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950Y1 - 수영보조구 - Google Patents

수영보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950Y1
KR200439950Y1 KR2020080001481U KR20080001481U KR200439950Y1 KR 200439950 Y1 KR200439950 Y1 KR 200439950Y1 KR 2020080001481 U KR2020080001481 U KR 2020080001481U KR 20080001481 U KR20080001481 U KR 20080001481U KR 200439950 Y1 KR200439950 Y1 KR 2004399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swimming
auxiliary
air injection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4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영
Original Assignee
고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63868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3995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종영 filed Critical 고종영
Priority to KR20200800014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9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9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9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 B63C9/08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 B63C9/13Life-buoys, e.g. rings; Life-belts, jackets, suits, or the like attachable to body member, e.g. arm, neck, head or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1/00Swimming aids
    • A63B31/08Swim fins, flippers or other swimming aids held by, or attachable to, the hands, arms, feet or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3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the user being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0Apparatus used in water
    • A63B2225/605Fl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영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수영장이나 수영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수영에 익숙하지 못한 성인이나 유아 및 어린이들이 수영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배울 수 있도록 신체에 장착한 채로 사용할 수 있는 수영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고, 일단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부가 구비되며,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링 형상의 팽창몸체를 갖는 수영보조구에 있어서,
상기 수영보조구는, 상기 팽창몸체 내경에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태를 갖는 상체팽창부와, 상기 상체팽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공기주입부로 구성된 상체지지부와;
상기 상체지지부 상부에 상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는 제1,2보조팽창부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의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보조팽창부를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 각각의 일외면에 형성되는 제3공기주입부로 구성된 허리체결부와;
상기 상체지지부를 관통하는 끈 형태를 갖는 끈팽창부와, 상기 끈팽창부의 일단과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을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 는 제2연결부와, 상기 끈팽창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4공기주입부로 구성된 어깨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팽창몸체, 상체지지부, 제1,2,3,4공기주입부, 허리체결부, 어깨체결부, 상체팽창부, 제1,2보조팽창부, 제1,2연결부, 끈팽창부

Description

수영보조구{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본 고안은 수영보조구에 관한 것으로, 수영장이나 수영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수영에 익숙하지 못한 성인이나 유아 및 어린이들이 수영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배울 수 있도록 신체에 장착한 채로 사용할 수 있는 수영보조구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나 놀이로서 물속을 헤엄치는 수영은, 미용이나 건강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하는 현대사회에서 건강한 몸과 몸매를 유지하기 위해 대중적으로 남여노소를 불문하고 다양한 연령계층에서 용이하게 접하게 되는 레저 스포츠 가운데 하나이다.
물을 많이 접해보지 않은 성인들이나 유아 및 어린이들은 물에 대한 거부감이 많고, 수영 기술을 습득하기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된다.
수영장이나 수영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수영을 배우거나 물놀이시 수영에 익숙하지 못한 성인이나 유아 및 어린이들의 경우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튜브 또 는 판형의 기포성 스펀지로 된 부력효과가 있는 킥보드판 등의 기구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되던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튜브는 사용중 펑크가 발생 되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고, 유아 및 어린이들의 경우 체구가 작기 때문에, 링 형태의 튜브를 양손으로 잡고 있지 않으면 중앙의 관통된 홈으로 빠져 상기 튜브에서 이탈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킥보드판은 양손을 이용하여 잡은 상태에서 수영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킥보드판을 손으로부터 놓치는 경우 물에 빠지게 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 되어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것으로, 물을 많이 접해보지 못한 성인이나 유아 및 어린이들이 간편하게 착용한 채로 수영 기술을 연습하거나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기구 일부에 펑크가 발생하여도 별도의 공기가 주입되는 다수개의 공기주머니에 의해 위험한 상황을 예방 가능하며, 기구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파도에 의해 사용자가 기구에서 이탈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수영보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고, 일단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부가 구비되며,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링 형상의 팽창몸체를 갖는 수영보조구에 있어서,
상기 수영보조구는, 상기 팽창몸체 내경에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태를 갖는 상체팽창부와, 상기 상체팽창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공기주입부로 구성된 상체지지부와;
상기 상체지지부 상부에 상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는 제1,2보조팽창부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의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보조팽창부를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 각각 의 일외면에 형성되는 제3공기주입부로 구성된 허리체결부와;
상기 상체지지부를 관통하는 끈 형태를 갖는 끈팽창부와, 상기 끈팽창부의 일단과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을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제2연결부와, 상기 끈팽창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4공기주입부로 구성된 어깨체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연결부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 방향 경사각을 갖는 제1,2돌출편이 중앙에 형성된 판 형태의 제1,2끼움체와, 상기 제1,2돌출편이 끼움 결합 되는 제1,2끼움홈이 상부에 구비되고,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끼움체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결합 되는 제1,2수용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더불어, 상기 어깨체결부는, 상기 제2연결부가 상기 제1연결부를 직교 되게 둘러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상체지지부는, 인체의 가슴과 배에 밀착되어 상기 팽창몸체의 내경에 상부가 연결된 채로 하부가 하 방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그리고, 상기 허리체결부는, 상기 제1,2보조팽창부가 인체의 허리를 두르고, 등에서 상기 제1연결부가 결합 된다.
한편, 상기 어깨체결부는, 상기 끈팽창부가 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어깨를 둘러 상기 끈팽창부의 일단에 구비된 제2연결부를 통해 상기 끈팽창부의 일단과 다른 일단이 원형 끈 형태로 결합 된다.
더불어, 상기 팽창몸체는, 상기 팽창몸체 상부에 상기 팽창몸체와 대응되게 형성된 보조팽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팽창체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며, 상기 보조팽창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보조공기주입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에 익숙하지 못한 성인이나 유아 및 어린이들이 수영을 안전하면서도 용이하게 배울 수 있도록 신체에 장착한 채로 물놀이를 즐길 수 있고, 기구 일부에 펑크가 발생하여도 별도로 구획된 다수개의 공기주머니에 의해 위험한 상황을 예방 가능하며, 기구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나 파도에 의해 사용자가 기구에서 이탈되는 상황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사용가능한 사용상의 그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ㄸ따른 수영보조구(10)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이러한 수영보조구(10)는, 사용자가 간편하게 착용한 채로 수영 기술을 연습하거나 물놀이를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는, 내부에 공기 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고, 일단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부(110)가 구비되며,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링 형상의 팽창몸체(100)를 갖고, 상기 팽창몸체(100) 내경에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태를 갖는 상체팽창부(121)와, 상기 상체팽창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공기주입부(122)로 구성된 상체지지부(120)가 구비되며, 상기 상체지지부(120) 상부에 상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는 제1,2보조팽창부(131,131')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의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를 상호 체결 및 분리하게 되는 제1연결부(134)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 각각의 일외면에 형성되는 제3공기주입부(132,132')로 구성된 허리체결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상체지지부(120)를 관통하는 끈 형태를 갖는 끈팽창부(141)와,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과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을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제2연결부(144)와, 상기 근팽창부(14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4공기주입부(142)로 구성된 어깨체결부(140)를 더 포함한다.
더불어, 상기 제1,2연결부(134)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 방향 경사각을 갖는 제1,2돌출편(136,146)이 중앙에 형성된 판 형태의 제1,2끼움체(135,145)와, 상기 제1,2돌출편(136,146)이 끼움 결합 되는 제1,2끼움홈(138,148)이 상부에 구비되고,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끼움체(135,145)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결합 되는 제1,2수용체(137,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어깨체결부(140)는, 상기 제2연결부(144)가 상기 제1연결부(134)를 직교 되게 둘러 결합 된다.
또한, 상기 상체지지부(120)는, 인체의 가슴과 배에 밀착되어 상기 팽창몸체(100)의 내경에 상부가 연결된 채로 하부가 하 방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허리체결부(130)는,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가 인체의 허리를 두르고, 등에서 상기 제1연결부(134)가 결합 된다.
한편, 상기 어깨체결부(140)는, 상기 끈팽창부(141)가 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어깨를 둘러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에 구비된 제2연결부(144)를 통해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과 다른 일단이 원형 끈 형태로 결합 된다.
더불어, 상기 팽창몸체(100)는, 상기 팽창몸체(100) 상부에 상기 팽창몸체(100)와 대응되게 형성된 보조팽창체(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팽창체(115)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며, 상기 보조팽창체(115)의 일단에 형성되는 보조공기주입부(1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팽창몸체(100)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몸을 거치시키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상기 팽창몸체(100)의 일단에 구비된 상기 제1공기주입부(110)를 통해 상기 팽창몸체(100)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으로 인해 상기 팽창몸체(100)는 사용자를 물 위에 뜰 수 있게 지지 가능하고, 링 형태로 형성된 상기 팽창몸체(100)의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되어, 사용자가 상기 수영보조구(10)를 장착 및 탈거시 상기 절개된 사이를 통해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 가능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팽창몸체(100)의 상부에는, 상기 팽창몸체(100)와 대응되게 형성된 보조팽창체(115)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팽창체(115)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 으로 인해 팽창되며, 상기 보조팽창체(115)의 일단에 형성되는 보조공기주입부(11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보조팽창체(115)와 상기 팽창몸체(100)는 별도로 구획되어, 상기 팽창몸체(100) 또는 상기 보조팽창체(115) 가운데 하나가 펑크가 나거나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상기 팽창몸체(100) 또는 상기 보조팽창체(115) 가운데 하나가 사용자를 물 위에 뜰 수 있도록 최소한의 부력을 유지 가능하고, 상기 팽창몸체(100) 및 보조팽창체(115)에 문제가 발생하여 부력에 의해 사용자를 물 위에 띄우는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면, 상기 팽창몸체(100)와 연결되어 형성되되, 별도로 구획된 상기 상체지지부(120) 및 허리체결부(130)와 어깨체결부(140)에 의해 물 위에서의 사용자의 안전은 보장받게 된다.
상기 상체지지부(120)는, 상기 팽창몸체(100) 내경에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태를 갖는 상체팽창부(121)와, 상기 상체팽창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공기주입부(122)로 구성되어, 상기 제2공기주입부(122)를 통해 상기 상체팽창부(12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부력으로 인해 상기 상체팽창부(121)는 사용자가 물 위에 뜨는 것을 보조하고, 또한, 사용자가 수영시 신체의 가슴과 배가 밀착되어 상기 팽창몸체(100)의 내경에 상부가 연결된 채로 하부가 하 방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상체지지부(120)의 외면은 수직으로 돌출형성된 돌기와 홈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체격에 따라 상기 외면이 신축성을 가지고 좌우로 수축 및 팽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상체지지부(120)가 상기 팽창몸체(100) 내경에 하 방향으로 연결된 부채꼴의 형태를 갖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상체지지 부(120)를 착용하게 되면, 사용자의 상체는 상기 상체지지부(120)의 방향과 같이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놓이게 되어, 상기 팽창몸체(100)에 사용자의 몸을 거치하면서도 튜브 없이 수영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자세가 수평으로 유지된 상태로 팔을 활용하여 수영연습을 하게 된다.
상기 허리체결부(130)는, 상기 상체지지부(120) 상부에 상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는 제1,2보조팽창부(131,131')를 갖고,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는, 각각의 말단에 제1연결부(134)가 형성되어,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를 상호 체결 및 분리 되게 하며,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 각각의 일외면에는 제3공기주입부(132,132')가 구비되어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고, 이렇게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는 사용자의 허리를 두른 채로 상기 제1연결부(134)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 된다.
상기 어깨체결부(140)는, 상기 상체지지부(120)를 관통하는 끈 형태를 갖는 끈팽창부(141)를 갖고,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과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을 상호 체결 및 분리하게 하는 제2연결부(144)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며,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에는 제4공기주입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끈팽창부(14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하고, 이렇게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된 상기 어깨체결부(140)는 상기 끈팽창부(141)가 상기 상체지지부(120)의 일단을 관통하여 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어깨를 둘러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에 구비된 제2연결부(144)를 통해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과 다른 일단이 원형 끈 형 태로 결합 되되, 상기 원형 끈 형태는, 상기 제1연결부(134)를 직교 되게 두른 형태로 원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2연결부(134,144))의 구성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 방향 경사각을 갖는 제1,2돌출편(136,146)이 중앙에 형성된 판 형태의 제1,2끼움체(135,145)를 갖고, 상기 제1,2돌출편(136,146)이 끼움 결합 되는 제1,2,끼움홈(138,148)이 상부에 구비되고,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끼움체(135,145)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결합 되는 제1,2수용체(137,14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돌출편(136,146)은 탄성을 갖기 때문에 수축이 가능하여, 상기 수영보조구(10)를 사용자에게 장착시 상기 제1,2돌출편(136,146)을 손으로 눌러 수축되게 하여 상기 제1,2끼움홈(138,148)에 슬라이딩 결합 되고, 상기 수영보조구(10)를 사용자로부터 탈거시 상기 제1,2돌출편(136,146)을 손으로 눌러 수축되게 하여 슬라이딩 탈거 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의 전체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를 분해한 분해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영보조구(10)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ㄸ따른 수영보조구(10)의 다른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영보조구 100 : 팽창물체
110 : 제1공기주입부 115 : 팽창체
117 : 보조공기주입구
120 : 상체지지부 121 : 상체팽창부
122 : 제2공기주입부
130 : 허리체결부
131 : 제1보조팽창부 131' : 제2보조팽창부
132,132' : 제3공기주입부 134 : 제1연결부
135 : 제1끼움체 136 : 제1돌출편
137 : 제1수용체 138 : 제1끼움홈
140 : 어깨체결부 141 : 끈팽창부
142 : 제4공기주입부 144 : 제2연결부
145 : 제2끼움체 146 : 제2돌출편
147 : 제2수용체 148 : 제2끼움홈

Claims (7)

  1.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고, 일단에 상기 공기가 주입되는 제1공기주입부(110)가 구비되며, 일부가 수직으로 절개된 링 형상의 팽창몸체(100)를 갖는 수영보조구(10)에 있어서,
    상기 수영보조구(10)는,
    상기 팽창몸체(100) 내경에 하 방향으로 연결되는 부채꼴 형태를 갖는 상체팽창부(121)와, 상기 상체팽창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공기주입부(122)로 구성된 상체지지부(120)와;
    상기 상체지지부(120) 상부에 상 방향으로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게 연장형성되는 제1,2보조팽창부(131,131')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의 각각의 말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를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제1연결부(134)와,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 각각의 일외면에 형성되는 제3공기주입부(132,132')로 구성된 허리체결부(130)와;
    상기 상체지지부(120)를 관통하는 끈 형태를 갖는 끈팽창부(141)와,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과 다른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일단과 다른 일단을 상호 체결 및 분리되게 하는 제2연결부(144)와,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4공기주입부(142)로 구성된 어깨체결부(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부(134,144)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상 방향 경사각을 갖는 제1,2돌출편(136,146)이 중앙에 형성된 판 형태의 제1,2끼움체(135,145)와,
    상기 제1,2돌출편(136,146)이 끼움 결합 되는 제1,2끼움홈(138,148)이 상부에 구비되고, 박스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2끼움체(135,145)가 내부에 수용됨으로써 결합 되는 제1,2수용체(137,14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체결부(140)는,
    상기 제2연결부(144)가 상기 제1연결부(134)를 직교 되게 둘러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지지부(120)는,
    인체의 가슴과 배에 밀착되어 상기 팽창몸체(100)의 내경에 상부가 연결된 채로 하부가 하 방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허리체결부(130)는,
    상기 제1,2보조팽창부(131,131')가 인체의 허리를 두르고, 등에서 상기 제1연결부(134)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깨체결부(140)는,
    상기 끈팽창부(141)가 인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어깨를 둘러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에 구비된 제2연결부(144)를 통해 상기 끈팽창부(141)의 일단과 다른 일단이 원형 끈 형태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몸체(100)는,
    상기 팽창몸체(100) 상부에 상기 팽창몸체(100)와 대응되게 형성된 보조팽창체(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팽창체(115)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됨으로 인해 팽창되며, 상기 보조팽창체(115)의 일단에 형성되는 보조공기주입부(1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영보조구(10).
KR2020080001481U 2008-01-31 2008-01-31 수영보조구 KR2004399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81U KR200439950Y1 (ko) 2008-01-31 2008-01-31 수영보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481U KR200439950Y1 (ko) 2008-01-31 2008-01-31 수영보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950Y1 true KR200439950Y1 (ko) 2008-05-14

Family

ID=4163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481U KR200439950Y1 (ko) 2008-01-31 2008-01-31 수영보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9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64Y1 (ko) 2012-05-08 2013-12-06 김광현 물놀이 튜브
KR200478297Y1 (ko) 2013-10-16 2015-09-15 김광현 부력보조부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264Y1 (ko) 2012-05-08 2013-12-06 김광현 물놀이 튜브
KR200478297Y1 (ko) 2013-10-16 2015-09-15 김광현 부력보조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7047B1 (en) Tethered flotation device and method of use thereof
US9516949B2 (en) Inflatable crafts with an integral underwater viewing window
US4936804A (en) Non-inflatable buoyancy aid
US3147498A (en) Swimming buoy
KR101559659B1 (ko) 수영보조장치
US5601514A (en) Swimming exercise device
US20170361908A1 (en) Raft for viewing underwater objects
JP6655232B2 (ja) テーブルとシートを備えた小型レジャーボート
KR200474693Y1 (ko) 이중 구조를 갖는 안전형 다기능 물놀이 튜브
KR200439950Y1 (ko) 수영보조구
KR101809263B1 (ko) 수영보조장치
US8529269B2 (en) Swim harness for instruction
WO2007102131A1 (en) Collar to assist floating of infants
US3604033A (en) Buoyant aquatic recreational device
KR100848227B1 (ko) 물놀이기구
KR101643852B1 (ko) 수영보조장치
KR200469794Y1 (ko) 이중 수영튜브
US11173369B1 (en) Stationary swimming device and method
KR101424399B1 (ko) 다기능 레저 보드
KR200361236Y1 (ko) 물놀이용 안전기구
US7160165B2 (en) Device for rippling of water
KR102145068B1 (ko)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물놀이용 튜브
EP2533865B1 (en) Swimming float
KR100811379B1 (ko) 물놀이기구
JP2017036020A (ja) ネックレス型救命浮き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40508

Effective date: 2014111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