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195B1 -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195B1
KR102631195B1 KR1020230143688A KR20230143688A KR102631195B1 KR 102631195 B1 KR102631195 B1 KR 102631195B1 KR 1020230143688 A KR1020230143688 A KR 1020230143688A KR 20230143688 A KR20230143688 A KR 20230143688A KR 102631195 B1 KR102631195 B1 KR 102631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rslam bumper
lowering
cylinder
assembl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기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엔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엔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엔디산업
Priority to KR102023014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1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로서, 360도로 회동 가능한 원형 플레이트(110)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110)의 중심의 방사 방향에서 일정한 각도 단위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 플레이트(120)와,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의 종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130)와,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부(140)로 구비되는 공급부(100);와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의 상부로 이송하고,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형성하는 조립부(200);와 상기 조립부(20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검출수단(310)을 통해 가압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높이 및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조립 상태를 판별하는 검출부(300);와 상기 검출부(300)를 통해 판별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상기 제 1 고정부(130)로부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되, 상기 드랍공간(410)의 하부에는 완제품 회수 레일(420)이 배치되는 이송부(400);와 상기 공급부(100), 상기 조립부(200), 상기 검출부(300) 및 상기 이송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OVERSLAM BUMPER ASSEMBLY DEVICE }
본 발명은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으로 구비되는 오버슬램 범퍼의 조립을 360도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와 조립부를 활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작업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존 수작업으로 오버슬램 범퍼를 조립하는 것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나아가, 조립된 오버슬램 범퍼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오버슬램 범퍼가 불량인 경우 회수하지 않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버슬램 범퍼란 고무 등과 같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구비되어 도어, 보닛,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과 같은 차체 패널에 설치되는 차량용 부품이다.
이러한 오버슬램 범퍼는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의 조립으로 구성되며 도어, 보닛, 트렁크 및 테일게이트 등을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 소음을 완화시키며, 나아가 변형량에 비례하여 반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주행 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시키고, 부품의 손상을 최소화한다.
이때, 오버슬램 범퍼의 조립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를 조립하여야 하는 실정이므로 조립에 따른 시간이 오래걸려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수작업으로 오버슬램 범퍼를 조립하기 때문에, 불량률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불량으로 판단된 오버슬램 범퍼가 그대로 유통되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으로 구비되는 오버슬램 범퍼의 조립을 360도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와 조립부를 활용하여 자동화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작업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존 수작업으로 오버슬램 범퍼를 조립하는 것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나아가, 조립된 오버슬램 범퍼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오버슬램 범퍼가 불량인 경우 회수하지 않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으로 구비되는 오버슬램 범퍼의 조립을 360도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와 조립부를 활용하여 자동화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존 수작업으로 오버슬램 범퍼를 조립하는 것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나아가, 조립된 오버슬램 범퍼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오버슬램 범퍼가 불량인 경우 회수하지 않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는, 360도로 회동 가능한 원형 플레이트(110)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110)의 중심의 방사 방향에서 일정한 각도 단위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 플레이트(120)와,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의 종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130)와,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부(140)로 구비되는 공급부(100);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의 상부로 이송하고,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형성하는 조립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립부(20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검출수단(310)을 통해 가압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높이 또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조립 상태를 판별하는 검출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검출부(300)를 통해 판별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상기 제 1 고정부(130)로부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되, 상기 드랍공간(410)의 하부에는 완제품 회수 레일(420)이 배치되는 이송부(4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100), 상기 조립부(200), 상기 검출부(300) 및 상기 이송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조립부(200)는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의 동작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베이스 바디(210)와, 상기 베이스 바디(2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바디(2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승하강 실린더(221)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배치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연결되도록 승하강 가이더(230)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하는 그랩부재(251) 및 상기 그랩부재(251)를 제 2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2 전후방 실린더(252)로 구비되는 제 1 클리퍼(250)가 배치되는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와,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를 하강시키는 제 2 승하강 실린더(260)와, 상기 제 1 클리퍼(250),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 및 상기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상부로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 실린더(27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랩부재(251)는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와 결합하는 결합부재(251a)와, 상기 결합부재(251a)에 결합되는 제 1 회동축(251b)과, 상기 제 1 회동축(251b)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회동축(251b)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하는 가압재(251c)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가이더(230)는 승하강 로드(231)와, 상기 승하강 로드(23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스프링재(232)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재(232)의 원복력에 의해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의 사이에 공간부(233)가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공간부(2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승하강 실린더(260)가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상부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가 상기 공간부(233) 방향으로 하강하되, 상기 제 2 승하강 실린더(260)의 가압력은 상기 스프링재(232)의 원복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실린더(270)가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기 직전에, 상기 하부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정렬하는 제 2 클리퍼(28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 2 클리퍼(280)는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81)와, 상기 결합부재(281)의 종단에 배치되는 제 2 회동축(282)과, 상기 제 2 회동축(28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요홈(283a)이 형성된 정렬쇠(283)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 한편,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파지하여 상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도록 제 1 이송레일(430)과, 상기 제 1 이송레일(430)을 통해 제 2 방향을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이송바디(440)와, 상기 이송바디(44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면에는 제 2 이송레일(451)이 구비되는 결합면(450)과, 그 일면에 상기 제 2 이송레일(451)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승하강 요홈(461)이 구비되는 승하강 바디(460)와, 상기 승하강 바디(46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파지하는 제 3 클리퍼(470)로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검출부(300)는 그 종단에 상기 검출수단(310)이 결합되어 상기 검출수단(310)이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검출 실린더(320)와, 상기 검출수단(310)을 통해 판독한 상기 오버슬램 범퍼(B)가 기 설정된 높이 또는 압력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불량으로 인식하는 불량품 산출 모듈(330)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완제품 회수 레일(420)은 저면에 레일 실린더(421a)가 배치되는 제 1 회수 레일(421)과, 상기 레일 실린더(421a)와 결합되어, 상기 레일 실린더(421a)의 동작에 의해 제 3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제 1 회수 레일(421)의 내측을 슬라이딩하는 제 2 회수 레일(422)로 구비되되, 상기 불량품 산출 모듈(330)이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불량으로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레일 실린더(421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 회수 레일(422)이 제 3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오버슬램 범퍼(B)가 상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도, 상기 완제품 회수 레일(420)로 회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에 따르면,
첫째, 360도로 회전하는 원형 플레이트와 조립부를 활용하여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으로 구비되는 오버슬램 범퍼의 조립을 자동화한다.
둘째, 원형 플레이트가 360도로 회전함으로써, 작업 공간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기존 수작업으로 오버슬램 범퍼를 조립하는 것에 비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셋째, 검불부 및 이송부를 통해 조립이 완료된 오버슬램 범퍼의 불량 유무를 판별하여, 불량으로 판별되지 않은 오버슬램 범퍼는 회수하고, 불량으로 판별된 오버슬램 범퍼는 회수하지 않는다.
넷째, 하부 하우징, 탄성부재 및 상부 하우징을 조립 시 제 2 클리퍼(280)를 통해 탄성부재의 위치를 정렬하여, 결과적으로 불량으로 조립될 확률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오버슬램 범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조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오버슬램 범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내지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조립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0 내지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검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9 내지 2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의 이송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는 먼저, 하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에 내입되는 탄성부재(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10)과 압착을 통해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30)으로 구비되는 오버슬램 범퍼(B)를 조립하는 장치로서, 360도로 회동 가능한 원형 플레이트(110)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110)의 중심의 방사 방향에서 일정한 각도 단위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 플레이트(120)와,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의 종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130)와,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부(140)로 구비되는 공급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는 90도 간격으로 상기 원형 플레이트(1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술될 제어부(500)에 형성되는 스위치(510)를 동작시키면, 상기 원형 플레이트(110)는 90도 만큼 정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의 상부로 이송하고,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형성하는 조립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립부(20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검출수단(310)을 통해 가압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높이 또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조립 상태를 판별하는 검출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검출수단(310)은 압력센서, 높이측정센서 등 다양한 센서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조립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높이는 5cm여야 하는데, 조립이 불량하여 4cm로 측정되면 불량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기 검출부(300)를 통해 판별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상기 제 1 고정부(130)로부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되, 상기 드랍공간(410)의 하부에는 완제품 회수 레일(420)이 배치되는 이송부(40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공급부(100), 상기 조립부(200), 상기 검출부(300) 및 상기 이송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에, 상기 조립부(200)는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의 동작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베이스 바디(210)와, 상기 베이스 바디(2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바디(2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승하강 실린더(221)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배치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연결되도록 승하강 가이더(230)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하는 그랩부재(251) 및 상기 그랩부재(251)를 제 2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2 전후방 실린더(252)로 구비되는 제 1 클리퍼(250)가 배치되는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와,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를 하강시키는 제 2 승하강 실린더(260)와, 상기 제 1 클리퍼(250),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 및 상기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상부로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 실린더(27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의 전방은 도 10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화살표 방향은 전방을 뜻한다.
한편, 상기 조립부(200)의 동작 순서는 하기와 같다.
먼저, 상기 스위치(510)를 동작시켜 90도 정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가 고정된 제 1 고정부(130)와, 상기 상부 하우징(30)이 고정된 제 2 고정부(140)가 상기 조립부(200) 앞에 놓이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동작에 의해 상기 그랩부재(251)가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한다.
그 다음,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가 동작하여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 및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을 상승시켜 상기 상부 하우징(30)이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그 다음, 제 2 승하강 실린더(260)가 동작하여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이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와 근접하도록 배치한다.
그 다음, 상기 결합 실린더(270)가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와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결합시켜 오버슬램 범퍼(B)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그랩부재(251)는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와 결합하는 결합부재(251a)와, 상기 결합부재(251a)에 결합되는 제 1 회동축(251b)과, 상기 제 1 회동축(251b)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회동축(251b)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하는 가압재(251c)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가이더(230)는 승하강 로드(231)와, 상기 승하강 로드(23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스프링재(232)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재(232)의 원복력에 의해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의 사이에 공간부(233)가 형성된다.
여기에, 상기 공간부(2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승하강 실린더(260)가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상부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가 상기 공간부(233) 방향으로 하강하되, 상기 제 2 승하강 실린더(260)의 가압력은 상기 스프링재(232)의 원복력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실린더(270)가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기 직전에, 상기 하부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정렬하는 제 2 클리퍼(28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 2 클리퍼(280)는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81)와, 상기 결합부재(281)의 종단에 배치되는 제 2 회동축(282)과, 상기 제 2 회동축(28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요홈(283a)이 형성된 정렬쇠(283)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한편, 상기 조립부(200)에는 고정 실린더(2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 실린더(290)는 상기 스위치(510)를 동작시켜 90도 정방향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가 고정된 제 1 고정부(130)와, 상기 상부 하우징(30)이 고정된 제 2 고정부(140)가 상기 조립부(200) 앞에 놓이게 된 경우에,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의 정렬이 용이해짐으로써, 조립 시 불량품이 생산되는 확률을 감소시킨다. 이때,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고정 실린더(290)가 삽입되도록 실린더 삽입 통공(121)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파지하여 상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도록 제 1 이송레일(430)과, 상기 제 1 이송레일(430)을 통해 제 2 방향을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이송바디(440)와, 상기 이송바디(44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면에는 제 2 이송레일(451)이 구비되는 결합면(450)과, 그 일면에 상기 제 2 이송레일(451)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승하강 요홈(461)이 구비되는 승하강 바디(460)와, 상기 승하강 바디(46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파지하는 제 3 클리퍼(470)로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에, 상기 검출부(300)는 그 종단에 상기 검출수단(310)이 결합되어 상기 검출수단(310)이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검출 실린더(320)와, 상기 검출수단(310)을 통해 판독한 상기 오버슬램 범퍼(B)가 기 설정된 높이 또는 압력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불량으로 인식하는 불량품 산출 모듈(330)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완제품 회수 레일(420)은 저면에 레일 실린더(421a)가 배치되는 제 1 회수 레일(421)과, 상기 레일 실린더(421a)와 결합되어, 상기 레일 실린더(421a)의 동작에 의해 제 3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제 1 회수 레일(421)의 내측을 슬라이딩하는 제 2 회수 레일(422)로 구비되되, 상기 불량품 산출 모듈(330)이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불량으로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레일 실린더(421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 회수 레일(422)이 제 3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오버슬램 범퍼(B)가 상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도, 상기 완제품 회수 레일(420)로 회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 3 방향의 전방은 도 19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화살표 방향은 전방을 뜻한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제 1 전후방 실린더, 제 1 승하강 실린더, 제 2 전후방 실린더, 제 2 승하강 실린더, 결합 실린더, 고정 실린더 및 레일 실린더에는 공압을 통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피스톤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 ... 하부 하우징
20 ... 탄성부재
30 ... 상부 하우징
100 ... 공급부
110 ... 원형 플레이트
120 ... 조립 플레이트
130 ... 제 1 고정부
140 ... 제 2 고정부
200 ... 조립부
210 ... 베이스 바디
211 ... 제 1 전후방 실린더
220 ... 제 1 승하강 플레이트
221 ... 제 1 승하강 실린더
230 ... 승하강 가이더
231 ... 승하강 로드
232 ... 스프링재
233 ... 공간부
240 ... 제 2 승하강 플레이트
250 ... 제 1 클리퍼
251 ... 그랩부재
251a ... 결합부재
252b ... 제 1 회동축
252c ... 가압재
252 ... 제 2 전후방 실린더
260 ... 제 2 승하강 실린더
270 ... 결합 실린더
280 ... 제 2 클리퍼
281 ... 결합부재
282 ... 제 2 회동축
283 ... 정령쇠
283a ... 요홈
290 ... 고정 실린더
300 ... 검출부
310 ... 검출수단
320 ... 검출 실린더
330 ... 불량품 산출 모듈
400 ... 이송부
410 ... 드랍공간
420 ... 완제품 회수레일
421 ... 제 1 회수 레일
421a ... 레일 실린더
422 ... 제 2 회수 레일
430 ... 제 1 이송레일
440 ... 이송바디
450 ... 결합면
451 ... 제 2 이송레일
460 ... 승하강 바디
461 ... 승하강 요홈
470 ... 제 3 클리퍼
500 ... 제어부
B ... 오버슬램 범퍼
D1 ... 제 1 방향
D2 ... 제 2 방향
D3 ... 제 3 방향

Claims (6)

  1. 하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에 내입되는 탄성부재(20) 및, 상기 하부 하우징(10)과 압착을 통해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30)으로 구비되는 오버슬램 범퍼(B)를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360도로 회동 가능한 원형 플레이트(110)와, 상기 원형 플레이트(110)의 중심의 방사 방향에서 일정한 각도 단위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조립 플레이트(120)와, 상기 조립 플레이트(120)의 종단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를 고정하는 제 1 고정부(130)와,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측부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고정하는 제 2 고정부(140)로 구비되는 공급부(100);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하부 하우징(10) 및 상기 탄성부재(20)의 상부로 이송하고,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형성하는 조립부(200);
    상기 조립부(200)를 통해 형성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검출수단(310)을 통해 가압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높이 또는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조립 상태를 판별하는 검출부(300);
    상기 검출부(300)를 통해 판별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상기 제 1 고정부(130)로부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여 낙하시키되, 상기 드랍공간(410)의 하부에는 완제품 회수 레일(420)이 배치되는 이송부(400); 및
    상기 공급부(100), 상기 조립부(200), 상기 검출부(300) 및 상기 이송부(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200)는,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와 결합되고, 상기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의 동작에 의해 제 1 방향(D1)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베이스 바디(210)와, 상기 베이스 바디(210)의 상부에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바디(210) 내부에 배치되는 제 1 승하강 실린더(221)와 결합하여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의 동작에 의해 승하강하는 것이 가능한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부에 배치되되, 그 저면에는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연결되도록 승하강 가이더(230)가 구비되고, 그 상면에는 제 1 방향과 수직인 제 2 방향(D2)으로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제 2 고정부(140)에 고정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하는 그랩부재(251) 및 상기 그랩부재(251)를 제 2 방향으로 전후방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제 2 전후방 실린더(252)로 구비되는 제 1 클리퍼(250)가 배치되는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와,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를 하강시키는 제 2 승하강 실린더(260)와, 상기 제 1 클리퍼(250), 상기 제 1 승하강 실린더(221) 및 상기 제 1 전후방 실린더(211)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고정부(130)의 상부로 이송된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하우징(10), 상기 탄성부재(20) 및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 실린더(27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랩부재(251)는,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와 결합하는 결합부재(251a)와, 상기 결합부재(251a)에 결합되는 제 1 회동축(251b)과, 상기 제 1 회동축(251b)과 결합하여 상기 제 1 회동축(251b)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상부 하우징(30)을 파지하는 가압재(251c)로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 가이더(230)는,
    승하강 로드(231)와, 상기 승하강 로드(231)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의 스프링재(232)로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재(232)의 원복력에 의해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와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의 사이에 공간부(233)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23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 2 승하강 실린더(260)가 상기 제 2 전후방 실린더(252)의 상부를 가압하는 경우에, 상기 제 2 승하강 플레이트(240)가 상기 공간부(233) 방향으로 하강하되,
    상기 제 2 승하강 실린더(260)의 가압력은 상기 스프링재(232)의 원복력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에는,
    상기 결합 실린더(270)가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상면을 가압하기 직전에, 상기 하부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정렬하는 제 2 클리퍼(28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 2 클리퍼(280)는,
    상기 제 1 승하강 플레이트(22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재(281)와, 상기 결합부재(281)의 종단에 배치되는 제 2 회동축(282)과, 상기 제 2 회동축(282)의 동작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20)의 위치를 정렬하도록 요홈(283a)이 형성된 정렬쇠(283)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제 1 고정부(130)에 고정된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파지하여 상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하도록 제 1 이송레일(430)과, 상기 제 1 이송레일(430)을 통해 제 2 방향을 전후방 이동하는 것이 가능한 이송바디(440)와, 상기 이송바디(440)의 하부에 결합되고, 일면에는 제 2 이송레일(451)이 구비되는 결합면(450)과, 그 일면에 상기 제 2 이송레일(451)을 통해 승하강하도록 승하강 요홈(461)이 구비되는 승하강 바디(460)와, 상기 승하강 바디(460)의 저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파지하는 제 3 클리퍼(470)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300)는,
    그 종단에 상기 검출수단(310)이 결합되어 상기 검출수단(310)이 상기 오버슬램 범퍼(B)의 상부를 가압하도록 검출 실린더(320)와, 상기 검출수단(310)을 통해 판독한 상기 오버슬램 범퍼(B)가 기 설정된 높이 또는 압력과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불량으로 인식하는 불량품 산출 모듈(330)로 구비되며,
    상기 완제품 회수 레일(420)은,
    저면에 레일 실린더(421a)가 배치되는 제 1 회수 레일(421)과, 상기 레일 실린더(421a)와 결합되어, 상기 레일 실린더(421a)의 동작에 의해 제 3 방향(D3)으로 전후방 이동하며 상기 제 1 회수 레일(421)의 내측을 슬라이딩하는 제 2 회수 레일(422)로 구비되되,
    상기 불량품 산출 모듈(330)이 상기 오버슬램 범퍼(B)를 불량으로 인식한 경우에는, 상기 레일 실린더(421a)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제 2 회수 레일(422)이 제 3 방향의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오버슬램 범퍼(B)가 상기 드랍공간(410)으로 이송되어 낙하되도, 상기 완제품 회수 레일(420)로 회수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KR1020230143688A 2023-10-25 2023-10-25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KR102631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688A KR102631195B1 (ko) 2023-10-25 2023-10-25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3688A KR102631195B1 (ko) 2023-10-25 2023-10-25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195B1 true KR102631195B1 (ko) 2024-01-31

Family

ID=89717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3688A KR102631195B1 (ko) 2023-10-25 2023-10-25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19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835U (ko) * 1995-12-13 1997-07-29 자동차 오버슬램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20170033457A (ko) * 2015-09-16 2017-03-27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연료압력조절기용 다이어프램 조립장치
KR101848769B1 (ko) * 2017-11-01 2018-04-13 (주)글로벌로보틱스 자동차 부속용 스프링 어셈블리 조립장치
KR20220159103A (ko) * 2021-05-25 2022-12-02 신명수 도어록의 스프링 및 홀더 자동조립장치
KR20230059505A (ko) * 2021-10-26 2023-05-03 (주)한라공업 범퍼 어셈블리 조립검사 풀프루프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7835U (ko) * 1995-12-13 1997-07-29 자동차 오버슬램 범퍼의 충격흡수구조
KR20170033457A (ko) * 2015-09-16 2017-03-27 주식회사 웰탑테크노스 연료압력조절기용 다이어프램 조립장치
KR101848769B1 (ko) * 2017-11-01 2018-04-13 (주)글로벌로보틱스 자동차 부속용 스프링 어셈블리 조립장치
KR20220159103A (ko) * 2021-05-25 2022-12-02 신명수 도어록의 스프링 및 홀더 자동조립장치
KR20230059505A (ko) * 2021-10-26 2023-05-03 (주)한라공업 범퍼 어셈블리 조립검사 풀프루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195B1 (ko) 오버슬램 범퍼 조립장치
CN206321585U (zh) 一种具备自动上下料功能的aoi检测系统
KR100659493B1 (ko) 타이어의 밸런스 웨이트 압착장치
CN112025246A (zh) 自动拆装装置
NL2024893B1 (en) Circulation Transporting Line Arrangement for Banknote-collecting Hopper
CN209954657U (zh) 一种智能查验机器人
CN102818960A (zh) 一种受流器工作状态检测装置
CN210036670U (zh) 一种轮廓度测试治具
CN210103016U (zh) 一种输送线及其输送模块
CN208515638U (zh) 定向探伤机升降推车
CN207556732U (zh) 一种适用于全时四驱车制动力台式检测的辅助装置
CN116373737B (zh) 一种矿山运输车辆倒车限位报警装置
CN105806267A (zh) 一种铝型材水平校准结构
CN212748581U (zh) 一种耐磨铸球落球试验机
CN212706338U (zh) 一种用于汽车右前避震塔的vin号码刻印夹紧装置
CN219729332U (zh) 一种航材库立体仓库的推送机构
CN109630821B (zh) 一种隧道检测装置的使用方法
CN211542349U (zh) 一种用于保护片加工的对折机构
CN216134727U (zh) 一种能桩机打桩用地质受力显示屏
CN113530226B (zh) 一种装配式建筑模板的安装方法
CN205450312U (zh) 一种安检装置
CN110539286A (zh) 一种夹具快换系统
CN214421653U (zh) 一种带检测功能的链条传输机构
CN213576386U (zh) 一种遥感仪器防尘装置
CN217629556U (zh) 一种公路养护作业用警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