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307B1 -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307B1
KR102332307B1 KR1020197030590A KR20197030590A KR102332307B1 KR 102332307 B1 KR102332307 B1 KR 102332307B1 KR 1020197030590 A KR1020197030590 A KR 1020197030590A KR 20197030590 A KR20197030590 A KR 20197030590A KR 102332307 B1 KR102332307 B1 KR 102332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air
air conditioner
opening
clos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0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004A (ko
Inventor
한졔 후
량뤼 천
다이졔 펑
Original Assignee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920239645.9U external-priority patent/CN20955853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910138769.2A external-priority patent/CN109812869B/zh
Application filed by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미디어 그룹 코 엘티디 filed Critical 지디 미디어 에어콘디셔닝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0010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F24F2140/40Damper positions, e.g. open or cl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의 케이스(1)에는 제1 송풍구(111a)와 아래에 위치한 제2 송풍구(111b)가 형성되고, 송풍 도어 어셈블리(4)는 제2 송풍구(111b)에 설치되어 케이스(1)와 그 사이에 송풍 통로(7a)를 형성하며,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은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에 위치하고 환형을 나타내며, 송풍 통로(7a)는 상부 송풍 통로(71a)와 하부 송풍 통로(72a)를 포함하고, 상부 송풍 통로(71a)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구성하며, 제1 개폐 기구(5)는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기술분야
본 출원은 공기 처리 설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련출원에 대한 교차인용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201910138769.2이고, 출원일이 2019년 2월 25일인 중국 특허 출원 및 출원번호가 201920239645.9이고, 출원일이 2019년 2월 25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제출되고, 상술한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술한 중국 발명 출원의 전체 내용을 참조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공기 조화기는 흔히 사용되는 공기 조절 설비 중 하나로 실내의 환경온도(일부 공기 조화기는 환경습도 조절, 공기 정화 등 기능도 동시에 구비함)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관련 기술에서, 공기 조화기 작동 시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송풍 방향이 단일하여 실내 환경 온도가 균일하지 못하다. 또한,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에서 작동되는 경우, 실내의 바닥 온도가 낮아 발이 시리움을 느끼기 쉬워 쾌적성이 저하된다.
본 출원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기술과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기 위해 제출된다. 이에, 본 출원은 3 차원 송풍 효과를 구현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가진 공기 조화기를 제시한다.
또한, 본 출원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공기 유입구, 제1 송풍구 및 상기 제1 송풍구의 하부에 위치한 제2 송풍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제2 송풍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송풍 도어 어셈블리 -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작동 시,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송풍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송풍 통로의 송풍단이 상기 제2 송풍구의 앞쪽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 통로의 송풍단은 환형을 이루고, 상기 제2 송풍구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기준면으로 하고, 상기 송풍 통로의 상기 기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부 송풍 통로이고, 상기 송풍 통로의 상기 기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부 송풍 통로이며, 상기 상부 송풍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통로 조절 구역임 - ;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기 위한 제1 개폐 기구;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된 열 교환기 부재 및 공기 통로 부재;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는 공기 조화기 작동 시에 제2 송풍구의 송풍단이 환형을 이루어 제2 송풍구가 사방을 향해 송풍하게 되며, 제1 송풍구의 전방향 송풍과 결합되어 공기 조화기의 3 차원 송풍 효과를 구현하고, 실내 온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된 제1 개폐 기구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제1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는데, 공기 조화기의 냉방 작동 시에는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함으로써 냉방 송풍량을 증가하고, 또한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통해 송풍된 바람은 냉기를 약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작동 시에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여 열풍이 송풍단의 하부 송풍 통로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지면에 송풍되게 함으로써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높여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송풍구의 중심축에 수직되는 동일 평면에 투영된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과 상기 송풍 통로의 면적 비율의 범위가 1/10 내지 1/2이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상부 송풍 통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송풍 통로의 상기 송풍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 및 각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팅 로드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 시, 복수의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고,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 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기류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기류 통로를 형성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송풍 도어 브라켓; 및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되는 연결 시트를 포함하는 송풍 도어;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작동 시, 상기 도어 본체는 상기 제2 송풍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송풍구와 이격되며,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 상기 송풍 도어 및 상기 케이스 사이에 공동으로 상기 송풍 통로를 한정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는 환형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통로는 상기 송풍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며,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환형 통로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 도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송풍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도어 본체는 상기 제2 송풍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송풍구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송풍구를 개방하며, 상기 송풍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도어 본체가 상기 제2 송풍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송풍구를 폐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 및 상기 연결 시트 중 하나에 가이드홈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 및 상기 연결 시트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부는 모두 환형으로 형성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송풍 도어를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연결 시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본체의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하는 벽면이 상기 송풍 통로의 일부 내벽면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 본체의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하는 적어도 일부 벽면이 도류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류면은 상기 도어 본체의 중심에서 상기 도어 본체의 외주변을 향하는 방향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송풍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 송풍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송풍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송풍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이루며,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 기구를 더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 송풍 통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본 출원의 상기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를 설치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3차원 송풍 효과를 구현하고, 실내 온도의 균일성을 개선하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작동 시에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제3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현재 작동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현재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개폐 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냉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난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작동 시에는 비교적 큰 송풍량을 가지고, 공기 조화기의 난방 작동 시에는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 송풍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송풍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송풍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이루며,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 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냉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가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난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가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본 출원의 부가 측면 및 장점은 이하의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설명되고 일부는 이하의 서술에서 명확하게 되거나 또는 본 출원의 실천에 따라 이해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결부하여, 실시예에 대한 서술을 통해 본 출원의 상술한 측면 및/또는 추가되는 측면 및 장점이 더욱 명백해지고 이해가 쉬워질 것이고, 여기서,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의 송풍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 제1 개폐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의 송풍 개략도1 이다.
도 6은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의 송풍 개략도2 이다.
도 7은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 제1 개폐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송풍 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여기서 제2 송풍구는 송풍 도어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도 9는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송풍 도어 어셈블리의 사시도로서, 여기서 제2 송풍구는 송풍 도어에 의해 개방된 상태이다.
도 10은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송풍 도어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11은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송풍 도어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여기서 제2 송풍구는 송풍 도어에 의해 폐쇄된 상태이다.
도 12는 도 1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송풍 도어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여기서 제2 송풍구는 송풍 도어에 의해 개방된 상태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3 중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 제1 개폐 기구와 제2 개폐 기구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상기 실시예의 예시는 첨부된 도면에서 제시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아래에서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설명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출원을 해석하기 위한 것이며, 본 출원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케이스(1), 송풍 도어 어셈블리(4), 열 교환기 부재(2), 공기 통로 부재(3) 및 제1 개폐 기구(5)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플로어 스탠딩형 공기 조화기 실내기일 수도 있고, 벽결이형 공기 조화기 실내기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에는 공기 유입구(12a), 제1 송풍구(111a) 및 제2 송풍구(111b)가 설치되고, 제2 송풍구(111b)는 제1 송풍구(111a)의 아래에 위치하고, 열 교환기 부재(2)와 공기 통로 부재(3)는 케이스(1) 내에 설치된다. 공기 조화기 작동 시, 제1 송풍구(111a)와 제2 송풍구(111b)는 모두 개방되고, 공기 통로 부재(3)는 공기를 구동하여 공기가 공기 유입구(12a)에서 케이스(1)내에 유입되어 열 교환기 부재(2)와 열 교환을 수행하게 하며, 공기는 열 교환기 부재(2)와 열 교환을 수행한 후에 적어도 제1 송풍구(111a) 및 제2 송풍구(111b)로부터 실내에 토출되어 실내 환경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예시에서,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플로어 스탠딩형 공기 조화기 실내기이고, 케이스(1)의 횡단면은 대체로 원형을 나타내며, 케이스(1)는 전후로 설치되며 서로 연결된 패널 부재(11)와, 배판 부재(12), 및 각각 패널 부재(11)의 상하 양측에 설치된 상부 커버 부재(13)와, 베이스 부재(14)를 포함하며, 패널 부재(11)는 상부 패널 부재(111)와 하부 패널 부재(112)를 포함하고, 패널 부재(11)가 상하로 서로 연결된 상부 패널 부재(111)와 하부 패널 부재(112)를 포함하여 설치됨으로써 패널 부재(11)의 구조적 강도를 제고할 수 있다. 공기 유입구(12a)는 배판 부재(12)에 형성되고, 제1 송풍구(111a)와 제2 송풍구(111b)는 모두 상부 패널 부재(111)에 설치되고 또한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열 교환기 부재(2)와 공기 통로 부재(3)는 모두 케이스(1)내에 설치되고, 기류의 유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계속하여 도 2를 참조하면, 공기 통로 부재(3)는 통로 설치판(30), 제1 공기 통로 부재(31), 제1 윈드 휠(31b), 제1 모터(31c), 제2 공기 통로 부재(32), 제2 윈드 휠(32b), 제2 모터(32c), 제3 공기 통로 부재(33), 제3 윈드 휠(33b) 및 제3 모터(33c)를 포함한다. 제1 공기 통로 부재(31), 제2 공기 통로 부재(32) 및 제3 공기 통로 부재(33)는 모두 통로 설치판(30)에 설치되며, 여기서 제1 공기 통로 부재(31)와 제2 공기 통로 부재(32)는 기류 유동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3 공기 통로 부재(33)는 제1 공기 통로 부재(31)와 제2 공기 통로 부재(32)의 아래에 위치한다. 제1 공기 통로 부재(31)는 제1 통로(31a)를 가지고, 제1 윈드 휠(31b)은 제1 통로(31a)내에 설치되고, 제1 모터(31c)와 제1 윈드 휠(31b)은 서로 연결되고 제1 윈드 휠(31b)의 뒤측에 위치하며, 제2 공기 통로 부재(32)는 제1 통로(31a)와 대응되고 또한 관통된 제2 통로(32a)를 가지고, 제2 윈드 휠(32b)은 제2 통로(32a) 내에 설치되고, 제2 모터(32c)와 제2 윈드 휠(32b)이 서로 연결되고 제2 윈드 휠(32b)의 앞쪽에 위치하며, 제3 공기 통로 부재(33)는 제3 통로(33a)를 가지고, 제3 윈드 휠(33b)은 제3 통로(33a) 내에 설치되고, 제3 모터(33c)와 제3 윈드 휠(33b)은 서로 연결되고 제3 윈드 휠(33b)의 앞쪽에 위치한다.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은 회전 시에 제1 송풍구(111a)를 향해 송풍하고, 제3 윈드 휠(33b)은 회전 시에 제2 송풍구(111b)를 향해 송풍한다.
선택적으로, 제1 윈드 휠(31b)은 축류 윈드 휠 또는 사류 윈드 휠일 수 있고, 제2 윈드 휠(32b)은 축류 윈드 휠 또는 사류 윈드 휠일 수 있고, 제3 윈드 휠(33b)은 축류 윈드 휠 또는 사류 윈드 휠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고, 송풍 방향은 동일한 방향일 수 있으며, 모두 제1 송풍구(111a)를 향해 송풍된다. 예를 들어, 제1 윈드 휠(31b)이 시계 반대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 제2 윈드 휠(32b)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만일 제1 윈드 휠(31b)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윈드 휠(32b)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이 회전 과정에 발생된 기류는 모두 제1 송풍구(111a)의 방향을 향해 유동된다.
제1 윈드 휠(31b), 제1 모터(31c), 제2 윈드 휠(32b) 및 제2 모터(32c)가 이중 반전 팬을 구성하기 때문에, 다시 말하면, 제1 윈드 휠(31b)의 블레이드의 경사 방향과 제2 윈드 휠(32b)의 블레이드의 경사 방향이 서로 반대되기에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은 공기 유동 방향에서 서로 안내깃이 되며,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의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 기류의 접선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고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의 회전 속도(즉, 동적 압력에서 정적 압력으로 전환)가 동일한 경우에 기류의 접선 회전 속도를 해소함으로써 이중 반전 팬이 공기에 대한 작업효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두 윈드 휠을 통과한 기류가 모두 송풍구의 방향으로 유동함으로써 원거리 송풍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단일 크로스 플로우 팬, 축류 팬 또는 사류 팬과 비교하면, 이중 반전 팬의 제1 윈드 휠(31b) 및 제2 윈드 휠(32b)이 서로 다른 속도로 반전되든지 아니면 동일한 속도로 반전되든지 모두 이중 반전 팬이 더욱 먼 거리의 송풍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의 회전 속도가 서로 다른 경우 송풍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하나의 윈드 휠이 비교적 높은 회전 속도로 회전되고 다른 하나의 윈드 휠이 비교적 낮은 회전 속도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 속도가 비교적 높은 윈드 휠이 주도적 역할을 하게 되는데, 단일 스테이지 축류 또는 사류 윈드 휠의 블레이드 기류 출구 각도를 회전축의 방향에서 이격되게 설계하여 축류 윈드 휠 또는 사류 윈드 휠 자체가 바람 비산 효과를 가지게 함으로써 제1 송풍구(111a)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의 각도 범위가 비교적 큰 광각 송풍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축류 윈드 휠 또는 사류 윈드 휠 자체가 바람 비산 효과를 가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제1 윈드 휠(31b)과 제2 윈드 휠(32b)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차동 회전하게 함으로써 산들 바람 또는 무풍 송풍을 구현할 수 있기에 냉기가 제1 송풍구(111a)에서 토출되어 직접 사용자를 향해 송풍되어 사용자에게 불쾌한 체험을 가져오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미세한 구멍을 갖는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아도 산들바람 또는 무풍 송풍을 구현할 수 있으며, 풍량 손실이 작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광각 송풍 또는 무풍 송풍을 구현하기 위해, 이중 반전 팬 중의 하나의 윈드 휠에 대응되는 모터의 작동을 종료하고 다른 하나의 윈드 휠은 여전히 송풍구의 일측을 향해 정방향으로 송풍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각 송풍 또는 무풍 송풍을 구현하기 위해, 이중 반전 팬 중의 하나의 윈드 휠이 케이스(1)의 내측으로 송풍하고, 다른 하나의 윈드 휠은 여전히 정방향으로 송풍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 송풍”은 윈드 휠의 작용에 의해 기류가 송풍구로부터 송풍되는 것을 가리키고, “역방향 송풍”은 기류가 케이스(1)의 내측으로 송풍되는 것을 가리킨다.
송풍 도어 어셈블리(4)는 제2 송풍구(111b) 위치에 설치되고 케이스(1)에 연결되며,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 작동 시, 케이스(1)와 그 사이에 환형을 이루는 송풍단(70a)이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에 위치하고, 제2 송풍구(111b)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기준면으로 하는 송풍 통로(7a)를 형성하고, 송풍 통로의 기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부 송풍 통로(71a)이고, 송풍 통로(71a)의 기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부 송풍 통로(72a)이며, 상부 송풍 통로(71a)의 적어도 일부가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인데, 예를 들어, 단지 상부 송풍 통로(71a)의 일부만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일 수도 있고, 상부 송풍 통로(71a) 전체가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일 수도 있다.
이로써, 공기 조화기 작동 시, 기류가 송풍 통로(7a)를 통과한 후에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을 통해 실내에 송풍되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의 원주 방향의 송풍을 구현할 수 있는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송풍된 바람이 제2 송풍구(111b)의 사방으로 유동함으로써 제2 송풍구(111b)가 사방을 향해 송풍할 수 있게 되고, 제1 송풍구(111a)의 전방향 송풍을 결부하면 공기 조화기의 3차원 송풍 효과를 구현하고 실내 온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송풍 통로(7a) 전체가 모두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송풍구(111b)로부터 송풍된 바람이 송풍 통로(7a)를 경과하여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을 통해 실내로 송풍되며, 또한 상기 송풍 통로(7a)의 일부가 케이스(1) 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 내에 형성된 공간을 송풍 통로(7a)의 일부로 간주할 수 있으며, 송풍 통로(7a)의 다른 부분은 제2 송풍구(111b)를 관통하여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으로 연장되고, 이에 따라 케이스(1) 내의 열 교환을 거친 기류가 송풍 통로(7a)의 상기 일부를 경과한 후 제2 송풍구(111b)를 관통하여 송풍 통로(7a)의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에 위치한 부분에 유입되며, 마지막에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을 통해 실내에 송풍된다.
제1 개폐 기구(5)는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하고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개폐 기구(5)의 동작을 통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이 폐쇄된 경우,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이 폐쇄되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단지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는데, 예를 들어, 기류가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으며,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이 개방된 경우,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송풍 통로(7a) 전체에 대응되는 전체 송풍단(70a)으로부터 실내로 토출되기에 송풍량을 증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개폐 기구(5)는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개폐 기구(5)의 이동을 통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를 개폐할 수 있고, 제1 개폐 기구(5)는 또한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 개폐 기구(5)의 회전을 통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를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조화기 작동 시, 공기 조화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도 3 및 도 4참조, 도면의 화살표 방향은 기류의 유동 방향),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고,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송풍 통로(7a) 전체에 대응되는 전체 송풍단(70a)을 통해 실내에 토출되기에 냉기의 송풍량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바람은 냉기를 약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냉기가 제1 송풍구(111a)의 송풍에 대해 위로 약간 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방 모드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한다.
또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도 5 내지 도 7 참조, 도면의 화살표 방향은 기류의 유동 방향),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는 단지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는데, 예를 들어, 기류가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기에 제2 송풍구(111b)로부터 송풍된 열풍이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아래 방향을 향해 바닥에 송풍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부 송풍 통로(71a)에서 토출된 바람이 제1 송풍구(111a)에서 토출된 바람을 위로 올리는 것을 피면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제1 송풍구(111a) 위치에 회전할 수 있고 회전축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 루버를 포함하는 제1 에어 가이드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 각 제1 루버가 기류를 윗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각 제1 루버의 하류 단부가 윗방향으로 회전하게 제어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도 7 참조), 각 제1 루버가 기류를 아래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각 제1 루버의 하류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제어함으로써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본 출원에서 "복수"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을 가리키며, 본 출원에서 "상류", "하류"는 모두 기체의 유동 방향에 대응하여 가리키는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공기 조화기 작동 시, 제2 송풍구(111b)의 송풍단(70a)이 환형을 이루게 하여 제2 송풍구(111b)가 사방을 향해 송풍하게 하며, 제1 송풍구(111a)의 전방향 송풍과 결합되어 공기 조화기의 3 차원 송풍 효과를 구현하고 실내 온도의 균일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된 제1 개폐 기구(5)를 통해 필요에 따라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는데, 공기 조화기의 냉방 작동 시에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방함으로써 냉기의 송풍량을 제고하고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이 냉기를 약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작동 시에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폐쇄하여 열풍이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바닥에 송풍되게 함으로써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송풍구(111b)의 중심축에 수직되는 동일 평면에 투영된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송풍 통로(7a)의 면적 비율의 범위가 1/10 내지 1/2이며, 제2 송풍구(111b)의 중심축은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동일 평면에 투영된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송풍 통로(7a)의 면적 비율의 범위를 상기 범위로 설치함으로써 제2 송풍구(111b)의 송풍량을 보증하는 동시에 송풍되는 바람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동일 평면에 투영된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송풍 통로(7a)의 면적 비율의 범위가1/3이며, 이에 따라 송풍량과 쾌적성에 대한 요구를 동시에 보다 잘 충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개폐 기구(5)는 상부 송풍 통로(71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한다. 이로써, 제1 개폐 기구(5)의 회전을 통해 매우 편리하게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7를 참조하면, 제1 개폐 기구(5)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포함하는데, 다시 말하면, 제1 개폐 기구(5)는 단지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포함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는 모두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를 개폐한다. 이로써, 제1 개폐 기구(5)를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설치함으로써 제1 개폐 기구(5)의 구조가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개폐 기구(5)가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포함하는 경우,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의 회전을 통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고, 제1 개폐 기구(5)가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의 회전을 통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의 일부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개폐 기구(5)는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와 제1 커넥팅 로드(52)를 포함한다.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는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각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는 모두 제1 커넥팅 로드(5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커넥팅 로드(52)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커넥팅 로드는 이동 시에 동기적으로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이끌어 회전시킴으로써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의 동기 회전을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1 개폐 기구(5)가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폐쇄 시,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며, 이로써 제1 커넥팅 로드(52)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는 위치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폐쇄하며, 제1 개폐 기구(5)가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방하는 경우, 인접하는 두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 사이에 기류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기류 통로가 형성되어 기류는 상기 기류 통로를 통해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으로 유동하여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송풍 도어 어셈블리(4)는 케이스(1) 내에 위치하고 케이스(1)에 연결되는 송풍 도어 브라켓(41), 및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 작동 시,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에 위치하고 제2 송풍구(111b)와 이격되는 도어 본체 및 도어 본체(421)에 설치되고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연결되는 연결 시트(422)를 포함하고, 송풍 도어 브라켓(41), 송풍 도어(42) 및 케이스(1) 사이에 공동으로 송풍 통로(7a)를 형성하는 송풍 도어(42)를 포함한다. 이로써, 송풍 도어 브라켓(41)을 설치함으로써 송풍 도어(42)의 설치가 편리한 동시에 송풍 도어(42)를 상기 도어 본체(421)와 연결 시트(422)를 포함하는 형태로 설치하기에 송풍 도어(42)와 송풍 도어 브라켓(41) 사이의 연결에 편리하고 도어(421)의 외주변과 케이스(1) 사이에 상기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을 형성한다. 선택적으로, 제2 송풍구(111b)와 도어 본체(421)는 모두 원형을 나타낼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4,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1 개폐 기구(5)는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를 개폐한다. 이로써, 제1 개폐 기구(5)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제1 개폐 기구(5)를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설치하고, 송풍 도어 브라켓(41)을 케이스(1)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면, 송풍 도어 브라켓(41)에는 송풍 통로(7a)의 일부를 구성하는 환형 통로(411a)가 형성된다. 환형 통로(411a)(예를 들어, 환형 통로(411a)는 링형일 수 있음)와 제2 송풍구(111b)(예를 들어, 제2 송풍구(111b)는 원형일 수 있음)는 동축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하면, 환형 통로(411a)의 중심축과 제2 송풍구(111b)의 중심축이 중합되고,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위쪽에 위치한 부분이 상부 송풍 통로(71a)의 일부를 구성하고,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아래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부 송풍 통로(72a)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개폐 기구(5)는 환형 통로(411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한다. 이로써, 제1 개폐 기구(5)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제1 개폐 기구(5)의 회전을 통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의 개폐를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7의 예시에서, 송풍 도어 브라켓(41)에는 송풍 통로(7a)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형의 환형 통로(411a)가 형성되고, 제2 송풍구(111b)는 원형이며, 환형 통로(411a)와 제2 송풍구(111b)가 동축으로 설치되고,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위쪽에 위치한 부분이 상부 송풍 통로(71a)의 일부를 구성하고,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아래에 위치한 부분이 하부 송풍 통로(72a)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개폐 기구(5)는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위쪽에 위치한 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한다.
여기서, 제1 개폐 기구(5)는 모두 환형 통로(411a)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축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 및 대체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팅 로드(52)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 커넥팅 로드(52)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이끌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한다.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는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폐쇄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 사이에 기류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이 개방되므로 기류는 상기 기류 통로를 통해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으로 유동하여 실내에 토출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송풍 도어(42)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송풍 도어(42)가 개방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 본체(421)는 제2 송풍구(111b)의 앞쪽에 위치하고, 도어 본체(421)와 제2 송풍구(111b)가 이격되어 제2 송풍구(111b)를 개방하며, 송풍 도어(42)가 폐쇄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도어 본체(421)와 제2 송풍구(111b)가 결합되어 제2 송풍구(111b)를 폐쇄한다. 이로써, 송풍 도어(42)의 전후 이동을 통해 제2 송풍구(111b)의 개폐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 작동 시, 송풍 도어(42)가 앞으로 개방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2 송풍구(111b)를 개방하며,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송풍 도어(42)는 뒤로 폐쇄 위치까지 이동하여 제2 송풍구(111b)를 폐쇄하며, 외부의 먼지 등 이물질이 케이스(1)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송풍 도어 브라켓(41)과 연결 시트(422) 중의 하나는 가이드홈(412b)을 가지고, 송풍 도어 브라켓(41)과 연결 시트(422) 중의 다른 하나는 가이드홈(412b)과 결합되는 가이드부(4221)를 가지며, 가이드부(4221)는 가이드홈(412b) 내에 결합되고, 가이드부(4221)와 가이드홈(412b)은 전후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송풍 도어(42) 이동 시, 가이드홈(412b)과 가이드부(4221)의 결합을 통해 가이드부(4221)와 가이드홈(412b)이 전후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송풍 도어(42)의 이동에 대해 안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송풍 도어(42)가 설정된 방향을 따라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선택적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홈(412b)과 가이드부(4221)는 모두 환형을 형성한다. 이로써, 가이드홈(412b)과 가이드부(4221)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는 동시에 가이드부(4221)와 가이드홈(412b)이 전후 방향과 수직되는 평면에서 모두 서로 위치를 제한할 수 있어 송풍 도어(42) 이동 시 안정성을 한층 더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송풍 도어 어셈블리(4)는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설치되고 연결 시트(422)에 연결되며 송풍 도어(42)를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43)를 포함한다. 이로써, 구동 장치(43)를 설치함으로써 송풍 도어(42)를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구동 장치(43)를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설치하는 것을 통해 구동 장치(43)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구동 장치(43)를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설치 후 다시 송풍 도어 브라켓(41)을 케이스(1) 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는 기계 전체의 각 부분의 모듈화에도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 장치(43)는 상기 연결 시트(422)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된다. 이로써, 송풍 도어(42)가 더욱 안정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내지 도 12의 예시에서, 송풍 도어 브라켓(41)은 관통홀이 형성된 브라켓 본체(411), 및 관통홀 내에 위치하고, 관통홀의 내주벽과 이격되며, 외주벽과 관통홀의 내주벽 사이에 상기 환형 통로(411a)를 형성하며, 외주벽과 관통홀의 내주벽 사이는 복수의 연결 리브(413)에 의해 연결되고, 복수의 연결 리브(413)는 환형 통로(411a)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브라켓 본체(411)와 연결되는 설치부(412)를 포함한다.
설치부(412)의 가운데 부분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부(412)의 뒤측에 장착 캐비티(412a)를 형성하고, 장착 캐비티(412a)는 설치부(412)의 외주벽과 이격되며, 구동 장치(43)는 3개이고, 3개의 구동 장치(43)는 3각형을 구성하며, 3개의 구동 장치(43)가 상기 장착 캐비티(412a) 내에 수용되고, 3개의 구동 장치(43)의 연결 단부는 각각 상기 설치부(412)를 관통하여 연결 시트(422)에 연결된다. 상기 장착 캐비티(412a)의 주변 벽과 설치부(412)의 외주벽 사이에 환형 가이드홈(412b)이 형성되고, 연결 시트(422)에는 상기 가이드홈(412b)과 결합되는 가이드부(4221)가 구비되며, 가이드부(4221)는 원통형을 나타내고, 가이드홈(412b) 내에 삽입되며, 송풍 도어(42) 이동 시, 가이드부(4221)는 가이드홈(412b)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송풍 도어(42)의 안정한 이동을 구현한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송풍 도어(42)와 송풍 도어 브라켓(41) 사이는 고정 연결 될 수도 있으며, 다시 말하면, 송풍 도어(42)는 송풍 도어 브라켓(41)에 대해 상대적으로 고정되며, 송풍 도어(42)는 항상 제2 송풍구(111b)를 개방하는 위치에 위치된다.
본 출원의 일부 선택 가능한 실시예에서, 도 3, 도 5, 도 6 및 도 12를 참조하면, 도어 본체(421)의 제2 송풍구(111b)를 향한 벽면이 송풍 통로(7a)의 일부 내벽면을 구성하고, 도어 본체(421)의 제2 송풍구(111b)를 향한 적어도 일부 벽면이 도류면(4211)으로 형성되며, 도어 본체(421)의 중심에서부터 도어 본체(421)의 외주변을 향하는 방향에서 도류면(4211)은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이로써, 도어 본체(421)에 도류면(4211)을 설치함으로써 도류면(4211)의 안내 역할에 의해 기류를 제2 송풍구(111b)의 사방으로 또한 전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제2 송풍구(111b)의 송풍 효과를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2,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는 제1 송풍구(111a)를 개폐하도록 케이스(1) 내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개폐 도어(8)을 포함한다. 이로써, 개폐 도어(8)의 이동을 통해 제1 송풍구(111a)의 개폐를 편리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공기 조화기 작동 시, 개폐 도어(8)을 위로 이동하여 제1 송풍구(111a)를 개방하고,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개폐 도어(8)을 아래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송풍구(111a)를 폐쇄함으로써 외부의 먼지 등이 케이스(1)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케이스(1)에는 제2 송풍구(111b)의 아래에 위치한 제3 송풍구(111c)가 설치되고, 하부 송풍 통로(72a)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이루는데, 예를 들어, 하부 송풍 통로(72a)의 단지 일부가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일 수도 있고, 하부 송풍 통로(72a) 전체가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일 수도 있다. 송풍 도어 어셈블리(4)는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 기구(6)를 더 포함한다.
제2 개폐 기구(6)의 동작을 통해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이 폐쇄된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단지 송풍단(70a)의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는데, 예를 들어, 기류가 송풍단(70a)의 상부 송풍 통로(71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이 개방된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송풍 통로(7a) 전체에 대응되는 전체 송풍단(70a)으로부터 실내로 토출되기에 송풍량을 증가할 수 있으며, 또는,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이 개방된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단지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는데, 예를 들어, 기류가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 개폐 기구(6)는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제2 개폐 기구(6)의 이동을 통해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를 개폐할 수 있으며, 제2 개폐 기구(6)는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제2 개폐 기구(6)의 회전을 통해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기 조화기 작동 시, 공기 조화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제2 개폐 기구(6)를 제어하여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도 14참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제2 개폐 기구(6)를 제어하여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송풍단(70a)의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 실내에 토출되며, 비교적 큰 냉기 송풍량을 가지고,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바람은 냉기를 약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냉기가 제1 송풍구(111a)의 송풍에 대해 위로 약간 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방 모드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한다. 또한,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상부 송풍 통로(71a)를 통해 윗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하부 송풍 통로(72a)에서 토출된 바람이 제1 송풍구(111a)에서 토출된 바람을 아래로 누르는 것을 피면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냉방 모드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도 15 참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제2 개폐 기구(6)를 제어하여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는 단지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며, 비교적 큰 열풍 송풍량을 가지고, 또한 하부 송풍 통로(72a)로부터 토출된 바람이 열풍을 약간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역할을 하고, 하부 송풍 통로(72a)로부터 토출된 열풍이 제3 송풍구(111c)로부터 토출된 바람에 대해 약간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역할을 하기에 난방 모두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한다. 또한,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열풍이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바닥에 송풍될 수 있고, 동시에 상부 송풍 통로(71a)에서 토출된 바람이 제1 송풍구(111a)에서 토출된 바람을 위로 올리는 것을 피면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제3 송풍구(111c) 위치에 회전할 수 있고 회전축이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 루버를 포함하는 제2 에어 가이드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 각 제2 루버가 기류를 윗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각 제2 루버의 하류 단부가 윗방향으로 회전하게 제어할 수 있고,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 각 제2 루버가 기류를 아래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안내하도록 각 제2 루버의 하류 단부가 아래 방향으로 회전하게 제어함으로써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개폐 기구(6)는 하부 송풍 통로(7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예를 들어, 제2 개폐 기구(6)는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한다. 이로써, 제2 개폐 기구(6)의 회전을 통해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의 개폐를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 및 도 15의 예시에서, 송풍 도어 어셈블리(4)는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41) 및 송풍 도어(42)를 포함한다. 송풍 도어 브라켓(41)에는 송풍 통로(7a)의 일부를 구성하는 링형의 환형 통로(411a)가 형성되고, 제2 송풍구(111b)는 원형이며, 환형 통로(411a)와 제2 송풍구(111b)가 동축으로 설치되고,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위쪽에 위치한 부분이 상부 송풍 통로(71a)의 일부를 구성하고,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아래에 위치한 부분이 하부 송풍 통로(72a)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1 개폐 기구(5)와 제2 개폐 기구(6)는 모두 환형 통로(411a)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개폐 기구(5)는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위쪽에 위치한 부분에 설치되어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하고, 제2 개폐 기구(6)는 환형 통로(411a)의 상기 기준면의 아래에 위치한 부분에 설치되어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한다.
여기서, 제1 개폐 기구(5)는 모두 환형 통로(411a)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축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 및 대체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팅 로드(52)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1 커넥팅 로드(52)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를 이끌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한다.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는 경우, 복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는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폐쇄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51) 사이에 기류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이 개방되므로 기류는 상기 기류 통로를 통해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으로 유동하여 실내에 토출된다.
계속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개폐 기구(6)는 모두 환형 통로(411a)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회전축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복수의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61), 및 대체로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각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61)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커넥팅 로드(62)를 포함한다. 이로써, 제2 커넥팅 로드(62)의 이동을 통해 복수의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61)를 이끌어 동기적으로 회전하게 한다. 복수의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61)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는 경우, 복수의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61)는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폐쇄하며,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61) 사이에 기류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경우,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이 개방되므로 기류는 상기 기류 통로를 통해 송풍 통로(7a)의 송풍단(70a)으로 유동하여 실내에 토출된다.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본 출원의 상기 제1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 및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100)를 설치함으로써 공기 조화기의 3차원 송풍 효과를 구현하고, 실내 온도의 균일성을 개선하며, 공기 조화기의 난방 작동 시에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3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 조화기는 본 출원의 제2 측면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로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현재 작동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현재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냉방 모드(도 3 및 도 4참조, 도면의 화살표 방향은 기류의 유동 방향임)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방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난방 모드(도 5 내지 도 7 참조, 도면의 화살표 방향은 기류의 유동 방향임)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공기 조화기가 냉방 모드인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송풍 통로(7a) 전체에 대응되는 전체 송풍단(70a)을 통해 실내에 토출되며, 이 경우 냉기 송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바람은 냉기를 약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냉기가 제1 송풍구(111a)의 송풍에 대해 위로 약간 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방 모드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한다.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는 단지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는데, 예를 들어, 기류가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기에 제2 송풍구(111b)로부터 송풍된 열풍이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아래 방향을 향해 바닥에 송풍될 수 있으며, 동시에 상부 송풍 통로(71a)에서 토출된 바람이 제1 송풍구(111a)에서 토출된 바람을 위로 올리는 것을 피면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서, 공기 조화기의 냉방 작동 시에는 비교적 큰 송풍량을 가지고, 공기 조화기의 난방 작동 시에는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여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에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케이스(1)에는 제2 송풍구(111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송풍구(111c)가 설치되고, 하부 송풍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이루며, 예를 들어, 단지 하부 송풍 통로(72a)의 일부만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일 수도 있고, 하부 송풍 통로(72a) 전체가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일 수도 있다.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송풍 도어 어셈블리(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 기구(6)를 더 포함한다.
공기 조화기가 냉방 모드(도 14 참조)인 경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방할 수 있고, 또한 제2 개폐 기구(6)를 제어하여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를 폐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가 단지 송풍단(70a)의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는데, 비교적 큰 냉기 송풍량을 가지면, 또한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바람은 냉기를 약간 위로 올리는 역할을 하며, 상부 송풍 통로(71a)로부터 송풍된 냉기가 제1 송풍구(111a)의 송풍에 대해 위로 약간 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냉방 모드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한다. 또한,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냉기가 상부 송풍 통로(71a)를 통해 윗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토출되게 할 수 있고, 동시에 하부 송풍 통로(72a)에서 토출된 바람이 제3 송풍구(111c)에서 토출된 바람을 아래로 누르는 것을 피면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냉방 모드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난방 모드인 경우(도 15 참조), 제1 개폐 기구(5)를 제어하여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을 개폐할 수 있고, 또한 제2 개폐 기구(6)를 제어하여 제2 통로 조절 구역(721a)을 개폐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기류는 단지 송풍단(70a)의 제1 통로 조절 구역(711a)과 대응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통해서만 실내로 토출되며, 비교적 큰 열풍 송풍량을 가지고, 또한 하부 송풍 통로(72a)로부터 토출된 바람이 열풍을 약간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역할을 하고, 하부 송풍 통로(72a)로부터 토출된 열풍이 제3 송풍구(111c)로부터 토출된 바람에 대해 약간 아래 방향으로 누르는 역할을 하기에 난방 모두의 온도 균일성을 한층 더 개선한다. 또한, 제2 송풍구(111b)로부터 토출된 열풍이 송풍단(70a)의 하부 송풍 통로(72a)와 대응되는 부분을 통해 아래 방향으로 바닥에 송풍될 수 있고, 동시에 상부 송풍 통로(71a)에서 토출된 바람이 제1 송풍구(111a)에서 토출된 바람을 위로 올리는 것을 피면하거나 약화시킴으로써 실내 바닥층의 공기 온도를 제고하고 쾌적성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서, "일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 실시예", "예시", "구체적인 예시" 또는 "일부 예시" 등 용어는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를 결부하여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의 개략적인 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예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명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성은 임의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를 제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는 본 출원의 원리와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양하게 변경, 수정, 교체 및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하며, 본 출원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와 등가물에 의해 한정된다.
100 : 공기 조화기 실내기 1 : 케이스
11 : 패널 부재 111 : 상부 패널 부재
111a : 제1 송풍구 111b : 제2 송풍구
111c : 제3 송풍구 112 : 하부 패널 부재
12 : 배판 부재 12a : 공기 유입구
13 : 상부 커버 부재 14 : 베이스 부재
2 : 열 교환기 부재
3 : 공기 통로 부재 30 : 통로 설치판
31 : 제1 공기 통로 부재 31a : 제1 통로
31b : 제1 윈드 휠 31c : 제1 모터
32 : 제2 공기 통로 부재 32a : 제2 통로
32b : 제2 윈드 휠 32c : 제2 모터
33 : 제3 공기 통로 부재 33a : 제3 통로
33b : 제3 윈드 휠 33c : 제3 모터
4 : 송풍 도어 어셈블리 41 : 송풍 도어 브라켓
411 : 브라켓 본체 411a : 환형 통로
412 : 설치부 412a : 장착 캐비티
412b : 가이드홈 413 : 연결 리브
42 : 송풍 도어 421 : 도어 본체
4211 : 도류면 422 : 연결 시트
4221 : 가이드부 43 : 구동 장치
5 : 제1 개폐 기구 51 :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
52 : 제1 커넥팅 로드 6 : 제2 개폐 기구
61 : 제2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 62 : 제2 커넥팅 로드
7a : 송풍 통로 70a : 송풍단
71a : 상부 송풍 통로 711a : 제1 통로 조절 구역
72a : 하부 송풍 통로 721a : 제2 통로 조절 구역
8 : 개폐 도어

Claims (20)

  1. 공기 조화기 실내기로서,
    케이스, 송풍 도어 어셈블리, 제1 개폐 기구, 열 교환기 부재 및 공기 통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에는 공기 유입구, 제1 송풍구 및 제2 송풍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송풍구는 상기 제1 송풍구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송풍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작동 시에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와 상기 케이스 사이에 송풍 통로를 한정하되, 상기 송풍 통로의 송풍단은 상기 제2 송풍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송풍 통로의 송풍단은 환형을 이루며, 상기 제2 송풍구의 중심점을 통과하는 수평면을 기준면으로 하여, 상기 송풍 통로의 상기 기준면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상부 송풍 통로이고, 상기 송풍 통로의 상기 기준면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이 하부 송풍 통로이며, 상기 상부 송풍 통로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통로 조절 구역이고, 상기 제2 송풍구의 중심축에 수직되는 동일 평면에 투영된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과 상기 송풍 통로의 면적 비율의 범위가 1/10 내지 1/2이며,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열 교환기 부재 및 상기 공기 통로 부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2 송풍구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3 송풍구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송풍 통로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이루며,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기 위한 제2 개폐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하부 송풍 통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현재 작동 모드가 냉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의 현재 작동 모드가 난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는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상부 송풍 통로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송풍 통로의 상기 송풍단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 및
    각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커넥팅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팅 로드는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 시, 복수의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가 순차적으로 겹이음되고,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 시,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제1 에어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기류가 통과하기에 적합한 기류 통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케이스 내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스에 연결되는 송풍 도어 브라켓; 및
    도어 본체와 상기 도어 본체에 설치되는 연결 시트를 포함하는 송풍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시트는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가 작동 시, 상기 도어 본체는 상기 제2 송풍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송풍구와 이격되며,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 상기 송풍 도어 및 상기 케이스 사이에 공동으로 상기 송풍 통로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 기구는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는 환형 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형 통로는 상기 송풍 통로의 일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개폐 기구가 상기 환형 통로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도어는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송풍 도어가 상기 개방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도어 본체는 상기 제2 송풍구의 앞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송풍구와 이격되어 상기 제2 송풍구를 개방하며, 상기 송풍 도어가 상기 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도어 본체가 상기 제2 송풍구와 결합되어 상기 제2 송풍구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 및 상기 연결 시트 중 하나에 가이드홈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 및 상기 연결 시트 중 다른 하나에 상기 가이드홈과 결합되는 가이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부는 모두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도어 어셈블리는,
    상기 송풍 도어 브라켓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송풍 도어를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복수이고 상기 연결 시트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본체의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하는 벽면이 상기 송풍 통로의 일부 내벽면을 구성하고, 상기 도어 본체의 상기 제2 송풍구를 향하는 적어도 일부 벽면이 도류면을 형성하며, 상기 도류면은 상기 도어 본체의 중심에서 상기 도어 본체의 외주변을 향하는 방향에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 내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실내기.
  15. 공기 조화기로서,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 조화기 실내기; 및
    상기 공기 조화기 실내기에 연결되어 냉매 사이클을 형성하는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6. 제15항의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공기 조화기는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현재 작동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 조화기의 현재 작동 모드에 따라 상기 제1 개폐 기구 및 제2 개폐 기구를 제어하되,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냉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상기 난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통로 조절 구역을 폐쇄하고 상기 제2 개폐 기구를 제어하여 상기 제2 통로 조절 구역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7030590A 2019-02-25 2019-03-28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KR1023323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138769.2 2019-02-25
CN201920239645.9U CN209558537U (zh) 2019-02-25 2019-02-25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201910138769.2A CN109812869B (zh) 2019-02-25 2019-02-25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CN201920239645.9 2019-02-25
PCT/CN2019/080150 WO2020172940A1 (zh) 2019-02-25 2019-03-28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004A KR20200106004A (ko) 2020-09-10
KR102332307B1 true KR102332307B1 (ko) 2021-11-29

Family

ID=6923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0590A KR102332307B1 (ko) 2019-02-25 2019-03-28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35213B2 (ko)
EP (1) EP3722685B1 (ko)
JP (1) JP7030842B2 (ko)
KR (1) KR102332307B1 (ko)
WO (1) WO2020172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28863B (zh) * 2020-11-24 2022-01-21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新风装置和新风空调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8866A (zh) * 2017-04-17 2017-07-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
CN206919348U (zh) * 2017-03-16 2018-01-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
KR101927885B1 (ko) * 2015-07-17 2018-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8080A1 (en) * 2009-07-29 2011-02-03 Huntair, Inc. Back draft damper
US9551498B2 (en) * 2012-06-28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KR20140049101A (ko) * 2012-10-11 2014-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791056B1 (ko) 2015-07-21 2017-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8038100A1 (ja) 2016-08-26 2018-03-01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206669886U (zh) 2017-03-16 2017-11-2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立式空调室内机
CN106918131B (zh) 2017-03-16 2019-07-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
CN108626791B (zh) * 2017-03-24 2020-02-04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壁挂式空调室内机
CN108266811B (zh) 2018-03-21 2024-01-2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7885B1 (ko) * 2015-07-17 2018-1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919348U (zh) * 2017-03-16 2018-01-23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落地式空调室内机
CN106958866A (zh) * 2017-04-17 2017-07-18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器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22685B1 (en) 2023-03-15
US20210356142A1 (en) 2021-11-18
EP3722685A4 (en) 2020-10-14
US11635213B2 (en) 2023-04-25
EP3722685A1 (en) 2020-10-14
WO2020172940A1 (zh) 2020-09-03
JP2021519904A (ja) 2021-08-12
KR20200106004A (ko) 2020-09-10
JP7030842B2 (ja) 2022-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1498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CN109812869B (zh) 空调室内机、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US9726385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1473489B (zh) 空调器的控制方法及空调器
JP6385068B2 (ja) 空気調和機
WO2014104275A1 (ja)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WO2014104274A1 (ja)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CN216346639U (zh) 空调器
JP2012032054A (ja) 空気調和装置
CN106594881B (zh) 空调柜机
CN106705240B (zh) 空调柜机
WO2013035218A1 (ja) 空気調和機
JP6648988B2 (ja) 空気調和機
KR102332307B1 (ko) 공기 조화기 실내기, 공기 조화기 및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CN208936310U (zh) 空调器
JP6776531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WO2013035236A1 (ja) 空気調和機
WO2019111308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17116146A5 (ko)
CN210118845U (zh) 空调室内机
CN111140924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JP6926024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4947224B1 (ja) 空気調和機
JP6233398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ユニット
KR20140004090A (ko)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