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36Y1 - 물놀이용 안전기구 - Google Patents

물놀이용 안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36Y1
KR200361236Y1 KR20-2004-0014348U KR20040014348U KR200361236Y1 KR 200361236 Y1 KR200361236 Y1 KR 200361236Y1 KR 20040014348 U KR20040014348 U KR 20040014348U KR 200361236 Y1 KR200361236 Y1 KR 2003612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ater
power means
moto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3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형호
Original Assignee
차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형호 filed Critical 차형호
Priority to KR20-2004-00143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5/00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 A63B35/08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 A63B35/12Swimming framework with driving mechanisms operated by the swimmer or by a motor with propeller propulsion operated by a mo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영장이나 기타 수영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수영에 익숙하지 못 한 사람이 수영을 배우는 용도 또는 어린이들이 놀이용으로 사용하며, 특히 물에 빠진 사람을 구명하는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놀이용 안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구성의 요지로는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동력수단(20) 및 본체(10)의 위에 필요시에 결합이 가능하면서 부력을 가지고 사용자가 신체를 안착시킬 수 있는 튜브형 부구(30)로 안전기구를 구성하되, 본체(10)는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가 빈 공간(11)으로 구성하고 본체(10)의 저면에 동력수단을 결합 가능토록 결합홈(12)을 구성하며, 동력수단(20)은 케이스(21)의 내부에 모터(22) 및 축전지(23)를 설치하고 모터(22)의 후방 축으로부터 스크류(24)가 돌출되게 설치하되, 케이스(21)는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가장자리에 결합돌부(25)를 구성하고, 모터(22)를 감싸는 유선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놀이용 안전기구{Safety board for dabbling in water}
본 고안은 수영장이나 기타 수영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수영에 익숙하지 못 한 사람이 수영을 배우는 용도 또는 어린이들이 놀이용으로 사용하며, 특히 물에 빠진 사람을 구명하는 용도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물놀이용 안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물놀이를 할 때 수영에 익숙하지 못한 어린이들이나 초보자의 경우는 튜브나 킥보드 등과 같은 보조기구를 사용하는데, 튜브의 경우에는 사용시에 바람을 넣어야 하므로 불편한 것은 당연하고 사용 중에도 펑크가 많이 발생하여 항상 위험요소가 있는 것이며, 그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위험에 대비하여 항상 휴대하는 것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킥보드와 같은 형태의 것은 수영을 연습하는데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물놀이 시의 안전을 보장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 할 것이다.
또한 튜브나 킥보드 모두 물놀이 또는 수영연습을 하는데 약간의 도움은 줄 수가 있지만, 물에 빠진 사람의 경우, 가라앉지는 않더라도 안전한 장소까지 스스로 이동할 힘이 없으므로 구명하는 용도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본 출원인은 물놀이를 할 때의 안전에 도움이 되도록 안전기구에 대한 기본적인 구성을 실용신안 제331625호로 등록받은 바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선등록 실용신안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이고 바람직한 구성예를 제시하여 물놀이 시의 안전과 물놀이를 좀더 재미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은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진 몸체와 동력수단을 구성하고 이러한 동력수단이 몸체에 설치되는 구성과 몸체에 튜브를 결합할 수 있는 구성 등을 개선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효율적인 안전기구를 제공함으로서 종래에 비하여 좀더 안전하면서도 더욱 재미있는 물놀이를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기구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본체와 동력기구 및 튜브형 부구가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연결구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전기구 10: 본체
11: 공간 12: 결합홈
13, 13': 연결구 20: 동력수단
21: 케이스 22: 모터
23: 축전지 24: 스크류
25: 결합돌부 26: 물유입부
26': 유입통공 27: 망체
30: 튜브형 부구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안전기구의 일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의 안전기구(1)는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동력수단(20) 및 본체(10)의 위에 필요시에 결합이 가능하면서 부력을 가지고 사용자가 신체를 안착시킬 수 있는 튜브형 부구(30)로 구성된다.
먼저 본체(10)를 살펴보면,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가 빈 공간(11)으로 구성하고 본체(10)의 저면에 동력수단을 결합 가능토록 결합홈(12)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동력수단(20)으로는 케이스(21)의 내부에 모터(22) 및 축전지(23)를 설치하고 모터(22)의 후방 축으로부터 스크류(24)가 돌출되게 설치되는데, 케이스(21)는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가장자리에 결합돌부(25)를 구성하고, 모터(22)를 감싸는 유선형으로 구성하면서 스크류(24)의 앞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물이 스크류(24)로 잘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한 물유입부(26)를 구성한 후 유입통공(26')을 구성하며, 그 이후에는 스크류(24)를 감싸도록 구성하면서 후단에는 망체(27)를 구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10)에 튜브형 부구(30)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체(10)의 가장자리와 튜브형 부구(30)의 저면에 수개의 연결구(13)(13')를 구성하여 튜브형 부구(30)와 결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연결구(13)(13')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암수로 구성되어 통상 가방이나 의류 등에서 끈 도는 밴드 등을 탈 부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결합과 분리가 간단하도록 한 공지된 제품 구성이다,
그리고 튜브형 부구(3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임의의 형태와 크기로 구성이 가능하지만 보통 체격인 사람의 상체를 얹을 수 있는 정도로 구성하여 물에서 튜브형 부구(30)의 위에 엎드려 사용 가능토록 하거나 더욱 크게 2인용 또는 보트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 중 미 설명된 부호 2는 손잡이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사용방법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튜브형 부구(30)를 결합하지 않고 동력수단(20)이 결합된 상태의 본체(10)만으로 사용할 때는 본체(10)를 손으로 잡고 스위치로 모터(22)를 작동시키면 모터(22)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24)가 회전을 하여 물을 뒤로 밀어내므로 본체(10)가 앞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데, 물이 물유입부(26)의 유입통공(26')을 통하여유입된 후 후단의 망체(27)를 통하여 원활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본체만 손으로 잡고 있으면 힘들이지 않고 물에서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케이스(21)의 유선형 형상에 의해 물의 흐름이 원활하면서 유입통공(26')이 구성된 물유입부(26) 및 망체(27)의 구성에 의해 스크류(24)가 인체나 물체에 부딪히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수영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물놀이를 즐기거나 인명구조용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10)와 동력수단(20)이 결합홈(12) 및 결합돌부(25)로 결합되어 있어서 동력수단(20)이 필요없을 때에는 간단하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형태의 킥보드나 수영 보조용구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구(13)(13')를 이용하여 본체(10)와 튜브형 부구(30)를 결합할 수도 있어서 튜브형 부구(30)의 위에 몸을 얹어 더욱 편안한 자세로 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재미있는 놀이가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튜브형 부구(30)가 필요시에는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고 필요가 없을 때는 간단하게 제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튜브형 부구(30)는 일반적인 보트형이나 매트형 또는 동물형상 등과 같이 임의 형상으로 제작하여 결합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안전기구에 의하면 수영을 배우거나 물놀이를 하는데 안전을 보장하면서도 재미가 배가되는 등 매우 용이하게 사용될 수가 있고, 동력수단(20)에 의해 힘들이지 않고 빠른 이동이 가능하므로 수상안전용으로도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또한 동력수단(20)을 포함한 본체(10)의 크기가 그리 크지 않고 튜브형 부구(30)는 필요시에만 결합하여 사용하므로 각각 분리하여 보관 및 운반할 수 있어서 편리하며, 물놀이를 하거나 익사의 위험이 있는 여러 장소에서 다양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고안이라 할 것이다.

Claims (3)

  1.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되는 동력수단(20) 및 본체(10)의 위에 필요시에 결합이 가능하면서 부력을 가지고 사용자가 신체를 안착시킬 수 있는 튜브형 부구(30)로 안전기구를 구성하되,
    본체(10)는 자체적으로 부력을 가지도록 내부가 빈 공간(11)으로 구성하고 본체(10)의 저면에 동력수단을 결합 가능토록 결합홈(12)을 구성하며,
    동력수단(20)은 케이스(21)의 내부에 모터(22) 및 축전지(23)를 설치하고 모터(22)의 후방 축으로부터 스크류(24)가 돌출되게 설치하되, 케이스(21)는 상기 본체(10)의 결합홈(12)에 삽입되도록 가장자리에 결합돌부(25)를 구성하고, 모터(22)를 감싸는 유선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안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튜브형 부구(30)를 본체(10)에 결합하는 수단으로는 본체(10)의 가장자리와 튜브형 부구(30)의 저면에 수개의 연결구(13)(1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안전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21)는 스크류(24)의 앞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물이 스크류(24)로 잘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오목한 물유입부(26)를 구성한 후 유입통공(26')을 구성하며, 그 이후에는 스크류(24)를 감싸도록 구성하면서 후단에는 망체(27)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놀이용 안전기구.
KR20-2004-0014348U 2004-05-24 2004-05-24 물놀이용 안전기구 KR2003612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48U KR200361236Y1 (ko) 2004-05-24 2004-05-24 물놀이용 안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348U KR200361236Y1 (ko) 2004-05-24 2004-05-24 물놀이용 안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36Y1 true KR200361236Y1 (ko) 2004-09-07

Family

ID=4934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348U KR200361236Y1 (ko) 2004-05-24 2004-05-24 물놀이용 안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844B1 (ko) * 2013-12-11 2015-12-11 임성현 추진력을 가지는 물놀이기구
KR101656749B1 (ko) * 2015-07-24 2016-09-13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물 분사식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놀이 기구
KR102040432B1 (ko) * 2019-03-15 2019-11-04 이중훈 한 손 구동방식의 개인용 수중 추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6844B1 (ko) * 2013-12-11 2015-12-11 임성현 추진력을 가지는 물놀이기구
KR101656749B1 (ko) * 2015-07-24 2016-09-13 주식회사 성진에어로 물 분사식 추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놀이 기구
KR102040432B1 (ko) * 2019-03-15 2019-11-04 이중훈 한 손 구동방식의 개인용 수중 추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949B2 (en) Inflatable crafts with an integral underwater viewing window
US20070089657A1 (en) Propeller driven surfing device
ES2351473T3 (es) Dispositivo de surf propulsado por hélice.
US20060252318A1 (en) Buoyant mattress for snorkeler
US3491997A (en) Swimming aid capable of undergoing porpoise-like leaping movement
US10099758B2 (en) Raft for viewing underwater objects
US5766052A (en) Combination child float/adult aquatic exercise device
JP6655232B2 (ja) テーブルとシートを備えた小型レジャーボート
US3751030A (en) Aquatic apparatus with buoyancy control structure
KR200361236Y1 (ko) 물놀이용 안전기구
US20150232160A1 (en) Snorkel system and flotation device
US6500034B1 (en) Water bicycle
KR200439950Y1 (ko) 수영보조구
FR2545725A1 (fr) Bouee-pagaie
ES2252588T3 (es) Articulo para deporte acuatico.
ES2383569T3 (es) Sistema de retención para asegurar un usuario a un vehículo acuático y vehículo acuático con un sistema de retención
KR200313520Y1 (ko) 다기능 수영 보조 기구
US9422038B2 (en) Submersible personal flotation device
AU2007201487B2 (en) Propeller driven device
US20160023731A1 (en) Swimming tool
KR200433537Y1 (ko) 수상이동기구
CN212369511U (zh) 一种游泳浮板
CN212290275U (zh) 一种水上运动游弋装置
CN214207251U (zh) 一种自充气防溺水装置
KR100848361B1 (ko) 수상이동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