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825B1 -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825B1
KR102623825B1 KR1020220087646A KR20220087646A KR102623825B1 KR 102623825 B1 KR102623825 B1 KR 102623825B1 KR 1020220087646 A KR1020220087646 A KR 1020220087646A KR 20220087646 A KR20220087646 A KR 20220087646A KR 102623825 B1 KR102623825 B1 KR 10262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meter
log
forming
forming memb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광석
전우영
Original Assignee
전광석
전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광석, 전우영 filed Critical 전광석
Priority to KR1020220087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825B1/ko
Priority to PCT/KR2023/008741 priority patent/WO202401473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통나무 외피 화분을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은, 통나무의 목질부로부터 박리되며 세로 절개부를 가지는 외피; 상기 외피를 포함하여 둘레 부분을 형성하는 상하 관통된 형상의 둘레 형성부; 및 상기 둘레 형성부의 하부 개방부를 막으며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Log skin po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을 심어 가꾸는 그릇이다. 이러한 화분으로는, 플라스틱 사출물인 플라스틱 화분과 흙을 빚어 구워 만든 도자기 화분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이나 도자기 화분은, 재질의 특성상 차고 딱딱한 느낌으로 인해 천연 자연의 느낌을 주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7153호에 개시된 통나무 화분은, 두꺼운 외피층을 가진 통나무를 소재로 준비하여 그 준비된 통나무를 가로로 절단하고, 통나무의 외측에서 5∼10mm만 남기고 그 내부의 목질 부분을 파내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하지만, 종래의 통나무 화분은, 기계로 목질부를 파내는 방식의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파내는데 걸리는 시간으로 제작 소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특히 목질부가 단단한 참나무류의 경우 몇 개 제작하지 못하고 가공날이 파손되는 등 생산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화분의 특성상 수분과 늘 접촉하는 관계로 나무가 쉽게 썩는 등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대량 생산이 불가하여 현실상 상품으로 개발하여 유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천연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으며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가공성을 높일 수 있는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은, 외피를 포함하여 둘레 부분을 형성하는 상하 관통된 형상의 둘레 형성부; 및 상기 둘레 형성부의 하부 개방부를 막으며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통나무의 목질부로부터 박리되며 세로 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둘레 형성부는, 상기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절개부가 접착된 상태의 둘레 형성 부재;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관 형상의 둘레 방수 부재;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둘레 형성 부재와 상기 둘레 방수 부재를 상기 바닥 형성부에 고정하는 둘레 고정부; 및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에 채워지는 내수성 재질의 둘레 충전제;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 방수 부재로는 PVC 파이프가 사용되고, 상기 둘레 충전제로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둘레 방수 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둘레 고정부는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둘레 형성 부재와 상기 둘레 방수 부재와 상기 바닥 형성 부재 사이를 밀봉한다.
상기 외피는, 상기 통나무의 목질부로부터 삶거나 박리제를 이용한 전처리를 통해 박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둘레 고정부로는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바닥 형성부는, 상기 둘레 형성부의 하부 개방부를 막는 판 형상의 바닥 형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 형성 부재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의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형성부는, 상기 바닥 형성 부재의 위에 채워지는 바닥 충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충전제로는 투명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 충전제로 사용된 투명 에폭시 수지에는 조색제가 더 함유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은, 상기 바닥 형성 부재와 상기 바닥 충전제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배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은, 상기 바닥 형성 부재의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 형성 부재를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바닥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 지지 부재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통나무를 설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통나무의 외피를 목질부로부터 원활하게 박리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통나무의 외피를 세로로 절개하여 목질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외피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외피를 포함한 상기 둘레 형성부와 바닥 형성 부재를 포함한 상기 바닥 형성부를 이용하여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예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물의 채워진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용기에 상기 절단된 통나무를 넣는 단계; 및 상기 물을 설정시간 동안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대략 1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전처리하는 단계는, 물이 채워진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용기에 박리제를 넣는 단계; 및 상기 박리제를 넣은 용기에 상기 절단된 통나무를 설정시간 동안 담가두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시간은 대략 2일일 수 있다.
상기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건조된 외피의 절개부를 접착하여 둘레 형성 부재를 완성하는 단계;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으로 물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부에 관 형상의 둘레 방수 부재를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둘레 형성 부재와 상기 둘레 방수 부재를 상기 바닥 형성 부재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에 내수성 재질의 둘레 충전제를 채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간격은 대략 3 내지 5mm일 수 있다. 상기 외피의 절개부는 목재용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둘레 형성 부재와 상기 둘레 방수 부재를 상기 바닥 형성 부재에 고정하기 위해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둘레 충전제로 채우는 단계 후에 상기 바닥 형성 부재의 위에 바닥 충전제를 채우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 충전제는 15 내지 20mm 두께로 채워질 수 잇다.
삭제
삭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은, 상기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바닥 형성 부재와 상기 바닥 충전제를 관통시켜 배수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은, 상기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바닥 형성 부재의 하면에 바닥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바닥 형성 부재를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나무 외피 화분으로, 외피와, 둘레 형성부와, 그리고 바닥 형성부를 포함하고, 외피는 통나무의 목질부로부터 박리되며 세로 절개부를 가지고, 둘레 형성부는 외피를 포함하여 둘레 부분을 형성하며 상사 관통된 형상을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통나무의 외피를 통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이 자연 그대로의 외관을 이를 수 있어, 천연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고, 통나무의 단단한 목질부를 힘들게 파내서 화분을 만들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통나무의 외피를 목질부로부터 박리하는 것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외피는 삶거나 박리제를 이용한 전처리를 통해 통나무의 목질부로부터 박리한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별도의 톱이나 칼 등의 물리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러한 전처리를 통해 통나무의 외피를 목질부로부터 보다 쉽게 박리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대량 생산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둘레 형성부는, 외피로 이루어진 둘레 형성 부재와 이를 방수 처리하기 위한 둘레 방수 부재 또는 둘레 방수제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에 주어지는 물로부터 통나무의 외피로 이루어진 둘레 형성 부재가 썩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습기로부터 내구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 충전제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바닥 형성 부재와 함께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바닥부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바닥 형성 부재를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어, 배수공이 테이블에 대해 막히지 않아 배수되는 물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수될 수 있으며, 통기성을 좋게 하여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에 곰팡이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통나무의 외피로 이루어진 둘레 형성 부재의 변형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통나무 외피 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통나무를 설정 길이로 절단하는 과정과, 절단된 통나무의 외피를 목질부로부터 원활하게 박리되도록 전처리하는 과정과, 전처리된 통나무의 외피를 세로로 절개하여 목질부로부터 분리하는 과정과, 분리된 외피를 건조하는 과정과, 그리고 건조된 외피를 포함한 둘레 형성부와 바닥 형성 부재를 포함한 바닥 형성부를 이용하여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통나무의 외피를 통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이 자연 그대로의 외관을 이룰 수 있어, 천연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고, 제작방법에 있어 통나무의 단단한 목질을 힘들게 파내서 화분을 만들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전처리 과정을 통해 통나무의 외피를 목질부로부터 박리하는 것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나무 외피 화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통나무 외피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통나무 외피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6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통나무 외피 화분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통나무 외피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L12)와, 둘레 형성부(110)와, 그리고 바닥 형성부(12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외피(L1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형성부(110)를 이루기 위한 구성요소들 중 하나이다. 이러한 외피(L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나무(L10)의 목질부(L11)로부터 박리되며 세로 절개부(S1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L12)를 얻기 위해, 통나무(L10)를 설정길이로 절단하고(도 2의 a), 이 절단된 통나무(L10)의 외피(L12)를 세로로 절개(도 2의 b)하여 목질부(L11)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외피(L12)는 건조되어 제공 수 있다.
둘레 형성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둘레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둘레 형성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나무(L10)의 목질부(L11)로부터 박리된 외피(L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2의 d 참조).
바닥 형성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바닥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바닥 형성부(120)는, 둘레 형성부(110)의 하부 개방부를 막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형성부(120)는, 둘레 형성부(110)의 하부 개방부를 막는 판 형상의 바닥 형성 부재(12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바닥 형성 부재(121)는 플라스틱 등의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바닥 형성 부재(121)는,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을 테이블 등에 올려 놓을 경우 테이블의 상면을 향하는 구성요소이므로, 둘레 형성부(110)의 외피(L12)에 비해 외부 노출 정도가 상당히 작아 통나무 대신 내수성이 좋은 플라스틱이 더 유리할 수 있다. 나아가, 바닥 형성 부재(121)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의 하나인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통나무(L10)의 외피(L12)를 통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이 자연 그대로의 외관을 이를 수 있어, 천연 자연의 느낌을 그대로 전달할 수 있고, 통나무의 단단한 목질부를 힘들게 파내서 화분을 만들던 종래의 기술과 달리 통나무(L10)의 외피(L12)를 목질부(L11)로부터 박리하는 것으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나아가, 둘레 형성부(110)의 외장을 이루는 외피(L12)는, 통나무(L10)의 목질부(L11)로부터 전처리 즉, 삶거나 박리제(수산화나트륨을 함유함)를 이용하여 박리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박리를 위한 별도의 톱이나 칼 등의 물리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이러한 전처리를 통해 통나무(L10)의 외피(L12)를 목질부(L11)로부터 보다 쉽게 박리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대량 생산에 더욱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계속 참조하여, 둘레 형성부(11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둘레 형성부(110)는 외피(L12)로 이루어진 둘레 형성 부재(111)로 물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둘레 형성부(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형성 부재(111), 둘레 방수 부재(112), 둘레 고정부(113), 그리고 둘레 충전제(114)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형성 부재(111)는 외피(L12)로 이루어지며 외피(L12)의 세로 절개부(S11)가 목재용 접착제로 접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둘레 방수 부재(112)는 관 형상(pipe 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둘레 고정부(113)는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면과 둘레 방수 부재(112)의 외면 사이가 설정간격으로 유지되도록 둘레 형성 부재(111)와 둘레 방수 부재(112)를 바닥 형성 부재(121)에 고정할 수 있다. 둘레 충전제(114)는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면과 둘레 방수 부재(112)의 외면 사이에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둘레 방수 부재(112)로는 페트(PET)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둘레 고정부(113)로는 둘레 형성 부재(111) 및 둘레 방수 부재(112)와 바닥 형성 부재(121) 사이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둘레 충전제(114)로는 투명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식물에 물을 주더라도 둘레 방수 부재(112)와 둘레 충전제(114)에 의해 둘레 형성 부재(111)로 가는 물이 차단될 수 있어, 통나무(L10)의 외피(L12)로 이루어진 둘레 형성 부재(111)가 썩거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습기로부터 내구성이 향상되어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충전제(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충전제(122)는, 바닥 형성 부재(121) 위에 채워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충전제(122)는 대략 15 내지 20mm 두께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바닥 형성 부재(121)와 함께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바닥부의 두께를 보강할 수 있고,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바닥 충전제(122)로는 투명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바닥 충전제(122)로 사용된 투명 에폭시 수지에는 바닥 무늬를 위해 조색제(미도시)가 더 함유될 수 있다.
이어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공(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수공(130)는 바닥 형성 부재(121)와 바닥 충전제(122)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지지 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 지지 부재(140)는 바닥 형성 부재(121)의 하면(즉, 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바닥 형성 부재(121)를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수공(130)이 테이블에 의해 막히지 않아 배수되는 물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 지지 부재(140)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고무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제조 방법은, 먼저 통나무(L10)를 설정길이로 절단한다(도 2의 a, 도 5의 S110). 참고로, 설정길이는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절단된 통나무의 외피(L12)를 목질부(L11)로부터 원활하게 박리되도록 전처리한다(S120). 일 예로, 전처리하는 과정(S120)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의 채워진 용기(미도시)를 준비하고, 준비된 용기에 절단된 통나무를 넣은 상태에서, 물을 설정시간 동안 가열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가열하는 설정(끊는)시간은 대략 1시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처리하는 과정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물이 채워진 용기를 준비하고, 준비된 용기에 수산화나트륨 성분이 함유된 박리제를 넣으며, 박리제를 넣은 용기에 절단된 통나무를 설정시간 동안 담가두는 일련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담가두는 설정시간은 대략 2일일 수 있다.
이 후, 전처리된 통나무의 외피(L12)를 세로로 절개하여 목질부(L11)로부터 분리한다(도 2의 b 및 c, 도 5의 S130). 그리고 나서, 분리된 외피(L12)를 그늘에서 건조한다(S140). 그런 다음, 건조된 외피(L12)를 포함한 둘레 형성부(110)와 바닥 형성 부재(121)를 포함한 바닥 형성부(12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통나무 외피 화분(100)의 둘레와 바닥을 형성한다(도 2의 d, e, f 및 g, 그리고 도 5의 S150). 구체적으로,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도 5의 S150)은 다음과 같다.
먼저, 건조된 외피(L12)의 절개부(S11)를 접착하여 둘레 형성 부재(111)를 완성할 수 있다(도 2의 d, 도 5의 S151). 다음으로,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면으로 물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부에 관 형상의 둘레 방수 부재(112)를 위치시킬 수 있다(도 5의 S152). 그리고 나서,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면과 둘레 방수 부재(112)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둘레 형성 부재(111)와 둘레 방수 부재(112)의 세트를 바닥 형성 부재(121)에 둘레 고정부(113)로 고정할 수 있다(도 5의 S153). 끝으로, 둘레 형성 부재(111)의 내면과 둘레 방수 부재(112)의 외면 사이에 내수성 재질의 둘레 충전제(114)를 채울 수 있다(도 5의 S154).
여기서, 둘레 형성 부재(111)를 완성하는 과정(도 5의 S151)에서, 외피(L12)의 절개부(S11)는 목재용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바닥 형성 부재(121)에 둘레 고정부(113)로 고정하는 과정(도 5의 S153)에서, 바닥 형성 부재(121)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의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가 사용될 수 있고, 둘레 고정부(113)로는 둘레 형성 부재(111)와 둘레 방수 부재(112)와 바닥 형성 부재(121) 사이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이 사용될 수 있다. 둘레 형성 부재(111)와 둘레 방수 부재(112)의 설정간격은 대략 3 내지 5mm일 수 있고, 둘레 방수 부재(112)로는 페트(PET)가 사용될 수 있으며, 둘레 충전제(114)로는 투명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도 5의 S150)은, 위와 같이 둘레 충전제를 채우는 과정(도 5의 S154)이 완료된 후에, 바닥 형성 부재(121)의 위를 바닥 충전제(122)로 채우는 과정(도 5의 S155)을 더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충전제(122)는 15 내지 20mm 두께로 채워질 수 있다.
이 후, 바닥 충전제(122)가 채워지고 나서, 바닥 형성 부재(121)와 바닥 충전제(122)를 관통시켜 배수공(130)을 형성할 수 있다(S160). 끝으로, 바닥 형성 부재(121)의 하면에 바닥 지지 부재(140)를 구비하여 바닥 형성 부재(121)를 지면에 이격된 상태로 지지한다(S170)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사진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8은 도 7의 통나무 외피 화분에 식물이 식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2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형성부(21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둘레 형성부(2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형성 부재(211), 둘레 방수 부재(212), 접착제(213), 그리고 둘레 고정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형성 부재(211)는, 외피(L12)로 이루어지고, 세로 절개부(도 2의 S11 참조)를 기준으로 그 둘레 길이가 재단될 수 있으며, 그 재단된 부분이 목공용 접착제의 접착 없이 그대로 벌어진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둘레 방수 부재 둘레(212)는, 관 형상(pipe shape)을 가질 수 있으며 벌어진 상태의 둘레 형성 부재(211)에 의해 감싸일 수 있다. 접착제(213)는 둘레 형성 부재(211)의 내면을 둘레 방수 부재(212)의 외면에 접착할 수 있다. 둘레 고정부(214)는, 서로 접착된 둘레 형성 부재(211)와 둘레 방수 부재(212)의 세트를 바닥 형성 부재(121)에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둘레 형성 부재(211)는 둘레 방수 부재(212)의 외경을 기준으로 하여 그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갖도록 그 둘레 길이가 재단될 수 있다. 둘레 방수 부재(212)로는 페트(PET)보다 단단한 PVC 파이프가 사용될 수 있고, 둘레 고정부(214)로는 둘레 방수 부재(212)와 바닥 형성 부재(121) 사이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2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도 6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200)의 제조 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S25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언급한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상의 둘레 방수 부재(212)를 준비한다(S251). 그리고 나서, 둘레 방수 부재(212)의 외경에 맞도록 건조된 외피(도 2의 L12 참조)의 둘레 길이를 재단하여 재단된 외피(L12)를 둘레 형성 부재(211)로 준비한다(S252). 이 후, 재단된 둘레 형성 부재(211)로 둘레 방수 부재(212)를 감싸 접착한다(S253). 끝으로, 서로 접착제(213)로 접착된 둘레 형성 부재(211)와 둘레 방수 부재(212)의 세트를 바닥 형성 부재(121)에 둘레 고정부(214)로 고정한다(S254).
여기서, 둘레 고정부(214)로 고정하는 과정(S254)에서, 둘레 고정부(214)로는, 서로 접착된 둘레 형성 부재(211)와 둘레 방수 부재(212)의 세트를 바닥 형성 부재(121)에 밀봉되도록 고정하기 위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닥 형성 부재(121)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의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도 9의 S250)은, 위와 같이 둘레 고정부(214)로 고정하는 과정(도 9의 S254)이 완료된 후에, 바닥 형성 부재(121)의 위를 바닥 충전제(122)로 채우는 과정(도 9의 S255)을 더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충전제(122)는 15 내지 20mm 두께로 채워질 수 있다.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3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3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형성부(31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둘레 형성부(31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형성 부재(311), 둘레 고정부(312), 그리고 둘레 방수제(313)를 포함할 수 있다. 둘레 형성 부재(311)는 외피(L12)로 이루어지며 외피(L12)의 세로 절개부(도 2의 S11 참조)가 목재용 접착제로 접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둘레 고정부(312)는 둘레 형성 부재(311)를 바닥 형성 부재(121)에 고정할 수 있다. 둘레 방수제(313)는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레 형성 부재(311)의 내면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둘레 고정부(312)로는 둘레 형성 부재(311)와 바닥 형성 부재(121) 사이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둘레 방수제(313)는 둘레 형성 부재(311)의 내면에 1회 이상 도포될 수 있다. 둘레 방수제(313)로는 투명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300)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의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나무 외피 화분(300)의 제조 방법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S350)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언급한 제조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된 외피(L12)의 절개부(도 2의 S11 참조)를 접착하여 둘레 형성 부재(311)를 완성할 수 있다(S351). 그리고 나서, 바닥 형성 부재(121)에 둘레 형성 부재(311)를 둘레 고정부(312)로 고정할 수 있다(S352). 끝으로, 둘레 형성 부재(311)의 내면으로 물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해 둘레 형성 부재(311)의 내면에 내수성 재질의 둘레 방수제(313)를 도포할 수 있다(S353).
여기서, 바닥 형성 부재(121)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플라스틱 등의 내수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플라스틱으로 페트(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둘레 고정부(312)로는 둘레 형성 부재(311)와 바닥 형성 부재(121) 사이의 밀봉력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둘레 방수제(313)는 2 내지 3회 도포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도 11의 S350)은, 위와 같이 둘레 방수제(313)로 도포하는 과정(도 11의 S353)이 완료된 후에, 바닥 형성 부재(121)의 위를 바닥 충전제(122)로 채우는 과정(도 11의 S354)을 더 포함하여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바닥 충전제(122)는 15 내지 20mm 두께로 채워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L10: 통나무 L11: 통나무의 목질부
L12: 통나무의 외피 100, 200, 300: 통나무 외피 화분
110, 210, 310: 둘레 형성부 111, 211, 311: 둘레 형성 부재
120: 바닥 형성부 121: 바닥 형성 부재
122: 바닥 충전제 112, 212: 둘레 방수 부재
113, 214, 312: 둘레 고정부 114 둘레 충전제
130: 배수공 140: 바닥 지지 부재
213: 접착제 313: 둘레 방수제

Claims (3)

  1. 통나무 외피 화분으로,
    외피를 포함하여 둘레 부분을 형성하는 상하 관통된 형상의 둘레 형성부; 및
    상기 둘레 형성부의 하부 개방부를 막으며 바닥 부분을 형성하는 바닥 형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는,
    통나무의 목질부로부터 박리되며 세로 절개부를 가지고,
    상기 둘레 형성부는,
    상기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세로 절개부가 접착된 상태의 둘레 형성 부재;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관 형상의 둘레 방수 부재;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격이 설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상기 둘레 형성 부재와 상기 둘레 방수 부재를 상기 바닥 형성부에 고정하는 둘레 고정부; 및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에 채워지는 내수성 재질의 둘레 충전제;
    를 포함하고,
    상기 둘레 방수 부재로는 PVC 파이프가 사용되고,
    상기 둘레 충전제로는 에폭시 수지가 사용되고,
    상기 둘레 방수 부재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둘레 고정부는,
    상기 둘레 형성 부재의 내면과 상기 둘레 방수 부재의 외면 사이의 간격을 설정 간격으로 유지하며, 상기 둘레 형성 부재와 상기 둘레 방수 부재와 상기 바닥 형성 부재 사이를 밀봉하는
    통나무 외피 화분.
  2. 삭제
  3. 제1항의 통나무 외피 화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통나무를 설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통나무의 외피를 목질부로부터 원활하게 박리되도록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통나무의 외피를 세로로 절개하여 목질부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외피를 건조하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외피를 포함한 둘레 형성부와 바닥 형성 부재를 포함한 바닥 형성부를 이용하여 둘레와 바닥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나무 외피 화분의 제조 방법.
KR1020220087646A 2022-07-15 2022-07-15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2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46A KR102623825B1 (ko) 2022-07-15 2022-07-15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PCT/KR2023/008741 WO2024014738A1 (ko) 2022-07-15 2023-06-23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46A KR102623825B1 (ko) 2022-07-15 2022-07-15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825B1 true KR102623825B1 (ko) 2024-01-15

Family

ID=8953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46A KR102623825B1 (ko) 2022-07-15 2022-07-15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23825B1 (ko)
WO (1) WO202401473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600A (en) * 1977-01-03 1980-10-28 Georgia-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conditioning softwood logs prior to peeling operation
JPH10291206A (ja) * 1997-04-22 1998-11-04 Utsudo Petsukaa Kyodo Kumiai 木製容器およびその製作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200427153Y1 (ko) * 2006-06-22 2006-09-22 김동림 통나무 화분
JP2010051224A (ja) * 2008-08-27 2010-03-11 Well:Kk プランター
KR102117339B1 (ko) * 2019-08-26 2020-06-26 남궁주희 대형 목재 화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623Y1 (ko) * 2000-03-30 2000-09-01 윤중익 화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600A (en) * 1977-01-03 1980-10-28 Georgia-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conditioning softwood logs prior to peeling operation
JPH10291206A (ja) * 1997-04-22 1998-11-04 Utsudo Petsukaa Kyodo Kumiai 木製容器およびその製作方法並びにその用途
KR200427153Y1 (ko) * 2006-06-22 2006-09-22 김동림 통나무 화분
JP2010051224A (ja) * 2008-08-27 2010-03-11 Well:Kk プランター
KR102117339B1 (ko) * 2019-08-26 2020-06-26 남궁주희 대형 목재 화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4738A1 (ko) 2024-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18698A1 (ja) ハイドロカルチャー専用鉢
KR102623825B1 (ko) 통나무 외피 화분 및 이의 제조 방법
EP0168468A1 (en) A plant cultivator and a method for its manufacture
CN201355954Y (zh) 植物栽培钵隔板
JP2003235365A (ja) 砂地緑化のための生分解苗木ポット並びに砂地緑化方法
NL2012270C2 (en) A plant growing device.
CN102934572A (zh) 一种西南桦的浅水育苗法
JPH10215698A (ja) 栽培ユニット及び栽培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102507785B1 (ko) 생분해 화분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따른 생분해 화분
JP2005192435A (ja) 異形の植物鉢
KR101182998B1 (ko) 속성 표고버섯 배지 재배 방법
KR200195623Y1 (ko) 화분
CN211580851U (zh) 一种园林用植物移栽盆
CN208016581U (zh) 一种树木移植保活网膜
CN201398333Y (zh) 节水花盆
JP2005295937A (ja) 昆虫産卵用人工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6688Y1 (ko) 목재화분
JP2003259736A (ja) 多肉植物の栽培法
TWM622637U (zh) 一種浮游花藝品
KR100457664B1 (ko) 화분 제조방법
JPH01240117A (ja) 生きた樹皮による緑化方法
JP2000245258A (ja) ホダ木の花入れ
KR200392794Y1 (ko) 원목을 이용한 나무화분
KR20230170863A (ko) 코이어 화분
JPS60196125A (ja) きのこ類原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