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4479Y1 -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 Google Patents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4479Y1
KR200254479Y1 KR2020010024116U KR20010024116U KR200254479Y1 KR 200254479 Y1 KR200254479 Y1 KR 200254479Y1 KR 2020010024116 U KR2020010024116 U KR 2020010024116U KR 20010024116 U KR20010024116 U KR 20010024116U KR 200254479 Y1 KR200254479 Y1 KR 2002544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and
band portion
infant
head o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41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섭
Original Assignee
한동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섭 filed Critical 한동섭
Priority to KR20200100241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44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44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4479Y1/ko

Link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의 머리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아의 머리에서 숨구멍을 제공하면서 땀의 발산과 머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를 제공한다.
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는, 이마로부터 후방으로 머리를 둘러싸는 머리외주밴드부(11);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전방부분과의 사이에 상면전방공간부(21)를 두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양측 중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밴드부(12,13);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후방부분과의 사이에 양측으로 측면후방공간부(22,23)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밴드부(12,13)의 중앙부를 머리외주밴드부(11)의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밴드부(14,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safety cap of a head gear type for an infantile}
본 고안은,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아의 머리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아의 머리에서 숨구멍을 제공하면서 땀의 발산과 머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외부 충격에 따른 신체적 손상을 받기 쉽기 때문에 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완충작용을 하는 모자들이 대부분 개발되어 있다.
심지어는, 두개골의 구조에 따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유아의 신체적 손상 즉, 인체의 중요 부위로서, 머리(두뇌)와 목, 턱, 귀부위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해열수단이 구비된 유아용 보호헬멧까지도 실용신안등록 제1996-8733호(등록일자: 1996년10월09, 출원번호 제1995-10468호)로 제안되어 있다. 그 헬멧은, 머리를 보호하도록 격자 형성된 이중 튜브가 구성된 모자형의 헬멧본체의 내측 튜브에 충격완화 및 해열수단으로 물을 충진하고, 외측 튜브에는 공기를 충진하여 다중 충격흡수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위의 헬멧을 포함한 대부분의 모자는 안전성을 결여하거나, 또는 머리건강을 도외시하여 머리의 상부 전면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어 특히 유아의 머리에서 숨쉬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땀의 발산을 억제하고 머리의 혈액순환에도 지장이 초래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의 머리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유아의 머리에서 숨구멍을 제공하면서 땀의 발산과 머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착용상태를 설명하는 도 2의 좌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착용상태를 설명하는 도 3과 유사 좌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의 도 2와 유사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의 각 밴드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2: 외피 3,4: 접합부
5: 탄성부 10: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11: 머리외주밴드부 11a: 연장부
11c: 관통공 12: 제1상부밴드부
13: 제2상부밴드부 14,15: 연결밴드부
16,26: 벗김방지 턱밴드부 16a: 접합부
17,27: 고정밴드부
11b,17a,26a,26b,27a: 해체가능고정수단 (벨크로테이프 등)
21: 상면전방공간부 22,23: 측면후방공간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는, 유아의 머리건강을 도모하면서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아안전모에 있어서: 이마로부터 후방으로 머리를 둘러싸는 머리외주밴드부; 상기 머리외주밴드부의 전방부분과의 사이에 상면전방공간부를 두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의 양측 중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밴드부; 상기 머리외주밴드부의 후방부분과의 사이에 양측으로 측면후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밴드부의 중앙부를 머리외주밴드부의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턱에 걸려 벗김을 방지하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의 양측부에서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벗김방지 턱밴드부와, 상기 벗김방지 턱밴드부의 하부 양측에서 연결되어 후방 또는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고, 각 단부에서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의 해체가능고정수단에 의해 목뒤에서 서로 해체가능하게 고정되거나 X자형으로 상기 머리외주밴드부에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밴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밴드부는, 머리 상부에서 측면후방공간부를 전후로 분할하고, 연결밴드부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제1상부밴드부 및 제2상부밴드부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각 밴드부는, 그 단면에 있어, 양단의 접합부에서 봉제,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직물이나 합성수지 등의 한쌍의 외피 및 그 한쌍의 외피사이에 충진되는 스폰지, 솜, 공기층 등의 탄성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벗김방지 턱밴드부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의 적어도 일측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을 통과하여 벗김방지 턱밴드부의 적어도 일단이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의 해체가능고정수단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1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고, 도 2에는 도 1의 측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는 그 착용상태를 설명하는 도 2의 좌측면도가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10)는, 머리외주밴드부(11), 제1상부밴드부(12), 제2상부밴드부(13) 및 연결밴드부(14,15)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종래의 여러 가지 구조로도 변경이 가능한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 및 한쌍의 고정밴드부(17,27)를 포함하여구성된다.
그 머리외주밴드부(11)는, 이마로부터 후방으로 머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됨으로써 넘어진 때에 기본적으로 머리를 보호하도록 구성되고, 도면에서와 같이 후방에서 연장부(11a)가 형성됨으로써 더욱 뒤로 넘어진 때에 머리의 후방을 보호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상부밴드부(12) 및 제2상부밴드부(13)는, 하나만이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전방부분과의 사이에 상면전방공간부(21)를 두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양측 중간을 연결하여 구성된다.
또, 연결밴드부(14,15)는, 머리에의 착용이 가능하고, 더욱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후방부분과 상기 제1상부밴드부(12) 및 제2상부밴드부(13)를 연결함과 동시에 양측으로 측면후방공간부(22,23)를 형성하게 된다.
상술한 머리외주밴드부(11) 및 제1상부밴드부(12) 및 제2상부밴드부(13)와 연결밴드부(14,15)의 구성에 의해 측부 및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상면전방공간부(21) 및 측면후방공간부(22,23)를 제공하게 되어 머리의 숨구멍을 폐쇄함이 없어 충분한 공기를 흡수할 수 있게 되고, 아울러 머리로부터 땀발산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며, 나아가,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벗김방지 턱밴드부(16)는, 턱에 걸려 벗김이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양측부에서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 벗김방지 턱밴드부(16)는,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머리외주밴드부(11)에의 고정형태가 도시되지만,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벗김방지 턱밴드부(26)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적어도 일측에 관통공(11c)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11c)을 통과하여 벗김방지 턱밴드부(26)의 적어도 일단이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의 해체가능고정수단(26a,26b)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한쌍의 고정밴드부(17,27)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벗김방지 턱밴드부(16)의 하부 양측에서 연결되어 후방 또는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고, 각 단부에서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의 해체가능고정수단(17a)에 의해 목뒤에서 서로 해체가능하게 고정되거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X자형으로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에 해체가능고정수단(11b,27a)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그 해체가능고정수단(11b,17a,26a,26b,27a)은 다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목뒤로 고정시키거나 X자형으로 고정시키는 것을 선택할 수 있어, 고정시의 착용감을 변화시켜 고정밴드부(17,27)와의 머리 내지 목 접촉부에서의 땀발생을 저지하고 발생된 땀의 발산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10)의 각 밴드부의 단면도의 일구조예가 도시된다. 도 6에서,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 제1상부밴드부(12), 제2상부밴드부(13), 연결밴드부(14,15) 등은, 그 단면에 있어, 양단의 접합부(3,4)에서 봉제,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직물이나 합성수지 등의 한쌍의 외피(1,2) 및 그 한쌍의 외피(1,2)사이에 충진되는 스폰지, 솜, 공기층 등의 탄성부(5)로 구성될 수 있다.
직물로 구성되는 때에는 통상 봉제에 의해 각 부분이 고정되지만, PE 등의 합성수지로 된 때에는 가열, 융착하여 접합시킬 수 있으며, 외피(1,2)가 튜브형인 경우에는 접합부(3,4)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 PE 등의 합성수지로 가열, 융착시키는 때에는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제1상부밴드부(12), 제2상부밴드부(13), 연결밴드부(14,15) 등을 하나의 원단으로부터 재단하여 탄성부(5)를 중간에 두고 한꺼번에 외피(1,2)를 가열,융착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의 일단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하는 때에는 더욱 그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 및 고정밴드부(17,27)까지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아니하지만, 접합부(3,4)의 단부모서리에 의해 피부가 다치지 아니하도록 내측 일측만이 융착되거나 재봉되도록 외피(1,2)가 하나의 원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내부로 봉재선이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도시가 생략되지만, 얼굴의 광대뼈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 또는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의 양측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는 얼굴보호밴드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머리외주밴드부(11)제1상부밴드부(12), 제2상부밴드부(13), 연결밴드부(14,15) 등으로 구성함으로써 유아의 머리의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상면전방공간부(21) 및 측면후방공간부(22,23)를 제공하여 유아의 머리에서 숨구멍을 제공하면서 땀의 발산과 머리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유아의 머리건강을 도모하면서 머리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아안전모에 있어서:
    이마로부터 후방으로 머리를 둘러싸는 머리외주밴드부(11);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전방부분과의 사이에 상면전방공간부(21)를 두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양측 중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부밴드부(12,13); 그리고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후방부분과의 사이에 양측으로 측면후방공간부(22,23)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밴드부(12,13)의 중앙부를 머리외주밴드부(11)의 후방에 연결되는 연결밴드부(14,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2. 제 1 항에 있어서, 턱에 걸려 벗김을 방지하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양측부에서 연결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와, 상기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의 하부 양측에서 연결되어 후방 또는 후방 상측으로 연장되고, 각 단부에서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의 해체가능고정수단(11b,17a,27a)에 의해 목뒤에서 서로 해체가능하게 고정되거나 X자형으로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에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는 한쌍의 고정밴드부(17,27)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부밴드부(12,13)는, 머리 상부에서 측면후방공간부(22,23)를 전후로 분할하고, 연결밴드부(14,15)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제1상부밴드부(12) 및 제2상부밴드부(13)로 구성되며;
    상기 각 밴드부는, 그 단면에 있어, 양단의 접합부(3,4)에서 봉제, 열융착 등의 방법에 의해 접합되는 직물이나 합성수지 등의 한쌍의 외피(1,2) 및 그 한쌍의 외피(1,2)사이에 충진되는 스폰지, 솜, 공기층 등의 탄성부(5)로 구성되며;
    상기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의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외주밴드부(11)의 적어도 일측에 관통공(11c)을 형성하고, 그 관통공(11c)을 통과하여 벗김방지 턱밴드부(16,26)의 적어도 일단이 단추, 벨크로테이프 등의 해체가능고정수단(26a,26b)에 의해 해체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KR2020010024116U 2001-08-09 2001-08-09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KR2002544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16U KR200254479Y1 (ko) 2001-08-09 2001-08-09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4116U KR200254479Y1 (ko) 2001-08-09 2001-08-09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4479Y1 true KR200254479Y1 (ko) 2001-11-24

Family

ID=73106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4116U KR200254479Y1 (ko) 2001-08-09 2001-08-09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44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84A (ko) * 2002-01-14 2003-07-23 김인곤 안전모자(安全帽子)
KR100424200B1 (ko) * 2002-05-06 2004-03-25 박덕규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0454294B1 (ko) * 2002-09-02 2004-10-26 김병기 머리 보호용 모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984A (ko) * 2002-01-14 2003-07-23 김인곤 안전모자(安全帽子)
KR100424200B1 (ko) * 2002-05-06 2004-03-25 박덕규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0454294B1 (ko) * 2002-09-02 2004-10-26 김병기 머리 보호용 모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38249B1 (en) Protective hat
US20130185843A1 (en) Under-Helmet Sweat Absorbing and Wicking Headpiece
EP3834645A2 (en) Soft shell helmet
KR20050072129A (ko) 냉각 헬멧
KR200254479Y1 (ko) 헤드기어형 유아안전모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20140086070A (ko) 쿨 헬멧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101230446B1 (ko) 헬멧의 접착식 내피
KR200425902Y1 (ko) 군 방탄모용 머리보호대
KR102111674B1 (ko) 안전모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5501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41032Y1 (ko) 충격을 방지해주는 챙
JP2003129324A (ja) 保護帽子の構造
KR200479141Y1 (ko) 안전모
CN213549984U (zh) 一种充气防护帽
WO2018092323A1 (ja) 医療用インナーキャップ
KR200282400Y1 (ko) 모자
KR20030087124A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JP2012072527A (ja) 頭部保護具
KR20170000099U (ko) 안전모용 내피
EP1694151B1 (en) Headband
EP4079179A1 (en)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