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958B1 - 헬멧 - Google Patents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958B1
KR102207958B1 KR1020167028943A KR20167028943A KR102207958B1 KR 102207958 B1 KR102207958 B1 KR 102207958B1 KR 1020167028943 A KR1020167028943 A KR 1020167028943A KR 20167028943 A KR20167028943 A KR 20167028943A KR 102207958 B1 KR102207958 B1 KR 10220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 body
shock absorbing
leg
hat
hamm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6711A (ko
Inventor
타케시 우케가와
아키요시 스즈키
성근 최
Original Assignee
타니자와 세이사쿠쇼,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435834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20795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타니자와 세이사쿠쇼, 엘티디. filed Critical 타니자와 세이사쿠쇼,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60146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42B3/062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with reinfor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Abstract

높은 통기성이나 방열성을 얻으면서,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최적의 위치에서 발휘할 수가 있는 헬멧을 제공한다. 해먹(4)의 다리부(7)에, 헤드 밴드(5)보다도 두정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2개의 다리부(7)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부분에 걸쳐지는 현가부(10, 14)를 마련한다. 현가부(10, 14)에, 모자체(2)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11, 15)를 마련한다.

Description

헬멧{HELMET}
본 발명은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헬멧은 경질의 모자체와, 사람 머리에 접하는 해먹(hammock), 헤드 밴드, 환형끈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착체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종래의 헬멧에 있어서는,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를 모자체의 내면을 덮도록 부착하여, 사람 머리에 대한 보호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로 모자체의 내면이 덮여 있으면, 모자체와 사람 머리와의 사이의 공극이 작아지기 때문에, 모자체 내부의 통기성이 나쁘고, 발포스티롤이 갖는 높은 보온성에 의해 방열도 되기 어렵다. 이 때문에,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에 의해 보호 성능을 얻으려고 하면, 모자체 내부에 열이 정체하거나 습기나 열기가 차서 착용시의 쾌적성이 손상되는 불편이 있다.
한편,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가 마련되지 않은 헬멧은, 통기성이나 방열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착용시의 쾌적성이 비교적 높다.
그러나,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자체의 바로 윗쪽 위치로부터의 낙하물 등의 충돌시에는, 해먹에 의한 충격력의 완화를 얻을 수 있지만, 착용자의 넘어짐이나 추락시에 받는 두정부(頭頂部)측 이외의 방향으로부터 받는 충격력은 대부분 흡수하지 못하고, 충분한 보호 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불편이 있다.
또한, 모자체의 내부에 충격 흡수 라이너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헬멧에 있어서는, 장착체를 구성하는 헤드 밴드의 외주면(모자체 내면에 대향하는 면)에 복수의 완충용 부재를 마련한 것도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개평 8-311713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실공소 33-1240호 공보
특허 문헌 2에서 보여지는 헬멧의 구성을 채용하여 충분한 보호 성능을 얻는 경우에는, 헤드 밴드에 마련되어 있는 완충용 부재로서,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것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근년의 헬멧이 구비하는 헤드 밴드는, 해먹과는 독립적으로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있다. 즉, 해먹은, 모자체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지만, 헤드 밴드에 있어서는, 착용자의 두부 형상이나 모자체의 형상에 맞추어, 원주길이뿐만이 아니라 해먹에 대한 높이방향의 위치도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헤드 밴드의 외주면에 완충용 부재를 마련한 구성에서는, 헤드 밴드의 해먹에 대한 위치 조절에 따라서, 모자체에 대한 완충용 부재의 위치도 이동해 버려, 완충용 부재가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갖고 있었다고 해도, 필요한 위치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의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높은 통기성이나 방열성을 얻을 수 있어 착용시의 쾌적성이 높고, 게다가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최적의 위치에서 발휘할 수 있음에 의해 보호 성능이 높은 헬멧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사람 머리를 덮는 모자체와, 그 모자체의 내측에서 사람 머리에 접하는 해먹과, 사람 머리 외주에 장착하는 환상의 헤드 밴드를 구비하며, 상기 해먹은, 상기 모자체의 내면에 대해서 소정의 공극을 갖고 두정부에 형성된 다리부 연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모자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하며, 그 다리부의 내측 하부에 상기 헤드 밴드가 배치된 헬멧에 있어서, 상기 해먹의 다리부에, 상기 헤드 밴드보다도 두정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2개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부분에 걸쳐져서 현가부를 마련하고, 그 현가부에 충격 흡수부를 설치함으로써, 그 충격 흡수부를 상기 해먹에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그 충격 흡수부와 상기 모자체가 접촉하여 상기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상기 충격 흡수부가 없는 상기 다리부 연결부가 상기 모자체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먹의 다리부에 현가부를 마련하고, 현가부에 충격 흡수부를 마련함으로써, 현가부를 통하여 소망의 위치에 충격 흡수부를 배치할 수가 있으며, 통기성이나 방열성을 방해하는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로 모자체 내면을 덮는 일 없이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현가부가 마련되어 있는 해먹의 다리부는, 모자체에 연결됨으로써, 헤드 밴드의 상하 위치가 조절되어도, 충격 흡수부의 설치 위치가 이동해버리는 일은 없고, 필요한 위치에서 확실히 충격을 흡수할 수가 있다. 게다가, 현가부에 의해 모자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충격 흡수부를 마련할 수가 있으므로, 모자체 내부에서 통기용 공극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용시의 높은 쾌적성과 높은 보호 성능을 양립시킨 헬멧을 제공할 수가 있다.
그런데, 해먹은, 두부의 형상에 따라서 다리부가 만곡한 상태에서 모자체의 내부에 마련되어있다. 한편, 모자체로부터 떼어낸 상태의 해먹은, 각 다리부 사이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편평하게 된다. 이 때, 현가부가 2개의 다리부를 연결한 상태에 있으면, 해먹을 모자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현가부에 의해 다리부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가 없기 때문에, 평평하게 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보관시 등에 부피가 커진다.
그래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다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해먹을 모자체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다리부에 대한 현가부의 연결 상태를 해제하여 해먹을 원활하게 평평하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모자체로부터 떼어낸 해먹의 보관시 등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다리부 사이의 간격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연장부의 연장 길이를 설정하는 것만으로, 충격 흡수부를 소망한 위치에 배치시킬 수가 있으므로, 충격 흡수부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축선방향으로 부여되는 충격력에 대해서 소정의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통 형상 구조부를 구비하며, 그 통 형상 구조부의 축선을 상기 모자체의 내면으로 향한 자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충격 흡수부를 구성하는 통 형상 구조부는, 통 형상으로 함으로써 경량으로 하면서, 그 축선방향에 대하여 충격력에 대한 가장 높은 충격 흡수 능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통 형상 구조부의 축선을 상기 모자체의 내면으로 향한 자세로 충격 흡수부가 마련됨으로써, 통 형상 구조부는 모자체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서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발휘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모자체의 내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그 돌기는 상기 다리부와 상기 모자체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대응하는 돌출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다리부는, 그 자체의 휨이나 신장의 변형에 의해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을 갖고 있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충격 하중에 의해 다리부와 모자체 내면이 접하여 버리면, 다리부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는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게 된다. 그에 반하여, 본 발명은, 상기 돌기에 의해 다리부와 모자체의 내면과의 사이에 확실히 공극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게다가 돌기의 돌출량에 의해 해당 공극의 크기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충격 하중에 의한 다리부와 모자체 내면의 접촉이 방지되어 다리부가 갖는 충격 완화 작용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돌기는, 상기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는 다리부로부터 돌출하여 모자체 내면에 접촉함으로써,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이 돌기를 통하여 사람 머리에 전달될 염려가 있지만, 돌기가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을 가짐에 의해, 돌기로부터 사람 머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모자체는, 그 모자체의 하측 가장자리 내면에 상기 해먹의 다리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사람 머리 중심축에 합치하여 상기 모자체의 두정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제1 기준선으로 하고, 그 제 1 기준선에 직교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를 지나 상기 모자체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제2 기준선으로 하며, 상기 제 1 기준선에 직교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를 지나 상기 모자체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을 제3 기준선으로 하며, 상기 제 1 기준선과 상기 제 2 기준선과 상기 제 3 기준선과의 교점을 기준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모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준선의 좌우에 각각 25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 사이에 대응하는 모자체의 원주방향 범위와, 상기 모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준선의 상방으로 35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제 2 기준선과의 사이에 대응하는 모자체의 높이방향 범위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을 전두부 보호 영역으로 하고, 상기 모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준선의 좌우로 각각 30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의 사이에 대응하는 모자체의 원주방향 범위와, 상기 모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기준선의 상방으로 35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제 2 기준선과의 사이에 대응하는 모자체의 높이방향 범위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을 후두부 보호 영역으로 하고, 상기 전두부 보호 영역과 상기 후두부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의 각각에, 상기 현가부를 통하여 상기 충격 흡수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두부 보호 영역은, 모자체의 전면 측에 위치하여, 원주방향 범위와 높이방향 범위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영역이며, 후두부 보호 영역은, 모자체의 후면 측에 위치하여, 원주방향 범위와 높이방향 범위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영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두부 보호 영역 및 후두부 보호 영역은, 예를 들면 착용자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넘어졌을 때에, 접지면으로부터 헬멧을 통하여 사람 머리의 전두부 또는 후두부에 충격력이 부여된다고 생각되는 영역이다.
전두부 보호 영역 및 후두부 보호 영역을 각각 상기의 구성에 의한 영역으로 하고, 전두부 보호 영역과 후두부 보호 영역의 각각에 상기 현가부를 통하여 상기 충격 흡수부를 마련함으로써, 착용자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넘어졌을 때 등의 사람 머리에 대한 보호 성능을 확실히 얻을 수 있고, 게다가, 전두부 보호 영역과 후두부 보호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는 통기용의 공극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통기성이나 방열성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모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 3 기준선의 전후에 각각 30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져서 좌우측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직선의 사이에 대응하는 모자체의 원주방향 범위와, 상기 모자체에 있어서의 상기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제 3 기준선의 상방으로 50도의 각도를 갖고 경사져서 좌우측방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상기 제 3 기준선의 사이에 대응하는 모자체의 높이방향 범위에 의해 구성되는 영역을 측두부 보호 영역으로 하고, 상기 측두부 보호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다른 충격 흡수부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두부 보호 영역은, 모자체의 양측에 위치하여, 원주방향 범위와 높이방향 범위를 갖는 대략 사각형의 영역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측두부 보호 영역은, 예를 들면 착용자가 측방으로 넘어졌을 때에, 접지면으로부터 헬멧을 통하여 사람 머리의 측두부에 충격력이 부여된다고 생각되는 영역이다.
측두부 보호 영역을 상기의 구성에 의한 영역으로 하고, 측두부 보호 영역에 상기 현가부를 통하여 상기 다른 충격 흡수부를 마련함으로써, 착용자가 측방으로 넘어졌을 때 등의 사람 머리에 대한 보호 성능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전두부 보호 영역과 측두부 보호 영역과의 사이, 및 후두부 보호 영역과 측두부 보호 영역과의 사이에는, 각각 충분한 통기용의 공극을 확보할 수가 있으므로, 통기성이나 방열성도 확실히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해먹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적 사시도.
도2는 본 실시형태의 해먹의 전개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본 실시형태의 해먹의 전개 상태의 사시도.
도4a는 전두부 보호 영역, 후두부 보호 영역 및 측두부 보호 영역을 나타내는 모자체의 모식적 측면도.
도4b는 전두부 보호 영역 및 측두부 보호 영역을 나타내는 모자체의 모식적 정면도.
도5는 모자체의 모식적 저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헬멧(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질의 모자체(2)(도면에서 가상선으로 표시)와, 모자체(2)의 내부에 마련되어 사람 머리에 접하는 장착체(3)에 의해 구성된다. 장착체(3)는, 해먹(4), 헤드 밴드(5), 및 도시 생략한 환형끈류(턱끈 등)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해먹(4)은,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올레핀(polyolefin)계 합성수지 등)를 재료로 하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며, 사람 머리에 접하여 사람 머리와 모자체(2)의 사이에 소정의 공극을 형성한다.
헤드 밴드(5)는, 해먹(4)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 머리의 외주에 고정된다. 헤드 밴드(5)의 후두부측에는, 사람 머리의 사이즈에 맞추어 원주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사이즈 조절 수단(6)이 마련되어있다.
다음으로, 해먹(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먹(4)은, 두정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다리부(7)와, 각 다리부(7)의 상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환상의 다리부 연결부(8)를 구비하고 있다. 각 다리부(7)의 하단부에는, 모자체(2)의 하단부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계지용 돌기(다리부(7)를 모자체(2)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결합 가능하게 계지하는 계지부(9)가 일체로 마련되어있다.
각 다리부(7)는, 모자체(2)의 내부에 조립되었을 때,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 머리에 대응하도록 만곡하는 형상이 되며, 모자체(2)의 내부로부터 떼어내진 상태(모자체(2)에 대한 조립전 상태, 또는, 교환 등에 의해 모자체(2)로부터 떼어낸 상태)일 때, 도 2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편평하게 된다.
전두부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다리부(7) 사이와, 후두부측에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다리부(7) 사이에는, 각각 제 1 현가부(10)가 마련되어있다. 제1 현가부(10)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에 현수 지지되도록 하여 제1 충격 흡수부(11)가 마련되어있다.
제1 현가부(1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일단이 한쪽의 다리부(7)에 일체로 연결되고 다른 쪽의 다리부(7)를 향하여 연장되어있다. 제1 현가부(10)의 타단에는, 다른 쪽의 다리부(7)에 형성된 계지돌기(12)에 착탈 가능하게 계지되는 계지공(13)이 형성되어있다.
제1 현가부(10)의 계지공(13)을 다리부(7)의 계지돌기(12)에 계지시킴으로써,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현가부(10)는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부분에 걸쳐져서, 헤드 밴드(5)보다 상방으로 마련된다.
제1 현가부(10)의 계지공(13)을 다리부(7)의 계지돌기(12)로부터 떼어내면, 해먹(4)을, 도 2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평하게 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해먹(4)을 모자체(2)로부터 떼어냈을 때에 평평하게 하여 보관시 등에 부피가 커지는 일이 없다. 또한, 제 1 현가부(10)의 일단을 한쪽의 다리부(7)가 연결하는 상태에서, 사출성형에 의한 일체 성형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현가부(10)가 연결된 각각의 다리부(7)와 그 외측에 위치하는 다리부(7)의 사이에는, 각각 제 2 현가부(14)가 마련되어있다. 제2 현가부(14)는, 역V자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각각의 다리부(7)에 일체로 연결되어있다.
제2 현가부(14)에는, 제 2 충격 흡수부(15)와 헤드 밴드 연결부(16)가 마련되어있다. 제2 충격 흡수부(15)는, 제 2 현가부(14)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7)의 상단에 마련되어있다. 제1 연장부(17)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다리부(7) 사이의 간격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자체(2)의 내면에 제2 충격 흡수부(15)를 접촉시키는 형상(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매끄럽게 굴곡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밴드 연결부(16)는, 제 2 현가부(14)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와, 제2 연장부(18)의 하단에 연결된 설편부(舌片部)(9)로 구성되어있다. 설편부(19)에는, 헤드 밴드(5)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압정 형상의 연결 부재의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연결공(20)이 상하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있다.
연결공(20)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해먹(4)에 대해서 헤드 밴드(5)를 상하 이동시킬 수가 있으며, 이에 의해, 착용자의 두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헤드 밴드(5)의 높이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있다.
제1 충격 흡수부(11)는, 서로 통기 가능한 틈을 가지고 마련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통 형상 구조부(21)와, 각 통 형상 구조부(21)의 바닥부를 서로 연결하는 판상의 기부(22)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기부(22)는, 외주연으로부터 곡면을 통하여 기립하는 돌출 가장자리(23)를 구비하며, 외주연이 사람 머리에 접하여도, 다리부 등에 의한 위화감이 생기지 않도록 되어있다. 게다가, 기부(22)는, 복수의 빼기공(24)을 구비하여 경량화되어 있음과 함께, 적당히 휠 수가 있도록 되어있다.
통 형상 구조부(21)는, 다각통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육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축선방향으로의 찌부러짐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하는 능력을 구비한다. 제1 충격 흡수부(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 형상 구조부(21)의 축선을 모자체(2)의 내면을 향한 자세로 마련된다.
제1 충격 흡수부(11)를 전두부측과 후두부측에 설치함으로써, 사람 머리에 대해서 충분한 보호 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또한 각 제1 충격 흡수부(11)는,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각각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모자체(2)의 전두부 보호 영역(32)과 후두부 보호 영역(33)에 마련되어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충격 흡수부(15)에는, 다각통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육각통 형상)의 통 형상 구조부(25)가 한 개 마련되어 있으며, 제1 연장부(17)의 상단에 기부(26)를 통하여 연결되어있다. 이에 의해, 비교적 간격이 좁은 다리부(7) 사이에 마련하는데 적합한 것으로 되어 있어서, 다리부(7) 사이의 간격 위치에 충격 흡수 작용을 부여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충격 흡수부(15)의 통 형상 구조부(25)는, 제 1 연장부(17)의 형상(매끄러운 굴곡 형상)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선이 모자체(2)의 내면을 향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축선방향으로의 찌부러짐에 의해 충격력을 흡수한다.
게다가, 모자체(2)의 측두부 측에는, 제 3 충격 흡수부(27)(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충격 흡수부에 해당한다)가 마련되어있다. 또한, 제3 충격 흡수부(27)는, 자세하게는 후술하지만, 각각,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모자체(2)의 측두부 보호 영역(34)에 마련되어있다.
제3 충격 흡수부(2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리부 연결부(8)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28)의 하단에 마련되어있다. 제3 연장부(28)는 측두부측의 2개의 다리부(7) 사이로 연장되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자체(2)의 내면에 제3 충격 흡수부(27)를 접촉시키는 형상(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매끄럽게 굴곡시킨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제3 충격 흡수부(27)는, 서로 통기 가능한 틈을 가지고 마련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통 형상 구조부(29)와, 각 통 형상 구조부(29)의 바닥부를 서로 연결하는 판상의 기부(30)에 의해 구성되어있다. 제3 충격 흡수부(27)의 통 형상 구조부(29)는, 제 1 충격 흡수부(11)가 구비하는 것과 동일하게 다각통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육각통 형상)으로 형성되어있다. 제3 충격 흡수부(27)의 기부(30)도, 제 3 충격 흡수부(27)에 있어서의 통 형상 구조부(29)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형상인 것 이외는, 제 1 충격 흡수부(11)가 구비하는 것과 같다.
또한, 다리부(7)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자체(2)의 내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31)를 구비하고 있다. 돌기(31)는, 다리부(7)와 모자체(2)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대응하는 돌출량을 갖고 있다. 게다가, 돌기(31)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찌부러짐 등의 변형에 의해 모자체(2)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모자체(2)에 설치된 다리부(7)는, 하단보다도 두정측이 모자체(2)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대응시키기 위해, 다리부(7)에 복수의 돌기(31)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방에 위치하는 돌기(31)보다도 상방에 위치하는 돌기(31)의 돌출량을 크게 한다.
다리부(7)에 돌기(31)를 마련함으로써, 다리부(7)와 모자체(2)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충분히 확보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충격 하중에 의한 다리부(7)와 모자체(2) 내면과의 접촉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다리부(7)가 갖고 있는 충격 완화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가 있다.
또한, 다리부(7)의 돌기(31)에 의해, 해먹(4)에 접하는 사람 머리와 모자체(2)의 내면과의 사이에 공극이 형성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가 있으므로, 모자체(2)의 내부의 통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게다가, 돌기(31) 자체가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고 있음에 의해, 돌기(31)를 통하여 다리부(7)로부터 사람 머리에 전달되는 충격도 완화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충격 흡수부(11), 제 2 충격 흡수부(15), 및 제3 충격 흡수부(27)는, 해먹(4)에 마련되어 있음에 의해, 헤드 밴드(5)의 높이방향의 위치가 조절되어도, 모자체(2)에 대한 위치나 접촉 자세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성의 제1 충격 흡수부(11), 제 2 충격 흡수부(15), 및 제3 충격 흡수부(27)를 해먹(4)에 마련한 것에 의해, 모자체(2)에 있어서의 필요한 위치에서 확실히 충격을 흡수할 수가 있으므로, 예를 들면 발포스티롤제의 충격 흡수 라이너를 마련할 필요가 없고, 높은 통기성이나 방열성을 얻으면서,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모자체(2)에 있어서의 제1 충격 흡수부(11) 및 제3 충격 흡수부(27)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충격 흡수부(11)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전두부 보호 영역(32)과 후두부 보호 영역(33)에 마련된다. 제3 충격 흡수부(27)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측두부 보호 영역(34)에 마련된다.
전두부 보호 영역(32)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람 머리 중심축(도시하지 않음)과 합치하여 모자체(2)의 두정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제1 기준선(A)을 마련하고, 제1 기준선(A)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2 기준선(B)을 마련한다. 제2 기준선(B)은, 모자체(2)의 하단부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는 계지용 돌기(다리부(7)를 모자체(2)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를 지나서 모자체(2)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복수의 계지용 돌기중에서 그 높이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계지용 돌기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제2 기준선(B)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 1 기준선(A)과 제2 기준선(B)의 교점을 기준점(P)으로 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기준점(P)으로부터 제2 기준선(B)의 좌우에 각각 25도의 각도(θ1)을 갖고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직선(f1, f2)을 마련한다. 이 직선(f1, f2)이 모자체(2)와 교차하는 점의 사이의 범위를 원주방향 범위(Fw)로 한다. 게다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점(P)으로부터 제2 기준선(B)의 상방으로 35도의 각도(θ2)를 갖고 경사져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f3)을 마련한다. 이 직선(f3)과 제2 기준선(B)이 모자체(2)와 교차하는 점의 사이의 범위를 높이방향 범위(Fh)로 한다. 그리고, 원주방향 범위(Fw)와 높이방향 범위(Fh)로 구성되는 대략 사각형의 범위가 도 4b에 나타내는 전두부 보호 영역(32)으로서 설정된다.
후두부 보호 영역(33)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점(P)으로부터 제2 기준선(B)의 좌우로 각각 30도의 각도(θ3)를 갖고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상의 직선(r1, r2)을 마련한다. 이 직선(r1, r2)이 모자체(2)와 교차하는 점의 사이의 범위를 원주방향 범위(Rw)로 한다. 게다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점(P)으로부터 제2 기준선(B)의 상방으로 35도의 각도(θ4)를 갖고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r3)을 마련한다. 이 직선(r3)과 제2 기준선(B)이 모자체(2)와 교차하는 점의 사이의 범위를 높이방향 범위(Rh)로 한다. 그리고, 원주방향 범위(Rw)와 높이방향 범위(Rh)로 구성되는 대략 사각형의 범위가 도 4a에 일부를 나타내는 후두부 보호 영역(33)으로서 설정된다.
측두부 보호 영역(34)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먼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준선(A)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3기준선(C)을 마련한다.
제3 기준선(C)은, 모자체(2)의 하단부 내면에 마련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계지용 돌기(다리부(7)를 모자체(2)에 연결하는 연결부)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를 지나서 모자체(2)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복수의 계지용 돌기중에서 그 높이 위치가 다른 경우에는, 전술한 제2 기준선(B)을 설정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계지용 돌기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제3 기준선(C)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점(P)으로부터 제3 기준선(C)의 전후로 각각 30도의 각도(θ5)를 갖고 경사져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측에서 한 쌍의 가상의 직선(s1, s2)을 마련한다. 이 직선(s1, s2)이 모자체(2)와 교차하는 점의 사이의 범위를 원주방향 범위(Sw)로 한다. 게다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점(P)으로부터 제3 기준선(C)의 상방으로 50도의 각도(θ6)를 갖고 경사져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가상의 직선(s3)을 마련한다. 이 직선(s3)과 제3 기준선(C)이 모자체(2)와 교차하는 점의 사이의 범위를 높이방향 범위(Sh)로 한다. 그리고, 원주방향 범위(Sw)와 높이방향 범위(Sh)로 구성되는 대략 사각형의 범위가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측두부 보호 영역(34)으로서 설정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설정한 전두부 보호 영역(32), 후두부 보호 영역(33), 및 측두부 보호 영역(34)은, 헬멧(1)의 착용자가 넘어졌을 경우에, 충격을 받는 것이 예상되는 범위를 특정한 것이다. 그리고, 전두부 보호 영역(32)과 후두부 보호 영역(33)의 각각에 제1 충격 흡수부(11)를 마련하고, 측두부 보호 영역(34)에 제3 충격 흡수부(27)를 마련함으로써, 충분한 보호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두부 보호 영역(32)과 후두부 보호 영역(33)과 측두부 보호 영역(34)을 제외한 영역을 통기용의 공극으로서 이용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충격 흡수부(11)와 제3 충격 흡수부(27)의 사이의 두정부를 포함한 영역에는 비교적 넓은 공극이 형성되어 모자체(2)의 내부의 통기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있다.
또한, 제1 충격 흡수부(11) 및 제3 충격 흡수부(27)는, 각각 각 보호 영역(32, 33, 34)에 수용되는 크기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충격 흡수부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 충격 흡수부(11) 및 제3 충격 흡수부(27)는, 각각 모자체(2)와 해먹(4)의 사이의 공극이 극도로 좁아지지 않는 크기로서, 또한 해먹(4)의 내측(사람 머리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면, 각 보호 영역(32, 33, 34)에 대응하는 위치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크기를 갖고 있어도 좋다. 게다가, 제 2 충격 흡수부(15)(도 1 참조)와 같이, 모자체(2)의 내측의 통기성을 방해하지 않는 크기라면, 전두부 보호 영역(32)과 후두부 보호 영역(33)과 측두부 보호 영역(34)을 제외한 영역에 마련하여도, 착용시의 쾌적성이 거의 손상되는 일은 없고, 한층 높은 보호 성능을 부여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충격 흡수부(11), 제 2 충격 흡수부(15) 및 제3 충격 흡수부(27)의 통 형상 구조부(21, 25, 29)를 다각통 형상으로 하였지만, 통 형상 구조부(21, 25, 29)는 다각통 형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통 형상이라도 좋다. 또한, 통 형상 구조부(21, 25, 29)의 수량 및 크기는 적절히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8개의 다리부(7)를 구비하는 해먹(4)을 나타냈지만, 다리부(7)의 수는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지만, 4개의 다리부를 구비하는 해먹이라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해먹(4)에 제1 충격 흡수부(11), 제 2 충격 흡수부(15), 및 제3 충격 흡수부(27)를 마련한 예를 나타냈지만, 모자체(2)의 전두부측과 후두부측에 위치하는 제1 충격 흡수부(11)만을 마련하여도 좋다. 이에 의하면, 사람 머리와 모자체(2)의 사이에 한층 넓은 공극을 형성할 수가 있으므로, 착용시의 쾌적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음과 함께, 경량화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현가부(10)의 일단이 다리부(7)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 1 현가부(10)의 양단을 모두 다리부(7)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여 다리부(7)와 별개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의 다리부(7) 사이에 형성된 1개의 공극에 걸쳐지는 제1 현가부(10)를 나타냈지만, 다리부(7)와 별개의 제1 현가부로 하였을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3개 이상의 다리부(7)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공극에 걸쳐지는 길이에 형성된 제1 현가부를, 헤드 밴드(5)보다도 상방의 위치에 마련하고, 이 제1 현가부에 상기 제 1 충격 흡수부(11)를 마련하여도 좋다. 이 경우, 게다가, 도시하지 않지만, 제 1 현가부를 환상으로 형성하여 그 일부를 어느 다리부(7)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환상의 제1 현가부에서, 다리부(7)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 1 충격 흡수부(11)를 마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헬멧은, 해먹의 다리부에, 헤드 밴드보다도 두정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2개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부분에 걸쳐지는 현가부를 마련하고, 현가부에,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를 마련함으로써, 높은 통기성이나 방열성을 얻으면서, 충분한 충격 흡수 능력을 최적의 위치에서 발휘할 수가 있다.
1: 헬멧 2: 모자체
4: 해먹 5: 헤드 밴드
7: 다리부 10: 제1 현가부(현가부)
11: 제1 충격 흡수부(충격 흡수부) 14: 제2 현가부(현가부)
15: 제2 충격 흡수부(충격 흡수부) 16: 헤드 밴드 연결부
17: 제1 연장부(연장부) 21, 25: 통 형상 구조부
27: 제3 충격 흡수부(다른 충격 흡수부) 31: 돌기
32: 전두부 보호 영역 33: 후두부 보호 영역
34: 측두부 보호 영역 A: 제1기준선
B: 제2기준선 P: 기준점
Fw, Rw, Sw: 원주방향 범위 Fh, Rh, Sh: 높이방향 범위

Claims (8)

  1. 경질의 모자체와, 그 모자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사람 머리에 접하는 해먹과, 헤드 밴드로 구성되는 장착체를 구비한 산업용 안전모에 있어서,
    상기 해먹은, 상기 모자체의 내면에 대해서 소정의 공극을 갖고 두정부에 형성된 다리부 연결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하단부가 모자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구비하며, 그 다리부의 내측 하부에는, 사람 머리의 외주에 장착하는 환상의 상기 헤드 밴드가 배치되며,
    상기 다리부에, 상기 헤드 밴드보다 두정측에 위치하여, 적어도 2개의 다리부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 부분에 걸쳐지는 현가부를 마련하고,
    그 현가부에, 충격 흡수부를 설치함으로써, 그 충격 흡수부를 상기 해먹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하여, 상기 충격 흡수부와 상기 모자체가 접촉하여 상기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전체에 상기 충격 흡수부가 없는 상기 다리부 연결부가 상기 모자체와 접촉하지 않고 상기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상기 다리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는, 서로 이웃하는 2개의 상기 다리부 사이의 간격 부분을 따라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부에, 상기 헤드 밴드를 자유로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헤드 밴드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축선방향으로 부여되는 충격력에 대해서 소정의 충격 흡수 능력을 갖는 통 형상 구조부를 구비하며, 그 통 형상 구조부의 축선을 상기 모자체의 내면을 향한 자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는, 상기 모자체의 내면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를 구비하며, 그 돌기는 상기 다리부와 상기 모자체의 내면과의 사이의 공극에 대응하는 돌출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자체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안전모.
  8. 삭제
KR1020167028943A 2014-05-01 2014-09-12 헬멧 KR102207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4819 2014-05-01
JP2014094819A JP5878202B2 (ja) 2014-05-01 2014-05-01 産業用安全帽
PCT/JP2014/074251 WO2015166598A1 (ja) 2014-05-01 2014-09-12 ヘルメ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711A KR20160146711A (ko) 2016-12-21
KR102207958B1 true KR102207958B1 (ko) 2021-01-26

Family

ID=54358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943A KR102207958B1 (ko) 2014-05-01 2014-09-12 헬멧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78202B2 (ko)
KR (1) KR102207958B1 (ko)
CN (1) CN106455740B (ko)
MY (1) MY185624A (ko)
WO (1) WO20151665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404U (ko) 2021-09-30 2023-07-07 광저우 쓰리 포인트 원 디자인 컴퍼니 리미티드 헤드 마운트 방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821540C (en) 2011-07-27 2015-01-27 Bauer Hockey Corp. Sports helmet with rotational impact protection
CA2934368C (en) 2013-12-19 2023-03-21 Bauer Hockey Corp. Helmet for impact protection
US9961952B2 (en) 2015-08-17 2018-05-08 Bauer Hockey, Llc Helmet for impact protection
EP4026449A3 (en) * 2017-03-29 2022-09-21 Park & Diamond Inc. Helmet
JP6883337B2 (ja) 2017-04-10 2021-06-09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CN107114845B (zh) * 2017-06-21 2019-10-22 新沂市棋盘工业集中区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涡卷弹簧驱动的安全帽
CN107296317B (zh) * 2017-06-21 2020-05-08 东营红星劳保用品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阻尼万向节的安全帽
US20190166944A1 (en) * 2017-12-06 2019-06-06 Titon Corp. Mechanical shock abatement system incorporating sacrificial systems
CN108813780A (zh) * 2018-07-30 2018-11-16 安徽省旌德飞迅安全设备有限公司 一种新式智能安全帽
WO2023067559A1 (en) * 2021-10-21 2023-04-27 Pacific Helmets Nz Safety helm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9081A2 (de) 2010-11-05 2012-05-10 Schuberth Gmbh Schutzanordnung für den körper eines lebewesens, insbesondere schutzhel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28647A (en) * 1976-07-27 1978-10-18 Esab Ab Helmet
US5337420A (en) * 1992-11-03 1994-08-16 Haysom Elbert M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and locating a helmet comfortably on the head of a person, and combination resulting therefrom
JP3011055B2 (ja) 1995-05-18 2000-02-21 東レ株式会社 ヘルメット
JP2853850B2 (ja) * 1996-03-01 1999-02-03 株式会社アライヘルメット ヘルメットの内装体用パッド及びその内装体
JP2013091882A (ja) * 2011-10-27 2013-05-16 Tanizawa Seisakusho Ltd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の固定装置
JP5591984B1 (ja) * 2013-07-19 2014-09-17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9081A2 (de) 2010-11-05 2012-05-10 Schuberth Gmbh Schutzanordnung für den körper eines lebewesens, insbesondere schutzhel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1404U (ko) 2021-09-30 2023-07-07 광저우 쓰리 포인트 원 디자인 컴퍼니 리미티드 헤드 마운트 방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55740B (zh) 2019-07-19
CN106455740A (zh) 2017-02-22
KR20160146711A (ko) 2016-12-21
JP2015212433A (ja) 2015-11-26
WO2015166598A1 (ja) 2015-11-05
MY185624A (en) 2021-05-26
JP5878202B2 (ja) 201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958B1 (ko) 헬멧
KR101081672B1 (ko) 안전헬멧용 두부보호체와 이러한 두부보호체를 구비한안전헬멧
JP2016023400A (ja) 緩衝ヘルメット
US20170135433A1 (en) Energy absorbing football helmet
US20090205113A1 (en) Low profile protective helmet
US8966672B2 (en) Fastener for low profile protective helmet internal suspension padding
AU2001295266B2 (en) Safety headgear
JP5591984B1 (ja) ヘルメット
JP3131987U (ja) 衝撃吸収帽子
JP6236243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KR100406219B1 (ko) 헬멧
US10595577B1 (en) Lewis helmet
JP2016075021A (ja) ヘルメット
KR20150128363A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헬멧
JP2021147731A (ja) ヘルメット
JP2016145439A (ja) 3点ハンモック装着型ヘルメット
JP6247143B2 (ja) ヘルメット
JP7363020B2 (ja) 衝撃を吸収する構造、およびヘルメット
JP6335043B2 (ja) 産業用安全帽
JP5808872B1 (ja) 3点ハンモック装着型ヘルメット
JP7327035B2 (ja) ヘルメット
JP6385877B2 (ja) ヘルメット
JP2021147732A (ja) ヘルメット
JP6236566B2 (ja)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JP6236244B2 (ja)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