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800B1 - 케이지 용접 기계 장착용 장치 및 케이지 용접 기계 - Google Patents

케이지 용접 기계 장착용 장치 및 케이지 용접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800B1
KR102628800B1 KR1020217031234A KR20217031234A KR102628800B1 KR 102628800 B1 KR102628800 B1 KR 102628800B1 KR 1020217031234 A KR1020217031234 A KR 1020217031234A KR 20217031234 A KR20217031234 A KR 20217031234A KR 102628800 B1 KR102628800 B1 KR 102628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insertion device
welding machine
cage
cage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8149A (ko
Inventor
만프레트 칼
Original Assignee
엠베카 마쉰엔바우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베카 마쉰엔바우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엠베카 마쉰엔바우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148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1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5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1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 B21F27/12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by attaching a continuous stirrup to longitudinal wires
    • B21F27/124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by attaching a continuous stirrup to longitudinal wires appli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1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 B21F27/12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ubular form, e.g. as reinforcements for pipes or pillars by attaching a continuous stirrup to longitudinal w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1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 B65G47/1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 B65G47/1407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disorderly-arranged article piles or from loose assemblages of articles arranging or orientating the articles by mechanical or pneumatic means during feeding the articles being fed from a container, e.g. a bo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는 삽입 디바이스를 갖는다. 장치는, 삽입 디바이스가 케이지 용접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될 케이지의 모든 종방향 와이어(7)에 대한 복수의 수용 위치를 갖고, 삽입 디바이스는 케이지의 종방향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4)를 갖고, 수용 위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D)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격되고,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와이어를 하나의 삽입 동작에서 동시에 케이지 용접 기계에 공급하도록 설계되고, 케이지 용접 기계 내로의 종방향 와이어의 삽입 동작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케이지 용접 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지 용접 기계 장착용 장치 및 케이지 용접 기계
케이지 용접 기계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공지의 로딩 장치는 생산될 보강 케이지의 종방향 와이어를 케이지 용접 기계에 로딩하는 자동화 장치로서 구성되고, 장치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종축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개별적으로 생산될 보강 케이지의 종방향 와이어를 공급하고, 종축은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에 대응한다.
공지의 장치의 경우, 장치와 케이지 용접 기계는, 개별 종방향 와이어가 장치에 의해 개별 수용 위치에 로딩된 후, 케이지 용접 기계의 생산 휠이 생산 휠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수용 위치를 더 회전시켜 종방향 와이어로 아직 로딩되지 않은 생산 휠의 다른 수용 위치가 장치에 의해 로딩될 수 있게 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조절된다. 여기서, 장치가 보강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종방향 와이어를 케이지 용접 기계에 로딩할 때까지 프로세스가 반복된다.
본 발명은 케이지 용접 기계를 로딩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 특히 케이지 용접 기계의 비교적 더 고속 로딩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케이지 용접 기계를 로딩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하고 적절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지 용접 기계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로부터 비롯되고, 장치는 삽입 디바이스를 갖는다. 예를 들어, 장치는 케이지 용접 기계에 종방향 와이어를 공급하기 위한 삽입 디바이스로서 구성된다.
케이지는 예를 들어 보강 케이지로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케이지 용접 기계는 보강재를 생산하도록, 특히 콘크리트 파이프용 보강 케이지를 생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지 용접 기계는 종방향 와이어를 크로스 와이어에 용접하기 위한 용접 설비 및/또는 예를 들어 루프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를 크로스 와이어에 연결하기 위한 바인딩 유닛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케이지 용접 기계는 확장 슬라이드를 갖는 확장 장치를 포함하고, 확장 슬라이드는 특히 보강재의 생산 프로세스 중에, 확장 장치의 변속 수단을 통해 보강재의 종방향 와이어를 위한 작동 요소의 반경방향 위치를 변경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요소는 유리하게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휠 상에 존재한다. 확장 장치의 변속 수단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으로서 및/또는 구동 로드로서 형성된다. 확장 휠, 예를 들어 메인 휠 및/또는 전진 휠은 예를 들어 4 내지 48개의 스포크, 8 내지 40개의 스포크, 12 내지 36개의 스포크, 16 내지 32개의 스포크 또는 20 내지 28개의 스포크, 특히 24개의 스포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 용접 기계는 메인 휠과 전진 휠을 포함한다. 메인 휠은 예를 들어, 확장 휠의 형태이다. 와이어 가이드 튜브는 유리하게는 메인 휠에, 특히 메인 휠의 스포크에 체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와이어 가이드 튜브는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메인 휠 상에 존재한다. 전진 휠은 유리하게는 종방향 와이어를 클램핑하고 케이지의 생산 중에 메인 휠로부터 이격하여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을 따라 종방향 와이어를 수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보강 본체 또는 보강 케이지 형태의 케이지는 유리하게는 파이프, 포스트, 지주 및/또는 기둥의 보강재로서 구성된다. 보강 본체는 예를 들어, 특히 바아의 종방향 범위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볼 때, 단면이 직사각형, 정사각형, 다각 또는 다각형, 원형 및/또는 타원형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 예를 들어 보강 본체는 복수의 종방향 와이어 및 와이어, 특히 권선 와이어를 갖고, 종방향 와이어는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해 권선 와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2개, 3개 또는 그 초과의 권선 와이어가 보강 본체 상에 제공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종방향 와이어는 유리하게는 바아형 구성이다. 종방향 와이어는 예를 들어 바아의 형태, 특히 종방향 바아의 형태이다.
케이지 용접 기계는 예를 들어 포스트 보강 케이지 용접 기계 및/또는 기둥 보강 케이지 용접 기계로서 및/또는 파이프 보강 케이지 용접 기계 및/또는 보강 파이프 용접 기계로서 구성된다. 보강 매트 케이지, 예를 들어 3차원 보강 매트가 제안된 케이지 용접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리한, 특히 본질적인 실시예는 삽입 디바이스가 케이지 용접 기계를 사용하여 생산될 케이지의 종방향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를 갖고, 삽입 디바이스는 수용 요소 상에, 케이지의 모든 종방향 와이어를 위한 다수의 수용 위치를 갖고, 수용 위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존재하고,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동작에서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와이어를 케이지 용접 기계에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케이지 용접 기계 상에 종방향 와이어를 삽입하는 동작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의 삽입 디바이스의 운동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에는 비교적 신속한 방식으로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동작에서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적어도 3, 4, 5, 6, 7, 8, 9, 10, 11, 12, 14, 16개 또는 적어도 18개의 종방향 와이어를 케이지 용접 기계에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삽입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종방향 와이어 공급 장치로서 구성된다.
회전축의 축방향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른 방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회전축의 축방향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종방향 범위를 따른 및/또는 평행한 방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대응적으로, 회전축의 반경방향은 회전축의 축방향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회전축의 반경방향은 회전축을 향한 또는 회전축으로부터 이격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종방향 범위를 횡단하는 방향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수용 요소는 유리하게는 로딩 휠로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특히 로딩 휠의 형태의 수용 요소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고, 예를 들어 회전 가능하다.
로딩 휠은 예를 들어 4 내지 48개의 스포크, 8 내지 40개의 스포크, 12 내지 36개의 스포크, 16 내지 32개의 스포크 또는 20 내지 28개의 스포크, 특히 24개의 스포크를 포함한다. 로딩 휠은 예를 들어 4, 6, 8, 10, 12, 14, 16, 28, 32, 36, 40, 48개 또는 그 초과의 스포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2개 초과의 수용 위치, 특히 4개 초과의 수용 위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26, 28, 30, 32, 36, 40 또는 48개의 수용 위치를 포함한다. 수용 위치는 유리하게는 스포크의 영역에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스포크는 하나의 수용 위치를 포함한다.
수용 위치는 예를 들어 수용 요소 또는 수용 요소의 슬롯형 절결부의 형태이다. 절결부는 예를 들어 슬롯으로서 구성된다. 수용 위치는 예를 들어 슬롯형, 예를 들어 U형 또는 V형 절결부로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절결부의 종방향 범위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슬롯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해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와이어를 단일 삽입 동작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 특히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장치에 공급하고 그리고/또는 이들을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이송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동작은 특히 회전축의 축방향에서의 단일 운동만을 포함한다. 운동은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회전축 범위를 따라 발생한다. 예를 들어, 삽입 동작은 특히 회전축에 대한 평행 운동만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특히 단일 삽입 동작에서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모든 종방향 와이어를 케이지 용접 기계에 집합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케이지를 생산하는 데 요구되는 모든 종방향 와이어가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동작은 축방향으로의 삽입 디바이스의 단일 운동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삽입 동작은 삽입 디바이스의 복수의 특히 선형 운동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삽입 동작은 삽입 디바이스의 복수의 운동을 포함하고, 모든 운동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동작의 모든 운동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동작은 케이지 용접 기계의 방향으로 수용 요소의 운동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동작은 수용 요소의 복수의 운동을 포함하고, 수용 요소의 모든 운동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동작은 케이지 용접 기계를 향한, 특히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장치를 향한 수용 요소의 외향 운동, 및 케이지 용접 기계로부터, 특히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장치로부터 이격 운동 및/또는 복귀 운동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외향 운동은 전방 운동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 특히 수용 요소에는 특히 단일 로딩 동작에서 모든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될 수 있고, 이 종방향 와이어는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된다. 유리하게는, 로딩 동작은 삽입 동작 전에, 특히 완전히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종방향 와이어의 운동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특히 본질적인 실시예는, 장치가 공급 장치를 갖고, 공급 장치는 공급 프레임, 분리 디바이스, 수송 장치 및/또는 이송 장치를 갖고 종방향 와이어를 삽입 디바이스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종방향 와이어의 운동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공급 장치는 측면으로부터 삽입 디바이스를 로딩하는 것이다. 이 방식으로, 삽입 디바이스에는 비교적 신속한 방식으로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케이지의 생산을 위한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신속하게 공급 장치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측면은 삽입 디바이스 상에 원주방향으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의 측면은 외부를 향해 원주방향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측면은 회전축으로부터 이격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횡단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링형 디스크, 휠 및/또는 실린더의 방식으로 구성되고 쉘 표면, 예를 들어 실린더 쉘 표면을 포함한다. 쉘 표면 또는 실린더 쉘 표면은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측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용 요소는 쉘 표면 상에 절결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해 측방향으로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종방향 와이어는 종방향 와이어의 종방향 범위가 회전축 범위를 따라, 특히 회전축에 평행하게 배향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공급 장치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공급 장치, 특히 이송 장치는, 공급 장치가 삽입 디바이스의 종방향 와이어의 종방향 범위에 횡단하는 방향으로 종방향 와이어를 공급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공급 장치의 공급 프레임은 유리하게는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것보다 더 많은 종방향 와이어가 공급 프레임 상에 또는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공급 프레임은 컨테이너로서, 특히 트로프(trough)로서 구성된다.
분리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분리 디바이스가 공급 프레임 내에 또는 상에 저장되어 있는 종방향 와이어의 공급물로부터 개별 종방향 와이어를 제거하고 그리고/또는 공급물로부터 개별 종방향 와이어를 선택하고 이를 수송 장치에 공급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디바이스는 개별 종방향 와이어를 수송 장치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분리 디바이스는 개별 종방향 와이어를 수송 장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송 장치는 특히 개별 종방향 와이어가 수송 장치로부터 삽입 디바이스로 이송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이송 장치는 슈트(chute)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슈트는 종방향 와이어가 삽입 디바이스 방향으로 수송 장치로부터, 특히 그 종방향 범위에 대해 횡단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2개의 수용 요소가 존재하고, 수용 요소는 수용 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종방향 와이어는 비교적 신뢰적이고 그리고/또는 위치적으로 정확한 방식으로 삽입 디바이스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케이지 용접 기계로의 종방향 와이어의 비교적 신속한 공급을 구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서로의 옆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수용 요소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수용 요소의 회전축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2개의 수용 요소의 회전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유리하게는, 2개의 수용 요소,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모든 수용 요소의 회전축은 일치한다. 예를 들어, 2개의 수용 요소,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모든 수용 요소의 회전축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의 회전축과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은 일치한다.
수용 위치는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되도록,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분포되도록 구성된다.
수용 요소가 고정된, 특히 불변 거리로 서로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기계적 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고정된, 특히 불변 거리로 축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측면은 하나의 수용 요소로부터 다른 수용 요소까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의 측면은 하나의 수용 요소로부터 다른 수용 요소로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 요소의 제1 수용 위치와 제2 수용 요소의 제1 수용 위치는, 종방향 와이어가 2개의 제1 수용 위치에 배열될 수 있어, 제1 수용 위치 상의 종방향 와이어의 배열 상태에서, 종방향 와이어의 종방향 범위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르는, 특히 회전축에 평행하게 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정렬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수용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제1 수용 요소의 수용 위치와 제2 수용 요소의 수용 위치가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종방향 와이어가 수용 위치에 배열될 수 있어, 수용 위치에서 종방향 와이어의 배열 상태에서, 종방향 와이어의 종방향 범위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르는, 특히 회전축에 평행하게 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 정렬되는 이러한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배열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의 모든 수용 위치는 수용 요소의 회전축으로부터 및/또는 반경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도록 수용 요소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모든 수용 요소의 모든 수용 위치는 반경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으로부터 등거리가 되도록 수용 요소 상에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 상의 모든 수용 위치는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수용 요소 상에 형성된다. 특히, 수용 요소 상의 모든 수용 위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수용 요소 상에 형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가 삽입 디바이스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및/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범위를 따라 이동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각각의 수용 요소는 변위 가능하고, 특히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가 다른 수용 요소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특히, 수용 요소는 서로에 대해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다른 수용 요소에 대해 축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특히 변위 가능하다.
삽입 디바이스는 샤프트를 갖고, 샤프트와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샤프트의 회전 운동이 수용 요소의 회전 운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마찬가지로 입증되었다. 이는 샤프트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수용 위치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하게는, 샤프트의 회전축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응한다.
샤프트가 가이드 유닛의 형태이고, 가이드 유닛은 유리하게는 레일형 가이드 부재를 갖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레일형 가이드 부재에 의해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샤프트 상에서 안내된다. 샤프트는 유리하게는 2개의 레일형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레일형 가이드 부재는 가이드 레일로서 구성된다.
샤프트는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기어 기구 유닛을 포함한다. 기어 기구 유닛은 예를 들어 체인 기어 기구로서 및/또는 톱니형-벨트 기어 기구로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샤프트는 샤프트 단부를 통해 케이지 용접 기계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샤프트는 제2 샤프트 단부에서, 삽입 디바이스의 드라이브에 연결되고, 제2 샤프트 단부는 회전축을 따라 제1 샤프트 단부로부터 이격되고 이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삽입 디바이스의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샤프트의 구동을 위해, 특히 회전을 위해 구성된다.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확장 드라이브가 제2 샤프트 단부에 존재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확장 드라이브는 제2 샤프트 단부에 결합된다.
수용 요소는 지지 요소를 갖고, 수용 요소는 지지 요소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이 방식으로, 예를 들어 샤프트는 제1 수용 요소를 통해 지지되고, 특히 장착된다.
지지 요소는 예를 들어 쉘형 리셉터클로서, 예를 들어 하프-쉘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지 요소는 수용 요소가 그에 의해 수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안내된 방식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지지 요소는 특히 쉘형 리셉터클을 갖는 지지 푸트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쉘형 리셉터클은 수용 요소를 위한 가이드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지지 요소는 가이드 요소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지지 요소는 샤프트의 회전축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는 가이드 요소 및/또는 레일형 가이드 부재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모든 수용 요소는 가이드 요소 상에 및/또는 레일형 가이드 부재 상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 요소는 예를 들어 레일 요소로서, 예를 들어 레일로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지지 요소는 바닥 영역 상에 수용 요소를 지지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는 바닥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지지 요소는 바닥 영역 상에 가이드 요소를 통해 지지된다.
유리하게는, 제2 수용 요소는 제1 수용 요소와 샤프트의 드라이브 사이에 회전축을 따라 존재한다.
수용 요소는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고, 클램핑 요소는 수용 요소 상에 장착된 종방향 와이어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수용 위치의 영역에, 특히 수용 위치에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정확히 하나의 클램핑 요소가 수용 위치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2개의 클램핑 요소가 각각의 수용 위치에 존재한다. 예를 들어, 2개의 클램핑 요소는 수용 요소 상에 집게형 방식으로 서로에 대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버퍼 요소, 예를 들어 2개의 버퍼 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정확히 하나의 버퍼 요소, 예를 들어 정확히 2개의 버퍼 요소를 포함한다. 버퍼 요소는 예를 들어 탄성, 예를 들어 버퍼형, 특히 가요성이다. 버퍼 요소가 고무 버퍼의 형태인 것이 고려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폐쇄 위치에서, 수용 위치에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는 클램핑 요소에 의해 수용 위치에 고정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특히 정지 표면을 통해, 폐쇄 위치에서 종방향 와이어 상에 지지된다. 유리하게는, 폐쇄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는 수용 위치의 정지부에 대해 종방향 와이어를 가압하여, 종방향 와이어가 수용 위치의 정지부와 클램핑 요소의 정지 표면 사이에 클램핑되게 된다. 버퍼 요소의 사용은 유리하게는 종방향 와이어 사이의 직경의 치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삽입 디바이스 상에 배열된 각각의 종방향 와이어가 클램핑 요소의 폐쇄 위치에서 클램핑 요소에 의해 클램핑되게 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는 특히 공압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이에 의해 클램핑 요소의 운동이 구동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구동 유닛은 공압 드라이브를 포함한다. 공압 드라이브는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동 유닛, 예를 들어 2개, 3개, 5개 또는 6개, 특히 4개의 구동 유닛이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공압 드라이브, 예를 들어 복수의 공압 실린더가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2개, 3개, 5개, 6개 또는 4개의 공압 드라이브가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유닛은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는 버퍼 저장부를 포함한다. 버퍼 저장부의 사용은 삽입 디바이스가 비교적 신속하고 비용 효율적으로 형성되는 효과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버퍼 저장부는 수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은 복수의 버퍼 저장부, 특히 2개, 3개 또는 4개의 버퍼 저장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버퍼 저장부는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다. 2개, 3개, 4개 또는 그 초과의 버퍼 저장부가 각각의 수용 요소에 배열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퍼 저장부는 탱크로서, 예를 들어 압력 탱크로서 구성된다.
버퍼 저장부는 버퍼 저장부가 전진 휠의 다른 요소와 함께 전진 휠 상에 존재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의 전진 휠 상에 및/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되고, 그리고/또는 버퍼 저장부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및/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 요소의 다른 요소와 함께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전진 휠의 고정 요소의 개방 및 폐쇄가 비교적 신속하게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버퍼 저장부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전진 휠 상에 존재한다. 복수의 버퍼 저장부, 예를 들어 2개, 3개, 4개, 5개, 7개 또는 8개가 전진 휠 상에 구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특히, 6개의 버퍼 저장부가 전진 휠 상에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버퍼 저장부는 예를 들어, 2 리터의 압축 공기에 대한 수용 체적을 갖는다.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압축 공기에 대한 버퍼 저장부의 수용 체적은 1 내지 15 리터이다. 예를 들어, 버퍼 저장부의 수용 체적은 1 내지 10 리터 또는 2 내지 10 리터이다. 예를 들어, 2 내지 12 bar, 4 내지 10 bar 또는 6 내지 10 bar의 압력이 최대 충전 상태에서 버퍼 저장부에 인가된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요소는 피봇축을 통해 수용 요소 상에 피봇 가능하게, 특히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의 클램핑 요소는 수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모든 수용 요소의 클램핑 요소는 특히 집합적으로, 수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의 모든 클램핑 요소는 단일 드라이브에 의해 구동 가능하고, 특히 이동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피봇축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과는 상이하다. 바람직하게는, 클램핑 요소의 피봇축과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은 하나의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예를 들어 이들은 서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은 피봇축을 중심으로 하나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개방 방향으로 클램핑 요소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 유닛이 피봇축을 중심으로 다른 방향으로, 예를 들어 폐쇄 방향으로 클램핑 요소를 회전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폐쇄 방향 및 개방 방향은 유리하게는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의 자기 장착을 위한 자기 요소가 수용 위치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종방향 와이어는 비교적 간단하고 신속한 방식으로 수용 요소에, 특히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 상태에서 종방향 와이어의 자기 장착을 위한 자기 요소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의 클램핑 요소 및 자기 요소는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특히, 수용 요소의 클램핑 요소는 수용 요소의 자기 요소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자기 요소는 영구 자석으로서, 예를 들어 강자성체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자기 요소는 네오디뮴 철 붕소 자석의 형태이다. 자기 요소가 전자석의 형태인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자기 요소는 종방향 와이어가 특히 자기 요소에 의해서만 수용 요소에 고정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다.
3개의 수용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또한 입증되었다. 이 방식으로, 특히 비교적 긴 종방향 와이어에서 비교적 큰 및/또는 긴 케이지가 삽입 디바이스에 의해 케이지 용접 기계에 공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3개의 수용 요소 중 적어도 2개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변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제3 수용 요소가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존재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모든 수용 요소는 회전축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는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소정 거리에서 서로에 대해 위치적으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특히,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는 회전축을 따라 규정된 거리에서 서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는 서로 결합되고, 제3 수용 요소에 대한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특히 변위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는 서로 결합되고, 2개의 수용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가 서로 결합되고 2개의 수용 요소 중 단지 하나만이 클램핑 요소를 갖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3개의 수용 요소 중 2개가 서로 결합되고 단지 제3 수용 요소만이 클램핑 요소를 갖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삽입 디바이스가 2개의 수용 요소, 특히 3개의 수용 요소를 포함하면, 적어도 2개의 수용 요소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또한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가 제1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되고 클램핑 요소가 제2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복수의 수용 요소가 존재하고 수용 요소 중 2개가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면, 수용 요소 중 하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따라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의 순수한 장착 및/또는 지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가 3개의 수용 요소를 포함하면 2개의 수용 요소가 유사한 구성을 갖고 제3 수용 요소가 2개의 다른 수용 요소와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삽입 디바이스는 비교적 비용 효율적으로 형성된다.
수용 위치는 종방향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를 포함하여, 종방향 와이어가 삽입 디바이스 상에서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예를 들어, 수용 위치의 수용 개구는 수용 요소의 원주방향 영역 상에, 예를 들어 수용 요소의 쉘 상에 있다. 예를 들어, 수용 개구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해 볼 때 수용 요소의 외부에 반경방향으로 있다. 수용 요소가 외부 원주방향 영역 상에 수용 위치의 수용 개구를 갖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종방향 와이어가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수용 위치에 배열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 개구가 수용 요소 상에 구성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수용 요소가 공급 호퍼를 갖는 것이 유리한 것이 마찬가지로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공급 호퍼는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 특히, 공급 호퍼는 수용 위치의 영역에 구성된다. 공급 호퍼는 예를 들어 호퍼형 구성, 특히 하프쉘형 호퍼 형태이다. 유리하게는, 공급 호퍼는 종방향 와이어가 안내 방식으로 수용 위치의 수용 개구의 방향으로 공급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단일 수용 요소는 공급 호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의 특히 단일 수용 요소는 복수의 공급 호퍼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의 수용 요소는 각각의 수용 위치에 각각의 공급 호퍼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는 다부분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수용 요소는 복수의 수용 부재, 예를 들어 2개 또는 3개의 수용 부재를 포함한다. 수용 부재는 예를 들어 원형 링형 디스크로서, 원형 디스크로서, 링형 디스크로서 및/또는 링으로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수용 부재는 수용 요소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및/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자기 요소는 제1 수용 부재 상에 배열되고 클램핑 요소는 제2 수용 부재 상에 배열된다. 제3 수용 부재가 존재하고, 자기 요소가 제3 수용 부재 상에 배열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공급 호퍼는 제1 수용 부재 상에 존재한다.
제2 수용 부재는 축방향에서 볼 때, 제1 및 제3 수용 부재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한 것이 마찬가지로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특히 이동 불가능 방식으로 제2 수용 부재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는 클램핑 요소의 피봇축에 대해 피봇 가능하도록 제2 수용 부재 상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자기 요소는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특히 이동 불가능 방식으로 제1 및/또는 제3 수용 부재에 체결된다. 유리하게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및/또는 그 반대로 클램핑 요소의 폐쇄 운동 및/또는 개방 운동은 제1 수용 부재 및/또는 제3 수용 부재에 대한 제2 수용 부재의 운동에 의해, 특히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의 2개의 수용 부재의 운동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및/또는 그 반대로 클램핑 요소의 폐쇄 운동 및/또는 개방 운동은 수용 부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수용 부재의 회전 운동에 의해 실행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수용 부재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는 제2 수용 부재는 유리하게는 제1 및/또는 제3 수용 부재와는 상이하다. 유리하게는, 제2 수용 부재는 클램핑 요소가 구성되는 별형 요소를 포함한다. 별형 요소는 예를 들어, 클램핑 요소가 반경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그 위에 배열되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 특히 원형 링형 디스크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별형 요소는 클램핑 요소와 단일 부분으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제2 수용 부재는 별형 요소에 추가하여 정지 요소를 포함한다. 정지 요소는 예를 들어 특히 단일 원형 디스크의 형태, 특히 단일 원형 링형 디스크의 형태이다. 유리하게는, 정지 요소는 2개의 원형 디스크 및/또는 2개의 원형 링형 디스크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별형 요소는 2개의 원형 디스크 사이 및/또는 2개의 원형 링형 디스크 사이에 축방향으로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 및 클램핑 요소는 디스크의 방식으로, 특히 링형 디스크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수용 부재는 휠형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수용 부재는 제1 및 제3 수용 부재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및 제3 수용 부재 상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폐쇄 위치에서, 별형 요소는 제1 버퍼 요소에 의해 정지 요소의 제1 경계면 상에 지지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 위치에서, 별형 요소는 제2 버퍼 요소에 의해 정지 요소의 제2 경계면 상에 지지된다. 이 방식으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종방향 와이어가 제2 수용 부재에 의해 제1 수용 부재 상에 클램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변형예에서, 수송 장치는 무한 루프 엘리베이터 기구로서, 벨트 컨베이어 유닛으로서, 엘리베이터로서 및/또는 연속 루프 엘리베이터 기구로서 구성된다. 이는 종방향 와이어가 삽입 디바이스에 공급되기 전에 종방향 와이어를 분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는 공급 장치에 의한 종방향 와이어로의 삽입 디바이스의 로딩을 위한 로딩 속도를 가속화한다.
유리하게는, 공급 장치는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 동작 전에 공급 장치 상에 격리된 형태로 퇴적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는 공급 장치에 의한 종방향 와이어로의 삽입 디바이스의 로딩을 위한 로딩 속도를 가속화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종방향 와이어를 클램핑할 목적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의 와이어 가이드 튜브 상에 유지 요소를 갖는 케이지 용접 기계이다. 예를 들어, 케이지 용접 기계는 종방향 와이어의 해제 가능한 고정을 위한 유지 요소를 포함한다. 이 방식으로, 삽입 디바이스에 의해, 특히 전술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삽입 디바이스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의 비교적 신속한 공급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는 공압 클램핑 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공압 클램프로서 구성된다. 와이어 공급 튜브는 또한 예를 들어, 와이어 리드스루 튜브라고도 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는 특히 전술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장치를 갖는 케이지 용접 기계이며, 케이지 용접 기계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D), 특히 삽입 디바이스의 샤프트가 케이지 용접 기계 상에 장착될 수 있는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지 용접 기계는 축방향 장착 부재를 포함하여,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이 축방향 장착 부재 상의 케이지 용접 기계 상에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은 케이지 용접 기계의 축방향 장착 부재 상에 배열될 수 있어, 축방향 장착 부재가 회전축을 지지하게 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과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은 일치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과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은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놓여 있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의 샤프트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메인 휠의 회전 베어링 상에 장착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의 샤프트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메인 휠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전술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삽입 디바이스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구성 부분이고, 삽입 디바이스는 구동 샤프트 및 케이지 용접 기계의 작동 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 샤프트는 삽입 디바이스의 샤프트 내에 및/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레일형 가이드 부재 내에 존재한다. 삽입 디바이스의 샤프트 및/또는 레일형 가이드 부재는 유리하게는 정사각형 튜브의 형태이다. 샤프트는 예를 들어 인발된 정사각형 튜브로서 구성된다. 샤프트는 유리하게는 레일형 가이드 부재를 포함한다.
케이지 용접 기계의 와이어 가이드 튜브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가 케이지 용접 기계 상에 존재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또한 입증되었다.
와이어 가이드 튜브는 종방향 와이어로 케이지 용접 기계의 비교적 간단하고 생산 신뢰적인 로딩 및 동시에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한 케이지의 생산 중에 종방향 와이어의 안내 및 지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지 요소가 와이어 가이드 튜브 상에 구성된다.
가이드 장치는 유리하게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을 포함하고, 와이어 가이드 튜브가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의 가이드 슬롯 내에 장착된다. 이 방식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로부터의 와이어 가이드 튜브의 원주방향 간격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가이드 장치는 디스크형 및/또는 휠형 구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장치는 원형 디스크의 형태 및/또는 휠의 형태로 구성된다. 가이드 슬롯이 스포크형 방식으로, 예를 들어 스포크로서 구성되는 것이 고려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장치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휠로부터 이격되도록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 상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삽입 디바이스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로 케이지 용접 기계를 로딩하기 위한 방법이며, 방법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이하의 방법 단계:
-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휠의 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수용 요소를 이동시키는 단계,
- 다른 수용 요소에 의해 및/또는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휠로부터 이격하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수용 요소를 이동시키는 단계,
- 수용 요소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를 고정하는 단계,
- 다른 수용 요소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 고정을 해제하고 그리고/또는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 고정을 해제하는 단계,
- 케이지 용접 기계의 확장 휠의 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삽입 디바이스의 수용 요소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갖는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에는 전술된 로딩 방법 전에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해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다수의 종방향 와이어가 로딩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이하의 개략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추가 상세 및 장점이 명시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장치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측면 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장치의 회전축에 횡단하는 측면 뷰에서 배열된 장치를 갖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장치의 상부 측면 사시 부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장치의 부분 상세의 정면 측면 사시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배열된 장치를 갖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후면 측면 사시 부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와이어 가이드 튜브의 정면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가이드 장치의 정면 측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장치의 수용 요소의 부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수용 요소의 확대된 상세 A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축방향의 관점에서 수용 요소의 상세의 도면을 각각 도시하고 있고, 각각의 경우에 수용 요소의 요소들은 더 쉬운 이해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도 13은 상이한 위치에 배열된 장치를 갖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삽입 디바이스(1) 및 예를 들어 공급 장치(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삽입 디바이스(1)는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수집 휠(4)의 형태의 수용 요소를 예를 들어 포함하는 로딩 롤러(3)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수용 요소, 예를 들어 수집 휠(4)은 로딩 롤러(3)를 형성한다. 수집 휠(4)은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지지 푸트(5)에 유리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지지 푸트(5)는 수집 휠(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을 포함한다. 종방향 와이어(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위치(6)가 수집 휠(4) 상에 형성된다. 수용 위치(6)는 수집 휠(4)의 원주방향 외측면(8), 예를 들어 쉘 표면 상에 형성되어, 삽입 디바이스(1)가 측면으로부터 종방향 와이어(7)가 로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공급 장치(2)는 예를 들어, 공급 프레임(9), 분리 디바이스(10), 수송 장치(11) 및/또는 이송 장치(12)를 포함한다. 공급 프레임(9)은 예를 들어, 종방향 와이어(7)가 공급물로서 집합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트로프로서 구성된다. 분리 디바이스(10)는 공급 프레임(9)으로부터 종방향 와이어(7)를 제거하고 이들을 분리하고, 특히 이들을 수송 장치(11)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수송 장치(11)는 예를 들어, 벨트(13) 및 복수의 드라이버 요소(14)를 갖는 벨트 컨베이어 유닛으로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수송 장치(11)에서, 케이지의 생산을 위해 요구되는 다수의 종방향 와이어(7)는 예를 들어 격리된 형태로 드라이버 요소(14) 상에 서로로부터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송 장치(12)는 유리하게는 수송 장치(11)로부터 이송 장치(12)로 분배된 종방향 와이어(7)가 이를 따라 수집 휠(4)의 수용 위치(6)의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슈트로서 구성된다.
도 2는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배열된 상태의 삽입 디바이스(1)를 도시하고 있다. 보강 케이지의 생산을 위한 케이지 용접 기계(15)는 예를 들어, 메인 휠(16), 수송 캐리지(17)의 형태의 전진 캐리지 및 확장 드라이브(18)를 갖는다. 메인 휠(16)은 예를 들어, 특히 메인 프레임(19)에 대해 위치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메인 프레임(19)에 체결된다. 더욱이, 케이지 용접 기계(15)는 예를 들어 확장 블록(21)에 결합되는 확장 샤프트(20)를 포함하고, 확장 드라이브(18)는 예를 들어 확장 블록(21) 상에 배열된다. 수송 캐리지(17)는 전진 휠(22)을 포함하고 선형 이동 가능 방식으로 가이드 레일(23) 상에 장착된다. 메인 휠(16)은 예를 들어, 확장 휠의 형태이다. 예를 들어, 종방향 와이어(7)를 크로스 와이어(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한 용접 및/또는 바인딩 유닛(24)이 메인 프레임(19) 상에 배열된다. 와이어 가이드 튜브(25)가 유리하게는 메인 휠(16) 상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메인 휠(1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가 메인 프레임(19) 상에 구성된다. 예를 들어, 메인 프레임(19) 상의 드라이브는 메인 휠(16)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메인 휠(16)의 회전 운동을 구동한다.
유리하게는, 삽입 디바이스(1)의 적어도 하나의 수집 휠(4)은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26)로서 구성된 가이드 요소 상의 지지 푸트(5)를 통해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 및/또는 지지된다.
도 3은 삽입 디바이스(1)의 샤프트(27)의 상세를 확대도로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수집 휠(4)은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샤프트(27) 상에 장착된다. 샤프트(27)는 제2 단부(28)에서, 삽입 디바이스(1)의 드라이브(29)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샤프트(27)는 제1 단부(30)에서, 특히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특히 메인 휠(16)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을 따라 연장하는 가이드 레일(31)의 형태의 가이드 부재는 유리하게는 샤프트(27)에 체결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샤프트(27) 상에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을 따라 연장하는 톱니형-벨트 기어 기구(32)가 배열되어 있다. 수집 휠(4)이 톱니형 래크 및 기어형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수집 휠(4)은 가이드 레일(31)에 의해 안내된다. 예를 들어, 수집 휠(4)이 구동된다. 유리하게는, 수집 휠(4)은 톱니형-벨트 기어 기구(32)에 의해 및/또는 톱니형-래크 기어 기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에 대해 횡단방향으로, 단면에서 샤프트(27)를 도시하고 있다. 샤프트(27)는 유리하게는 정사각형 튜브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확장 샤프트(20) 및 예를 들어,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메인 휠(16)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로드(33) 및/또는 구동 샤프트는 정사각형 튜브로서 구성된 샤프트(27)의 내부에 배열된다. 예를 들어, 샤프트(27) 상에는 영점에 대한 수집 휠(4)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예를 들어 격자선, 격자 플레이트 및/또는 글래스 스케일의 형태 및/또는 톱니형 래크의 형태의 위치설정 유닛(34)이 있다.
도 5는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배열되고 삽입 디바이스(1) 및 공급 장치(2)를 포함하는 장치의 부분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메인 휠(16)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메인 휠은 특히 메인 프레임(19)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와이어 가이드 튜브(25)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D)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및/또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메인 휠(16)에 체결된다. 와이어 가이드 튜브(25)는 확장 드라이브(20)에 의해 구동 가능한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확장 슬라이드를 통해 메인 휠(16)의 스포크(36)를 따라 반경방향으로, 메인 휠(16)의 작동 요소(35)와 함께 이동 가능하다.
가이드 휠(37)의 형태의 가이드 장치가 부가로 존재하고, 와이어 가이드 튜브(25)는 안내 방식으로 가이드 슬롯(38)을 따라 선형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또한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휠(37)은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존재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 휠(37)은 특히 메인 휠(16)과 함께, 구동 샤프트에 의해 구동 가능하다. 가이드 휠(37)은 예를 들어 가이드 휠(37)의 회전축(4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배열될 수 있다(도 7).
특히 공압식으로 구동 가능한 유지 요소(39)가 유리하게는 와이어 가이드 튜브(25) 상에 존재한다. 와이어 가이드 튜브(25) 상에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7)가 유지 요소(39)에 의해, 유리하게는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요소(39)는 유지 요소(39)의 유지 상태에서, 와이어 가이드 튜브(25)의 내부벽에 대해 종방향 와이어(7)를 클램핑하는 램(40)을 포함한다(도 6).
도 8은 수집 휠(4)을 도시하고 있고, 수집 휠(4)의 일부는 더 양호한 이해를 위해 생략되어 있다. 수집 휠(4)은 예를 들어 3개의 수용 부재(42, 43, 44)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공급 호퍼(46)가 축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1 수용 부재(42)의 외측면(45) 상에 구성된다. 더욱이, 수집 휠(4)은 예를 들어 압력 탱크(47)의 형태의 버퍼 저장부 및 공압 실린더(59)의 형태의 공압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구동 유닛(60)을 포함한다.
수용 개구(48)를 갖는 슬롯형 수용 위치(6)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예를 들어 제3 수용 부재(42, 44) 상에 존재한다. 수용 개구(48)는 유리하게는 제1 및 제3 수용 부재(42, 44)의 쉘 표면(49) 상에 존재한다. 제2 수용 부재(43)는 예를 들어 제1 및 제3 수용 부재(42, 44)와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제2 수용 부재(43)는 예를 들어 클램핑 표면(51)을 갖는 클램핑 요소(50)를 포함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수집 휠(4)의 추가 상세를 도시하고 있고, 각각의 경우에 제3 수용 부재(44)의 일부는 도 11 및 도 12에서 생략되어 있다. 제1 및 제3 수용 부재(42, 44) 상에는, 영구 자석(52)의 형태의 자기 요소가 수용 위치(6)의 영역에 구성된다. 수용 위치(6)는 또한 유리하게는 베어링 표면(53)을 포함하는데, 이 베어링 표면에는 종방향 와이어(7)가 장착될 수 있고 종방향 와이어(7)가 그에 대해 가압되어, 따라서 클램핑 요소(50)의 폐쇄 위치에서 클램핑 표면(51)에 의해 고정된다. 특히 직경의 견지에서 수집 휠(4) 상에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7) 사이의 치수 차이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한 버퍼 요소(54)가 유리하게는 클램핑 요소(50) 상에 배열된다. 종방향 와이어(7)는 유리하게는 상대 운동에 의해, 특히 제1 및 제2 수용 부재(42, 44)에 대한 제2 수용 부재(43)의 회전에 의해 클램핑된다. 상대 운동은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59)의 스트로크 운동에 의해 발생한다.
도 13은 삽입 디바이스(1)에 의해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가능한 방법 순서를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추가의, 특히 다른 방법 순서는 배제되지 않는다. 도 13에 따른 삽입 디바이스(1)는 2개의 수집 휠(56, 57)을 포함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방법 순서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먼저, 제1 방법 단계(이미지 I, 도 13)에서, 삽입 디바이스(1)에 종방향 와이어(7)가 로딩된다. 여기서, 공급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는 유리하게는 위치적으로 고정되고 항상 동일한 장소에 로딩된다. 오히려 수용 위치(6)에 종방향 와이어(7)가 로딩되자마자 삽입 디바이스(1)의 수집 휠이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을 중심으로 수용 위치(6)를 하나의 위치 더 회전시키는 것이 해당한다(이미지 II, 도 13). 삽입 디바이스(1)의 로딩 중에, 케이지(55)는 유리하게는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의해 생산된다.
다른 방법 단계(이미지 III, 도 13)에서, 케이지 용접 기계에 의한 케이지(55)의 생산이 종료되고, 특히 생산의 종료와 동시에, 종방향 와이어(7)와 함께 수집 휠이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을 따라 메인 휠(16)을 향해 이동한다.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종방향 와이어(7)의 로딩 중에, 이미 생산된 케이지(55)는 유리하게 제거된다(이미지 III-V, 도 13).
종방향 와이어(7)가 와이어 가이드 튜브(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이러한 정도로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메인 휠(16)을 향해 수집 휠이 이동된 경우, 예를 들어 제2 수집 휠(56)이 종방향 와이어(7)를 클램핑하여, 제1 수집 휠(57)이 회전축(D)을 따라 복귀할 수 있다(이미지 V, 도 13). 제1 수집 휠(57)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종방향 와이어(7)의 임의의 고정을 해제하며, 제2 수집 휠(56)은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방향으로 종방향 와이어(7)를 더 수송하는 것이 또한 고려 가능하다.
제1 수집 휠(57)이 복귀하였으면, 2개의 수집 휠(56, 57)은 유리하게는 종방향 와이어(7)를 고정하고, 다음 단계에서, 종방향 와이어(7)를 회전축(D)을 따라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방향으로 더 수송한다(이미지 VI, 도 13).
제1 수집 휠(57)이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향해 최대로 이동하자마자, 제1 수집 휠(57)에 대한 종방향 와이어(7)의 임의의 고정이 해제되고, 제2 수집 휠(56)은 제2 수집 휠(56)이 또한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향해 최대로 이동 가능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종방향 와이어(7)를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방향으로 더 수송한다(이미지 VII, 도 13). 제2 수집 휠(56)은 이후에 종방향 와이어(7)의 고정을 해제한다.
다른 방법 단계에서, 제2 수집 휠(56)은 종방향 와이어(7)로 갱신된 로딩을 위해 로딩 위치로 복귀한다. 특히 동시에, 수송 캐리지(17)는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도입된 종방향 와이어(7)까지 유도된다(도 13의 이미지 VIII).
여기서, 수송 캐리지(17)는 종방향 와이어(7)의 단부(58)가 수송 캐리지(17)의 방향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15) 내로 등거리로 도입될 때까지 제1 수집 휠(57)의 방향으로 회전축(D)을 따라 다시 종방향 와이어(7)를 압박한다(이미지 IX, 도 13). 제1 수집 휠(57)은 이후에 종방향 와이어(7)를 고정하여, 수송 캐리지(17)가 회전축(D)을 따른 종방향 와이어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고 단부(58)에서 종방향 와이어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수송 캐리지(17)가 종방향 와이어(7)를 그 단부(58)에서 고정하였으면, 제1 수집 휠(57)은 종방향 와이어(7)에 대한 고정을 해제하고 종방향 와이어(7)로 갱신된 로딩을 위해 로딩 위치로 복귀한다(이미지 X, 도 13).
1: 삽입 디바이스 2: 공급 장치
3: 로딩 롤러 4: 수집 휠
5: 지지 푸트 6: 수용 위치
7: 종방향 와이어 8: 외측면
9: 공급 프레임 10: 분리 디바이스
11: 수송 장치 12: 이송 장치
13: 벨트 14: 드라이버 요소
15: 케이지 용접 기계 16: 메인 휠
17: 수송 캐리지 18: 확장 드라이브
19: 메인 프레임 20: 확장 샤프트
21: 확장 블록 22: 전진 휠
23: 가이드 레일 24: 용접 및/또는 바인딩 유닛
25: 와이어 가이드 튜브 26: 가이드 레일
27: 샤프트 28: 단부
29: 드라이브 30: 단부
31: 가이드 레일 32: 톱니형-벨트 기어 기구
33: 구동 로드 34: 위치설정 유닛
35: 작동 요소 36: 스포크
37: 가이드 휠 38: 가이드 슬롯
39: 유지 요소 40: 램
41: 회전축 42: 수용 부재
43: 수용 부재 44: 수용 부재
45: 외측면 46: 공급 호퍼
47: 압력 탱크 48: 수용 개구
49: 쉘 표면 50: 클램핑 요소
51: 클램핑 표면 52: 영구 자석
53: 베어링 표면 54: 버퍼 요소
55: 케이지 56: 수집 휠
57: 수집 휠 58: 단부
59: 공압 실린더 60: 구동 유닛

Claims (14)

  1.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이며, 장치는 삽입 디바이스(1)를 갖는, 장치에 있어서,
    삽입 디바이스(1)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사용하여 생산될 케이지(55)의 종방향 와이어(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4)를 갖고, 삽입 디바이스(1)는 수용 요소(4) 상에, 케이지(55)의 모든 종방향 와이어(7)를 위한 다수의 수용 위치(6)를 갖고, 수용 위치(6)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존재하고, 삽입 디바이스(1)는 삽입 동작에서 삽입 디바이스(1)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와이어(7)를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종방향 와이어(7)를 삽입하는 동작은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의 축방향으로의 삽입 디바이스(1)의 운동에 의해 실행되고, 2개의 수용 요소(4)가 존재하고, 수용 요소(4)는 수용 위치(6)를 포함하고, 2개의 수용 요소(4)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에 대해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디바이스(1)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사용하여 생산될 케이지(55)의 종방향 와이어(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4)를 갖고, 삽입 디바이스(1)는 수용 요소(4) 상에, 케이지(55)의 모든 종방향 와이어(7)를 위한 다수의 수용 위치(6)를 갖고, 수용 위치(6)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존재하고, 장치는 공급 장치(2)를 갖고, 공급 장치(2)는 공급 프레임(9), 분리 디바이스(10), 수송 장치(11) 및/또는 이송 장치(12)를 가지며 종방향 와이어(7)를 삽입 디바이스(1)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삽입 디바이스(1)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을 횡단하는 방향으로의 종방향 와이어(7)의 운동에 의해 종방향 와이어(7)가 로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공급 장치(2)는 측면으로부터 삽입 디바이스(1)를 로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디바이스(1)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사용하여 생산될 케이지(55)의 종방향 와이어(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4)를 갖고, 삽입 디바이스(1)는 수용 요소(4) 상에, 케이지(55)의 모든 종방향 와이어(7)를 위한 다수의 수용 위치(6)를 갖고, 수용 위치(6)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존재하고, 삽입 디바이스(1)는 삽입 동작에서 삽입 디바이스(1)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와이어(7)를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수용 요소(4)는 지지 요소(5)를 갖고, 수용 요소(4)는 지지 요소(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삽입 디바이스(1)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사용하여 생산될 케이지(55)의 종방향 와이어(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요소(4)를 갖고, 삽입 디바이스(1)는 수용 요소(4) 상에, 케이지(55)의 모든 종방향 와이어(7)를 위한 다수의 수용 위치(6)를 갖고, 수용 위치(6)는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존재하고, 삽입 디바이스(1)는 삽입 동작에서 삽입 디바이스(1) 상에 배열된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와이어(7)를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동시에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수용 요소(4)는 클램핑 요소(50)를 포함하고, 클램핑 요소(50)는 수용 요소(4) 상에 장착된 종방향 와이어(7)를 클램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 디바이스(1)는 샤프트(27)를 갖고, 샤프트(27)와 적어도 하나의 수용 요소(4)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샤프트(27)의 회전 운동이 수용 요소(4)의 회전 운동을 유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요소(4) 상에 배열된 종방향 와이어(7)의 자기 장착을 위한 자기 요소(52)가 수용 위치(6)의 영역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개의 수용 요소(4)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위치(6)는 종방향 와이어(7)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개구(48)를 포함하여, 종방향 와이어(7)가 삽입 디바이스(1) 상에서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송 장치(11)는 무한 루프 엘리베이터 기구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퍼 저장부는 버퍼 저장부가 전진 휠의 다른 요소와 함께 전진 휠 상에 존재하는 방식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의 전진 휠 상에 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수용 요소 상에 배열되고, 또는 버퍼 저장부는 케이지 용접 기계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또는 삽입 디바이스의 회전축(D)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수용 요소의 다른 요소와 함께 수용 요소 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
  11.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있어서,
    유지 요소(39)가 종방향 와이어(7)를 클램핑할 목적으로 케이지 용접 기계(15)의 와이어 가이드 튜브(25) 상에 존재하고, 유지 요소(39)는 공압 클램핑 수단으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
  1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케이지 용접 기계(15)를 로딩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케이지 용접 기계(15)에 있어서,
    삽입 디바이스(1)의 회전축(D)이 케이지 용접 기계(15) 상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지 용접 기계(15).
  13. 삭제
  14. 삭제
KR1020217031234A 2019-04-04 2019-04-04 케이지 용접 기계 장착용 장치 및 케이지 용접 기계 KR102628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9/058549 WO2020200466A1 (de) 2019-04-04 2019-04-04 Vorrichtung zur bestückung einer korbschweissmaschine und korbschweiss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149A KR20210148149A (ko) 2021-12-07
KR102628800B1 true KR102628800B1 (ko) 2024-01-23

Family

ID=66102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234A KR102628800B1 (ko) 2019-04-04 2019-04-04 케이지 용접 기계 장착용 장치 및 케이지 용접 기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931794B2 (ko)
EP (2) EP3946775A1 (ko)
KR (1) KR102628800B1 (ko)
CN (1) CN113677453A (ko)
WO (1) WO202020046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5485A (en) * 1938-02-24 1940-08-29 Wellington Concrete Pipe Compa Improved mean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electrically welded wire frames
DE2008095A1 (de) * 1970-02-21 1971-08-26 Wehrle Werk AG, 7830 Emmendingen Wickelmaschine zur Herstellung von Ar mierungskorben mit Glockenmuff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9259A (en) * 1969-06-23 1971-05-18 Nippon Rocla Pipes Co Ltd Apparatus for making a double-layer reinforcing cage for concrete pipes
FR2080683B1 (ko) * 1970-02-21 1975-07-04 Wehrle Werk Ag
SU556876A1 (ru) 1975-02-19 1977-05-05 Востряковский Завод Железобетон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Дск-3 Ордена Ленина Главмосстроя Лини дл контактной точечной сварк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арматурных каркасов
SU577071A1 (ru) 1976-06-24 1977-10-25 Минский Филиал Конструкторско-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Бюро "Стройиндустрия" Машина дл контактной точечной сварк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арматурных каркасов
AT384969B (de) * 1986-04-02 1988-02-10 Evg Entwicklung Verwert Ges Vielpunkt-widerstandsschweissmaschine
AT395386B (de) 1988-05-26 1992-12-10 Evg Entwicklung Verwert Ges Verfahren und anlage zum herstellen zweilagiger geschweisster gitterkoerper
JPH0681652B2 (ja) * 1988-07-01 1994-10-19 日本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篭型鉄筋編成機の縦筋供給方法及び装置
AT396882B (de) * 1990-03-30 1993-12-27 Evg Entwicklung Verwert Ges Doppelpunktschweissmaschine
DE59204507D1 (de) * 1992-03-07 1996-01-11 Mbk Maschinenbau Gmbh Maschi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ewehrungskörben für Betonrohre.
JP2587905B2 (ja) * 1994-04-12 1997-03-05 株式会社松村組 鉄筋籠製造装置
AUPP758898A0 (en) * 1998-12-10 1999-01-07 Barden, Wayne An apparatus for making reinforcing cages for reinforcing concrete
GB9928264D0 (en) * 1999-12-01 2000-01-26 Neckoula Kamal Cage making machine
EP1428596A1 (de) * 2002-12-09 2004-06-16 H.A. Schlatter Ag Anlage zum Herstellen von Drahtgittern
WO2005084848A1 (en) * 2004-03-02 2005-09-15 M.E.P. Macchine Elettroniche Piegatrici Spa Machine to produce reinforcement cages, and relative production method
WO2008131346A2 (en) * 2007-04-20 2008-10-30 Concrete Technology Worldwide,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e of a wire cage
US8533956B2 (en) * 2009-11-25 2013-09-17 Jack Perry Rebar installation system and method of securing rebar
IT1402456B1 (it) * 2010-10-25 2013-09-13 Schnell Spa Macchina per realizzare gabbie metalliche.
BR112017017507B1 (pt) 2015-02-18 2023-03-28 M.E.P. Macchine Elettroniche Piegatrici S.P.A. Aparelho e método para alimentar barras
US9586762B1 (en) * 2015-04-01 2017-03-07 S&M Precast Inc. Rotatable long-bar handling apparatus
EP3426421A1 (de) * 2016-03-11 2019-01-16 apilion Machines + Services GmbH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bewehrungskörben
DE202019101960U1 (de) * 2019-04-04 2019-05-08 Mbk Maschinenbau Gmbh Vorrichtung zur Bestückung einer Korbschweißmas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25485A (en) * 1938-02-24 1940-08-29 Wellington Concrete Pipe Compa Improved mean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electrically welded wire frames
DE2008095A1 (de) * 1970-02-21 1971-08-26 Wehrle Werk AG, 7830 Emmendingen Wickelmaschine zur Herstellung von Ar mierungskorben mit Glockenmuf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57045A2 (de) 2024-04-24
KR20210148149A (ko) 2021-12-07
US20220016692A1 (en) 2022-01-20
EP3946775A1 (de) 2022-02-09
WO2020200466A1 (de) 2020-10-08
CN113677453A (zh) 2021-11-19
US11931794B2 (en)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2419A (en) Process for the input and carrying away of smoking or cooking rods for automatic suspension of a plurality of sausages
CN105292584B (zh) 自动捆扎管材套袋机
CN207710017U (zh) 一种自动上料双头倒角机
KR20190016584A (ko) 금속 제품을 취급하기 위한 기기 및 방법
CN110093694A (zh) 用于操纵线筒的装置、用于运输线筒的方法、环锭纺纱机的维护自动机械设备和环锭纺纱机
KR102628800B1 (ko) 케이지 용접 기계 장착용 장치 및 케이지 용접 기계
CN109850230A (zh) 一种塑料袋全自动整理捆扎系统
US5238353A (en) Device for the input and carrying away of smoking or cooking rods for automatic suspension of a plurality of sausages
CN115026651A (zh) 一种输出轴的全自动加工系统及其加工方法
CN112412990A (zh) 一种滚针轴承自动装配流水线
RU276493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рутков
CN205293221U (zh) 自动捆扎管材套袋机
JPH0336172A (ja) ロービングパッケージの移送装置
CN109665138A (zh) 一种专用于塑料袋捆扎的自动转向输送装置
RU279197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мплектации машины для сварки каркаса и машина для сварки каркаса
CN108381169A (zh) 一种曲轴齿轮压装装置
CN210153102U (zh) 一种圆锥滚子轴承装配机
CN105035401B (zh) 一种全自动盒子处理装置
CN116638314A (zh) 一种地铁车门锁具锁芯自动化装配设备
CN113148306B (zh) 一种多轴自动装盘设备
JP4262998B2 (ja) ビード・セパレータ分離方法及び装置
CN210791019U (zh) 一种同时转移多个托盘的夹紧装置
CN211224000U (zh) 一种缠绕套袋一体式包装装置
DE202019101960U1 (de) Vorrichtung zur Bestückung einer Korbschweißmaschine
US5153415A (en) Counter for elastic 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