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70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70B1
KR102077570B1 KR1020180030768A KR20180030768A KR102077570B1 KR 102077570 B1 KR102077570 B1 KR 102077570B1 KR 1020180030768 A KR1020180030768 A KR 1020180030768A KR 20180030768 A KR20180030768 A KR 20180030768A KR 102077570 B1 KR102077570 B1 KR 102077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ssembly
disposed
heat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995A (ko
Inventor
서기원
황순철
장재규
최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70B1/ko
Priority to PCT/KR2019/003064 priority patent/WO2019177430A1/ko
Priority to CN201980032668.5A priority patent/CN112119262B/zh
Publication of KR20190108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5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the conduits being straight
    • F28D1/05316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 F28D1/05341Assemblies of conduits connected to common headers, e.g. core type radiators with multiple rows of conduits or with multi-channel conduits combined with a particular flow pattern, e.g. multi-row multi-stage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F28F9/024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der boxes with flow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0/00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 F28F2260/02Heat exchangers or heat exchange elements having special size, e.g. microstructures having micro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이 개구되고,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개구된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S)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실내공기를 상기 내부공간(S)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원거리 팬어셈블리;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는, 전방을 향해 개구된 정면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시키는 팬하우징어셈블리;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가 거치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전후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하우징; 상기 가이드하우징 또는 팬하우징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의 일부를 상기 정면토출구 밖으로 노출시키는 팬하우징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작동 시, 직접풍을 제공하는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작동되지 않을 때, 직접풍을 제공하는 원거리 팬어셈블리가 사용자에게 은닉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거리 팬어셈블리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기로 구성되고, 공기조화 사이클을 이용하여 건물 또는 방에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한다.
공기조화기는 구조적으로 압축기가 실외에 배치된 분리형과, 압축기가 일체로 제작된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분리형은 실내기에 실내 열교환기를 설치하고, 실외기에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를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다.
일체형은 실내 열교환기,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하나의 케이스 안에 설치한 것이다.
일체형 공기조화기로는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와, 흡입덕트와 토출덕트를 연결하여 실내 외측에 설치하는 덕트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로는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등이 있다.
최근에는 공기 및 냉매의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작비용이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마이크로채널 열교환기를 사용하는 공기조화기가 증가하고 있다.
열교환기는 구조에 따라 핀 튜브형 열교환기,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구리 재질로 제작되고,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된다.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는 내부에 미세한 유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핀 튜브형 열교환기에 비해 효율이 좋다.
핀 튜브형 열교환기는 핀과 튜브를 용접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면적을 증가시키는데에도 별다른 어려움이 없다.
하지만,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는 로(furnace)에 투입하여 브레이징을 통해 제작하기 때문에, 제작에 따른 초기 투자비용이 큰 단점이 있지만, 핀 튜브형 열교환기보다 작은 면적으로도 더 높은 열교환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는 로의 최대 제작 크기를 초과하는 면적으로는 제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로의 최대 제작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종래에는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를 제작하기 위한 설비를 다시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66550 B1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57939 A
본 발명은 제한된 면적의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를 결합하여 하나의 마이크로 채널형 열교환기로 작동할 수 있는 열교환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거리 팬어셈블리를 통해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하고, 근거리 팬어셈블리를 통해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고, 복수개의 열교환기를 경유하는 직렬패스를 구현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를 하나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처럼 작동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하나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처럼 작동시킬 때, 확대된 면적에 따른 냉매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열교환어셈블리를 통해 직접풍을 제공하는 원거리 팬어셈블리에는 강냉방을 제공하고, 간접풍을 제공하는 근거리 팬어셈블리에는 약냉방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별도로 제작된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하나의 열교환기처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중 하나를 병행류로 형성시키고, 나머지를 대향류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서포터를 통해 2개의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후면에 형성된 대면적의 흡입구를 적층된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통해 커버하기 때문에, 흡입구의 면적이 확대되더라도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의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방이 개구되고, 후면에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개구된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S)를 개폐하고, 정면토출구가 형성된 도어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으로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실내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 마이크로 채널 타입으로 제작되고, 상기 팬어셈블리 및 캐비닛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고, 열교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채널 타입으로 제작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제 1 열교환기; 마이크로 채널 타입으로 제작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의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에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또는 제 1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하나의 열교환기로 작동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길고, 상기 폭에 비해 전후 방향 두께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길고, 상기 폭에 비해 전후 방향 두께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는 동일한 수직 평면을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서포터 및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후방측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 및 후방측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후방측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 및 후방측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의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에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또는 제 1 열교환기로 유동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와,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를 모두 경유하여 하나의 열교환기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냉매가 후방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에서 전방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로 유동되고, 흡입된 실내공기도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병행류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나머지 하나는, 냉매가 전방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에서 후방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로 유동되고, 흡입된 실내공기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대향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는 좌우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는 좌우 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3 패스 및 제 4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는 좌우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는 좌우 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3 패스 및 제 4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에 상기 제 1 패스와 연결되는 제 1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에 상기 제 4 패스와 연결되는 제 2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에 상기 제 1 패스와 연결되는 제 1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에 상기 제 4 패스와 연결되는 제 2 배관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에 제 1 냉매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에 제 3 냉매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 및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를 연결하는 제 2 냉매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 또는 제 2 배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 또는 제 2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별도로 제작된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하나의 열교환기처럼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하나의 열교환기를 통해 직접풍을 제공하는 원거리 팬어셈블리에는 강냉방을 제공하고, 간접풍을 제공하는 근거리 팬어셈블리에는 약냉방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를 연결하여 하나의 마이크로채널 타입 열교환기처럼 작동시키더라도 확대된 면적에 따른 냉매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후면에 형성된 대면적의 흡입구를 적층된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통해 커버하기 때문에, 흡입구의 면적이 확대되더라도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의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폭에 비해 높이가 긴 2개의 열교환기를 적층할 때,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은 폭에 비해 높이가 긴 2개의 열교환기를 적층할 때, 서포터에 배관연결부를 삽입하여 배관연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곱째, 본 발명은 폭에 비해 높이가 긴 2개의 열교환기를 적층할 때, 상측의 냉매와 하측의 냉매에서 발생되는 압력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중 하나를 병행류로 형성시키고, 나머지 하나를 대향류로 형성시키기 때문에, 냉방 및 난방을 실시할 때, 열교환효율을 균일하게 형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우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열교환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1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열교환부의 정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열교환부의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3의 우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10)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10)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10)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10)는 전방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개구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8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으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무빙클리너(7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1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형성된 흡입구(101)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기 때문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직교하게 통과한 후 사이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300)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에 결합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상기 가습어셈블리(8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습어셈블리(800)의 물탱크(81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2단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이동된 필터어셈블리(600)에서 필터만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이동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회동 시 간접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8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8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8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8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800)의 상측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팬어셈블리(300)(400)에 배치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310)에 토출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팬가이드(330)를 포함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토출베인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팬가이드(330)는 상기 팬(3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팬가이드(330)에 의해 상기 측면토출구(301)로 안내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4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열교환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 1 열교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제 1 열교환부의 정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제 2 열교환부의 정단면도이다.
<열교환어셈블리의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어셈블리(500)는 별도로 제작된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를 상하 방향으로 적층하여 하나의 열교환기처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어셈블리(500)는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 중 하나를 병행류로 형성시키고, 나머지를 대향류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어셈블리(500)는 후면에 형성된 대면적의 흡입구를 적층된 마이크로 채널 타입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를 통해 커버하기 때문에, 흡입구의 면적이 확대되더라도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의 설비를 교체하지 않고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어셈블리(500)는 폭에 비해 높이가 긴 2개의 열교환기를 적층할 때, 서포터(510)를 통해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제공하고, 상기 서포터에 배관연결부를 삽입하여 배관연결부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어셈블리(500)는 폭에 비해 높이가 긴 2개의 열교환기를 적층할 때, 상측의 냉매와 하측의 냉매에서 발생되는 압력 불균형을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를 상하로 쌓아서 제작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01)가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502)는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는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기어셈블리(500)는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 사이에 서포터(510)가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510)는 상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열교환기(502)를 지지한다.
상기 서포터(51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를 결합시켜 일체화시킨다. 상기 서포터(51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510)는 열전달계수가 낮은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기어셈블리(500)는 로에서 제작된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와 별도로 제작된 상기 서포터(510)를 결합시켜 제작된다.
상기 서포터(51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의 열전달을 차단 또는 최소화시킨다.
상기 제 2 열교환기(502)가 상측에 배치되는 바, 상기 서포터(510)는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외측면 중 일부가 삽입되어 형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는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를 예로 들어 상세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열교환기의 구성>
상기 제 1 열교환기(501)는 공기와 열교환되는 제 1 열교환부(530)와, 상기 제 1 열교환부(530)에 전후 방향으로 적층되고, 공기와 열교환되는 제 2 열교환부(54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30) 및 제 2 열교환부(540)는 로에서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열교환기(501)는 2개 이상의 열교환부가 적층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30) 및 제 2 열교환부(540)는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이다.상기 제 1 열교환부(530) 및 제 2 열교환부(54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열교환부(530)는 내부에 복수개의 유로가 형성된 복수개의 플랫튜브(550)와, 상기 플랫튜브(550)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키는 핀(560)과, 상기 복수개의 플랫튜브(550)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 플랫튜브(550) 일측과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제 1 로어헤더(570)와, 상기 복수개의 플랫튜브(550)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 플랫튜브(550)의 타측과 연통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제 1 어퍼헤더(580)와, 상기 제 1 로어헤더(570) 또는 제 1 어퍼헤더(5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냉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내부를 구획시키는 베플(590)을 포함한다.
상기 플랫튜브(55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냉매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플랫튜브(550)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플랫튜브(550)가 적층된다.
상기 플랫튜브(55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유로가 형성된다. 냉매는 상기 플랫튜브(5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동된다.
상기 플랫튜브(550)의 좌측은 상기 제 1 로어헤더(570)에 삽입되어 연통된다. 상기 플랫튜브(550)의 우측은 상기 제 1 어퍼헤더(580)에 삽입되어 연통된다.
상기 핀(560)은 절곡되어 형성되고, 적층된 2개의 플랫튜브(550)를 연결하여 열을 전도시킨다.
상기 베플(baffle, 590)은 제 1 로어헤더(570) 또는 제 1 어퍼헤더(580) 어디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플(590)은 제 1 로어헤더(570) 및 제 2 로어헤더(571)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베플(590)은 제 1 로어헤더(570)에 설치되는 제 1 베플(590a)과, 제 2 로어헤더(571)에 설치되는 제 2 베플(590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베플(590a)은 제 1 로어헤더(570)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구획한다. 상기 제 2 베플(590b)은 제 2 로어헤더(571) 내부를 좌우방향으로 구획한다.
상기 제 1 베플(590a)은 상기 제 1 로어헤더(570) 내부를 2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1-1 공간(591) 및 1-3 공간(59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로어헤더(571) 내부는 제 2 베플(590b)에 의해 2-1 공간(594) 및 2-3 공간(596)로 구획된다.
상기 제 1 어퍼헤드(580) 내부의 공간을 제 1-2 공간(592)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어퍼헤드(581) 내부의 공간을 제 2-2 공간(595)으로 정의한다.
상기 공간들의 넘버링은 위치와는 무관하고, 냉매의 유동순서에 따라 넘버링되었다.
상기 제 2 베플(590b)은 상기 제 2 로어헤더(571) 내부를 좌우 방향으로 구획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2-1 공간(593) 및 2-3 공간(595)으로 정의한다.
상기 베플(590)을 기준으로 좌측을 유동하는 냉매의 방향과, 우측을 유동하는 냉매의 방향이 서로 반대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베플(590a)의 우측에 배치된 플랫튜브(550)들을 제 1 패스(551)로 정의하고, 상기 제 1 베플(590a)의 좌측에 배치된 플랫튜브(550)들을 제 2 패스(552)로 정의한다. 상기 제 2 베플(590b)의 좌측에 배치된 플랫튜브(550)들을 제 3 패스(553)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베플(590b)의 우측에 배치된 플랫튜브(550)들을 제 4 패스(554)로 정의한다.
상기 패스들의 넘버링은 위치와는 무관하고, 냉매의 유동순서에 따라 넘버링되었다. 냉매는 제 1 패스, 제 2 패스, 제 3 패스 및 제 4 패스 순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 1 베플(590a)에 의해 제 1 패스(551)의 플랫튜브(550)들과 제 2 패스(552)의 플랫튜브(550)들은 서로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패스(551), 제 2 패스(552), 제 3 패스(553), 제 4 패스(554)에 배치된 플랫튜브(550)들의 개수는 동일하다. 이와 같은 플랫튜브의 배치를 균등4패스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에 냉매배관들이 연결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냉매배관들은 제 1 어퍼헤드(580) 또는 제 2 어퍼헤드(581)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로어헤드(570)는 상기 냉매배관이 연결되는 제 1 배관연결부(57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관연결부(572)는 상기 제 1 로어헤드(570)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로어헤드(570)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1 공간(591)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배관연결부(572)는 상기 제 1 로어헤드(57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관연결부(572)가 어퍼헤드에 배치되는 경우 어퍼헤드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배관연결부(572)는 로어헤드 또는 어퍼헤드의 측면에서 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로어헤드(571)는 냉매배관이 연결되는 제 2 배관연결부(574)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배관연결부(574)는 상기 제 2 로어헤드(571)에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2 로어헤드(571)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3 공간(596)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배관연결부(574)는 상기 제 2 로어헤드(571)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배관연결부(574)가 어퍼헤드에 배치되는 경우 어퍼헤드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배관연결부(574)는 로어헤드 또는 어퍼헤드의 측면에서 측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의 배관연결부를 구분하여 지칭할 필요가 있을 때, 제 1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를 도면부호 572'라 하고, 제 1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를 도면부호 574'라 하고,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를 도면부호 572"라 하고,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를 도면부호 574"라 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의 제 1 열교환부(530)에서 제 2 열교환부(540)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 또는 제 1 어퍼헤드(580) 및 제 2 어퍼헤드(581) 중 어느 하나에는 연통홀(57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에 상기 연통홀(575)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홀(575)은 상기 로어헤드(570)(57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제 1 어퍼헤드(580) 및 제 2 어퍼헤드(581)에 연통홀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냉매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유동되기 때문에, 어퍼헤드에 연통홀을 형성시키는것보다 로어헤드에 연통홀을 형성시키는게 냉매유동에 유리하다.
상기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의 마주보는 면에 상기 연통홀(575)이 각각 형성된다.
냉매가 상기 제 1 열교환부(530)에 배치된 제 2 패스(552)에서 제 2 열교환부(540)에 배치된 제 3 패스(553)로 유동될 때, 상기 연통홀(575)을 통해 다른 열교환부로 유동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에 배치된 제 1 열교환기(501)에 냉매가 공급된 후,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에서 냉매가 토출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에 제 1 냉매배관(522)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에 제 3 냉매배관(526)이 연결되며, 제 2 냉매배관(524)이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를 연결하여 냉매를 유동시킨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또는 제 2 열교환기(502)의 어느 배관연결부에 제 1 냉매배관(522), 제 3 냉매배관(526) 및 제 2 냉매배관(524)이 배치되느냐에 따라 냉매의 유동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같을 경우, 병행류라고 정의하고, 냉매의 유동방향과 공기의 유동방향이 반대일 경우 대향류라고 정의한다.
예를 들어 공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될 때, 냉매가 후방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530)에서 전방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540)로 유동되는 것은 병행류이다. 반대로 공기가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될 때, 냉매가 전방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540)에서 후방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530)로 유동되는 것은 병행류이다.
상기 제 1 냉매배관(522), 제 2 냉매배관(524), 제 3 냉매배관(526)을 어느 배관연결부에 연결하느냐에 따라 냉방 또는 난방 시의 대향류 또는 병행류를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또는 제 2 열교환기(502) 중 어느 하나를 대향류로 배치시키고, 다른 하나를 병행류로 배치시킨다. 이와 같이 냉매유로를 배치할 경우, 냉방 중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또는 제 2 열교환기(502) 중 어느 하나가 대향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병행류로 형성되며, 난방 중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또는 제 2 열교환기(502) 중 어느 하나가 병행류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가 대향류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또는 제 2 열교환기(502) 중 어느 하나를 대향류로 배치시키고, 다른 하나를 병행류로 배치시키는 경우, 냉방 또는 난방 시 열교환어셈블리(500)의 효율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냉방 전용 또는 난방 전용으로 열교환어셈블리(500)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에 모두 대향류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또는 제 2 열교환기(502) 중 어느 하나를 대향류로 배치시키고, 다른 하나를 병행류로 배치시키기 위해 제 1 냉매배관(522), 제 3 냉매배관(526) 및 제 2 냉매배관(524)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냉매배관(522)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의 제 1 배관연결부(572')에 연결된다.
상기 제 3 냉매배관(526)은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1 배관연결부(572")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냉매배관(524)의 일단(523)은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의 제 2 배관연결부(574')에 연결되고, 타단(525)은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1 배관연결부(574")에 연결된다.
냉방운전 시, 냉매는 상기 "제 1 냉매배관(522)-> 제 2 냉매배관(524) -> 제 3 냉매배관(526)" 순으로 유동된다.
난방운전 시, 냉매는 상기 "제 3 냉매배관(526) -> 제 2 냉매배관(524) -> 제 1 냉매배관(522)" 순으로 유동된다.
냉방운전 시, 냉매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의 "제 1 패스(551)->제 2 패스(552)-> 제 3 패스(553) -> 제 4 패스(554)"로 유동된 후, 제 2 냉매배관(524)을 통해 제 2 열교환기(502)로 유동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4 패스(554)-> 제 3 패스(553) -> 제 2 패스(552) -> 제 1 패스(551)" 순으로 유동된다.
냉방운전 시, 상기 제 1 냉매배관(522)을 통해 열교환어셈블리(500)에 냉매가 공급되고, 제 3 냉매배관(526)을 통해 열교환어셈블리(500)의 냉매가 배출된다.
실내공기는 상기 제 1 열교환부(530)에서 제 2 열교환부(540)로 유동되는 바, 냉방 운전 시, 상기 제 1 열교환기(501)는 병행류로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502)는 대향류로 형성된다.
반대로 난방 운전 시, 상기 제 1 열교환기(501)는 대향류로 형성되고, 제 2 열교환기(502)는 병행류로 형성된다.
그래서 난방운전 시,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의 "제 1 패스(551)->제 2 패스(552)-> 제 3 패스(553) -> 제 4 패스(554)"으로 유동된 후, 제 2 냉매배관(524)을 통해 제 1 열교환기(501)로 유동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의 "제 4 패스(554)-> 제 3 패스(553) -> 제 2 패스(552) -> 제 1 패스(551)" 순으로 유동된다.
난방운전 시, 상기 제 3 냉매배관(526)을 통해 열교환어셈블리(500)에 냉매가 공급되고, 제 1 냉매배관(522)을 통해 열교환어셈블리(500)의 냉매가 배출된다.
한편, 상기 서포터(510)는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 사이에 배치되고,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 사이의 열전달을 차단하고, 상측에 배치된 제 2 열교환기(502)를 지지한다.
상기 서포터(51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와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서포터(510)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용접 등을 통해 상기 제 1 열교환기(501) 및 제 2 열교환기(502)와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서포터(510)는 상기 제 1 열교환기(501)에 지지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502)를 지지하는 서포터바디(511)와, 상기 서포터바디(5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배관연결부(572")(574")가 삽입되는 삽입홈(512)(514)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512)(514)은 상기 서포터바디(511)의 상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홈(512)(514)은 제 2 열교환기(502)의 배관연결부(572")(574")에 대응하기 위해 2개가 배치된다.
상기 배관연결부의 개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삽입홈의 개수도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10)의 상면(510a)은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서포터(510)의 상면(510a)은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의 저면 형상에 대응한다.
이를 통해 상기 서포터(510)가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에 밀착되게 할 수 있고,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의 제 1 로어헤드(570) 및 제 2 로어헤드(571)의 저면이 평면이기 때문에, 상기 서포터(510)의 상면(510a)도 평면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510)의 저면(510b)은 상기 제 1 열교환기(502)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서포터(510)의 저면(510b)은 상기 제 1 열교환기(502)의 제 1 어퍼헤드(580) 및 제 2 어퍼헤드(581)의 상면 형상에 대응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홈(512)(514)는 상기 상면(510a)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배관연결부(572)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제 1 삽입홈(512)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배관연결부(574)에 대응하는 삽입홈을 제 2 삽입홈(514)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은 냉매배관과의 연결을 위해 전면(510c)을 향해 개구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은 후면(미도시)으로 개구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의 개구된 방향을 통해 상기 제 2 열교환기(502)에서 흘러내린 응축수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이 개구된 경우, 전면 및 후면으로 모두 응축수를 배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에 응축수가 고일 경우, 곰팡이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은 응축수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저면(512a)(514a)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512a)(514a)은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의 개구된 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1 삽입홈(512) 및 제 2 삽입홈(514)의 내부에 고인 응축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삽입홈(512)이 제 2 삽입홈(514)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삽입홈(512)이 제 2 삽입홈(514)에 비해 전후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 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 팬어셈블리 400 : 원거리 팬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700 : 무빙클리너 800 : 가습어셈블리

Claims (14)

  1.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
    마이크로 채널 타입으로 제작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내부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마이크로 채널 타입으로 제작된 제 1 열교환기;
    마이크로 채널 타입으로 제작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열교환기;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를 일체로 결합시키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를 지지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하측으로 돌출된 배관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길고, 상기 폭에 비해 전후 방향 두께가 짧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좌우 폭에 비해 상하 높이가 길고, 상기 폭에 비해 전후 방향 두께가 짧게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기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는 동일한 수직 평면을 형성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서포터 및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흡입구와 대향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어셈블리의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에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또는 제 1 열교환기를 경유하여 하나의 열교환기로 작동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는 후방측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 및 전방측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는 후방측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 및 전방측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의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에 공급된 냉매는 상기 제 2 열교환기 또는 제 1 열교환기로 유동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와,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 및 제 2 열교환부를 모두 경유하여 하나의 열교환기로 작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어느 하나는, 냉매가 후방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에서 전방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로 유동되고, 흡입된 실내공기도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병행류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 또는 제 2 열교환기 중 나머지 하나는, 냉매가 전방에 배치된 제 2 열교환부에서 후방에 배치된 제 1 열교환부로 유동되고, 흡입된 실내공기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되는 대향류로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는 좌우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는 좌우 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3 패스 및 제 4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는 좌우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1 패스 및 제 2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는 좌우 방향으로 냉매가 유동되는 제 3 패스 및 제 4 패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에 상기 제 1 패스와 연결되는 제 1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에 상기 제 4 패스와 연결되는 제 2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열교환부에 상기 제 1 패스와 연결되는 제 1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열교환부에 상기 제 4 패스와 연결되는 제 2 배관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 또는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에 제 1 냉매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에 제 3 냉매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 및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를 연결하는 제 2 냉매배관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 및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는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1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제 1 삽입홈; 상기 제 2 열교환기의 제 2 배관연결부가 삽입되는 제 2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 1 삽입홈 또는 제 2 삽입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전면 또는 후면으로 개구되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상기 흡입구가 형성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전방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공간(S)를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내부에 배치된 팬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는 상기 팬어셈블리 및 흡입구 사이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교환기, 서포터 및 제 2 열교환기는 상기 흡입구를 커버하고, 상기 흡입구와 대향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의 측면 또는 상기 도어어셈블리에 토출구가 배치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보다 전방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80030768A 2018-03-16 2018-03-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77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8A KR102077570B1 (ko) 2018-03-16 2018-03-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CT/KR2019/003064 WO2019177430A1 (ko) 2018-03-16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1980032668.5A CN112119262B (zh) 2018-03-16 2019-03-15 空调机的室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768A KR102077570B1 (ko) 2018-03-16 2018-03-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995A KR20190108995A (ko) 2019-09-25
KR102077570B1 true KR102077570B1 (ko) 2020-02-14

Family

ID=67908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768A KR102077570B1 (ko) 2018-03-16 2018-03-16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077570B1 (ko)
CN (1) CN112119262B (ko)
WO (1) WO20191774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1940B (zh) * 2019-10-28 2021-09-17 北京北方华创微电子装备有限公司 热交换装置及半导体加工设备
WO2021128613A1 (zh) * 2019-12-27 2021-07-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的进风组件和空调器
CN111964192A (zh) * 2020-08-27 2020-11-20 江苏康泰热交换设备工程有限公司 微通道湿膜换热热泵空调
CN112902307B (zh) * 2021-02-08 2021-11-23 南京慧和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新风换热器及含有该换热器的空调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851A (ja) * 2007-09-27 2009-04-16 Fujitsu General Ltd 熱交換器ユニットおよび同熱交換器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133656A (ja) 2008-12-05 2010-06-17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4142138A (ja) * 2013-01-24 2014-08-07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1510A (ko) * 2006-07-31 2008-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566550B1 (ko) 2008-11-12 2015-1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40019106A (ko) * 2012-08-03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989097B1 (ko) 2012-11-05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KR20160016436A (ko) * 2014-08-05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13480B1 (ko) * 2015-07-17 202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541386B1 (ko) * 2015-07-17 202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40697B1 (ko) * 2015-07-17 2018-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70029317A (ko) * 2015-09-07 2017-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이크로 채널 타입 열교환기
KR102032192B1 (ko) * 2015-10-23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9851A (ja) * 2007-09-27 2009-04-16 Fujitsu General Ltd 熱交換器ユニットおよび同熱交換器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0133656A (ja) 2008-12-05 2010-06-17 Sharp Corp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4142138A (ja) * 2013-01-24 2014-08-07 Toshiba Corp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77430A1 (ko) 2019-09-19
CN112119262B (zh) 2022-06-24
KR20190108995A (ko) 2019-09-25
CN112119262A (zh)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7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569298B1 (ko) 공기조화기
CN103791558A (zh) 空调
KR102467477B1 (ko) 듀얼 응축기를 가지는 전열교환기
KR102341728B1 (ko) 공기조화기
KR100598458B1 (ko) 냉난방 공기조화기용 환기 폐열 회수장치
CN215765418U (zh) 空调室内机
CN215062438U (zh) 空调器室内机
KR100621243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215597447U (zh) 一种室内空调器
KR20210098017A (ko) 공기조화기
CN215808849U (zh) 空调器室内机
KR20210092625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58782A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217109774U (zh) 空调室内机
KR100529914B1 (ko) 덕트 연결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7109776U (zh) 空调室内机
KR102171997B1 (ko) 실내 열교환기
CN216522004U (zh) 空调室内机
KR100626460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215929935U (zh) 一种设有新风系统的空调器
CN215909215U (zh) 空调室内机
CN215765416U (zh) 空调室内机
KR1010894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
CN215765419U (zh) 空调室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