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396B1 -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396B1
KR102629396B1 KR1020210020266A KR20210020266A KR102629396B1 KR 102629396 B1 KR102629396 B1 KR 102629396B1 KR 1020210020266 A KR1020210020266 A KR 1020210020266A KR 20210020266 A KR20210020266 A KR 20210020266A KR 102629396 B1 KR102629396 B1 KR 10262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ard
game
player
remote
billi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7394A (ko
Inventor
주정연
Original Assignee
주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연 filed Critical 주정연
Priority to KR1020210020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39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63D visua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3Mo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30Maintenance
    • A63B2225/305Remote servic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23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played on a table from all sides, e.g. marble games
    • A63F2007/0047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played on a table from all sides, e.g. marble games simulating pool, snooker or billi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63F7/24Devices controlled by the player to project or roll-off the playing bodies
    • A63F7/2409Apparatus for projecting the balls
    • A63F7/2436Hand-held or connected to a finger, e.g. cues, clubs, sticks
    • A63F2007/2445Stick-shaped
    • A63F2007/2463Cu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서로 다른 당구장에 있는 두 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함께 게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과거 시점의 당구공의 상태를 재현한 상태에서 플레이어의 과거 게임 동작을 보여주거나, 큐의 타구 각도 등의 가공된 분석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플레이어가 잘못된 타구를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면서 복기 연습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Remote billiards game system having the function of reviwing of previous games of players}
본 발명은 당구에 관한 기술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동일 장소가 아닌 별개의 이격된 장소에 설치된 2개 이상의 당구대에서 2명 이상이 동시에 같은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서, 당구 플레이어의 타구에 의해 변화되는 당구공의 위치를 각각 상대방이 타구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변경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동일한 장소에 모이지 않아도 동일한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당구는 우단을 깐 네모난 대 위에서 상아나 플라스틱으로 만든 공을 큐(cue)의 끝으로 쳐서 승부를 가리는 실내 오락의 일종으로, 역사가 오래된 레저스포츠로서 남녀노소 누구나 체력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직접 플레이어가 동일한 당구장에 만나서 당구를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나, 서로 멀리 떨어진 원격지의 플레이어가 직접 만날 수 없는 사정(코로나와 같은 특수한 비대면이 요구되는 상황, 원거리로 인해 직접 만나는 과정이 어려운 상황 등)이 있는 경우 당구 게임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서로 떨어진 유저가 온라인이 아니라 오프라인 환경에서 실제 만나 당구를 치는 것과 유사한 당구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29983호는,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 상기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호 정보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연결되는 메인서버; 및 상기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각각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개의 당구 게임 모듈을 포함하는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 10-1815884호는 당구 로봇에 관한 기술을 공개하고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800968호는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시스템으로서 당구공을 배치하기 위한 특정한 위치조절수단을 공개하고 있다.
전술한 특허들은 원격 당구 게임을 위한 기술로서, 게임의 복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격 당구 게임 후에 당구대의 청소를 자동으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공개된 바 없을 뿐만 아니라, 원격에 위치한 플레이어 사이의 게임 후 결제 방법에 대하여 특별한 기술적 제시가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22998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81588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0968호
본 발명은 비대면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원격에서 다수의 플레이어가 동일한 당구 게임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게임 도중 또는 게임의 완료 후에 원하는 과거 시점의 당구공의 배치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한 뒤, 그 당시의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예를 들어, 큐의 속도, 큐의 방향, 당구공의 타점, 팔꿈치의 움직임 등)를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플레이어에게 보여줌으로써, 플레이어는 과거의 게임에서 잘못된 점을 수정하여 반복 연습하거나, 우수한 게임의 경우 디스플레이된 본인의 경기 동작을 그대로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게임 복기가 가능하도록 하는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당구 게임이 끝난 후,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당구대를 청소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전 또는 사후 결제 시스템뿐만 아니라, 게임 후 패자가 승자의 당구장 비용까지 지불하도록 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격 당구 시스템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신체에 3D 모션캡처 센서를 장착하여 각 플레이어의 타구 시의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당구 게임의 완료 후 또는 당구 게임 중에 원하는 과거 시점의 당구공의 배치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한 뒤,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과거 게임 시의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그대로 또는 가공된 정보 형태로 플레이어에게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은, 원거리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 및 상기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과 당구 게임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은, 당구대; 당구대 상부에 설치되며, 원격지의 당구대의 당구공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당구공을 배치해 주는 위치조절수단; 플레이어의 타구 후 당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 및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당구공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조절수단에 당구공의 위치 배치 정보를 전송하며,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당구대의 상부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지지대를 기준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당구대 위의 당구공을 특정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진공흡착수단 또는 손 모양의 파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다관절 로봇 또는 스카라 로봇일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은 위치조절수단에 당구공을 특정 위치로 배치하도록 제어명령을 내리는 제어부; 관리서버 또는 플레이어의 휴대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각 플레이어의 타구 시의 당구공의 배치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어모듈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는 3D 모션캡처 센서로부터 제공된 3D 이미지를 그대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상기 3D 모션캡처 센서로부터 제공된 3D 이미지를 가공하여 플레이어가 원하는 정보만을 발췌한 2D 또는 3D 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당구 게임의 완료 후 상기 위치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당구대를 청소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폰을 이용하여 이용할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당구장에 사전 결제(또는 사전 가결제) 및 사후 결제를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시스템은 원격 당구 게임 후, 원격지의 플레이어 중 게임에 진 플레이어가 다른 원격지의 플레이어의 당구장 이용료를 함께 지불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게임에 이긴 플레이어의 사전 결제는 자동으로 취소되도록 하거나, 해당 당구장의 적립금으로 남겨둘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지의 플레이어가 동일한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진행된 당구 게임의 복기 시, 복기 시점과 동일하게 당구공을 자동으로 배치할 뿐만 아니라, 플레이어가 기존에 행했던 타구 동작을 그대로 또는 가공된 데이터 형태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과거 타구 동작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복기 연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구공의 이동에 사용되는 위치조절수단을 게임 완료 후 당구대의 청소에 이용함으로써, 원격 당구 게임의 완료 후 청소 작업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구 게임 완료 후 자동으로 결제가 완료되도록 사전에 휴대폰을 통해 결제(또는 가결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예약된 시간 이상 또는 이하로 당구 게임을 끝내는 경우 결제 정정을 통해 비용을 자동으로 수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원격 당구 게임이 끝난 후, 게임에서 이긴 플레이어의 당구장 이용료를 패자가 함께 지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구 게임 매칭 시스템을 통해 게임 상대를 선택하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2b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의 위치조절수단의 예로서, 각각 다관절 로봇 및 스카라 로봇의 사진이다.
도 3a 및 3b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의 관리서버의 예이다.
도 4는 플레이어의 신체에 다수의 3D 모션캡처 센서를 장착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3D 모션캡처 센서로부터 저장된 플레이어의 행위 데이터 가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보여줄 수 있는 예이다.
도 6은 휴대폰을 통해 제어모듈 또는 당구장 내의 제어모듈과 통신을 통한 결제 처리 상황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시스템을 이용하여 청소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당구대가 아닌 서로 다른 당구대를 사용하는 원격지의 2명 이상의 플레이어가 마치 한 당구대에서 게임을 하는 것처럼 동일한 게임을 할 수 있는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특히, 플레이어들의 각 타구 시의 동작 정보를 센싱하여 데이터화하여 기록함으로써, 게임의 완료 후(또는 게임 중)에 원하는 과거 타구 시점으로 복기 연습을 할 때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보여줌으로써 잘못된 동작을 확인 후 교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당구 게임의 복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당구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당구 게임의 완료 후 운영자가 직접 당구대를 청소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화된 위치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당구대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청소할 수 있는바, 운영자의 수고 및 당구장 운영료를 절감할 수 있는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1000, 편의상 "당구 시스템"이라고 약칭함)에 관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지의 2개 이상의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 100-1, 100-2, ..,100-n)이 관리서버(200)에 연결되어 원격지의 플레이어가 함께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은 플레이어의 수만큼 서로 관리서버(200)를 통해 통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예를 들어, 2명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경우 지역 당구 시스템(100)은 2개(100-1, 100-2)가 필요하며, 3명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경우 지역 당구 시스템(100)은 3개(100-1, 100-2, 100-3)가 필요하다.
상기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은 당구대(10), 위치조절수단(30), 제어모듈(40) 및 위치검출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세부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당구대(10)는 통상의 당구대로서, 포켓볼 당구대, 3구 또는 4구용 다양한 크기의 당구대 등이 모두 가능하다. 다만, 원격지의 플레이어가 동일한 조건에서 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원격지의 플레이어들은 동일한 규격의 당구대(10)를 사용해야 함은 당연하다.
위치조절수단(30)은 당구대(10) 상부의 천장에 형성된 지지대(20)를 따라 X축 및/또는 Y축의 어느 한 방향 이상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당구공(11)의 파지 또는 흡착을 통해 지지대(20)로부터 당구대(10) 방향의 상하(Z축)로 이동해야 한다. 특히, 다관절 로봇, 스카라 로봇은 자체적으로 회전 반경을 통해 넓은 지역의 물체를 파지하거나 흡착하여 이동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위치조절수단(30)은 X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으로만 이동하며, 위치조절수단(30) 자체 내의 승강시스템을 통해 위치조절수단(30)이 Z축 이동을 하면 된다. 위치조절수단(30)의 축 이동 및 상하 이동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이동 구조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a는 당구공을 파지하기 위한 관절 및 손을 갖는 다관절 로봇의 예시도이며, 도 2b는 스카라 로봇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위치조절수단(30)은 다관절 로봇, 스카라 로봇 등의 다양한 공지의 자동화 장치로서 당구공을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 배치가 가능한 장치라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특히, 스카라 로봇을 위치조절수단(30)으로 사용하는 경우 당구공(11)을 흡착하기 위한 진공흡착부(31)를 구비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위치검출수단(50)은 카메라, 레이저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의 당구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가 모두 사용 가능하나, 카메라가 가장 바람직한 예일 것이다. 도 1과 같이, 위치검출수단(5l0)은 지지대(2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치조절수단(30)에도 장착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위치검출수단(50)은 측정된 이미지를 제어모듈(40)로 전송하기 위하여, 제어모듈(40)과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제어모듈(40)과 위치검출수단(50)이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어모듈(40)은 위치조절수단(30)에게 원격지의 다른 플레이어가 친 당구공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해당 당구공을 이동시키기 위한 명령을 내릴 뿐만 아니라, 관리서버(200)와 게임 정보(각 라운드의 당구공의 위치 정보, 플레이어의 3D 모션캡처 센서를 통한 동작 정보 등)를 송수신한다. 제어모듈(40)은 바람직하게는 지지대(2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당구장 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제어모듈(40)의 바람직한 일 예로서, 도 3a는 제어부(41), 통신부(42) 및 저장부(43)를 포함하는 제어모듈(40)을 보여주고 있다.
제어부(41)는 위치검출수단(50)으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해 입력된 당구공의 위치 정보를 관리서버(200)로 전달하며, 반대로 원격지의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으로 받은 당구공의 배치 정보를 관리서버(200)로부터 전송받아 위치조절수단(30)에 배치 명령을 송신한다.
통신부(42)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수단을 통해 관리서버(200)로 당구공의 배치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송수신한다.
저장부(43)는 각 플레이어의 타구 후의 당구공의 배치 정보 및 3D 모션캡처 센서를 통해 수집된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43)의 각종 정보는 통신부(42)를 통해 관리서버(200)에 전송되거나, 다른 원격지의 당구 게임 정보를 관리서버(20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3b는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제어모듈(40)의 예로서, 입력부(44) 및 디스플레이부(46)를 더 구비하는 예이다. 입력부(44)는 터치식 또는 버튼식 등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여, 플레이어 또는 심판이 명령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며, 디스플레이부(45)는 원하는 시점의 당구공의 배치 상태, 플레이어의 타격 데이터를 불러 와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서 통상의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의미한다. 제어모듈(40)의 디스플레이부(45)와 별개로 당구장 내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LCD, LED 모니터 등)를 더 구비하여 플레이어 등이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44) 및 디스플레이부(45)는 제어모듈(40)의 다른 구성인 제어부(41), 통신부(42) 및 저장부(43)와 일체가 아닌 당구장 내에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는 플레이어(300)의 몸에 부착된 3D 모션캡처 센서(60)를 보여준다. 본 발명에서는 원격 당구 게임을 즐기기 위한 당구공의 배치를 재현하는 위치조절수단(30) 및 위치검출수단(50)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각 타구 시의 플레이어의 자세, 큐(cue)의 속도, 큐의 방향 등의 "동작 정보"를 3D 모션캡처 센서(60)를 통해 센싱하여 데이터화한다. 이러한 동작 정보는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의 제어모듈(40) 및/또는 관리서버(200)에 저장한다. 3D 모션캡처 센서(60)는 플레이어의 몸에 다수 개 부착해야 하는데, 특히, 큐의 움직임을 결정하는 플레이어의 팔에는 반드시 부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플레이어가 오른손잡이라면 오른쪽 팔에 1개 이상의 3D 모션캡처 센서(60)를 부착해야 한다. 물론, 플레이어의 신체 전체에 다수 개의 3D 모션캡처 센서(60)를 부착한 후 플레이를 하는 경우 플레이어의 타구 시의 모든 행동이 3D로 저장되어, 추후 복기 시 3D 형상으로 타격 시의 모습을 애니메이션화하여 입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으나, 3D 모션캡처 센서(60)의 3차원 이미지 중 원하는 정보만을 가공, 예를 들어, 큐의 속도, 방향 등만을 발췌하여 그래픽으로 보여줄 수 있다. 3D 모션캡처 센서(60)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큐에도 3D 모션캡처 센서(60)를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플레이어(300)의 타구 시의 모든 동작을 3D 모션캡처 센서(60)를 통해 플레이어 동작 정보를 수집하여, 플레이어(300)가 게임 후에 게임을 복기하고 싶은 경우 단순히 위치조절수단(30)을 통해 원하는 복기 시점의 당구공 배치를 재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해당 시점의 플레이어의 스트로크 등의 동작 정보를 확인한 후, 잘못된 동작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복기 연습을 통해 실력을 향상할 수 있다.
게임 복기 시 3D 모션캡처 센서(60)로부터 얻은 플레이어 동작 정보를 가공하여 플레이어 또는 게임 관객이 볼 수 있는 휴대폰 화면,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제어모듈(40)의 디스플레이부(45) 등에 보여질 수 있는 화면의 예로서, 도 5a는 당구공(11)에 대한 큐(12)의 최종 타격 시의 각도(α)를 보여주는 화면의 모습이다.
또한, 도 5b는 큐(11)가 처음 움직이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당구공(11)을 타격한 최종 시점까지의 당구공(11)에 대한 큐(12)의 각도 변화를 나타낸다. 바른 타격을 위해서는 큐(12)가 각도 변화 없이(도 3b에서는 각도 변화가 없는 경우 0으로 표시됨) 당구공(11)을 직선 운동으로 타격해야 하나, 초보자의 경우 큐(12)가 직선 운동하지 못하고 각도가 변하게 되며, 이를 입체적으로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으나(도면 미도시), 도 5b와 같이 어느 한 축(X, Y, Z축 중 어느 한 축)에 대한 각도 변화를 2D 그래프로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도 6은 휴대폰(300)을 통해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의 제어모듈(40)과 통신하여 각종 제어 명령을 송신하거나, 제어모듈(40)에 저장된 데이터를 휴대폰(300)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다. 또한, 휴대폰(300)을 통해 관리서버(200) 또는 제어모듈(40)을 통해 해당 게임장에 게임비를 사전 지불 했는지를 자동으로 확인한 후 게임을 시작할 수 있으며, 만일 사전 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면, 관리서버(200) 및/또는 제어모듈(40)을 통해 게임 시작 전 또는 게임 시작 후에 휴대폰(300)으로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휴대폰을 통해 결제를 진행하거나 현장에서 카드나 현금으로 결제할 수도 있다.
도 7a 및 7b는 본 발명에서 청소 기능을 추가한 실시예로서, 당구 게임이 끝난 후 위치조절수단(30)을 이용하여 당구대(10) 청소를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에는 위치검출수단(50)과 당구대의 전면을 커버할 수 있는 위치조절수단(30)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위치조절수단(30)의 로봇 팔 또는 진공흡착부(31)에 걸레(32)를 파지하거나 장착하여 당구대를 청소할 수 있다.
우선, 도 7a는 위치조절수단(30)의 진공흡착부(31)를 통해 걸레 없이 당구대의 표면을 자동 진공 청소하는 모습을 도시화한 것으로서, 당구대의 표면에 이물질이 적게 있다면 도 7a와 같이 위치조절수단(30)의 진공흡착부(31)를 통해 이물질을 흡입한 후, 위치조절수단(30)과 연결된 진공튜브의 후단에서 이물질만을 분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위치조절수단(30)에는 청소를 위해 별도의 진공장치를 더 부착하여 청소 시에 진공 청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도면 미도시). 위치조절수단(30)은 당구대 전체 면적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별도의 청소 장치를 부착하기보다는 위치조절수단(30)을 이용하여 청소 기능을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b는 위치조절수단(30)에 걸레(32)를 장착한 후, 당구대(10)의 표면까지 수건(32)을 내린 후 당구대(10)의 표면을 청소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물론 위치조절수단(30)의 진공흡착부(31)에 걸레(32)를 수동으로 장착한 후, 당구대 청소는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진공흡착부(31)의 돌출 정도에 따라 돌출이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 상태에서 걸레(32)를 바로 장착할 수 있으며, 돌출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진공흡착부(31)를 상부로 이동(자동 또는 수동)하여 걸레(32)가 장착할 수 있다.
플레이어의 휴대폰(300)에서 게임 전에 먼저 결제를 요청하면(통상 게임 전에 결제를 하는 경우 일정 %의 할인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함), 관리서버(400) 또는 당구 게임을 할 해당 당구장의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100)의 제어모듈(40)를 통해 결제 요청을 금융관리서버(온라인 결제의 경우라면, PG↔온라인VAN↔금융회사(은행 또는 카드사))에 전달하여 사전 결제가 이루어지고, 해당 결제 완료 정보는 해당 플레이어의 휴대폰(300) 및 해당 당구장의 관리자에게 통보된다.
만일, 사전 결제 금액보다 실제 결제 대상 금액이 많거나 적으면 다시 결제가 이루어져 실비정산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당구 게임 후에 패자가 승자의 당구장 이용료(게임비)를 함께 지불하도록 하며, 승자의 사전 결제 금액은 승인 취소되도록 함으로써 게임의 재미를 가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레이어가 휴대폰에 업로딩된 게임 상대를 고르면, 상대방의 승인을 통해 게임 플레이어가 정해진 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즉, 당구를 함께 할 수 있는 친구가 없더라도 휴대폰 시스템에 올라온 상대방의 당구 점수 등의 간략 정보를 통해 상대방을 선택한 후 상대방이 승인하는 경우 원격지의 모르는 사람과도 원격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특히, 직접 대면을 통한 당구 게임이 아니라 원격지에서 각자 당구를 하기 때문에 모르는 사람과의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의도하지 않은 문제(폭력, 사기 등)가 발생할 여지가 없다.
10 : 당구대 11 : 당구공
12 : 큐 20 : 지지대
30 : 위치조절수단 31 : 진공흡착부
32 : 걸레 40 : 제어모듈
41 : 제어부 42 : 통신부
43 : 저장부 44 : 입력부
45 : 디스플레이부 50 : 위치검출수단
60(60-1, 60-2..60-n) : 3D 모션켑처 센서
100 :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
200 : 관리서버
300 : 휴대 단말기
1000: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Claims (12)

  1. 비대면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에 있어서, 플레이어의 신체에 3D 모션캡처 센서를 장착하여 각 플레이어의 타구 시의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화하여 저장함으로써, 당구 게임의 완료 후 또는 당구 게임 중에 원하는 과거 시점의 당구공의 배치 상태로 자동으로 복원한 뒤,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과거 게임 시의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를 그대로 또는 가공된 정보 형태로 플레이어에게 보여주고,
    원거리에 위치하는 2개 이상의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 및
    상기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들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각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과 당구 게임 정보를 송수신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 당구 게임 시스템은,
    당구대;
    당구대 상부에 설치되며, 원격지의 당구대의 당구공 위치와 동일한 위치로 당구공을 배치시켜 주는 위치조절수단;
    플레이어의 타구 후 당구공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수단; 및
    위치검출수단으로부터 당구공의 위치 데이터를 수신하고, 위치조절수단에 당구공의 위치 배치 정보를 전송하며, 관리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은 당구대의 상부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지지대를 기준으로 수평 이동하고,
    당구 게임의 완료 후 상기 위치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당구대를 청소하고,
    상기 위치조절수단의 진공흡착부에 걸레를 장착하여 당구대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상기 진공흡착부를 상부로 이동하여 걸레가 장착되도록 구성되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위치조절수단에 당구공을 특정 위치로 배치하도록 제어명령을 내리는 제어부;
    관리서버 또는 플레이어의 휴대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각 플레이어의 매 타구 시의 당구공의 배치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8. 제7항에서, 상기 제어모듈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9. 제1항에서,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 정보는 3D 모션캡처 센서로부터 제공된 3D 이미지를 그대로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상기 3D 모션캡처 센서로부터 제공된 3D 이미지를 가공하여 플레이어가 원하는 정보만을 발췌한 2D 또는 3D 정보로 제공되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10. 삭제
  11. 제1항에서, 플레이어의 휴대폰을 이용하여 해당 플레이어가 게임을 진행하는 당구장에 당구장 이용료를 사전 결제(또는 가결제) 또는 사후 결제를 할 수 있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12. 제11항에서, 원격 당구 게임 후, 원격지의 플레이어 중 게임에 진 플레이어가 다른 원격지의 플레이어의 당구장 이용료를 함께 지불하는,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KR1020210020266A 2021-02-16 2021-02-16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KR10262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66A KR102629396B1 (ko) 2021-02-16 2021-02-16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266A KR102629396B1 (ko) 2021-02-16 2021-02-16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394A KR20220117394A (ko) 2022-08-24
KR102629396B1 true KR102629396B1 (ko) 2024-01-26

Family

ID=83111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266A KR102629396B1 (ko) 2021-02-16 2021-02-16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39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981A (ja) * 2008-08-08 2010-02-18 Panasonic Corp 自走式掃除ロボット、自走式掃除ロボット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走式掃除ロボ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878262B1 (ko) * 2017-10-24 2018-07-13 김영길 무인 당구장 관리 시스템
KR101958706B1 (ko) * 2018-03-09 2019-03-15 임헌성 당구 코칭 시스템
JP2020096267A (ja) * 2018-12-12 2020-06-18 日本放送協会 映像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811B1 (ko) * 2010-12-20 2012-11-28 주식회사 웨이브애프터 당구자세 교정 시스템 및 교정 방법, 기록매체
KR101229983B1 (ko) * 2011-04-18 2013-02-06 주용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KR101880196B1 (ko) * 2015-09-07 2018-07-19 주식회사 파워큐 당구게임 관리시스템
KR101815884B1 (ko) 2016-07-29 2018-01-08 김완수 당구 로봇
KR101800968B1 (ko) 2016-08-12 2017-11-23 이경훈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5981A (ja) * 2008-08-08 2010-02-18 Panasonic Corp 自走式掃除ロボット、自走式掃除ロボットの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自走式掃除ロボットの制御プログラム
KR101878262B1 (ko) * 2017-10-24 2018-07-13 김영길 무인 당구장 관리 시스템
KR101958706B1 (ko) * 2018-03-09 2019-03-15 임헌성 당구 코칭 시스템
JP2020096267A (ja) * 2018-12-12 2020-06-18 日本放送協会 映像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394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2526B1 (ko) 시공간적 제약 없는 스크린 야구 경기 장치
US9821220B2 (en) Sport and game simulation systems with user-specific guidance and training using dynamic playing surface
KR101543371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경기 방법
JP6088087B2 (ja) スクリーン野球システム運営方法
CN101155620B (zh) 游戏装置、游戏执行控制方法
CN101991949A (zh) 一种基于计算机的虚拟乒乓球运动控制方法及系统
KR101229983B1 (ko)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JP5498690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およびゲーム装置
KR102629396B1 (ko) 게임 복기가 가능한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
KR20150020875A (ko) 투휠 셀프 밸런싱 이동부와 공압 실린더 작동식 상부 바디를 기반으로 하는 로봇 권투경기 운영방법
KR20190003926A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101561958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당구 게임 시스템
KR20170079809A (ko) 스크린골프 장치 및 스크린골프 시스템
US20080108434A1 (en) Internet enabled remote play of interactive mechanical amusement games of skill
KR102587042B1 (ko) 스크린 골프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55948B1 (ko) 당구 게임 관리 시스템
KR20110128225A (ko) 인터넷을 통한 스크린골프 부킹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9142228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画像生成方法
WO2019142227A1 (ja) 移動体および移動体制御方法
US20230249058A1 (en) Prize acquisition arcade game with robot
JP6855529B2 (ja) 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CN113164810A (zh) 台球室辅助系统及其服务器
KR100656315B1 (ko) 콘솔 게임용 장치
TWM507773U (zh) 互動式訓練運動裝置
WO2004064945A1 (en) Golf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