분의 보호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기존의 자료에 따르면, 4세 이하의 유아에게 발생 되는 사고 중 떨어지거나 미끄러지는 낙상사고가 전체 사고중 18%를 차지했고, 특히, 막 걷기 시작한 2~3세의 유아에게 이러한 낙상 사고가 상당히 빈번하게 발생 되는 치명적인 사고로 알려 지고 있었다. 2세 전후의 유아는 머리뼈가 아직 단단하지 않고 뇌조직도 연약한 상태여서 가벼운 충격만으로 뇌에 적지 않은 손상이 가해질 수 있는 개연성이 있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맞벌이 부모의 증가와 위탁모 등이 일반화 되면서 유아를 부모가 관심 있게 보호하지 못해 낙상에 대한 안전사고의 추이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현재 유아용품 시장을 살펴보면 낙상 대비 용품으로 미끄럼 방지 패드 정도가 유통되고 있을 뿐 실질적인 유아 보호 제품이 사용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다만,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보호구가 국내 실용신안으로 다수 출원 또는 등록되어 있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 번호 208068호, 268773호는 유아용 머리 보호구에 관련한 기술인데, 이들은 간편하게 유아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단지 머리만 보호할 뿐 낙상시 추가로 손실될 수 있는 유아의 어깨나 척추 등에 대해서는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며 보호 기능 이외의 별도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국내 실용신안 등록 번호 301370호, 170644호, 225272호 등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고, 머리뿐 아니라 몸체를 보호할 수 있는 수단을 제시하고 있는데, 유아의 신체를 밴드 등의 수단으로 감싸며 결속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지만 상기에 제시된 유아의 신체에 결속되는 유아 보호수단은, 유아들의 성장이 매우 빠른 점과, 각각의 유아들의 신체크기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유아들이 성장에 따라 크기가 맞지 않는 제품을 폐기하거나, 제품 자체를 다른 크기로 새로 구입해야하며, 유아의 크기와 맞지 않는 제품의 사용으로 인한 제품의 주요한 기능인 유아 신체의 보호기능을 일부 이루지 못하거나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성장이 매우 빠르고, 각각 다른 크기의 신체를 갖는 유아의 신체적 특성에 맞게 머리와 몸체를 동시에 보호하면서도 각 신체를 보호하는 보호구의 길이 및 보호하는 위치를 조절가능하도록 하여, 유아의 신체변화에 따른 제품의 폐기 및 재구매 그리고, 유아 몸체 보호의 기능 상실을 방지하고, 유아의 넓은 행동반경에도 보호자가 안심할 수 있어, 보호자의 개인 시간을 갖게 하며, 그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하며 외관상 미려한 유아용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보호하는 원판 형태의 제1머리보호부와;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1결합홈을 갖고, 유아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1거치끈이 구비되며, 상기 머리보호부의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결합홈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 되는 제1결합돌기를 갖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등을 보호하는 한 쌍의 보조보호부와;
유아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2거치끈을 갖고, 내부에 수 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입출구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가슴과 배를 보호하는 판형태의 제2몸체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머리 전면과 측면을 보호하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제2머리보호부와;
상기 제2머리보호부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 상부를 보호하는 제3머리보호부;로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제2머리보호부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상기 제2머리보호부의 절개된 일단과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벨크로부를 더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머리보호부는, 그 상부와 측면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결합홈과, 상기 제2결합홈에 결합 되는 제3결합돌기가 구비된 모자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머리보호부는, 그 상부와 측면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결합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머리보호부는, 상기 제2결합홈에 끼움 결합 되는 제2결합돌기를 더 포함한다.
이어서, 5상기 보조보호부는, 그 일외면에 구비되어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하는 야광시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제1결합홈의 일부는, 상기 제1몸체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 내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 내부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몸체의 일단에는, 유압으로 경사 정도를 확인하여, 유아가 넘어지면 음향이 발생 되는 비상벨이 탈착 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몸체는, 유아의 유동 정도를 확인가능한 만보기와, 기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과,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생하여 시야를 확보 가능한 LED등을 포함하는 전기 어셈블리로 구성된 용품구가 상기 제2몸체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된다.
성장이 매우 빠른 유아들의 각각 다른 크기의 신체에도 거치끈을 유용하게 조절하여 거치하여 사용 가능하고, 머리와 몸체의 정면과 배면을 동시에 보호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보호를 원하는 부위를 별도로 사용 가능하여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유아의 신체변화에 따른 제품의 폐기 및 재구매의 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적인 효과가 있고, 유아의 넓은 행동반경에도 보호자가 안심하고, 보호자의 개인시간을 보장하며, 외관상 미려하고 그 사용이 편리하고 다양한 사용상의 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1몸체 및 보조보호부의 분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1몸체 및 보조보호부의 결합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의 제2몸체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3머리보호부의 분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머리보호부 및 모자창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3머리보호부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제2,3머리보호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1몸체 및 보조보호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3머리보호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의 제2머리보호부 및 모자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전체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이러한 유아용 보호구는, 각각 다른 크기의 신체를 갖는 유아의 신체적 특성에 맞게 머리와 몸체를 동시에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1내지 도 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는,
일단에 구비된 공기가 주입되는 통로인 공기주입부(미도시)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원판 형태의 제1머리보호부(100)는,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유아의 머리크기로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제1머리보호부(100)의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몸체(200)는, 상기 제1몸체(200)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1결합홈(210)이 구비되고, 유아의 어깨에 걸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1거치끈(220, 220')을 갖는데, 상기 제1거치끈(220, 220')은, 각각 일단이 단절되고 그 단절된 선단과 말단이 상호 체결되도록 된 제1체결편(225, 225')이 구비되어 유아가 상기 제1몸체(200)를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제1거치끈(220, 220') 각각의 다른 일단에 상기 제1거치끈(220, 2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핀(227, 227')이 구비되어 유아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끈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홈(210)은, 상기 제1몸체(20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200) 내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200) 내부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몸체(200)와 결합 되는 한 쌍의 보조보호부(250, 250')는, 상기 제1결합홈(210)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 되는 제1결합돌기(230)를 갖고, 상기 보조보호부(250, 250') 각각의 일단에 형성된 다른 공기주입부(미도시)를 통해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어, 유아의 등을 보호하게 된다.
그리고, 유아의 가슴과 배를 보호하는 판 형태로 된 제2몸체(300)는, 유아의 어깨에 거치 될 수 있는 한 쌍의 제2거치끈(310, 310')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입출구(320)가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300)의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도록 그 제2몸체(300)의 일단에 구비된 다른 공기주입부(미도시)를 통해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데, 상기 제2거치끈(310, 310')은, 각각 일단이 단절되고 그 단절된 선단과 말단이 상호 체결되도록 된 제2체결편(315, 315')이 형성되어 유아가 상기 제2몸체(300)를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제2거치끈(310, 310') 각각의 다른 일단에 상기 제2거치끈(310, 3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핀(317, 317')이 구비되어 유아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끈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아의 머리 전면과 측면을 보호하고,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제2머리보호부(400)는, 그 절개된 일단과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벨크로부(420, 420')를 갖고,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의 상부와 측면의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결합홈(410)이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 상부에 구비된 제2결합홈(410)에 결합 되는 판 형태의 모자창(430)에는, 상기 제2결합홈(410)과 상기 모자창(430)이 용이하게 결합가능하도록 하는 제3결합돌기(432)가 구비되고, 특히, 유아가 외출시 안면이 자외선에 노출되게 되는데, 상기 모자창(430)은, 유아의 안면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홈(410)에 결합 되는 제3머리보호부(500)는, 하부에 상기 제2결합홈(410)과 탈착되는 제2결합돌기(510)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제3머리보호부(500)는 반원곡선형태의 원형 봉 두 개가 상호 직교하여, 직교 된 부분이 상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반원곡선은 유아 머리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보조보호부(250, 250')의 일외면에는, 어두운 장소에 유아가 있을때에도 유아의 위치가 확인가능하도록 하는 야광시트(252, 252')가 구비된다.
더불어, 상기 제1몸체(200)의 일단에는, 유압으로 경사 정도를 감지하여, 유아가 넘어지게 되면 음향이 발생 되는 비상벨(240)을 탈착 되도록 구비되는데, 유아는 평상시에도 몸을 자유자재로 가누기가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가 유아의 곁에서 보호관찰 하지 않더라도 유아의 신체에 문제가 발생 될 경우 상기 비상벨(240)에 의하여 신속하게 대처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몸체(3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유아의 유동 정도를 확인 가능한 만보기(350)와, 기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360)과,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생하여 시야를 확보 가능한 LED등(370)을 포함하는 전기 어셈블리로 구성된 용품구(380)가 구비되는데, 상기 만보기(350)는, 유아의 하루 활동량을 측정 가능하여 보호자는 유아가 어느 정도 휴식을 취해야 할지를 판단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유아의 생체리듬을 조율함으로써 신체적으로 건강한 몸 상태를 유아에게 제공 가능하고, 상기 LED등(370)은, 야간 이동시 유아의 이동이 원활하게 하며, 상기 알람(360)은, 유아의 잠자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 그리고, 유아의 식사시간을 일정하게 하여 마찬가지로 유아의 생체리듬을 조율하여 신체적으로 건강한 몸 상태를 유아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본 고안인 유아용 보호구의 구성을 토대로 상기 유아용 보호구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일체로 형성된 상기 제1머리보호부(100)와 제1몸체(20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후에 상기 제1머리보호부(100)와 제1몸체(200)를 상기 제1몸체(200)에 구비된 한 쌍의 제1거치끈(220, 220')을 통하여 유아의 어깨에 거치하고, 상기 제1몸체(200)에 구비된 상기 제1결합홈(210)에 제1결합돌기(230, 230')를 끼워 결합하며,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사용하는 한 쌍의 보조보호부(250. 250')를 통하여, 유아가 뒤로 넘어지게 되거나 벽에 부딪힐 시 유아의 머리 및 등을 보호 가능하게 되고, 특히, 상기 제1결합홈(210)은 상기 제1몸체(200)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보호부(250. 250')의 위치를 수직방향으로 조절하여 상기 제1몸체(200)의 상단 및 하단 방향으로 유동하여 고정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제1거치끈(220, 220')은, 각각 일단이 단절되고 그 단절된 선단과 말단이 상호 체결되도록 된 제1체결편(225, 225')이 구비되어 유아가 상기 제1몸체(200)를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제1거치끈(220, 220') 각각의 다른 일단에 상기 제1거치끈(220, 22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핀(227, 227')이 구비되어 유아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보호부(250, 250')는, 상기 제1몸체(200)에서 탈거 하여 그상태로 상기 제1몸체(200) 및 제1머리보호부(100)를 사용 가능하고, 상기 제1결합 홈(210)과 제1결합돌기(230)는, 상기 제1머리보호부(100)와 제1몸체(200) 및 보조보호부(250, 250')와는 다른 고형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보조보호부(250, 250')를 상기 제1몸체(200)에 반복해서 탈착하여 사용하여도 변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된 상기 제2몸체(300)를 제2거치끈(310, 310')을 사용하여 유아에게 거치하여 유아가 앞으로 넘어졌을 경우 유아의 가슴과 배를 보호하게 되는데, 상기 제2거치끈(310, 310')은, 각각 일단이 단절되고 그 단절된 선단과 말단이 상호 체결되도록 된 제2체결편(315, 315')이 형성되어 유아가 상기 제2몸체(300)를 착용 및 탈거가 용이하게 되고, 상기 제2거치끈(310, 310') 각각의 다른 일단에 상기 제2거치끈(310, 310')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2핀(317, 317')이 구비되어 유아의 크기에 따라 유동적으로 끈의 길이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고, 상기 제2몸체(300)의 형태는 다각형의 형상 또는 하트, 별, 달, 자동차 등의 다양한 형태로 유아가 좋아할 수 있는 형태의 팽창체로 제작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제2머리보호부(400)는, 절개된 선단과 말단을 상호 탈착되게 하는 상기 벨크로부(420, 420')를 사용하여 유아마다 다른 신체의 크기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의 상부 및 측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결합홈(410)에 결합 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되는 제3머리보호부(500)는, 반원곡선형태의 원형 봉 두 개가 상호 직교하여, 직교 된 부분이 상부에 형성되는 데, 상기 반원곡선은 유아 머리의 상부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기 때문에 유아 머리의 상부를 보호하게 되고, 상기 제3머리보호부(500)는,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에서 탈거 하여 그 상태로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를 사용 가능하고,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에서 상기 제3머리보호부(500)를 탈거한 후 상기 제2결합홈(410)에 제3결합돌기(432)가 구비된 모자창(430)을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모자창(430)을 착용함으로써 유아의 안면이 자외선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어 유아의 안면 피부에 문제가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제2결합홈(410)의 일부에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별, 해, 달, 나무, 자동차, 다각형 등의 장식물(450)을 추가로 탈착 가능하며, 상기 장식물(450)은, 상기 모자창(430) 또는 제3머리보호부(500)와 별도로 착용 및 탈거 하여 사용 가능하고 상기 모자창(430) 또는 제3머리보호부(500)와 같이 착용 및 탈거 하여 사용 가능하며, 상기 모자창(430)에 구비된 돌출돌기(미도시)와 상기 제2결합홈(410) 및 제2결합돌기(510)는, 상기 제3머리보호부(500) 및 제2머리보호부(400)와는 다른 고형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상기 제3머리보호부(500)를 상기 제2머리보후보(400)에 반복해서 탈착하여 사용하여도 변형되지 않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2몸체(3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유아의 유동 정도를 확인 가능한 만보기(350)와, 기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360)과,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생하여 시야를 확보 가능한 LED등(370)을 포함하는 전기 어셈블리로 구성된 용품구(38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몸체(300)의 일단에는 상기 용품 구(380)가 상기 제2몸체(300)의 내부로 수납 및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된 입출구(320)가 형성되어, 상기 용품구(380)의 사용시 상기 제2몸체(300) 외부로 인출하여 사용하고 사용을 안지않게 되면 상기 제2몸체(3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구비되게 하며, 상기 제2몸체(3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상기 용품구(380)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필요한 용품들을 수용하여 용이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몸체(200)의 일단에는, 유압으로 경사 정도를 확인하여, 유아가 넘어지면 음향이 발생 되는 비상벨(240)이 탈착 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비상벨(240)은, 유아가 낙상시 타인에게 위험 사실을 신속하게 알리는 기능을 하고, 마찬가지로 착용 및 탈거 하여 용이하게 사용가능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1몸체 및 보조보호부의 분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1몸체 및 보조보호부의 결합을 나타낸 결합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의 제2몸체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3머리보호부의 분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머리보호부 및 모자창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3머리보호부의 평면을 나타낸 평면도 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제2,3머리보호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1몸체 및 보조보호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몸체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 태도 이고,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제2,3머리보호부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며,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의 제2머리보호부 및 모자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보호구 전체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머리보호부 200 : 제1몸체
210 : 제1결합홈 220, 220' : 제1거치끈
225, 225' : 제1체결편 227, 227' : 제1핀
230, 230' : 제1결합돌기 240 : 비상벨
250, 250' : 보조보호부 252, 252' : 야광시트
300 : 제2몸체 310, 310' : 제2거치끈
315, 315' : 제2체결편 317, 317' : 제2핀
320 : 입출구 350 : 만보기
360 : 알람 370 : LED등
380 : 용품구
400 : 제2머리보호부 410 : 제2결합홈
420, 420' : 벨크로부 430 : 모자창
432 : 제3결합돌기 450 : 장식물
500 : 제3머리보호부 510 : 제2결합돌기

Claims (8)

  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머리 뒷부분을 보호하는 원판 형태의 제1머리보호부(100)와;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1결합홈(210)을 갖고, 유아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1거치끈(220, 220')이 구비되며, 상기 머리보호부(100)의 수직 하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1몸체(200)와;
    상기 제1결합홈(210)에 대응되어 끼움 결합 되는 제1결합돌기(230, 230')를 갖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등을 보호하는 한 쌍의 보조보호부(250, 250')와;
    유아의 어깨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한 쌍의 제2거치끈(310, 310')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입출구(320)가 일측에 형성되고,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가슴과 배를 보호하는 판형태의 제2몸체(300)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됨으로 인해, 유아의 머리 전면과 측면을 보호하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제2머리보호부(400)와;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유아의 머리 상부를 보호하는 제3머리보호부(5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는,
    일부가 절개된 링 형태의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의 절개된 일단과 타단을 상호 연결하는 벨크로부(420, 420')를 더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는,
    그 상부와 측면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결합홈(410)과,
    상기 제2결합홈(410)에 결합 되는 제3결합돌기(432)가 구비된 모자창(4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머리보호부(400)는,
    그 상부와 측면 외면으로부터 내부로 형성된 다수개의 제2결합홈(41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머리보호부(500)는,
    상기 제2결합홈(410)에 끼움 결합 되는 제2결합돌기(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보호부(250, 250')는,
    그 일외면에 구비되어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하는 야광시트(252, 2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홈(210)의 일부는,
    상기 제1몸체(200)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제1몸체(200) 내부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몸체(200) 내부 수평방향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200)의 일단에는,
    유압으로 경사 정도를 확인하여, 유아가 넘어지면 음향이 발생 되는 비상 벨(240)이 탈착 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300)는,
    유아의 유동 정도를 확인가능한 만보기(350)와, 기 설정된 시간을 알려주는 알람(360)과, 어두운 곳에서 빛을 발생하여 시야를 확보 가능한 LED등(370)을 포함하는 전기 어셈블리로 구성된 용품구(380)가 상기 제2몸체(3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보호구.
KR2020080006441U 2008-05-17 2008-05-17 유아용 보호구 KR2009001183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41U KR20090011833U (ko) 2008-05-17 2008-05-17 유아용 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441U KR20090011833U (ko) 2008-05-17 2008-05-17 유아용 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833U true KR20090011833U (ko) 2009-11-20

Family

ID=4929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441U KR20090011833U (ko) 2008-05-17 2008-05-17 유아용 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11833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39Y1 (ko) * 2013-08-27 2015-04-08 이진주 유아용 머리보호대
CN105555159A (zh) * 2013-09-17 2016-05-04 崔正浩 具有防止脖子后仰功能及保护后脑勺功能的婴儿衣服
KR102006107B1 (ko) 2018-10-04 2019-07-31 박해정 어린이 안전장비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39Y1 (ko) * 2013-08-27 2015-04-08 이진주 유아용 머리보호대
CN105555159A (zh) * 2013-09-17 2016-05-04 崔正浩 具有防止脖子后仰功能及保护后脑勺功能的婴儿衣服
US10143244B2 (en) 2013-09-17 2018-12-04 Jung Ho Choi Clothing for infant having functions of preventing neck from bending back and protecting back of head
KR102006107B1 (ko) 2018-10-04 2019-07-31 박해정 어린이 안전장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8486B2 (en) Two-stage teething mitten
CN107708495A (zh) 腰包背带装置和系统
WO2005009277A3 (en) Cranial orthosis for preventing positional plagiocephaly in infants
ITTV20120001A1 (it) Casco provvisto di un dispositivo di regolazione per l&#39;imbottitura
KR20090011833U (ko) 유아용 보호구
US9210957B2 (en) Wearable child seat costume
CN202456487U (zh) 一种幼儿护身服
KR200469167Y1 (ko) 보행 보조기
CN103300507A (zh) 可拆卸充气领护颈儿童服装
GB2432296A (en) Protective headgear with self-release closing member
KR200362003Y1 (ko)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CN204336406U (zh) 一种婴儿背带
KR101617211B1 (ko) 유아용 뒤통수 보호 착용구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CN205358975U (zh) 一种婴儿防护背带
KR200193269Y1 (ko) 유아 머리 보호대
CN205549530U (zh) 一种高安全秋千
CN104687460A (zh) 可拆卸充气领护颈儿童服装
CN204650986U (zh) ukulele背带
CN205052979U (zh) 幼儿透气防护帽
KR20150001202U (ko) 유아용 구명조끼
CN204336407U (zh) 一种儿童马鞍背带
KR20170104803A (ko) 유아용 안전모
CN203302383U (zh) 一种幼儿头部保护罩
KR20210001496U (ko) 유아용 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