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304B1 -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304B1
KR102632304B1 KR1020220006824A KR20220006824A KR102632304B1 KR 102632304 B1 KR102632304 B1 KR 102632304B1 KR 1020220006824 A KR1020220006824 A KR 1020220006824A KR 20220006824 A KR20220006824 A KR 20220006824A KR 102632304 B1 KR102632304 B1 KR 102632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pressing
holder
power transmiss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1067A (ko
Inventor
장순식
Original Assignee
솔라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솔라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솔라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0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304B1/ko
Publication of KR2023011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2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 B30B1/04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lever mechanism operated by hand or fo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2/00Pr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0B1/00 - B30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14Control arrangements for mechanically-drive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의 상판에 돌출되며 구성품 사이에 충전재가 도포된 조립 구성품을 유동하지 않게 잡아주는 수용 홀더; 상기 수용 홀더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 홀더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동력 전달수단; 상기 작업대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홀더에 고정된 조립 구성품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도로 표지병의 구성요소인 투명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를 결합공간부 내에 균일한 두께와 높이로 일률적인 도포가 이루어져 충전재의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마 아니라 접착제의 불균형 도포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Filler uniform appl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표지병의 구성요소인 투명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를 균일한 두께와 높이로 일률적으로 포도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방향 통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중앙선에는 도로 표지병 또는 경관등을 설치하여 차량이 중앙선 밖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중앙선의 경계를 명확히 하여 안전운전을 돕는다.
상기 도로 표지병 또는 경관등(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로 표지병'으로 한정하여 기재함)은 LED 모듈을 구비한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에 결합되는 투명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 및 투명 케이스를 수용하며 도로에 매립되는 외부 케이스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도로 표지병을 조립 제조하기 위해서는 일방향으로 순환 회전하는 이송레일의 일정 구간마다 작업자들을 배치하고 이들 작업자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단계별 조립을 통해 제품의 제조를 완료하게 된다.
그런데, 최종 조립 단계에 있어 상기 투명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충전재(접착제)가 투입된 후 상호 고착시키는 작업에 있어서 불량률이 높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케이스(P1) 내부에 충전재가 투입된 상태에서 상기 투명 케이스(P2)를 결합시킨 후 상기 투명 케이스의 상면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누르는 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충전재가 골고루 펴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충전재에 의한 상호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상기 투명 케이스(P2)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가압력을 통해 충전재를 도포시키는 경우 외부 케이스(P1)와 투명 케이스(P2) 사이의 공간 전체를 완벽하게 메우지 못하고 한쪽으로 편향된 불완전한 형태로 고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충전재를 과다하게 투입하여 상기 투명 케이스(P2)를 누르는 압력에 상기 충전재가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통해 완전한 밀폐 고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는 충전재를 과다하게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제조비용의 단가를 크게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오버플로우된 충전재는 장치 및 작업장을 쉽게 더럽히기 때문에 작업장 환경 및 장치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2260913호(2021.05.3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70636호(2005.01.2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명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를 균일한 두께와 높이로 일률적인 포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는, 작업대의 상판에 돌출되며 구성품 사이에 충전재가 도포된 조립 구성품을 유동하지 않게 잡아주는 수용 홀더; 상기 수용 홀더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 홀더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동력 전달수단; 상기 작업대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홀더에 고정된 조립 구성품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수용 홀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과 작업대 상판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세워지며 일측에 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고정 지지대, 상기 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하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레버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 지지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연장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레버 또는 가압부재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레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립 구성품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 상기 고정 몸체와 탄성 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용 웨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사용자의 발로 밟는 압력 유무에 의해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을 작동시키는 발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의 회전레버를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시키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편 단자와, 상기 가동편 단자에 대응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는 고정편 단자를 구비한 단자 접촉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수용 홀더, 회전동력 전달수단 및 가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도로 표지병의 구성요소인 투명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를 결합공간부 내에 균일한 두께와 높이로 일률적인 도포가 이루어져 충전재의 오버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마 아니라 접착제의 불균형 도포에 따른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투명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사이에 빈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이물질 침입에 의한 방수 및 내구성 향상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충전재를 이용한 구성품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작업대와 수용 홀더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작용에 따른 조립 구성품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의 상판(110)에 돌출되며 구성품(P) 사이에 충전재가 도포된 조립 구성품(P)을 유동하지 않게 잡아주는 수용 홀더(200), 상기 수용 홀더(20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 홀더(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동력 전달수단(300), 상기 수용 홀더(200)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작업대(100) 상판(110)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홀더에 고정된 조립 구성품(P)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수단(400) 및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작업대(100)는 소정의 넓이를 가지는 평판형 상판(110)과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20)를 구비한 베이스 구조물이다.
상기 작업대(100)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110)은 직사각형상의 판으로 작업시 다수의 작업 물품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일정 크기를 가지며, 상기 지지다리(120)는 상기 상판(110)의 하면에 용접 또는 나사체결 등의 방법을 통해 상호 일체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판(110)의 중앙에는 후술할 수용 홀더(200) 및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11)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 홀더(200)는 상기 상판(110)의 관통공(111)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충전재가 도포된 조립 구성품(P, 도로 표지병의 '외부 케이스(P1)')을 유동하지 않게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용 홀더(200)는 상기 외부 케이스(P1)의 바닥면과 외주면에 긴밀하게 면 밀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수용 홀더(200)와 외부 케이스(P1)가 함께 용이한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찰력이 높은 탄성소재의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 홀더(200)의 수용홈(201)은 상기 외부 케이스(P1)의 외주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 홀더(200)의 수용홈(201) 깊이는 상기 외부 케이스(P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수용 홀더(200)에 결합된 외부 케이스(P1)를 빼내는 작업이 한층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은 상기 수용 홀더(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 홀더(20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은 상기 상판(110)의 관통공(111)에 결합되는 구조로 설치가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은 상기 수용 홀더(2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310), 상기 턴테이블(310)과 작업대(100) 상판(110)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320), 상기 상판(110)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310)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3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의 모터(33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3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턴테이블(310)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상기 턴테이블에 설치된 수용 홀더(2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작업대(100) 상판(1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 홀더(200)에 고정된 조립 구성품(P, 도로 표지병의 '투명 케이스(P2)')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가압수단(400)은 도로 표지병의 외부 케이스(P1) 내에 결합되는 투명 케이스(P2)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억누르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작업대(100)의 일측에 세워지며 일측에 힌지 결합부(411)를 구비한 고정 지지대(410), 상기 힌지 결합부(411)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하는 회전레버(420), 상기 회전레버(4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부재(430) 및 상기 회전레버(42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레버(420)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레버(440)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수단(400)은 작업자가 상기 조작레버(440)를 잡고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430)가 상기 투명 케이스(P2)를 가압할 수 있는 링크작동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400)은 상기 고정 지지대(410)의 타측에 설치되는 연장 프레임(450)과, 일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45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레버(420) 또는 가압부재(430)에 연결되는 스프링(460)을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연장 프레임(450)과 스프링(460)을 추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작레버(440) 및 회전레버(430)의 선회 작동 조작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 프레임(450)과 스프링(460)을 구성하게 되면, 작업자가 작업 중 상기 조작레버(440)를 놓치는 실수를 범하더라도 상기 조작레버(440)의 자중 무게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가압부재(430)가 상기 투명 케이스(P2)의 상면을 타격하여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압작용 완료 후 상기 회전레버(420)를 자동으로 상방향으로 탄성 이동시킬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레버(420)는 상기 가압부재(430)의 일측과 타측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는 복수의 단위 레버(420a)로 분할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가압부재(430)가 항상 상기 상판(110)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430)는 상기 회전레버(4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며 수직부재(431a)와 수평부재(431b)로 구성되는 고정 몸체(431), 상기 고정 몸체(431)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립 구성품(P)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432), 상기 고정 몸체(431)와 탄성 가압부(432)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용 웨이트(4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가압부(432) 역시 상기 투명 케이스(P2)의 상면에 접촉하는 마찰력을 높임과 아울러 탄력적인 가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소재의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수용 홀더(200), 회전동력 전달수단(300) 및 가압수단(400)을 구성함으로써, 도로 표지병의 구성요소인 투명 케이스(P2)와 외부 케이스(P1) 사이에 개재되는 충전재가 결합공간부 내에 균일한 두께와 높이로 일률적인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용 홀더(200)에 결합된 외부 케이스(P1)는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외부 케이스(P1) 내에 결합된 투명 케이스(P2)는 상기 가압수단(400)이 회전하지 않도록 누르는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외부 케이스(P1)와 투명 케이스(P2)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제는 자연스럽게 나선방향으로 T상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그 결합공간 전체를 깔끔하게 메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300)의 모터(330)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어수단(500)은 사용자의 발로 밟는 압력 유무에 의해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을 작동시키는 발판 스위치(510)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손으로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스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수단(500)은 상기 가압수단(400)의 회전레버(420)를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시키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편 단자(521)와, 상기 가동편 단자(521)에 대응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는 고정편 단자(522)를 구비한 단자 접촉 스위치(520)로 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도로 표지병 구성품을 제조하는 장치로 그 실시예를 한정하였으나, 건물 등의 외벽에 부착되어 편의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분위기 있는 야경을 연출하거나 산길이나 공원길 노변에 혹은 정원에 설치되고 야간에 점등되어 통행자가 길을 찾는데 불편함을 주지 않는 경관등을 제조하는 구성품 등에 대해서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작업대
200... 수용 홀더
300... 회전동력 전달수단
310... 턴테이블
320... 베어링
330... 모터
400... 가압수단
410... 고정 지지대
420... 회전레버
430... 가압부재
440... 조작레버
450... 연장 프레임
460... 스프링
500... 제어수단

Claims (7)

  1. 작업대의 상판에 돌출되며 구성품 사이에 충전재가 도포된 조립 구성품을 유동하지 않게 잡아주는 수용 홀더;
    상기 수용 홀더의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 홀더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부여하는 회전동력 전달수단;
    상기 작업대 상판에 설치되며 상기 수용 홀더에 고정된 조립 구성품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가압수단; 및,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에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가압수단의 회전레버를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시키는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가동편 단자와, 상기 가동편 단자에 대응하여 접촉이 이루어지는 고정편 단자를 구비한 단자 접촉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동력 전달수단은,
    상기 수용 홀더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과 작업대 상판 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
    상기 상판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작업대의 일측에 세워지며 일측에 힌지 결합부를 구비한 고정 지지대,
    상기 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 회전하는 회전레버,
    상기 회전레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및
    상기 회전레버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레버를 상하방향으로 조작하는 조작레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고정 지지대의 타측에 설치되는 연장 프레임과, 일단이 상기 연장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레버 또는 가압부재에 연결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회전레버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며 수직부재와 수평부재로 구성되는 고정 몸체,
    상기 고정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조립 구성품의 상면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
    상기 고정 몸체와 탄성 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용 웨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20006824A 2022-01-17 2022-01-17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KR10263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24A KR102632304B1 (ko) 2022-01-17 2022-01-17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6824A KR102632304B1 (ko) 2022-01-17 2022-01-17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67A KR20230111067A (ko) 2023-07-25
KR102632304B1 true KR102632304B1 (ko) 2024-02-01

Family

ID=8742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6824A KR102632304B1 (ko) 2022-01-17 2022-01-17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3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36B1 (ko) 2002-09-11 2005-03-08 정주식 도로표지병의 제조장치
KR101086051B1 (ko) * 2011-02-18 2011-11-22 엄홍섭 부스터 프레스 장치
JP5390891B2 (ja) * 2009-03-09 2014-01-15 高島産業株式会社 鍛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1516Y2 (ko) * 1985-07-08 1991-07-04
JPH0810466Y2 (ja) * 1989-09-29 1996-03-29 ぺんてる株式会社 インデックステーブル付ハンドプレス
KR19980040402U (ko) * 1996-12-21 1998-09-15 박병재 수지괴 접착용 유압 프레스 장치
JP6776208B2 (ja) 2017-09-28 2020-10-2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36B1 (ko) 2002-09-11 2005-03-08 정주식 도로표지병의 제조장치
JP5390891B2 (ja) * 2009-03-09 2014-01-15 高島産業株式会社 鍛造装置
KR101086051B1 (ko) * 2011-02-18 2011-11-22 엄홍섭 부스터 프레스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Y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1067A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91866A (en) Support for windshield repair apparatus
CN104537968A (zh) 一种电子迎宾牌、电子白板及电子讲台
KR102632304B1 (ko) 충전재 균일 도포장치
CN106898255B (zh) 一种便捷式标牌安装装置
CN207904977U (zh) 一种方便翘起的市政道路井盖
CN205952111U (zh) 一种爬壁机器人
CN211349881U (zh) 一种用于月球基地搭建的模拟沙盘
CN213245489U (zh) 一种经济学模型展示架
CN105382114A (zh) 一种定位冲压装配装置
CN211933485U (zh) Oled透明液晶展示柜
CN105800088A (zh) 一种支撑压紧装置
CN205630812U (zh) 一种板材切割平台
KR101414166B1 (ko) 덴트 복원장치
CN204376278U (zh) 一种新型多功能电力检修架
CN210722382U (zh) 一种体全息广告机对应的光学可旋转装置
CN108910139A (zh) 一种便于扩充空间的贴膜机
CN210268697U (zh) 一种底涂检测用工作平台
CN209748651U (zh) 一种便于高度调节的图像识别装置用安装支架
CN212024729U (zh) 一种用于橄榄油锁盖机的瓶体固定机构
CN210699845U (zh) 一种药理学实验装置
CN110641005A (zh) 一种贴膜效果高的圆柱贴膜机
CN207014195U (zh) 贴砂纸装置
CN108162417B (zh) 一种真空杯辅助加压装置
JPH07291428A (ja) キャップ状物の供給装置
CN216232368U (zh) 角度可调式施工运输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