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773Y1 - 유아용 머리보호대 - Google Patents

유아용 머리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773Y1
KR200268773Y1 KR2020010025351U KR20010025351U KR200268773Y1 KR 200268773 Y1 KR200268773 Y1 KR 200268773Y1 KR 2020010025351 U KR2020010025351 U KR 2020010025351U KR 20010025351 U KR20010025351 U KR 20010025351U KR 200268773 Y1 KR200268773 Y1 KR 2002687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ushioning material
infants
infant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규
Original Assignee
박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규 filed Critical 박덕규
Priority to KR2020010025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7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7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773Y1/ko

Link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이것은 머리보호대로써 유아(幼兒)뿐만 아니라 특히 기기 시작하거나 초기 걸음마를 하는 유아(乳兒)의 머리호보를 목적으로 고안되었으며, 이 고안은 완충재만을 사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완충재를 관(冠) 모양으로 둘러 각 완충재 끝부분의 구멍사이로 고무 끈을 서로 연결하여 묶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왕관형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유아의 동화적인 분위기의 친숙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Description

유아용 머리보호대{pediatric head protector}
유아(乳兒)용으로 된 머리보호대는 시중에 나와 있지 않고, 다만 종래의 유아용 머리보호대는 몇세정도 나이의 유아(幼兒)가 운동할 때 머리보호장구 용으로 개발되어서 바깥에는 딱딱한 플라스틱 재질이 있고 그 안에 완충재가 들어 있다.본 고안은 몇 세 된 유아(幼兒)도 사용할 수 있지만 주로 기기 시작하는 몇 개월에서 초기 걸음마를 시작하는 유아(乳兒)에 중점을 두고 머리보호를 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다.
어린 아기의 머리손상을 지켜보니 주로 기기 시작하는 유아는 방바닥에 부딪혀서 전두부 손상을 가져오고, 물건을 붙잡고 서 있다가 잠깐 한 눈팔다가 손을 놓거나 미끄러져 전두부와 측두부의 머리손상을 가져온다. 그리고 침대나 소파 같은 높은 곳에 올라가 떨어지는 경우에 전두부 특히 두정부의 손상을 가져온다. 또한 뒤로 넘어지면 후두부의 손상을 가져온다.이런 무방비 상태의 유아기 4개월에서 돌 정도의 유아는 두개골이 굳지 않아 쉽게 골절상을 입게되거나 외부충격으로 인한 뇌출혈이나 혈종이 생길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유아기의 어린이는 머리보호를 위하여 어린이의 매트에 주로 사용하는 가볍고 부드러우며 잘 휘어지는 두꺼운 재질을 가진 완충재를 사용하였고 이 완충재는 순간접착제에 강하게 접착되어 변형제작이 용이하다.제작은 여러 방향으로 완충재를 관 모양으로 둘러 각 완충재 끝부분의 구멍사이로 고무끈을 서로 연결하여 묶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유아의 머리부분의 충격을 막도록 고안하였으며, 이런 방식은 완충재 사이에 틈이 많아 땀이 많이 나는 유아들의 머리에 통풍이 잘 되어 좋다.
또한 아기의 머리가 커지면 본 머리보호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각 방향으로 두른 완충재의 끝부분에 구멍을 내어 이를 고무끈으로 연결하고 고무끈 끝부분을 길이 조정 클립을 달아 유아에게 착용감을 좋게 길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완충재에 깃을 두어 여러 방향으로 완충재를 관모양으로 두르면 전체적으로 왕관과 같은 느낌을 주어 유아에게 친숙한 이미지를 갖도록 하였다.
가볍고 두껍고 부드러우며 잘 휘어지는 재질을 사용하여 유아에게 착용감을 좋게 하여 오래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유아(幼兒)뿐만 아니라 무방비 상태의 유아(乳兒)의 충격으로 인한 머리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1은 머리보호대를 펼쳐놓은 전개도(바깥 면)도 2는 머리보호대를 조립하여 정면에서 본 그림도 3은 머리보호대를 조립하여 뒷면에서 본 그림도 4는 머리보호대를 조립하여 측면에서 본 그림도 5는 머리호보대를 조립하여 윗면에서 본 그림도 6은 머리보호대를 뒷면에서 고정하는 방식 간략 도면<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①은 머리를 수평으로 두르는 수평완충재②는 머리를 수직으로 두르는 중앙수직완충재③,④는 머리를 45도 정도로 기울여서 두르는 빗각완충재⑤는 각 완충재의 끝의 구멍과 연결하는 고무끈⑥은 고무끈의 길이를 쉽게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는 클립⑦은 고무끈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
전체적으로 왕관형의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구성은 도1에서 머리충격방지를 위해 머리 둘레를 감싸는 수평완충재① (길이 465mm내외, 두께 10mm, 폭 15mm으로 5mm두께의 깃이 붙어 있는 모양), 머리 위 부분의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수직완충재② (길이 260mm내외, 두께 10mm, 폭 15mm으로 10mm두께의 깃이 쌍으로 붙어 있는 모양), 양쪽으로 45도 정도의 각도로 비스듬히 머리부분을 감싸는 빗각완충재③,④(길이 215mm내외, 두께 10mm, 폭 15mm으로 10mm 두께의 깃이 붙어 있는 모양)가 있다.각 깃의 모양과 크기는 일정하나 수평완충재에 붙어 있는 깃의 두께만 다르게 하였다.각 완충재의 끝부분에 구멍이 있는데 이곳은 고무끈⑤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고무끈의 끝에 길이를 쉽게 조정하고 고정할 수 있는 클립⑥이 있다. 이는 성장하는 아이의 머리둘레에 맞도록 조정할 수 있어서 용이하다. 각 완충재의 구멍⑦에 고무끈⑤를 연결하여 매듭지으면 도2(정면), 도2(뒷면), 도4(측면), 도5(윗면) 와 같은 모양이 된다.각 완충재의 한쪽 끝을 서로 순간접착제로 붙이면 도1과 같은 펼쳐 놓은 모양이 되고, 역시 머리보호대의 고무끈의 매듭을 풀고 펼쳐 놓으면 도1과 같은 모양이 된다.수평완충재①의 몸체는 10mm두께로 되어 있으나 깃은 5mm의 두께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깃이 최대한 유아의 두피와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도1의 표시1 참조), 도2에서 수직완충재②와 빗각완충재③과 ④가 수평완충재①보다 5mm로 앞으로 나오게 하여 접착한 것(도1의 표시2 참조)도 수평완충재의 몸체10mm 두께부분 외에는 가급적 각 완충재가 유아의 두피와 닿지 않도록 하여 이물감을 적게 느끼도록 하기 위함이다.고안의 구성의 기본 틀은 본 도면과 같으나 더욱더 안정성을 위해서는 틈새의 공간을 고려하여 필요한 곳의 완충재 몸체부위에 완충재 깃을 더 부착하면 된다.
유아뿐만 아니라 무방비 상태의 기기 시작하는 유아의 넘어지거나 물건에 부딪힘에 의한 머리손상방지가 크고, 성장하는 유아의 머리에 맞게 길이조정을 할 수 있으며, 완충재 사이로 틈이 있어서 통풍효과가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왕관형의 모양으로 유아에게 친숙한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Claims (3)

  1. 가볍고 부드러우며 잘 휘어지는 두꺼운 완충재를 도1과 같이 만들고 수평방향①, 수직방향② 빗각방향③④으로 머리부분을 둘러서 가리고 각 완충재의 끝 부분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 각각의 방향으로 여러 완충재가 머리부분을 중점적으로 가리고 머리 노출부분을 작게 하도록 완충재의 깃이 있어서 완충재 사이의 틈새를 메워 빈 틈새를 작게 하여 머리를 보호하도록 한 것임. 이렇게 함으로서 유아(幼兒)뿐만 아니라 초기 걸음마를 배우는 유아(乳兒)에게도 통풍과 이물감을 적게 하여 편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 유아용 머리보호대
  2. 청구항1에 있어서 이들 깃이 붙어있는 완충재를 둘러 고정한 모양이 전체적으로 왕관형으로 유아에게 친숙한 이미지로 만든 것
  3. 청구항1에 있어서 각 완충재의 끝 부분을 고정하는 방식은 완충재의 끝에 있는 구멍⑦사이로 탄력성이 있는 고무끈⑤을 연결하고 수직완충재②의 끝에서 고무끈 두 끝을 빼내어 길이조정이 가능한 클립에 고무줄을 통과시켜 고무끈 끝을 묶어 고리를 만든다. 이렇게 연결하면 클립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클립을 빠져 나온 매듭부분(도6의 표시1)의 고무끈을 당기거나 풀어서 머리둘레에 맞게 길이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
KR2020010025351U 2001-08-21 2001-08-21 유아용 머리보호대 KR2002687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51U KR200268773Y1 (ko) 2001-08-21 2001-08-21 유아용 머리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351U KR200268773Y1 (ko) 2001-08-21 2001-08-21 유아용 머리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773Y1 true KR200268773Y1 (ko) 2002-03-16

Family

ID=7310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351U KR200268773Y1 (ko) 2001-08-21 2001-08-21 유아용 머리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7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94B1 (ko) * 2002-09-02 2004-10-26 김병기 머리 보호용 모자
KR20230071242A (ko) * 2021-11-16 2023-05-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딩가능한 휴대용 헬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294B1 (ko) * 2002-09-02 2004-10-26 김병기 머리 보호용 모자
KR20230071242A (ko) * 2021-11-16 2023-05-2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딩가능한 휴대용 헬멧
KR102539361B1 (ko) * 2021-11-16 2023-06-0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딩가능한 휴대용 헬멧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5903A (en) Infant protection headgear
US5615419A (en) Toddler helmet
WO2003013298A3 (en) Head protector for infants and small children
KR200268773Y1 (ko) 유아용 머리보호대
US20020189004A1 (en) Headguard to reduce injury severity to the wearer
US20040006804A1 (en) Protective mouth shield
US6263515B1 (en) Protective headwear for a child
KR100424200B1 (ko) 유아용 머리 보호대
KR100558169B1 (ko) 유아용 보호구
KR101012693B1 (ko) 유아용 두상 교정모
JP3798006B2 (ja) 保護帽子
CN206791768U (zh) 一种婴幼儿学步保护帽
CN212788052U (zh) 一种婴儿防摔学步枕
KR200301370Y1 (ko) 유아용 머리 보호장구
CN212699262U (zh) 一种透气性好的颈椎固定装置
KR200176044Y1 (ko) 유아용 머리 보호구
CN210447332U (zh) 一种马头型防护头罩
EP1694151B1 (en) Headband
KR0123579Y1 (ko) 유아용 머리 보호구
CN219556395U (zh) 一种户外运动用护臂或护膝
KR200362003Y1 (ko)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CN201967765U (zh) 一种防护安全帽
JP2002204736A (ja) 乳幼児用の後頭部保護クッション
JP7150288B2 (ja) 防水マスク
KR200258252Y1 (ko) 유아용보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