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1202U - 유아용 구명조끼 - Google Patents

유아용 구명조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1202U
KR20150001202U KR2020130007664U KR20130007664U KR20150001202U KR 20150001202 U KR20150001202 U KR 20150001202U KR 2020130007664 U KR2020130007664 U KR 2020130007664U KR 20130007664 U KR20130007664 U KR 20130007664U KR 20150001202 U KR20150001202 U KR 201500012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plate
plate
chest
life
fill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원
Original Assignee
(주)제우스
문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우스, 문성원 filed Critical (주)제우스
Priority to KR2020130007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1202U/ko
Publication of KR20150001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2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1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covering the torso,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 A41D13/01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for aquatic activities, e.g. with buoyancy aids with buoyancy ai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용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등판과 가슴판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에 의하여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구명조끼에 있어서 등판과 가슴판이 내,외피가 접합되어 충진공간이 형성되면서 공기주입구를 통하여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등판과 가슴판이 튜브체로 이루어져 부력을 갖도록 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구명조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등판의 상,하측으로 각각 공기가 충진되는 목받이부와 받침부를 마련하면서 등판과 가슴판을 포함한 각각의 부분들이 공기가 개별적으로 충진되도록 함으로써 어느 일부분에 터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부력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유아나 어린이가 구명조끼를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고, 무게가 가벼워서 착용감을 증대시키며, 공기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간편하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용 구명조끼{infant life jacket}
본 고안은 유아용 구명조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명조끼가 튜브체로 이루어져 평상시에는 공기를 빼서 간편하게 보관하고 휴대하다가 구명조끼로 사용할 때만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여 구명조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식 유아용 구명조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조끼는 주로 물놀이를 할 경우 안전사고에 대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구명수단으로, 종래의 구명조끼의 일반적인 구조는 구명조끼가 내,외피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수용공간을 마련하고, 수용공간에 부력을 갖는 부력부재를 삽입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등판과 양측 가슴판으로 이루어져 양측 가슴판을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착용함으로써 착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명조끼는 무게가 무거울 뿐만 아니라,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거추장스럽고, 또한 대부분의 사용자는 여름 휴가철에만 잠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평상시 보관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므로 보관이 매우 불편하고, 또한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을 구명조끼에 내장된 부력부재가 제한하게 되므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며, 수상 스포츠 또는 물놀이를 즐김에 있어서 재미가 반감된다.
특히, 유아나 어린이의 경우에는 위급상황에서 평정심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구명조끼에 의하여 움직임이 더욱 둔화되기 때문에 더욱 당황하게 되고, 따라서 위급상황에서 발버둥치면서 안전사고의 위험이 더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구명조끼 자체의 무게를 포함하여 이러한 구명조끼가 물을 먹게 되면 더욱 무거워지게 되는데, 유아나 어린이가 계속 착용한 상태로 물놀이를 하기가 매우 힘들며, 또한 유아나 어린이는 짧은 시간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놀이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과정에서 구명조끼를 입거나 벗기가 어려우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딱딱한 부력부재가 신체의 일정 부분과 계속해서 마찰되어서 물집이 생기거나 근육통을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아나 어린이가 구명조끼를 간편하게 착용하거나 벗을 수 있고,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구명조끼의 무게가 가볍고 착용감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공기주입량을 조절함으로써 부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등판과, 등판의 양측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슴판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할된 가슴판을 체결하여 착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유아용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과 가슴판은 내피와 외피가 접합면에 의하여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체로 이루어지고, 튜브체의 일단에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어 공기주입에 의하여 부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등판의 상측으로는 목받이부를 형성하고, 등판과 가슴판 및 목받이부의 충진공간이 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각각의 분할된 충진공간에는 공기주입구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개별적으로 공기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공기주입에 의한 방식이므로 매우 경량으로 이루어지고, 구명조끼의 구조가 여러 개로 분할된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므로 터짐이 발생할 경우에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부력을 얻는 구조가 공기주입에 의한 방식이기 때문에 구명조끼의 형태가 체형에 맞도록 팽창되므로 신체에 긴밀히 착용되고, 활동성이 매우 좋으며 이에 따라 위급상황에서도 임의로 벗겨지지 않고 안전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목 둘레를 따라서 공기가 주입되도록 형성되는 목받이부에 의하여 착용자가 물에 잠긴 상태에서 머리가 수면 위쪽으로 유도되게 되므로 더욱 안전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공기가 주입되는 공간이 상호 보완적으로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어 더욱 안정하게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공기주입량에 따라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나 어린이가 강습을 받을 경우에 수영실력에 따라서 부력을 조절하여 물에 대한 공포심을 줄이면서 수영습득능력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유아나 어린이의 수영 실력향상에 따라 점차 공기주입량을 줄이면서 수영 실력의 향상을 확인하면서 안전한 교육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착용한 상태에서도 쉽게 공기를 주입하거나 빼서 부피를 가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물놀이를 할 때 평상시에는 조끼로도 사용하면서 물에 들어갈 경우에만 공기를 주입하여 부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여 구명조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착용한 상태에서 간편하게 휴대가능하고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아용 구명조끼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유아용 구명조끼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의 외관 사시도
도 3은 유아용 구명조끼에 공기가 주입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나 어린이의 등 부분을 감싸도록 되는 등판(100)과, 등판(100)의 양측단에 연장되어 신체의 전면을 감싸게 되는 가슴판(200)으로 이루어지고, 양측의 가슴판(200)은 체결수단(300)이 형성되어 분할된 가슴판(200)을 체결하여 신체에 착용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은 내피(11)와 외피(12)가 접합면(13)에 의하여 충진공간(14)이 형성되는 튜브체(10)로 이루어지고, 튜브체(10)의 일단에는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되어 공기주입에 의하여 부력을 갖도록 된다.
이때,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은 접합면(13)에 의하여 충진공간(14)이 서로 분리되어 구획되고, 분할된 충진공간(14)에 각각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된다.
그리고 등판(100)과 가슴판(200)의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개구부(110)가 형성되어 팔을 끼워 넣어 착용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공기주입구(15)를 이용하여 튜브체(10)에 공기를 불어 넣게 되면 충진공간(14)에 공기가 점차 차게 되면서 튜브체(10)가 부풀어 오르게 되고, 튜브체(10)가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된 상태로 부력을 갖게 되며, 이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가 구명조끼를 착용한 상태에서 구명조끼가 신체에 긴밀하게 착용된 상태로 물놀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을 구성하는 튜브체(10)는 충진공간(14)이 서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어느 일측이 손상되어 터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에는 여전히 튜브체(10)에 공기가 찬 상태를 유지하므로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의 상단에는 목이 착용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목받이부(400)가 형성되고, 등판(100)의 하단에는 가로방향으로 받침부(50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목받이부(400)와 받침부(500)는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튜브체(10)로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즉 내피(11)와 외피(12)가 접합면(13)에 의하여 충진공간(14)이 형성되면서 충진공간(14)에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되어 공기주입이 가능케 된다.
이때, 각각의 목받이부(400)와 받침부(500)에 형성되는 충진공간(14)은 등판(100) 및 가슴판(200)과 격리되게 형성하여 각각 공기주입구(15)를 형성하여 분리된 충진공간(14)에 각각 공기주입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500)는 도 3과 같이 받침부(500)를 구성하는 튜브체(10)의 충진공간(14)이 전방의 가슴판(200)을 구성하는 튜브체(10)의 충진공간(14)과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하면 등판(100)이 손상되어 터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착용자의 등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받침부(500)에 의하여 부력이 발생되어 물속에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가슴판(200)에 형성된 공기주입구(15)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가슴판(200)과 받침부(500)에 공기가 채워지면서 부풀어 올라 부력을 갖게 되고, 받침부(500)에 의하여 등판(100)을 보강하게 되며, 또한 가슴판(200)과 받침부(500)에 공기가 채워진 상태에서는 구명조끼를 직립상태로 바닥에 세워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명조끼를 사용한 후 물이 표면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 세워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닷가의 모래나 냇가의 흙 등 표면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유아나 어린이가 물놀이를 반복적으로 할 경우에도 간단하게 세워서 보관하면서 세척할 필요없이 간편하게 재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0: 튜브체 11: 내피
12: 외피 13: 접합면
14: 충진공간 15: 공기주입구
100: 등판
200: 가슴판
300: 체결수단
400: 목받이부
500: 받침부

Claims (4)

  1. 등판(100)과, 등판(100)의 양측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슴판(200)으로 이루어져 체결수단(300)에 의하여 양측으로 분할된 가슴판(200)이 체결되어 착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유아용 구명조끼에 있어서,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은 내피(11)와 외피(12)가 접합면(13)에 의하여 충진공간(14)이 형성되는 튜브체(10)로 이루어지고, 튜브체(10)의 일단에는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되어 공기주입에 의하여 부력을 갖도록 되는 유아용 구명조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은 충진공간(14)이 서로 분할되어 이루어지고, 분할된 충진공간(14)에 각각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조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00)과 가슴판(200)의 상단에 목이 착용되는 부분의 둘레를 따라서 목받이부(400)가 형성되고, 상기 목받이부(400)는 내피(11)와 외피(12)가 접합면(13)에 의하여 충진공간이 형성되는 튜브체(10)로 이루어지고, 목받이부(400)의 일단에 공기주입구(15)가 형성되어 개별적인 공기주입이 이루어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조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100)은 하단에 가슴판(200)의 충진공간(14)과 연통되는 받침부(500)가 형성되어 등판(100)을 보강하면서 구명조끼를 직립상태로 세워 고정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구명조끼.
KR2020130007664U 2013-09-12 2013-09-12 유아용 구명조끼 KR201500012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64U KR20150001202U (ko) 2013-09-12 2013-09-12 유아용 구명조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64U KR20150001202U (ko) 2013-09-12 2013-09-12 유아용 구명조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202U true KR20150001202U (ko) 2015-03-20

Family

ID=5303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64U KR20150001202U (ko) 2013-09-12 2013-09-12 유아용 구명조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12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266A (zh) * 2019-06-27 2019-08-20 重庆大学 一种水上救生衣
KR20210078683A (ko) * 2019-12-19 2021-06-29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구명 조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3266A (zh) * 2019-06-27 2019-08-20 重庆大学 一种水上救生衣
KR20210078683A (ko) * 2019-12-19 2021-06-29 (주)생존수영교육연구소 구명 조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82469T3 (es) Portabebé
US9993689B1 (en) Aquatic body cover for use with a monofin
EP3651868B1 (fr) Chaussures aquatiques munies d'un flotteur pour marcher dans l'eau
US20090075537A1 (en) Whitewater ankle floatation safety device
US20130217281A1 (en) Buoyancy Vest
US11292558B2 (en) Chest float
KR200474693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KR20150001202U (ko) 유아용 구명조끼
JPH03112572A (ja) 深水内運動用ベルト
KR200471042Y1 (ko) 수영 보조기구
KR101639785B1 (ko) 어린이용 튜브 겸용 구명 자켓
KR200469794Y1 (ko) 이중 수영튜브
KR200459277Y1 (ko) 부양 기능 및 충격 완화 기능을 구비하는 하네스
KR20100018633A (ko) 다기능 구명조끼
KR200408098Y1 (ko) 스노클링용 물안경
KR20130002463U (ko) 구명조끼용 지지밴드
KR101828922B1 (ko) 킥판 겸용 몸 고정띠를 구비한 구명조끼
KR20090011833U (ko) 유아용 보호구
KR200439950Y1 (ko) 수영보조구
KR20160143001A (ko) 투명 튜브식 구명조끼
JP3181694U (ja) 浮力補助遊具
KR200435063Y1 (ko) 부력을 갖는 수영복
KR200465996Y1 (ko) 물놀이 기구
US11896548B2 (en) Floating physical therapy device
CN211752160U (zh) 一种头颈平衡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