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150B1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150B1
KR102630150B1 KR1020230054237A KR20230054237A KR102630150B1 KR 102630150 B1 KR102630150 B1 KR 102630150B1 KR 1020230054237 A KR1020230054237 A KR 1020230054237A KR 20230054237 A KR20230054237 A KR 20230054237A KR 102630150 B1 KR102630150 B1 KR 102630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oor
air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4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2505A (ko
Inventor
천성현
김진균
천성덕
강성범
권준석
김성재
김종활
김지홍
오승원
윤상기
윤연섭
이원희
이창식
전현주
정재림
정창우
최원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062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2505A/ko
Priority to KR1020240010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도어 유닛은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 도어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 및 도어 블레이드와 개구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여, 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개구의 전방으로 직진되거나 개구로부터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al}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포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사이클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로써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송풍팬 등이 구비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열교환기를 최소화하고, 송풍팬의 RPM을 올려 풍속 및 풍량을 최대화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이에 따라 토출온도가 낮아지고, 토출공기는 좁고 긴 유로를 형성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었다.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빠른 풍속의 구현을 위해 송풍팬의 RPM을 높이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송풍팬을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조화시키는 복사 공기조화기의 경우에는 송풍팬을 사용하는 공기조화기와 동일한 능력을 내기 위해서는큰 패널을 필요로 한다. 또한 냉방속도 또한 매우 느리고, 시공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또한 최소풍속에 의한 대류를 통한 냉방 및 근접구간에 형성된 찬공기영역을 이용한 냉방을 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개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 상기 도어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와 상기 개구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여, 상기 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직진되거나 상기 개구로부터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로부터 제1 거리 이격되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의 전방으로 직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 블레이드가 상기 개구로부터 제2 거리 이격되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개구로부터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로 마련되는 제1 토출부와, 상기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토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제 1 토출부와 상기 제 2 토출부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로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부는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되며, 상기 외부패널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동작부는 저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부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내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하우징은 고정된 상기 내부 하우징 외측에서 상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동작부는 상기 내부 하우징이 회전되면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하우징 커버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1 블레이드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는 제2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상기 개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토출유로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제2 블레이드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을 갖는 제3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블레이드와, 상기 제2 블레이드와, 상기 제3 블레이드는 순차적으로 상기 개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복수의 토출유로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하우징의 내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개구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 저면에 기어부가 형성되고,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 홀을 포함하는 외부 하우징, 상기 외부 하부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포함하는 내부 하우징, 상기 기어부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및 내부에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하우징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패널과, 상기 외부패널에 형성된 개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개구로 마련되는 제1 토출부; 상기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며, 상기 제1 토출부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상이한 풍속으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되는 제 2 토출부; 및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유연한(flexible) 재질의 재료를 포함하는 도어 블레이드;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를 상기 개구 상에서 상기 개구의 반경 방향을 따라 슬리이딩 이동시키는 도어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유닛은 원반 형상을 가지며 신축성(elasticity) 있는 재료를 포함하는 도어 블레이드; 및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직경을 변경시키는 도어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배면이 상기 도어 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 구동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배면을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직경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개구를 개방하고, 상기 도어 구동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배면을 전방으로 미는 경우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동작부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조절하여,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개구의 면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제1 토출부가 개방되는 경우 상기 제1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고, 상기 제1 토출부가 폐쇄되는 경우 상기 제 2 토출부를 통해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열교환된 공기를 풍속을 달리하여 토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환경에 따라 열교환된 공기의 송풍방법을 달리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사용자에게 송풍되지 않게 실내의 공기조화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8, 9,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의 사시도.
도 13, 14, 15,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
도 17,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
도 19,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1,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3,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5,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7,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1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도어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2는 도 29의 도어 유닛의 제1 하우징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3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내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
도 34는 도 29의 도어 유닛의 외부 하우징과 동력 전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5는 도 29의 도어 유닛의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기어부와 동력 전달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
도 36 내지 38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0은 도 39의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1은 도 39의 도어 유닛에서 도어 동작부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2는 도 39의 도어 유닛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을 분리한 도면.
도 43은 도 39의 도어 유닛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를 분리한 도면.
도 44 내지 도 46는 도 39의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8은 도 47의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49 내지 51은 도 47의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5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53은 도 52의 도어 유닛에서 도어 동작부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4는 도 52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을 분리한 도면.
도 55는 도 52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를 분리한 도면.
도 56 및 도 57는 도 52의 도어 동작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58 내지 도 6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1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4 내지 도 6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7 및 도 6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69 및 도 7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하고, 고온의 공기가 저온의 냉매와 열교환 후 저온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하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실내공간의 공기 온도를 조절 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동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고, 실내 열교환기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있다.
본 발명은 실내공간을 냉방시키는 공기조화기에 대한 것으로,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실내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역할한다. 이하, 편의상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실내기를 공기조화기라 하고, 실내 열교환기를 열교환기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공기조화기(1)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20)와,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30)와, 송풍부(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10)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17)가 형성되는 전면패널(10a)과, 전면패널(10a)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과, 전면패널(10a)과 후면패널(10b) 사이에 마련되는 측면패널(10c)과, 측면패널(10c)의 상하부에 배치되는 상,하부패널(10d)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7)는 원형으로 마련되며 전면패널(10a)의 상,하방향으로 적어도 둘 이상이 이격배치될 수 있다. 후면패널(10b)에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부(19)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19)는 열교환기(20)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패널(10b)상에 마련되어 하우징(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한다. 흡입부(19)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흡수하거나 빼앗긴다. 열교환기(20)를 거치면서 열을 교환한 공기는 송풍부(30)에 의해 토출부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된다.
송풍부(30)는 송풍팬(32)과 송풍그릴(34)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2)의 토출방향에는 송풍그릴(3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32)은 사류(斜流)팬이 적용되나, 송풍팬(32)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32)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송풍팬(32)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32)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팬(32)은 흡입부(19)의 전방에 배치되고, 송풍팬(32)과 흡입부(19) 사이에는 열교환기(20)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32)의 전방으로 제 1 토출부(41)가 배치될 수 있다.
송풍부(30)는 송풍팬(32)의 중심에 마련되어, 송풍팬(32)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33)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3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그릴(34)은 송풍팬(32)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그릴(34)은 송풍팬(32)과 공기토출부(40)의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32)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송풍그릴(34)은 복수의 날개(3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날개(35)는 그 개수, 형상,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32)으로부터 공기토출부(40)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 할 수 있다.
송풍그릴(34)의 중심에는 이후 설명하는 도어동작부(66)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와, 팬구동부(33)는 전후방향으로 동일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송풍팬(32) 팬날개의 전방으로 송풍그릴(34)의 복수의 날개(35)가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30)는 덕트(36)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36)는 송풍팬(32)을 둘러싸는 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팬(32)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된다. 즉, 흡입부(19)를 통해 흡입되어 열교환기(20)를 지난 공기가 송풍팬(32)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열교환기(20)는 송풍팬(32)과 흡입부(19)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부(19)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흡입부(19)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한다. 열교환기(20)는 튜브(21)와, 튜브(21)의 상하측에 결합되는 헤더(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열교환기(2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교환기(20)의 개수는 개구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하우징(10)에 마련되어, 하우징(10)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공기토출부(40)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의 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갖고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하우징(10)에 마련되는 개구(17)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하우징(10)에 마련된 토출플레이트(14)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17)와 토출플레이트(14)로 함께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 1 모드, 제 2 모드와 제 3 모드는 각각 이후 설명하는 제 1 토출부(41), 제 2 토출부(50),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열교환기(20)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는 송풍팬(32)에 의해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41)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나, 제 1 토출부(41)로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제 2 토출부(50)로도 그 일부가 배출될 수 있다. 즉, 제 1 모드에서는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1 토출부(41)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도 제 1 모드에서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 중 대부분의 공기가 제 2 토출부(50)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30)를 지난 공기는 공기토출부(4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나아가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어느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하우징(10)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41)는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1 토출부(41)는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송풍팬(32)의 송풍방향상에 마련되어, 열교환된 공기가 직접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즉, 제 1 토출부(41)는 송풍부(30)의 송풍팬(32) 전방에 형성되어, 송풍부(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41)로 직접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1 토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 도 9 참고)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41a)는 토출가이드부(45)에 의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가이드개구부(4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개구(17)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41)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하우징(10)의 개구(1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며, 이후 설명하는 도어유닛(60)이 이동하여 가이드개구부(43)에 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개구부(43)는 하우징(10)의 개구(17)에 배치되며, 그 내주면을 따라 제 1 토출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는 도어유닛(60)에 의해 개폐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폐하며, 열교환된 공기가 선택적으로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마련된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폐함으로서,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유닛(60)은 제 1 토출부(41)를 개방하는 도어개방위치(60a, 도 8, 9 참고)와,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는 도어폐쇄위치(60b, 도 10, 11참고)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와 도어폐쇄위치(60b)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도어유닛(60)은 도어블레이드(62)와, 도어블레이드(62)를 동작시키는 도어동작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블레이드(62)는 제 1 토출부(4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유닛(60)이 도어개방위치(60a)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62)가 가이드개구부(43)와 이격되도록 마련되며, 도어유닛(60)이 도어폐쇄위치(60b)에 있는 경우에는 도어블레이드(62)가 가이드개구부(43)에 접하여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도어블레이드(62)는 제 1 토출부(41)에 대응되도록 원형으로 마련되는 블레이드몸체(63)와, 블레이드몸체(63)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도어동작부(66)와 결합되는 블레이드결합부(64)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63)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이트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몸체(63)는 그 일측면이 하우징(10)의 외부를 향하도록 마련되며, 타측면은 송풍부(30)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몸체(63)의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되어, 공기조화기(1)의 동작상태가 표시되거나, 공기조화기(1)를 조작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도어블레이드(62)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동작부(66)는 도어블레이드(62)의 블레이드결합부(64)와 결합되어, 도어블레이드(62)를 이동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송풍그릴(34)은 도어동작부(66)의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송풍그릴(34)의 배면에 마련되는 송풍팬(32)으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송풍그릴(34)을 지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는 외부패널을 통해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을 때, 열교환된 공기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의 풍속을 저하시킨 채 외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50)는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14)에 형성되며, 토출플레이트(14)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개구(17)는 도 2, 4 에서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일례로, 개구(17)와 토출플레이트(14)는 하우징(10)의 각각 다른 면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2 토출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유로(50a)는 토출가이드부(45)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패널(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외부패널은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패널(11)과,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토출패널(1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12)은 외부패널의 일구성이나, 토출부의 일구성일 수도 있다.
토출패널(12)은 제 2 토출유로(5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패널(1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와, 이후 설명하는 토출플레이트(14)를 통해 저속으로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패널(12)이 도 1, 2, 3에서와 같이 공기조화기(1)의 전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를 드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토출패널(12)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 우측면, 좌측면, 후면, 상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패널(12)은 유로형성프레임(13)과, 토출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13)은 하우징(10)의 내부와 제 2 토출유로(50a)를 구획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유로형성프레임(13)을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형성프레임(13)은 송풍그릴(34)로부터 연장형성되어 외관패널(11)과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에는 제 2 토출부(50)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와, 제 2 토출부(50)를 플레이트토출부라 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토출홀의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제 2 토출부(50)는 토출플레이트(14)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는 유로형성프레임(13)보다 외측에 마련되어, 유로형성프레임(13)과 사이에 제 2 토출유로(50a)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50)는 토출플레이트(14)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토출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적어도 일부분에 집중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영역에는 복수의 토출홀이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된다.
토출영역은 토출플레이트(14)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플레이트(14)의 전면(全面)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로 분배되어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정해질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로 유동하는 제 1 토출유로(41a)와, 열교환된 공기가 제 2 토출부(50)로 유동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는 각각 토출유로와 방사토출유로로 명명할 수 있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를 통해 유동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1 토출부(4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 2 모드에서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팬(32)과 제 2 토출부(50)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유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토출부(40)는 토출가이드부(4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3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토출가이드부(45)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부(45)는 송풍부(30)의 전방에 마련되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가이드부(45)는 가이드몸체(46)와, 가이드홈(47)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46)는 그 내측으로 제 1 토출유로(41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몸체(46)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몸체(46)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47)은 제 2 토출유로(50a)가 지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47)은 가이드몸체(46)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4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46)상에 마련되어 가이드몸체(46)의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47)은 가이드몸체(46)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제 1 토출부(41)를 개방하게 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지나 제 1 토출부(41)로 토출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제 1 토출부(41)를 폐쇄하게 된다. 이 경우 가이드몸체(46)의 일측은 도어유닛(60)에 의해 막히게 되어, 송풍부(30)로부터 불어오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에 형성된 가이드홈(47)를 지나 제 2 토출부(50)로 토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하우징의 결합에 관한 도면,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플레이트와 가이드개구부의 결합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플레이트(14)는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가 하우징(10) 또는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하우징(10)과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4)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개구부(43)와의 결합을 위해 토출플레이트(14)의 개구(17)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로부터 돌출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홀 형상의 플레이트걸림홈(16a, 16b)을 포함하고, 플레이트걸림홈(16a, 16b)은 이후 설명하는 걸림돌기(17, 43b)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결합부(15a, 15b)는 토출플레이트(14)가 하우징(10)과 결합하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토출플레이트(14)가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토출플레이트(14)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는 하우징(10)과 결합하여,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10)에는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 1 걸림돌기(18)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걸림돌기(18)는 유로형성프레임(13)의 외곽에서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 1 걸림돌기(18)의 배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10)에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에 대응하도록 마련되어 하우징(10)과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면 이를 만족한다.
도 5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를 하우징(10)에 밀착하는 경우,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의 제 1 플레이트걸림홈(16a)은 제 1 걸림돌기(18)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토출플레이트(14)를 하우징(10)에 장착할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결합부(15a)와 제 1 걸림돌기(18)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도 6과 같이 개구(17)의 외곽을 따라 적어도 하나가 마련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개구부(43)와 결합하여, 가이드개구부(43)와 토출플레이트(14)가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이드개구부(43)에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삽입홈(43a)이 형성될 수 있다.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밀착시에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삽입홈(43a)을 통해 가이드개구부(43)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삽입홈(43a)은 개구의 외곽에 마련되는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에 대응하여 가이드개구부(4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가이드삽입홈(43a)에 삽입되고, 삽입된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는 도 7과 같이 제 2 걸림돌기(43b)가 제 2 플레이트걸림홈(16b)에 걸림으로서,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출플레이트(14)와 가이드개구부(43)를 결합함으로서, 개구(17)와 제 1 토출부(41)를 연결할 수 있다.
제 2 플레이트결합부(15b), 제 2 걸림돌기(43b), 가이드삽입홈(43a)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일정간격을 두고 네 개씩 도시하였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9,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외부로부터 하우징(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열교환기(20)와 함께 열교환한다. 열교환기(20)에 의해 공기조화된 공기는 송풍부(30)에 의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공기조화기(1)는 열교환기(20)를 거친 공기를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하게 된다. 즉, 제 1 모드와 같이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토출하여 집중적인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제 2 모드와 같이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토출하여 실내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제 1 토출부(41)는 도어유닛(60)을 동작시켜 개폐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41)가 개방되는 경우에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며, 제 1 토출부(41)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된다.
자세하게는 제 1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 9는 제 1 모드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제 1 모드에서는 제 1 토출부(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1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도어개방위치(60a)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62)는 가이드개구부(43)와 이격되어 제 1 토출부(41)가 개방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몸체(46)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 유동하게 된다.
제 1 토출부(41)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송풍부(30)에 의한 풍속을 유지하면서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제 2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 11은 제 2 모드를 동작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제 2 모드에서는 제 2 토출부(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하게 된다. 제 2 모드에서는 도어유닛(60)이 도어폐쇄위치(60b)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블레이드(62)는 가이드개구부(43)와 접하게 되어 제 1 토출부(41)가 폐쇄된다.
이 경우,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토출부(41)가 도어블레이드(62)에 의해 막혀있어, 가이드몸체(46)에 형성된 가이드홈(47)를 지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는 제 2 토출유로(50a)를 지나 제 2 토출부(50)로 유동하게 된다.
제 2 토출부(50)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경우에는, 공기가 토출플레이트(14)의 복수의 토출구멍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외부로 토출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는 각각 고속토출부와 저속토출부로 명명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제 3 모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모드는 열교환된 공기가 제 1 토출부(41)와 제 2 토출부(50)로 각각 분배되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모드이다. 각 토출부로의 공기분배량은 설정에 의해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를 적용하여, 주위환경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의 사시도이다.
토출가이드부(145)는 송풍부(30)의 전방에 마련되어, 송풍부(30)로부터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유로(41a)와 제 2 토출유로(50a) 중 적어도 하나의 토출유로를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가이드부(145)는 메쉬(mesh) 또는 다공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가이드부(145)는 가이드몸체(146)와, 가이드홈(14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146)는 그 내측으로 제 1 토출유로(41a)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가이드몸체(146)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가이드몸체(146)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47)은 제 2 토출유로(50a)가 지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홈(147)은 가이드몸체(146)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147)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146)상에 마련되어 가이드몸체(146)의 외측방향으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가이드부(145)는 메쉬 또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가이드홈(147)은 가이드몸체(146)에 형성되는 다공성부분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3, 14, 15,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가이드부(245)는 제 1 가이드부(246)와 제 2 가이드부(2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246)는 가이드몸체(246a)와, 가이드홈(246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246a)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246b)은 가이드몸체(246a)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홈(246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가이드몸체(246a)상에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246b)은 가이드몸체(246a)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47)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247)는 선택적으로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에 대해 개방위치(247a)와, 폐쇄위치(247b)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부(247)가 개방위치(247a)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가 개방되도록 제 1 가이드부(246)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 2 가이드부(247)가 폐쇄위치(247b)에 있는 경우에는, 제 2 가이드부(247)는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가 폐쇄되도록 제 1 가이드부(246)와 밀착되게 마련된다. 제 2 가이드부(247)는 도 13, 14와 같이 제 1 가이드부(246)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1 가이드부(246)의 내주면과 밀착되도록 개방위치(247a)와 폐쇄위치(247b)를 슬라이딩이동하게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5, 16과 같이 제 2 가이드부(248)는 제 1 가이드부(246)의 외주면과 밀착되도록 개방위치(248a)와 폐쇄위치(248b)를 슬라이딩이동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는 상기 설명한 토출가이드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모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에 있게 된다. 이 때, 제 2 가이드부(247)는 폐쇄위치(247b)에 위치하게 된다.
제 2 가이드부(247, 248)가 폐쇄위치(247b, 248b)에 있는 경우,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은 폐쇄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45)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 토출유로(50a)는 제 2 가이드부(247, 248)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2 토출부(50)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폐쇄위치(60b)에 있게 된다. 이 때, 제 2 가이드부(247, 248)는 개방위치(247a, 248a)에 위치하게 된다.
제 2 가이드부(247, 248)가 개방위치(247a, 248a)에 있는 경우, 제 1 가이드부(246)의 가이드홈(246b)은 개방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245)의 가이드홈(246b)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통해 제 2 토출부(50)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토출유로(41a)는 도어유닛(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1 토출부(41)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7,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토출가이드부에 관한 도면이다.
토출가이드부(345)는 제 1 가이드부(346)와 제 2 가이드부(3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346)는 제 1 가이드몸체(346a)와, 제 1 가이드홈(346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몸체(346a)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관의 형상으로 마련되어, 일측은 송풍부(30)를 향하고, 타측은 제 1 토출부(41)를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홈(346b)은 제 1 가이드몸체(346a)상에 마련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홈(346b)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가이드몸체(346a)상에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가이드홈(346b)은 제 1 가이드몸체(346b)에서 그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홀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347)는 선택적으로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홈(346b)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즉,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347)는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그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가이드부에 대해 그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제 2 가이드부(347)는 제 2 가이드몸체(347a)와, 제 2 가이드홈(34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몸체(347a)는 제 1 가이드몸체(346a)에 대응되며, 제 2 가이드홈(347b)은 제 1 가이드몸체(346a)에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토출가이드부(345)는 개방위치(345a)와, 폐쇄위치(345b)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토출가이드부(345)가 개방위치(345a)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홈(346b)와 제 2 가이드부(347)의 제 2 가이드홈(347b)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를 지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토출가이드부(345)가 폐쇄위치(345b)에 있는 경우에는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홈(346b)은 제 2 가이드부(347)의 제 2 가이드몸체(347a)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역으로 제 2 가이드부(347)의 제 2 가이드홈(347b)가 제 1 가이드부(346)의 제 1 가이드몸체(346a)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은 각각 제 2 가이드몸체(347a)와 제 1 가이드몸체(346a)에 의해 폐쇄된다. 이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는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를 지날 수 없게 된다.
토출가이드부(345)는 폐쇄위치(345b)와 개방위치(345a)를 이동하도록, 제 1 가이드부(346)는 제 2 가이드부(347)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역으로 제 2 가이드부(347)가 제 1 가이드부(346)에 대해 원주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상기 설명한 토출가이드부와 공기조화기의 동작모드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공기조화기(1)가 제 1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개방위치(60a)에 있게 된다. 이 때, 토출가이드부(345)는 폐쇄위치(345b)에 위치하게 된다.
토출가이드부(345)가 폐쇄위치(345b)에 있는 경우,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은 폐쇄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345)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토출유로(41a)를 통해 제 1 토출부(41)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2 토출유로(50a)는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2 토출부(50)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에 있는 경우, 도어유닛(60)은 도어폐쇄위치(60b)에 있게 된다. 이 때, 토출가이드부(345)는 개방위치(345a)에 위치하게 된다.
토출가이드부(345)가 개방위치(345a)에 있는 경우,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은 개방상태가 된다. 이를 통해 공기조화기(1) 내부의 열교환된 공기는 토출가이드부(345)의 제 1, 2 가이드홈(346b, 347b)를 지나도록 형성되는 제 2 토출유로(50a)를 통해 제 2 토출부(50)로만 토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제 1 토출유로(41a)는 도어유닛(60)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므로 제 1 토출부(41)로는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19,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401)의 실내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17)를 갖고, 그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410)과, 하우징(4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하우징(4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430)와, 송풍부(43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4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440)를 포함한다.
송풍부(430)는 송풍팬(미도시)과 송풍그릴(434)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팬의 토출방향에는 송풍그릴(434)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송풍팬은 사류팬이 적용되나, 송풍팬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하우징(4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4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송풍팬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송풍팬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417)와 대응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432)이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430)는 송풍팬(432)의 중심에 마련되어, 송풍팬(432)을 구동하기 위한 팬구동부(433)가 마련될 수 있다. 팬구동부(43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그릴(434)은 하우징(410)의 내부에서 송풍팬의 전방에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한 송풍그릴(434)은 송풍팬(432)과 토출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송풍팬(432)이 외부로부터 받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송풍그릴(434)은 복수의 날개(436)와, 원형의 디스크플레이트(435)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그릴(434)은 복수의 원형의 디스크플레이트(435)를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날개(436)는 그 개수, 형상, 배치각도를 조절하여, 송풍팬(432)으로부터 공기토출부(440)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 또는 풍량을 조절 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440)는 제 1 토출부(441)와 제 2 토출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441)는 송풍그릴(434)의 복수의 날개(436)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하우징(4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공기를 토출하며, 제 2 토출부(450)는 하우징(410)의 토출플레이트(414)로 하우징(4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하우징(410)은 제 2 토출부(4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4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450)는 토출플레이트(4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플레이트(414)은 하우징(410)의 전면에 형성되나, 토출플레이트(4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에 형성될수도 있다.
제 2 토출부(450)는 토출플레이트(4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4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4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4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4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4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441)와 제 2 토출부(4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50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517)를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510)과, 하우징(5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하우징(5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팬(미도시)과, 송풍부(미도시)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5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540)를 포함한다.
공기토출부(540)는 제 1 토출부(541)와 제 2 토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541)는 개구(517)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517)에는 블레이드(517a)가 마련되어, 제 1 토출부(5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자세하게는 개구(517)는 전면패널(510a)상에 마련될 수 있다. 개구(517)에는 블레이드(517a)가 마련되어, 블레이드(517a)의 동작을 통해 제 1 토출부(5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 할 수 있다. 제 2 토출부(550)는 하우징(510)의 토출플레이트(514)로 하우징(5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하우징(510)은 제 2 토출부(5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5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550)는 토출플레이트(5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플레이트(514)는 하우징(510)의 전면에 형성되나, 토출플레이트(5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에 형성될수도 있다.
제 2 토출부(550)는 토출플레이트(5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5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5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5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5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5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541)와 제 2 토출부(5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3,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601)는 천장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60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617)를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610)과, 하우징(6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620)와, 하우징(6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미도시)와, 송풍부(미도시)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6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640)를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천장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송풍부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640)는 제 1 토출부(641)와 제 2 토출부(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641)는 개구(617)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617)에는 블레이드(617a)가 마련되어, 제 1 토출부(6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 토출부(650)는 하우징(610)의 토출패널(612)로 하우징(6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하우징(610)은 제 2 토출부(650)가 형성된 토출패널(6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650)는 토출패널(612)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하우징(610)은 천장에 배치되어, 그 하면이 실내로 노출되므로, 토출패널(612)을 하우징(610)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부(650)는 토출패널(612)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6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6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6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6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641)와 제 2 토출부(6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5,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701)는 벽면에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공기조화기(701)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717)를 갖고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710)과, 하우징(7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기(미도시)와, 하우징(7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부(미도시)와, 송풍부(미도시)로부터 송풍되는 공기를 하우징(7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740)를 포함한다. 하우징(710)은 실내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송풍부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740)는 제 1 토출부(741)와 제 2 토출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741)는 개구(717)에 형성될 수 있다. 개구(717)에는 블레이드(717a)가 마련되어, 제 1 토출부(7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제 2 토출부(750)는 하우징(710)의 토출패널(712)로 하우징(7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구성이다.
하우징(710)은 제 2 토출부(7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7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750)는 토출플레이트(7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토출플레이트(714)는 하우징(710)의 전면에 형성되나, 토출플레이트(714)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부에 형성될수도 있다.
제 2 토출부(750)는 토출플레이트(7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7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 2 토출부(750)를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7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741)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750)를 통해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741)와 제 2 토출부(7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7,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의 일종류로서 공기청정기(801)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기청정기(80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810)과, 하우징(810)의 일측에 마련되어 하우징(810)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816)와, 흡입부(816)로 유입된 공기를 하우징(810)의 외부로 토출하는 공기토출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801)는 하우징(810) 내부에 마련되어 공기중에 포함된 먼지, 냄새입자 등의 이물을 흡착하여 걸러내기 위한 집진필터, 흡입부(816)를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집진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공기토출부(840)를 통해 토출하기 위해 송풍동작을 하는 송풍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토출부(840)는 제 1 토출부(841)와, 제 2 토출부(8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토출부(841)는 집진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고속의 풍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며, 제 2 토출부(850)는 집진필터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하우징(810)의 토출패널(812)로 저속의 풍속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구성이다.
제 1 토출부(841)는 하우징(810)에 개구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미도시)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직접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하우징(810)은 제 2 토출부(850)가 형성된 토출플레이트(8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토출부(850)는 토출플레이트(814)에 형성된 복수의 토출홀을 포함한다.
제 2 토출부(850)는 토출플레이트(814)에 복수의 토출홀 형상으로 마련되어, 송풍부(83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복수의 토출홀을 통해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801)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제 1 토출부(841)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와, 제 2 토출부(8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와, 제 1 토출부(841)와 제 2 토출부(850)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도어 유닛(60)의 구동과 도어 유닛(60)의 구동에 따른 토출 기류를 제어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후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1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도어블레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2는 도 29의 도어 유닛의 제1 하우징 커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3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내부 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4는 도 29의 도어 유닛의 외부 하우징과 동력 전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5는 도 29의 도어 유닛의 외부 하우징에 결합되는 기어부와 동력 전달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6 내지 38은 도 29의 도어 유닛의 구동에 의해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8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60)은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62), 도어 블레이드(6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동작부(66)는 외부 하우징(67)과, 내부 하우징(68)과, 동력 전달부(67b) 그리고 하우징 커버(69)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67)은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이드부(67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67a)는 후술하는 내부 하우징(68)의 제1 결합부(68a)가 삽입되어, 제1 결합부(68a)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67)은 일측에 기어부(67c)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67c)는 동력 전달부(67b)와 연결되어, 동력 전달부(67b)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외부 하우징(67)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기어부(67c)는 동력 전달부(67b)와 연결된 제1 기어(67d)와, 외부 하우징(67)의 내측에 형성된 제2 기어(67e)와, 제1 기어(67d) 및 제2 기어(67e)와 맞물리게 마련되는 제3 기어(67f)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 전달부(67b)는 외부 하우징(67) 내측에서 기어부(67c)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68)은 외부 하우징(67)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68)은 제1 가이드부(67a)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68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68a)는 제1 가이드부(67a)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68)은 도어 블레이드(62)의 저면에 형성된 결합홀(62a)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68b)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8b)는 도어 블레이드(62)와 마주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68b)는 결합홀(62a)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69)는 제1 하우징 커버(69a)와 제2 하우징 커버(6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69a)는 내부 하우징(68)과 도어 블레이드(6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69a)는 내부에 제2 가이드부(69c, 69d)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69c, 69d)는 제1 결합부(68a)가 도어 블레이드(6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69c, 69d)는 제1 결합부(68a)가 제2 가이드 홈(69d)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 동작부(66)는 동력 전달부(67b)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어 블레이드(6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 전달부(67b)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기어부(68b)를 통해 외부 하우징(67)을 회전시키고, 외부 하우징(67)의 제1 가이드부(67a) 및 제2 가이드부(69c, 69d)에 결합된 제1 결합부(68a)와 함께 내부 하우징(68)과 제1 하우징 커버(69a)가 공기조화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 동작부(66)는 도어 블레이드(6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6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 유닛(60)의 구동에 따라 개구(17, 도 3 참조)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유닛(60)이 개구(17, 도 3 참조)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는 열교환된 공기가 개구(17, 도 3 참조)의 외측에 형성된 제 2 토출부(50)를 통하여 도출될 수 있다.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유닛(60)이 개구(17, 도 3 참조)로부터 제1 거리(D1)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토출구(4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전방으로 직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거리(D1)는 45 내지 55mm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유닛(60)이 개구(17, 도 3 참조)로부터 제2 거리(D2)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제1 토출구(41)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의 개구(17, 도 3 참조)로부터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거리(D2)는 25 내지 45mm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 유닛(60)은 도어 블레이드(62)와 개구(17, 도 3 참조) 사이에 이격된 거리를 조절하여, 개구(17, 도 3 참조)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개구(17, 도 3 참조)의 전방으로 직진되거나 개구(17, 도 3 참조)로부터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동력 전달부(67b)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도어 유닛(60)이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동력 전달부(67b)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여 도어 유닛(60)이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도록 조절하여 제1 토출구(41)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7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3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0은 도 39의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1은 도 39의 도어 유닛에서 도어 동작부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2는 도 39의 도어 유닛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43은 도 39의 도어 유닛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를 분리한 도면이고, 도 44 내지 도 46는 도 39의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9 내지 도 4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70)은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71), 도어 블레이드(7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75, 76, 77) 및 구동부(7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71)는 제1 블레이드(71a)와 제1 블레이드(71a)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블레이드(7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71a)와 제2 블레이드(71b)는 각각 별도로 이동되면서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유닛(70)은 제2 블레이드(71b)가 제1 블레이드(71a)와 별도로 구동되도록 제1 결합부(73a)가 형성된 제1 하우징 커버(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73)는 제2 블레이드(71b)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하우징 커버(73)는 제1 결합부(73a)가 후술하는 제1 가이드부(75b)와 제3 가이드부(76b)에 결합되어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71a)는 하우징 커버(77)와 결합되어 하우징 커버(77)의 이동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77)는 제2 결합부(77a)가 형성되고, 제2 결합부(77a)가 제2 가이드부(75a)와 제4 가이드부(76a)에 결합되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75)은 측면에 제1 가이드부(75b)와 제2 가이드부(75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75b)는 제1 하우징 커버(73)의 제1 결합부(73a)가 결합되어 제1 하우징 커버(73)와 제2 블레이드(71b)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75a)는 하우징 커버(77)의 제2 결합부(77a)가 결합되어 하우징 커버(77)와 제1 블레이드(71a)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76)은 측면에 제3 가이드부(76b)와 제4 가이드부(76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76b)는 적어도 일부가 제1 가이드부(75b)와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부(76b)는 제1 하우징 커버(73)의 제1 결합부(73a)가 결합되어 제1 하우징 커버(73)와 제2 블레이드(71b)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제4 가이드부(76a)는 적어도 일부가 제2 가이드부(75a)와 마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가이드부(76a)는 제1 하우징 커버(73)의 제1 결합부(73a)가 결합되어 제1 하우징 커버(73)와 제2 블레이드(71b)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도어 유닛(70)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어 유닛(70)의 외측과 내측을 구획하는 경계부(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70)은 경계부(72) 내측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유닛(70)은 제1 블레이드(71a)와 제2 블레이드(71b)가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제1 토출부(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되는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8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4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 47의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9 내지 51은 도 47의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7 내지 도 51을 참조하면, 도어 유닛(80)은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81, 82), 도어 블레이드(81, 8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85, 86)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81, 82)는 제1 블레이드(81)와 제1 블레이드(81)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블레이드(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81)와 제2 블레이드(82)는 각각 별도로 이동되면서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81)와 제2 블레이드(82)는 각각 상이한 이동거리로 이동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81, 82)는 도어 동작부(85, 86)와 결합될 수 있다. 도어 동작부(85, 86)는 제1 블레이드(81)와 제2 블레이드(82)를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 동작부(85, 86)는 베이스 플레이트(85)와 링크 부재(8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85)는 도어 블레이드(81, 82)와 마주하는 측면에 가이드 홈(85a)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85a)에는 링크 부재(86)의 일측이 결합되어 가이드 홈(85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링크 부재(86)는 제1 링크(86a)와 제2 링크(86b) 그리고 제3 링크(8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86a)는 일측이 제1 블레이드(81)와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 홈(85a)에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링크(86a)는 제1 블레이드(81)가 개구(17, 도 3 참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링크(86b)는 일측이 제1 링크(86a)와 결합되고, 타측이 가이드 홈(85a)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링크(86c)는 제1 링크(86a)와 제2 링크(86b)를 연결할 수 있다. 제3 링크(86c)는 제2 블레이드(82)의 결합부(82a)가 결합될 수 있다. 제3 링크(86c)는 제2 블레이드(82)가 개구(17, 도 3 참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도어 유닛(80)은 제1 블레이드(81)와 제2 블레이드(82)가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각각 이동되면서 제1 토출부(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되는 효과가 상승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3은 도 52의 도어 유닛에서 도어 동작부의 후면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4는 도 52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을 분리한 도면이고, 도 55는 도 52의 도어 동작부에서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및 하우징 커버를 분리한 도면이고, 도 56 및 도 57는 도 52의 도어 동작부의 구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2 내지 도 5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90)은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92), 도어 블레이드(9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9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동작부(96)는 외부 하우징(97)과, 내부 하우징(98)과, 동력 전달부(98c) 그리고 하우징 커버(99)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97)은 도어 동작부(96)의 외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97)은 도어 블레이드(92)의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가이드 홀(97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홀(97a)은 후술하는 하우징 커버(99)의 결합 돌기(99a)가 삽입되어, 결합 돌기(99a)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98)은 외부 하우징(97)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98)은 외부 하우징(97)의 내측에서 외부 하우징(97)으로부터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98)은 제2 가이드 홀(98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98a)은 적어도 일부가 제1 가이드 홀(97a)과 중첩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98a)은 제1 가이드 홀(97a)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되고, 사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98a)은 제1 가이드 홀(97a)에 삽입된 결합 돌기(99a)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홀(98a)은 결합 돌기(99a)가 내부 하우징(98)의 회전에 의하여 제2 가이드 홀(98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내부 하우징(98)은 저면에 기어부(98b)가 형성될 수 있다. 기어부(98b)는 동력 전달부(98c)와 맞물리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어부(98b)는 동력 전달부(98c)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을 이용하여 내부 하우징(98)이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99)는 내부 하우징(98)과 도어 블레이드(92)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99)는 결합 돌기(99a)를 포함하고, 결합 돌기(99a)가 제1 가이드 홀(97a)과 제2 가이드 홀(98a)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99)는 내부 하우징(98)의 회전에 의해 제1 가이드 홀(97a)과 제2 가이드 홀(98a)을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 커버(99)는 도어 블레이드(9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8 및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동작부(96)는 동력 전달부(98c)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도어 블레이드(9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동력 전달부(98c)에서 발생된 회전력은 기어부(98b)를 통해 내부 하우징(98)을 회전시키고, 내부 하우징(98)의 제2 가이드 홀(98a)에 삽입된 하우징 커버(99)는 제2 가이드 홀(98a)을 따라 내부 하우징(98)과의 상대 위치가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99)의 결합 돌기(99a)는 제2 가이드 홀(98a)과 제1 가이드 홀(97a)에 모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우징 커버(99)가 회전하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하우징 커버(99)는 도어 블레이드(92)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58 내지 도 6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58 내지 도 6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100)은 개구(17, 도 3 참조)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101), 도어 블레이드(10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105) 및 구동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01)는 제1 블레이드(101a)와 제1 블레이드(101a)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블레이드(10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01a)와 제2 블레이드(101b)는 각각 별도로 이동되면서 개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01a)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곡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01b)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곡면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01)의 제1 블레이드(101a)와 제2 블레이드(101b)는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구동 방법에 의해 각각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도어 유닛(100)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어 유닛(100)의 외측과 내측을 구획하는 경계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100)은 경계부(102) 내측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유닛(100)은 제1 블레이드(101a)와 제2 블레이드(101b)가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거나 도 6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제1 토출부(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 유닛(100)은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11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1 내지 도 6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1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110)은 개구(17)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111), 도어 블레이드(11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115) 및 구동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11)는 제1 블레이드(111a)와, 제1 블레이드(111a)의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의 제2 블레이드(111b)와, 제2 블레이드(111b)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3 블레이드(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11a)와 제2 블레이드(111b)와, 제3 블레이드(111c)는 각각 별도로 이동되면서 개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11a)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곡면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11b)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곡면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블레이드(111c)는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내주면 및/또는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곡면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11)의 제1 블레이드(111a)와, 제2 블레이드(111b)와, 제3 블레이드(111c)는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구동 방법에 의해 각각 별도로 구동될 수 있다.
도어 유닛(110)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어 유닛(110)의 외측과 내측을 구획하는 경계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유닛(110)은 경계부(112) 내측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 유닛(110)은 제1 블레이드(111a)와, 제2 블레이드(111b)와, 제3 블레이드(111c)가 도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거나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측으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제1 토출부(41)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직진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어 유닛(110)은 공기조화기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12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4 내지 도 6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120)은 개구(17)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121), 도어 블레이드(12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21)는 원판 형상을 가지며,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곡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21)는 도어 구동부(128)가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구동 구조를 가짐에 따라 공기조화기의 내측 및/또는 외측으로 구동될 수 있다.
개구(17)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내측면은 제1 토출부(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유로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하우징(10)의 외측을 향해 굴곡지게 형성된 곡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23)에 의해 공기조화기는 토출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어유닛(120)은 도어 블레이드(121)가 도 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내측으로 이동되거나 도 6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개구(17)를 개폐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곡면부(123)에 의해 제1 토출부(41)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13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7 및 도 6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7 및 도 6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130)은 개구(17)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131), 도어 블레이드(13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동작부(135, 136) 및 구동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31)는 플렉서블(flexible)한 재질을 갖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31)는 말려질 수 있는 필름일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31)는 개구(17) 상에서 개구(17)의 반경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31)는 하우징(10)의 내부를 향하는 배면(rear surface)에 후술할 동력전달부(136)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도어 블레이드(131)를 이동시키는 가이드레일(135)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31)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마련된 가이드부(133)에 의해 개구(17)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도어 동작부(135, 136)는 도어 블레이드(131)의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135)과, 후술할 구동부(138)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통해 도어 블레이드(131)를 이동시키는 동력전달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8)는 동력을 발생시켜 동력전달부(136)로 전달한다. 구동부(138)는 모터일 수 있다.
도어 유닛(130)은 구동부(138)에서 발생된 동력을 통해 도어 동작부(135, 136)가 도어 블레이드(131)를 개구(17)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개구(17)를 개폐할 수 있다. 즉, 도어 블레이드(131)가 도 6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동부(138)가 구동됨에 따라 도어 동작부(135, 136)는 도어 블레이드(131)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도 6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때, 도어 블레이드(131)는 유연한 재질의 재료로 구성되므로, 하우징(10)의 내측면에 의해 구부려지며 하우징(10)의 내부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도어 블레이드(131)의 이동 방향은 좌우 방향에 제한되지 않으모, 상하 방향 또는 비스듬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에서 도어 유닛(100)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69 및 도 7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의 구동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9 및 도 7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유닛(140)은 개구(17)를 개폐하는 도어 블레이드(141), 도어 블레이드(141)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 구동부(1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41)는 원반 형상을 가지며 신축성(elasticity)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41)는 실리콘 또는 고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블레이드(141)는 전면의 일부분이 하우징(10)에 고정되어 있으며, 배면은 도어 구동부(148)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도어 블레이드(141)는 도어 구동부(148)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직경이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9를 참조하면, 도어 구동부(148)가 전진한 상태에서 도어 블레이드(141)는 제1 직경을 가지며 개구(17)를 폐쇄할 수 있다. 즉, 도어 구동부(148)가 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 블레이드(141)의 배면을 전방으로 미는 경우 도어 블레이드(141)는 직경이 증가하며 개구(17)를 폐쇄할 수 있다. 반면, 도 70을 참조하면, 도어 구동부(148)가 후진한 상태에서 도어 블레이드(141)는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을 가지며 개구(17)의 외주의 일부를 개방시킬 수 있다. 즉, 도어 구동부(148)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도어 블레이드(141)의 후면을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도어 블레이드(141)는 직경이 감소하며 개구(17)를 개방할 수 있다. 이때, 도어 유닛(140)은 도어 구동부(148)의 전진 및/또는 후진 거리를 조절하여 도어 블레이드(141)의 직경의 크기를 조절하여 개구(17)의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148)는 도어 블레이드(141)의 배면에 연결되어 도어 블레이드(141)의 직경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어 구동부(148)는 도 39 내지 도 46에 도시된 구동 방법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1 : 외관패널 12 : 토출패널
13 : 유로형성프레임 14 : 토출플레이트
20 : 열교환기 30 : 송풍부
40 : 공기토출부 41 : 제 1 토출부
41a : 제 1 토출유로 43 : 가이드개구부
45 : 토출가이드부 46 : 가이드몸체
47 : 가이드홈 50 : 제 2 토출부
50a : 제 2 토출유로 60 : 도어유닛

Claims (20)

  1.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부를 가지는 토출가이드;
    상기 토출부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도어 블레이드;
    상기 도어 블레이드에 마련되며, 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팬과 상기 토출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가이드하는 송풍그릴; 및
    상기 송풍그릴의 중심에 배치되는 도어 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동작부는 상기 도어 블레이드가 회전 없이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며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도어 동작부는 상기 도어 블레이드가 상기 전후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동안,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가이드부를 갖는 하우징 커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송풍그릴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상기 토출부로 가이드하는 원통 형상의 가이드몸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측은 상기 토출부를 형성하고 타측은 상기 송풍그릴을 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몸체는 상기 송풍그릴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공기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에 대응되도록 마련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 또는 방사형 방향으로 토출하기 위하여 상기 토출부로부터의 이격 거리를 조절가능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형성되는 전면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토출부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가이드몸체에 의해 상기 전방으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도어 블레이드 외곽으로 가이드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 곡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곡면부는 상기 전방으로 토출된 공기가 방사형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 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상기 송풍그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송풍그릴의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는 상기 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그릴은 복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되는 덕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그릴은 상기 덕트의 전방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는 상기 송풍그릴에 고정되는 공기조화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동작부는,
    측면에 사선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어 가이드부를 갖는 제1 도어 하우징; 및
    상기 도어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결합부를 갖는 제2 도어 하우징;을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도어 하우징은 상기 제1 도어 하우징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동작부는 상기 도어 블레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의 회전 축 방향은 상기 도어 블레이드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토출부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1 위치 및 상기 토출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와 상이한 제2 거리만큼 이격되는 제2 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블레이드는,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1 방향과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토출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제2 방향이 상이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조화기.
KR1020230054237A 2015-07-17 2023-04-25 공기조화기 KR10263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0265A KR20240017871A (ko) 2015-07-17 2024-01-23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2003 2015-07-17
KR20150102003 2015-07-17
KR1020210092103A KR102527323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103A Division KR102527323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265A Division KR20240017871A (ko) 2015-07-17 2024-01-23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2505A KR20230062505A (ko) 2023-05-09
KR102630150B1 true KR102630150B1 (ko) 2024-01-29

Family

ID=57992922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23A KR102513480B1 (ko) 2015-07-17 2016-02-15 공기조화기
KR1020180057455A KR101927885B1 (ko) 2015-07-17 2018-05-18 공기조화기
KR1020210089778A KR102384935B1 (ko) 2015-07-17 2021-07-08 공기조화기
KR1020210089865A KR102384926B1 (ko) 2015-07-17 2021-07-08 공기조화기
KR1020210089744A KR102384842B1 (ko) 2015-07-17 2021-07-08 공기조화기
KR1020210092111A KR102513484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KR1020210092103A KR102527323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KR1020210092121A KR102516253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KR1020230054237A KR102630150B1 (ko) 2015-07-17 2023-04-25 공기조화기
KR1020240010265A KR20240017871A (ko) 2015-07-17 2024-01-23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23A KR102513480B1 (ko) 2015-07-17 2016-02-15 공기조화기
KR1020180057455A KR101927885B1 (ko) 2015-07-17 2018-05-18 공기조화기
KR1020210089778A KR102384935B1 (ko) 2015-07-17 2021-07-08 공기조화기
KR1020210089865A KR102384926B1 (ko) 2015-07-17 2021-07-08 공기조화기
KR1020210089744A KR102384842B1 (ko) 2015-07-17 2021-07-08 공기조화기
KR1020210092111A KR102513484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KR1020210092103A KR102527323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KR1020210092121A KR102516253B1 (ko) 2015-07-17 2021-07-14 공기조화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0265A KR20240017871A (ko) 2015-07-17 2024-01-23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6) US11022338B2 (ko)
KR (10) KR102513480B1 (ko)
CN (2) CN107835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61B1 (ko) * 2016-10-10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69298B1 (ko) * 2017-05-18 2023-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8212609A1 (en) 2017-05-18 2018-1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2519060B1 (ko) * 2017-12-27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482279B1 (ko) * 2018-01-03 2022-12-29 주식회사 위니아 측면 토출링의 오조립 방지구조
KR102477511B1 (ko) * 2018-01-03 2022-12-15 주식회사 위니아 에어컨 무빙커버용 링크 힌지 조립체
KR102482637B1 (ko) * 2018-01-03 2022-12-29 주식회사 위니아 에어컨의 측면풍 가이드 구조
KR102482280B1 (ko) * 2018-01-08 2022-12-29 주식회사 위니아 측면풍 기능을 갖는 에어컨
KR102548169B1 (ko) * 2018-01-08 2023-06-28 주식회사 위니아 에어컨
KR102529540B1 (ko) * 2018-01-08 2023-05-09 주식회사 위니아 이원화된 토출구를 구비한 에어컨
KR102093412B1 (ko) * 2018-03-07 2020-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19172690A1 (ko) * 2018-03-07 2019-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172695A1 (ko) 2018-03-07 2019-09-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90106683A (ko)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886450B (zh) * 2018-03-07 2022-04-15 Lg电子株式会社 空调的室内机
KR102239327B1 (ko) * 2018-03-07 2021-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77570B1 (ko) * 2018-03-16 2020-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190309968A1 (en) * 2018-04-05 2019-10-10 Carrier Corporation Thermal management system with thermographic sensing
US11247160B2 (en) * 2018-09-28 2022-02-15 Airplove (Xiamen) Electronic Co., Ltd. Air purifier housing
CN209325925U (zh) * 2018-12-14 2019-08-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CN109520019A (zh) * 2018-12-14 2019-03-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EP3722691A4 (en) 2019-02-25 2020-10-14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INDOOR AIR CONDITIONER UNIT AND ASSOCIATED DOOR ASSEMBLY
KR102332307B1 (ko) * 2019-02-25 2021-11-29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US11566811B2 (en) 2019-02-25 2023-01-31 Gd Midea Air-Conditioning Equipment Co., Ltd. Door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having the same
CN109708202A (zh) * 2019-02-25 2019-05-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其开关门组件
CN109945309A (zh) * 2019-02-25 2019-06-2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09708206A (zh) * 2019-02-25 2019-05-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的风道部件和空调室内机
CN109708199A (zh) * 2019-02-25 2019-05-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的开关门组件和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102282399B1 (ko) 2019-03-04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82398B1 (ko) 2019-03-04 2021-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06431A (ko) 2019-03-04 202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19101B1 (ko) 2019-05-29 202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39778B1 (ko) * 2019-09-06 2024-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38178B1 (ko) * 2019-09-06 2024-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0701679B (zh) * 2019-11-08 2023-07-25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0726177B (zh) * 2019-11-08 2023-07-21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室内机
CN110701680B (zh) * 2019-11-08 2023-07-21 海信空调有限公司 空调室内机
US11566796B2 (en) 2019-12-10 2023-01-31 Lg Electronics Inc. Air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210079900A (ko) 2019-12-20 202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11412613B (zh) * 2020-03-31 2021-12-0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基于空调器的涡环生成方法、空调器、存储介质及装置
KR102358333B1 (ko) * 2020-05-11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358332B1 (ko) * 2020-05-11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358334B1 (ko) * 2020-05-11 2022-0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484747B1 (ko) * 2020-10-29 2023-01-04 임미란 실내 공기 살균 장치
KR20220095884A (ko) 2020-12-30 2022-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58732B1 (ko) * 2021-01-22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45746B1 (ko) * 2021-01-22 2022-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25638B1 (ko) 2021-01-22 2023-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634138B1 (ko) 2021-01-22 2024-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운전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EP4160100A1 (en) * 2021-09-30 2023-04-05 Philips Domestic Appliances Holding B.V. An air delivery system
KR20230096487A (ko) * 2021-12-23 2023-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PL440898A1 (pl) * 2022-04-08 2023-10-09 Flowair Głogowski I Brzeziński Spółka Jawna Zespół nawiewny
KR102589570B1 (ko) 2022-07-22 2023-10-17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가변형 전면 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584382B1 (ko) 2022-08-23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송풍팬 및 덕트의 청소가 용이한 조립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KR102589571B1 (ko) 2022-09-29 2023-10-17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 토출부 조명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584383B1 (ko) 2022-09-29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가변형 전면 토출구 장치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5113A (en) * 1976-05-07 1977-10-25 Robbins & Myers, Inc. Ventilator apparatus
US5003867A (en) * 1989-06-02 1991-04-02 Hudson Associates, Inc. Air conditioning system for grocery store or the like and diffuser units thereof
KR200154579Y1 (ko) * 1996-10-19 1999-08-16 윤종용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전면그릴 설치구조
DE29800107U1 (de) * 1998-01-07 1998-03-05 Braun Melsungen Ag Schlauchkupplung für ein medizinisches Überleitungssystem
JP2001280687A (ja) 2000-03-30 2001-10-10 Sharp Corp 空気調和機
JP4496546B2 (ja) * 2003-06-09 2010-07-07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空調装置用のスライドドア装置
KR200346769Y1 (ko) 2004-01-20 2004-04-08 (주)티원엔지니어링 돔형 풍량조절장치
KR101158114B1 (ko) 2004-03-04 2012-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토출구 개폐구조
KR20050118948A (ko)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FR2877271B1 (fr) 2004-11-03 2007-02-02 Faurecia Interieur Ind Snc Aerateur de systeme de ventilation de l'habitacle d'un vehicule
KR20060128172A (ko) 2005-06-09 2006-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실링팬을 구비한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107622B2 (ja) * 2006-08-22 2012-12-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
CN101153740B (zh) 2006-09-28 2010-05-26 海尔集团公司 空调器出风装置及其工作方法
KR20080072432A (ko) 2007-02-02 2008-08-06 국방과학연구소 저소음 재질의 수중운동체용 전동기의 유성기어감속기
WO2009009435A2 (en) * 2007-07-06 2009-01-15 Rite-Hite Holding Corporation Retractable safety barrier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CN101808839B (zh) * 2007-07-23 2012-09-19 阿美里根公司 辐射式热电装置组件
US20090111373A1 (en) * 2007-10-12 2009-04-30 Metropolitan Air Technology Motorized gear and coupling system
KR101403002B1 (ko) 2007-10-29 2014-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50562B1 (ko) 2008-11-07 2014-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045380B1 (ko) 2008-12-23 2011-06-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20100081845A (ko) 2009-01-07 2010-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KR101624743B1 (ko) 2009-01-09 201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KR100940184B1 (ko) * 2009-01-20 2010-02-04 주식회사 옴니벤트 전동 디퓨저
KR101132646B1 (ko) 2009-07-14 2012-04-02 박상혁 전동식 풍량조절 취출콘을 갖는 디퓨져
KR200458718Y1 (ko) 2009-12-23 2012-03-07 문치영 공조장치용 고소형 가변 선회 취출구
CN201666646U (zh) * 2010-04-07 2010-12-0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
KR20120020261A (ko) 2010-08-30 2012-03-08 장동식 자동 개폐식 디퓨저
JP5733951B2 (ja) 2010-10-28 2015-06-10 東京電力株式会社 空気式放射パネル装置
KR20130054038A (ko) 2011-11-16 2013-05-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멀티 토출구 개폐장치
KR101203540B1 (ko) 2011-12-20 2012-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43440B1 (ko) * 2012-06-28 2014-09-25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라브 가열로 장입 장치
KR20140012437A (ko) 2012-07-20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5516666B2 (ja) 2012-07-26 2014-06-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室内機
KR20140019106A (ko) *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564912B1 (ko) * 2012-08-24 2015-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40037985A (ko) * 2012-09-12 201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88330B1 (ko) 2012-10-08 2019-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EP2719958A3 (en) 2012-10-10 2017-11-0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102064218B1 (ko) 2013-01-02 2020-0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033690B1 (ko) * 2013-01-04 2019-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3388895B (zh) 2013-06-25 2015-12-02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空调器出风口开闭结构
KR102152645B1 (ko) 2013-09-17 2020-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03935B1 (ko) 2014-01-08 2021-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토출구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SE541076C2 (sv) * 2014-02-11 2019-03-26 Lindab Ab Ventilationsdon med ljuddämpning.
KR102217011B1 (ko) 2014-02-11 2021-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104089389B (zh) 2014-07-18 2016-08-17 江苏友奥电器有限公司 移动空调出风口开关门
KR101507367B1 (ko) 2014-08-29 2015-04-07 박재성 다수개의 공기유동량 조절부가 구비된 공기조화용 댐퍼 디퓨저
CN204115178U (zh) 2014-10-09 2015-01-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导风机构及空调器
CN104697055B (zh) * 2015-02-13 2017-06-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室内机及空调室内机的控制方法
US10317099B2 (en) * 2015-04-16 2019-06-11 Air Distribution Technologies Ip, Llc Variable air volume diffuser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099649B1 (ko) 2018-10-19 2020-04-1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6163A1 (en) 2021-11-18
KR20210091099A (ko) 2021-07-21
KR20210091100A (ko) 2021-07-21
US20180274813A1 (en) 2018-09-27
US11346575B2 (en) 2022-05-31
US20180209687A1 (en) 2018-07-26
KR102384842B1 (ko) 2022-04-11
CN110285485A (zh) 2019-09-27
KR102516253B1 (ko) 2023-03-31
US11346577B2 (en) 2022-05-31
KR20210088512A (ko) 2021-07-14
US10914488B2 (en) 2021-02-09
KR102513484B1 (ko) 2023-03-24
KR102513480B1 (ko) 2023-03-27
KR20170010293A (ko) 2017-01-26
KR20210091098A (ko) 2021-07-21
CN107835917A (zh) 2018-03-23
KR102384935B1 (ko) 2022-04-11
US20210356165A1 (en) 2021-11-18
US20210254856A1 (en) 2021-08-19
KR20210089623A (ko) 2021-07-16
CN107835917B (zh) 2021-03-30
KR101927885B1 (ko) 2018-12-12
US11022338B2 (en) 2021-06-01
KR20210088510A (ko) 2021-07-14
KR102384926B1 (ko) 2022-04-11
US11674713B2 (en) 2023-06-13
KR20230062505A (ko) 2023-05-09
US20210356164A1 (en) 2021-11-18
KR102527323B1 (ko) 2023-05-03
KR20180055792A (ko) 2018-05-25
CN110285485B (zh) 2021-06-18
US11346576B2 (en) 2022-05-31
KR20240017871A (ko) 202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0150B1 (ko) 공기조화기
US11079119B2 (en) Air conditioner
US10443864B2 (en) Air conditioner
KR102631918B1 (ko) 공기조화기
KR101962806B1 (ko) 공기조화기
KR10177854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