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164B1 -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 Google Patents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164B1
KR102627164B1 KR1020220009768A KR20220009768A KR102627164B1 KR 102627164 B1 KR102627164 B1 KR 102627164B1 KR 1020220009768 A KR1020220009768 A KR 1020220009768A KR 20220009768 A KR20220009768 A KR 20220009768A KR 102627164 B1 KR102627164 B1 KR 102627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yarn
base
yarns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9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3913A (ko
Inventor
오광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중
오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중, 오광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중
Priority to KR1020220009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164B1/ko
Publication of KR20230113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3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6Non-run fabrics or articles
    • D04B1/08Non-run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02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 D04B1/04Pile fabrics or articles having similar surface features characterised by thread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파일사가 베이스부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파일고정사가 구비되고, 상기 파일고정사가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바탕사들을 고정하여 줌으로써 바탕사의 올풀림이 없도록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부재를 구비하는 파일원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로 구성되는 베이스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100)를 구성하는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를 연결하여 고정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파일형성부(30)로 구성되는 파일원단으로, 상기 제 1 바탕사(10)는, 복수 개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탕사(20)는, 상기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상기 제 2 결합볼록부(14)와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연결볼록부(22) 및 제 2 연결볼록부(2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일형성부(30)는 상기 제 1 바탕사(10)와 제 2 바탕사(20)를 교호적으로 연결결합하는 파일사(40)와 상기 파일사(40)를 상기 제1 바탕사와 제2 바탕사에 고정되게하고, 동시에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파일고정사(50)가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구성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부재를 구비하는 파일원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Pile fabric with pile forming parts that don't fall out or loosen up}
본 발명은 오랜 시간이 지나더라도 파일사가 베이스부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파일고정사가 구비되고, 상기 파일고정사가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바탕사들을 고정하여 줌으로써 바탕사의 올풀림이 없도록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부재를 구비하는 파일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섬유 제품은 보온성이 주기능이나, 최근에는 보온성뿐만 아니라 속건성, 흡습성, 경량성, 쾌적성 등의 많은 기능성을 요구하고 있고, 대부분의 섬유 제품들이 이런 요구에 부응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최근 주목되고 있는 섬유 소재는 석유를 기초로 하는 합성 섬유보다는 천연 섬유소재를 선호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면, 모, 모시, 실크 등의 천연 섬유소재 및 이러한 천연 섬유로 제조되는 원단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양모는 양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섬유로서 초기 탄성률이 작아서 섬유 자체가 매우 부드럽고, 케라틴이라는 단백질 즉 폴리펩티드로 되어 있으며 이 폴리펩티드 사슬이 직선상이 아니고 나선형으로 되어 있어 좋은 탄성과 신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것은 형태학적으로 큐티클질, 코텍스, 메덜러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흡습성, 보온성 등이 우수하여 보온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양모 섬유로 구성된 원단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의류는 물론, 이불, 담요, 매트리스, 침구 등이 제조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원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원단, 특히 파일 원단은 각종 의류는 물론 이불, 담요, 매트리스, 침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베이스(10)와, 베이스(10)에 결합되는 파일부(20)를 포함한다. 베이스(10)는 바닥사가 니트식으로 짜여져 구성되고, 파일부(20)는 양모 등으로 구성되는 다수의 파일사가 베이스(10)에 결합되어 구성된다. 파일부(20)는 베이스(10)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있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지게 된다. 파일부(20)가 베이스(10)에 결합되는 과정은 여러 가닥의 파일사를 바닥사에 위, 아래로 한번 꼬아서 심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파일사는 고리모양으로 꼬아지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파일부(20)는 베이스(10)에 위, 아래로 한번만 꼬아지므로, 파일부(20)의 결합력이 약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일부(20)의 털빠짐 현상이 심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03083호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바탕사가 폭방향으로 반복적으로 배열되는 베이스부에 파일사를 결합되도록 하여 오랜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파일사가 베이스부에서 잘 빠지지 않도록 하는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로 구성되는 베이스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100)를 구성하는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를 연결하여 고정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파일형성부(30)로 구성되는 파일원단이다.
상기 제 1 바탕사(10)는, 복수 개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탕사(20)는, 상기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상기 제 2 결합볼록부(14)와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연결볼록부(22) 및 제 2 연결볼록부(2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일형성부(30)는 상기 제 1 바탕사(10)와 제 2 바탕사(20)를 교호적으로 연결결합하는 파일사(40)와 상기 파일사(40)를 상기 제1 바탕사와 제2 바탕사에 고정되게하고, 동시에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파일고정사(50)가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파일사(40)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볼록부(12)와 상기 제1연결볼록부(22)를 연결하고 제1파일부(42)를 형성하며, 제 1 바탕사(10)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를 묶음하는 제1묶음부(34)와, 상기 제 1 바탕사(10)의 제2결합볼록부(14)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 2 바탕사(20)의 제 2 연결볼록부(24)를 결합하는 결합부(32)를 형성하고, 연속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볼록부(12)와 상기 제1연결볼록부(22)를 연결하고 제2파일부(44)를 형성하며, 제 1 바탕사(10)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를 묶음하는 제2묶음부(36)를 형성한다.
상기 파일고정사(50)는 상기 파일사(4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기 파일사(40)를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에 묶음하는 제1고정묶음부(52,54))를 형성하고, 파일사와 바탕사를 동시에 견고하게 잡아주는 고정결합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연결부(5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고정사(50)는 상기 파일사(40)와 동일방향으로 인입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 바탕사(10)와 제2 바탕사(20)에 상기 파일사(40)를 고정하여 잡아주고, 상기 바탕사들을 묶음 및 고정함에 상기 바탕사들을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파일사(40)와 대칭되는 위치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고정사(50)의 인입시 상기 제1묶음부(34)와 제2묶음부(36) 또는 결합부(32) 또는 이들 모두의 위치에 1회 이상의 꼬임을 형성 형성하도록 인입하여 꼬임부(59)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고정사(50)의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기 고정연결부(58)는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를 다이렉트로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와 제 1 연결볼록부(22) 및 제 2 연결볼록부(24)에 인입되도록 하여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제2고정묶음부(52,54)와 제1고정결합부(56)가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형성부(30)은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D1)으로 일정간격으로 반복형성되며, 폭방향(D2)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반복형성하여 위치하되,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는 파일고정사(50)의 고정연결부(58)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파일원단은 일면으로 파일을 형성하는 파일사가 일차적으로 원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바탕사들을 고정연결하여 잡아주고, 상기 파일사와 함께 인입되는 파일고정사가 상기 파일사를 잡아주고 동시에 상기 바탕사들을 이차적으로 고정연결하여 잡아줌으로써 파일의 빠짐현상과 파일의 빠짐으로 인한 바탕사들의 올풀림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종래 원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의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의 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 및 5는 도 3의 실시형태에 따른 파일형성부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파일원단은 베이스부(100)와 파일형성부(30; 도 3 및 4 도시)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파일원단을 구성하는 베이스부의 예시를 도시한 것을, 상기 베이스부(100)는 복수개의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가 길이방향(D1)으로 길게 형성되며, 폭방향(D2)으로 병렬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 등으로 구성되며, 좌우 대칭으로 사슬짜기되거나 니트 형상으로 니팅되어 베이스부(10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100)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제 1 바탕사(10)와 제 2 바탕사(20)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바탕사(10)와 제 2 바탕사(20)는 각각 2줄 또는 복수의 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바탕사(10)는 복수 개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제 2 바탕사(20)는,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와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연결볼록부(22) 및 제 2 연결볼록부(2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파일형성부(30)는 제 1 바탕사(10)와 상기 제 2 바탕사(20)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고정되는 파일사(40)와 파일고정사(50)가 상기 각각의 바탕사(10, 20)에 동일방향으로 인입되어 상기 제1 및 2 바탕사(10, 20)를 결합 및 묶음하여 형성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형성부(30)는 길이방향(D1)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반복형성되는 것이고, 폭방향(D2)으로 병렬로 배열되는 것이다. 보다 좋게는 상기 파일형성부(30)의 폭 방향(D2) 배열시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재그형태로 위치되도록 배열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파일사(30)는 그 소재를 구체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파일원단의 특성상 우수한 흡습성, 방적성, 유연성 및 보온성을 갖추어야 함으로, 이러한 물성을 만족하는 소재의 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원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내지 5에 도시된 바에 따라 그 구성 및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은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로 구성되는 베이스부(100); 및 상기 베이스부(100)를 구성하는 제1바탕사(10)와 제2바탕사(20)를 연결하여 고정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파일형성부(30)로 구성되는 파일원단이다.
상기 제 1 바탕사(10)는, 복수 개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탕사(20)는, 상기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상기 제 2 결합볼록부(14)와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연결볼록부(22) 및 제 2 연결볼록부(24)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파일형성부(30)는 상기 제 1 바탕사(10)와 제 2 바탕사(20)를 교호적으로 연결결합하는 파일사(40)와 상기 파일사(40)를 상기 제1 바탕사와 제2 바탕사를 고정되게하고, 동시에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파일고정사(50)가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파일사(40)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볼록부(12)와 상기 제1연결볼록부(22)를 연결하고 제1파일부(42)를 형성하며, 제 1 바탕사(10)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를 묶음하는 제1묶음부(34)와, 상기 제 1 바탕사(10)의 제2결합볼록부(14)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 2 바탕사(20)의 제 2 연결볼록부(24)를 결합하는 결합부(32)를 형성하고, 연속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볼록부(12)와 상기 제1연결볼록부(22)를 연결하고 제2파일부(44)를 형성하며, 제 1 바탕사(10)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를 묶음하는 제2묶금부(36)를 형성한다.
상기 파일고정사(50)는 상기 파일사(40)와 동일한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기 파일사(40)를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에 묶음하는 제1고정묶음부(34,36)를 형성하고, 파일사와 바탕사를 동시에 잡아주는 고정결합부(5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연결부(58)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일고정사(50)는 다른 방편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사(40)와 동일방향으로 인입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 바탕사(10)와 제2 바탕사(20)에 상기 파일사(40)를 고정하여 잡아주고, 상기 바탕사들을 묶음 및 고정함에 상기 바탕사들을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파일사(40)와 대칭되는 위치에 인입되는 것이다.
또 다른 방편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고정사(50)의 인입시 상기 제1묶금부(34)와 제2묶음부(36) 또는 결합부(32) 또는 이들 모두의 위치에 1회 이상의 꼬임을 형성 형성하도록 인입하여 꼬임부(59)를 더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일고정사(50)의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기 고정연결부(58)는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를 다이렉트로 연결하여 고정하거나(도 3 및 4 도시), 또는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의 제 1 결합볼록부(12) 및 제 2 결합볼록부(14)와 제 1 연결볼록부(22) 및 제 2 연결볼록부(24)에 인입되도록 하여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제2고정묶음부(52,54)와 제1고정결합부(56)가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어(도 5 도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람직하게 상기 파일형성부(30)은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D1)으로 일정간격으로 반복형성되며, 폭방향(D2)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반복형성하여 위치하되,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파일형성부(30)와 파일형성부(30)는 파일고정사(50)의 고정연결부(58)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바람직한 예시에 따른 파일원단은 파일사(40))의 결합부(32)와 파일고정사(50)의 고정결합부(56)는 제 1 바탕사(10)와 제 2 바탕사(20)를 묶여지도록 구성되므로, 상기 결합부(32)와 고정결합부(56)는 시간이 지난다 하더라도 베이스부(100)에서 풀리지 않아 털빠짐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고정결합부(56)는 파일을 형성하는 파일사(40)를 바탕사(10. 20)들에 잡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파일사를 더욱 견고하게 잡아주게 됨으로, 파일사의 빠짐을 방지하고, 동시에 파일사의 빠짐현상이 발생하더라도 바탕사의 올풀림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파일형성부(30)의 일구성인 제1파일부(42)과 제2파일부(44)은 제 2 바탕사(20)의 제 2 연결볼록부(24)에 결합된 상태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므로, 상기 제1 및 2 파일은 결합부(32)와 함께 베이스부(100)에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100: 베이스부
10: 제1바탕사
12: 제 1 결합볼록부
14: 제 2 결합블록부
20: 제2바탕사
22: 제 1 연결볼록부
24: 제 2 연결볼록부
30: 파일형성부
32: 결합부
34,36: 제1 고정묶음부
40: 파일사
42: 제1 파일부
44: 제2 파일부
50: 파일고정사
52,54: 제2 고정묶음부
56: 고정결합부
58: 고정연결부

Claims (5)

  1.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상호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로 구성되는 베이스부; 및 상기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연결하여 고정되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가 반복하여 형성되는 파일형성부로 구성되는 파일원단으로,
    상기 제 1 바탕사는, 복수 개의 제 1 결합볼록부 및 제 2 결합볼록부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2 바탕사는, 상기 제 1 결합볼록부 및 상기 제 2 결합볼록부와 대향되도록 복수 개의 제 1 연결볼록부 및 제 2 연결볼록부가 교호적으로 반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일형성부는 상기 제 1 바탕사와 제 2 바탕사를 교호적으로 연결결합하는 파일사와 상기 파일사를 상기 제1 바탕사와 제2 바탕사에 고정되게하고, 동시에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파일고정사가 길이방향으로 인입되어 구성되며,
    상기 파일사는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볼록부와 상기 제1연결볼록부를 연결하고 제1파일부를 형성하며, 제 1 바탕사의 제 1 결합볼록부 및 제 2 결합볼록부를 묶음하는 제1묶음부와, 상기 제 1 바탕사의 제2결합볼록부와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 2 바탕사의 제 2 연결볼록부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형성하고, 연속하여 상호 마주보는 상기 제1결합볼록부와 상기 제1연결볼록부를 연결하고 제2파일부를 형성하며, 제 1 바탕사의 제 1 결합볼록부 및 제 2 결합볼록부를 묶음하는 제2묶음부를 형성하며,
    상기 파일고정사는 상기 파일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인입되되, 상기 파일사를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에 묶음하는 제1고정묶음부를 형성하고, 파일사와 바탕사를 동시에 잡아주는 고정결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일형성부와 파일형성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고정연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고정사는 상기 파일사와 동일방향으로 인입되어 위치하되, 상기 제1 바탕사와 제2 바탕사에 상기 파일사를 고정하여 잡아주고, 상기 바탕사들을 묶음 및 고정함에 상기 바탕사들을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기 파일사와 대칭되는 위치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3. 제 1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고정사의 인입시 상기 제1묶음부와 제2묶음부 또는 결합부 또는 이들 모두의 위치에 1회 이상의 꼬임을 형성하도록 인입하여 꼬임부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고정사의 파일형성부와 파일형성부를 연결하여 고정하는 상기 고정연결부는 상기 파일형성부와 파일형성부를 다이렉트로 연결하여 고정하거나, 또는 상기 파일형성부와 파일형성부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의 제 1 결합볼록부 및 제 2 결합볼록부와 제 1 연결볼록부 및 제 2 연결볼록부에 인입되도록 하여 제1바탕사와 제2바탕사를 잡아주는 제2고정묶음부와 제1고정결합부가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형성부는 베이스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반복형성되며, 폭방향으로 상호 대향되도록 반복형성하여 위치하되, 지그재그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되며, 상기 파일형성부와 파일형성부는 파일고정사의 고정연결부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KR1020220009768A 2022-01-24 2022-01-24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KR102627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768A KR102627164B1 (ko) 2022-01-24 2022-01-24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9768A KR102627164B1 (ko) 2022-01-24 2022-01-24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13A KR20230113913A (ko) 2023-08-01
KR102627164B1 true KR102627164B1 (ko) 2024-01-29

Family

ID=87561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9768A KR102627164B1 (ko) 2022-01-24 2022-01-24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1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559A (ja) 2001-08-22 2003-03-05 Nakano Meriyasu Kogyo Kk パイル編物
KR101803083B1 (ko) 2016-10-31 2017-11-29 (주)경희 파일부재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102B1 (ko) * 2002-07-10 2006-09-01 주식회사 삼공투앤 쌍침을 이용한 2중고리 파일편포
KR101455976B1 (ko) * 2013-04-11 2014-11-03 신광식 파일직물의 편직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4559A (ja) 2001-08-22 2003-03-05 Nakano Meriyasu Kogyo Kk パイル編物
KR101803083B1 (ko) 2016-10-31 2017-11-29 (주)경희 파일부재를 구비하는 파일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3913A (ko) 2023-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3030A (en) Fiber aggregate
US5317886A (en) Flexible abrasive means
RU2215076C2 (ru) Прокладочный текстильный материал, содержащий пряжу с большой нумерацией
KR102627164B1 (ko) 파일사의 빠짐과 올풀림이 없는 파일형성부가 구비된 파일원단
JP2002360316A (ja) 編込みスライドファスナー
CN111101283A (zh) 一种编织网用衬经经向链编链结构及应用其的捆草网
JP7379623B1 (ja) ダブルニット編地およびダブルニット編地を生産する方法
CZ284081B6 (cs) Pružný pás vyrobený háčkováním zejména pro čalounění
CN211645570U (zh) 一种编织网用衬经经向链编链结构及应用其的捆草网
JP3227635U (ja) 伸縮性紐状編地
US2888854A (en) Lock knot
KR102240792B1 (ko) 양모 원사를 이용한 양털 원단 및 그의 제조방법
JP7460874B1 (ja) 格子状ラッセル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1536A (ja) モップ用撚糸コード
JPS62282053A (ja) 毛布等の経編立毛生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66641B1 (ko) 원단의 파일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CN217733394U (zh) 一种混纺纱线及其面料
JP3400751B2 (ja) 複合弾性糸からなる紐状糸及び該紐状糸を用いた布
JP7365214B2 (ja) 製紙用シームフェルト
JPH06101143A (ja) 土木・建築用メツシユシ−ト
US2731045A (en) Blanket and napped material therefor
US648582A (en) Knitted or netted fabric.
JP2781357B2 (ja) 抄紙用ドライヤーカンバスの継手
US20190218689A1 (en) Combination yarn
IT202100003287U1 (it) Filato di uso tessile realizzato in piume natural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