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110B1 -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 Google Patents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110B1
KR102622110B1 KR1020210163250A KR20210163250A KR102622110B1 KR 102622110 B1 KR102622110 B1 KR 102622110B1 KR 1020210163250 A KR1020210163250 A KR 1020210163250A KR 20210163250 A KR20210163250 A KR 20210163250A KR 102622110 B1 KR102622110 B1 KR 10262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rol unit
manipulation
unit
synchronization pri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6387A (ko
Inventor
손선국
유승우
송성훈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3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11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6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2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distributed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ynchronisation In Digital Transmis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시 디바이스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데이터의 종류 또는 통신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여 효과적인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Method for Synchronization of Communication Data between the Devices}
본 발명은 다수의 디바이스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데이터의 종류 또는 통신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모컨과 리모컨의 조작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본체로 이루어진 디바이스의 경우 리모컨의 제어신호와 본체에서 이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응답신호를 리모컨으로 전송하는 양 디바이스는 신호동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온도조절을 위한 리모컨의 조작부(100)와 본체의 제어부(200)로 이루어진 보일러의 경우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00)를 통해 보일러의 온도를 설정할 때 조작 데이터가 제어부(20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부(200)는 이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상기 조작부(100)로 응답신호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100)는 상기 제어부(200)와의 상태 동기화를 완료하고, 상기 조작부(100)의 조작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조작부(100)와 제어부(200)의 상태 동기화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조작실패로 상기 제어부(200)의 상태 데이터로 동기화 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00)의 설정온도가 N℃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00)를 통해 설정온도를 'N+30℃'로 조작할 경우, 데이터 1패킷 송신간격이 K일 경우 'K×30'의 데이터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필요하지만, 데이터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10초로 고정되어 있다면, 최대 10초 동안만 업데이터를 송신하게 되므로, 예를 들어 'N+20℃'까지 밖에 설정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어부(200)의 설정온도N℃ 설정온도를 조작부(100)를 통해 N+1℃로 1도를 상승시키고자 할 때, 선택한 조작 데이터를 제어부(200)에서 수신처리 할 수 없는 상태 일 경우 상기 조작부(100)의 조작에 대응하는 필요한 데이터 송신시간이 짧더라도, 조작부(100)의 최소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10초)까지 기다린 후 송신 에러판단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실제로는 1~2초 만에 조작불가 에러로 판단이 가능하지만,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10초 고정이기 때문에 10초까지 기다린 후 에러를 판단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설정온도 수신하고 10초 후에 현재 상태 데이터인 설정온도 N℃로 설정하고, 상기 조작부(100)는 설정온도 변경이 불가능한 에러로 판단하고, 이전 설정온도 N℃로 설정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일러의 원격제어를 위한 리모컨에 구비된 제1조작부(110)와, 보일러 본체에 구비된 제2조작부(120)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먼저, 상기 제1조작부(110)를 통해 설정온도를 제어하면 상기 설정온도 조작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상기 제1조작부(110)로 응답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기 설정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동안 수행하며, 그 결과로 조작완료 또는 조작실패를 판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2조작부(120)는 상기 제1조작부(110)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동안 조작 데이터 송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제2조작부(110)는 조작 데이터 송신을 위한 최소한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으로 설정되어야 다른 조작부의 조작 데이터 송신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국내특허공개 제10-2018-0074440호 (공개일 2018.07.03.)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수의 디바이스 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시 디바이스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데이터의 종류 또는 통신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가변으로 설정하여 효과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과정은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신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전송할 조작 데이터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조작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1과정;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조작 데이터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작부로 응답하는 제2과정;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가 완료되면 제어부와의 상태 동기화를 완료하고 상기 조작 데이터 수행을 완료하는 제3과정; 상기 제어부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받은 후 시간 카운트를 시작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 이후 조작부에서 제어부로 조작데이터 송신 중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조작실패로 판단하는 제5과정; 및 상기 제1과정 이후 제어부에서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대기 상태로 응답받을 경우 조작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카운트하지 않고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할 때까지 대기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과정에서 조작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산출은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현재 상태값에서 상기 조작부에서 새롭게 설정하는 설정 상태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전송패킷 수 및 전송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송시간 및 보정시간을 합산하여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조작부가 다수의 조작부일 경우, 제1조작부에서 먼저 조작 데이터 송신시 상기 제어부는 제1조작부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조작부가 조작 데이터 송신 중일 때 제2조작부에서 조작 데이터 송신 시 상기 제어부는 제2조작부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대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작부로부터 조작 완료 또는 조작 실패 수신시 상기 제2조작부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하여 조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과정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은 통신환경에 따른 보정율을 산출하고, 보정율에 따른 보정시간(C)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율은 조작실패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 및 실제 측정된 조작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 동일여부와, 상태 동기화 완료 횟수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 간 통신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다수의 디바이스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시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고정하지 않고, 데이터의 종류 또는 통신환경 등의 조건에 따라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연산과정을 통해 산출하여 예측 설정하므로 효율적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부를 포함한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 디바이스간에 조작 데이터 송신 시 사용자가 조작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해당 조작 데이터에 따라 전송시간 인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가변되어 충분한 조작 데이터 전송시간을 보장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작부에서 제어부로 조작 데이터 송신 시 해당 송신 데이터에 따라 전송시간이 가변되어 조작 데이터 송신 에러(error)를 효율적으로 빠르게 검출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고 송신 에러를 빠르게 검출함으로써, 동시에 조작하는 또 다른 조작부(제2조작부)의 조작 데이터 송신에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에 보정율을 추가함으로써, 열악한 통신환경에서는 보정율을 높여(시간↑) 통신실패 상황을 보완하고, 양호한 통신환경에서는 보정율을 낮춰(시간↓)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하여 에러를 빠르게 검출하고 최소한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점유하여 효율적인 통신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서 조작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지정하여 조작부의 동시조작 상황에도 순차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여, 신뢰성있는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동기화 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일러에서의 리모컨 조작부와 본체 제어부 사이의 설정온도 업 데이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2개의 조작부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설정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수의 디바이스 연결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다수의 조작부에 대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 과정의 흐름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에서 제어부와 조작부 간의 설정온도 업데이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10은 도 6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의 보정율 계산과정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의 연결 구성도로서,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값을 입력하는 다수의 조작부(100)와 상기 조작부(100)의 설정값을 입력받아 제어신호를 발행하는 제어부(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00)는 제1 내지 제N조작부(110~130)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조작부(110~130) 및 제어부(2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조작부(110~130)는 보일러를 구동하기 위한 리모컨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보일러의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조작부(110~130)에 의해 보일러를 구동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조작부(110~130) 및 제어부(200)는 보일러에 국한하지 않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간의 통신 데이터 동기화 과정의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제1조작부(110)을 통해 보일러의 온도설정을 하고자 조작하면,(S201) 조작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상태에서 조작상태로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전송 패킷 수 및 전송시간을 계산한다.(S203) 계산된 전송시간 및 보정시간을 합산한 시간을 조작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으로 설정한다.(S205)(S207)
이와 같이 상기 제1조작부(110)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설정값과 조작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한다.(S209)
상기 제어부(200)는 다른 조작부(120~130)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이 부여 중이 아니라면, 상기 제1조작부(110)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 응답신호를 송신한다. (S101)(S103)
만약, 다른 조작부(120~130)에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이 부여 중이면, 상기 제1조작부(110)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대기 신호를 상기 제1조작부(110)로 전송하고, 현재 상태 데이터를 응답한다.(S101)(S105)(S107)
상기 제1조작부(110)는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이 부여됨에 따라 상기 조작부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동안 시간을 카운트하면서 조작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상태 데이터를 응답 받는다.(S227)(S107)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조작부(110)으로 상태 데이터를 응답 후 상기 제1조작부(110)의 조작완료 또는 조작실패 데이터를 수신하면, 더 이상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이 없으므로 조작 데이터 수행을 완료한다.(S109)(S111)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제1조작부(110)의 조작 데이터와 상기 제어부(200)의 상태 데이터의 동기화가 완료되면 조작 데이터 수행을 완료하고, 실제 조작 데이터 송신시간을 측정한 후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의 보정율을 산출한다.(S211~S217)
한편, 상기 제어부(200)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대기 중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00)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설정된 조작부 데이터 우선권 유지시간을 카운트하지 않고 대기한다.(S219)(S221)
또한, 상기 제1조작부(110)는 제어부(200)와의 상태동기화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우선권 대기중이 아니라면, 설정된 상기 조작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카운트하고, 설정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동안 상기 제어부(200)로 조작 데이터를 송신하게 되고, 만약,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조작부(110)는 조작 실패로 판단하고 제어부(200)의 현재 상태 데이터로 동기화 한 후 상기 제어부(200)로 이를 전송한다.(S223~S231)
도 7을 참조하여 제1,제2조작부(110)(120)의 우선권 부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200)에서 우선권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2조작부(110)에서 조작데이터 송신시 상기 제어부(200)은 제1조작부(110)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하면, 상기 제1조작부(110)는 상기 제어부(200)로 조작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여 제어부(200)와 제1조작부(110)의 상태 동기화가 완료될 때까지 조작 데이터를 송신한다.
만약, 상기 제1조작부(110)에서 설정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되지 전에 상기 제2조작부(120)에서 상기 제어부(200)로 조작 데이터 송신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2조작부(120)로 우선권 대기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조작부(110)에서 조작완료 또는 조작실패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조작부(120)로 우선권 부여 신호를 전송하므로 상기 제2조작부(120)에서 조작 데이터 송신을 시작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보일러의 경우 리모컨의 제1조작부(110)와 본체의 제어부(200) 사이의 온도 설정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상기 제1조작부(110)와 제어부(200) 사이의 현재 상태 온도 N℃에서 설정온도 N+40℃로 업데이트 할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1조작부(110)을 설정온도 N+40℃로 조작하면, 상기 제1조작부(100)는 데이터 1패킷 송신간격이 K인 경우 예측되는 송신시간은 최소 'K*40'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필요하다. 여기서, 통신환경에 따른 보정시간 'C'를 가산한 'K*40+C'으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보정시간(C)은 후술하는 첨부된 도 10의 보정율에 따라 변경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고정이 아닌, 설정온도 및 통신환경을 고려하여 송신시간에 따른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가변 설정하므로, 조작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보장해 준다.
도 9를 참조하면, 설정온도의 다른 실시예로 사용자가 제1조작부(110)을 통해 현재 상태온도 N℃에서 설정온도 N+1℃로 설정하려면 1회 송신이 필요하므로, 예상 패킷 송신시간을 산출하면, 'K*1+C'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으로 설정하게 되고, 상기 제1조작부(110)의 조작 데이터(N+1℃)및 산출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송신한다.
만약, 상기 제어부(200)에서 상기 제1조작부(110)의 조작 데이터를 수신처리 할 수 없는 상태일 경우, 1회 송신에 필요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경과 후 빠르게 송신 에러 판단이 가능하고, 에러로 판단될 경우 현재 상태 온도 N℃로 설정하게 된다.
도 6, 도8 및 도 9에서 설명된 상기 보정시간(C)는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의 보정율에 의해 산출되는데, 보정율 산출과정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정율은 통신환경 등에 따른 데이터 송신 예측시간 동안 상태 동기화 완료 또는 조작실패가 발생되는데, 조작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보정시간(C)을 고려하여 조작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계산된 전송시간+보정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즉, 보정율은 조작실패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 및 실제 측정된 조작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 동일여부와, 상태 동기화 완료 횟수(N)에 따라 변동된다.(S311)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조작부(110)와 제어부(200)의 상태 동기화 및 조작부의 조작데이터 송신이 완료되면, 상기 제1조작부(110)의 설정된 데이터 송신 예측시간인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과, 실제 측정된 조작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을 기반으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의 보정율을 산출하게 된다.(S313)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조작부(110)와 제어부(200) 간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되어 조작실패로 판단될 경우, 기본 설정된 최대값(MAX)으로 설정하여 상기 보정시간(C)을 증가시킨다.(S315)(S317)
그러나, 상태 동기화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200)와의 상태 동기화 시간이 데이터 송신예측(PT)와 실제 데이터 송신완료시간(RT)이 다르면 보정율을 현재 보정율로 유지하고,(S319)(S325) 상기 제어부(200)와의 상태 동기화 시간이 데이터 송신예측(PT)와 실제 데이터 송신완료시간(RT)이 동일하면, 동일한 횟수(N)를 카운트하여 보정율을 기 설정된 최소 보정율(MIN%)이 되기까지 보정율을 N%씩 감소시켜 '현재보정율-N%' 만큼 상기 보정시간(C)를 점차 줄여주게 된다.(S319~S323)
이와 같이 보정율을 이용하여 열악한 통신환경에서는 보정율(보정시간)을 높여 통신실패 상황을 보완하고, 양호한 통신환경에서는 보정율(보정시간)을 낮춰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하여 에러를 빠르게 검출하고 최소한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점유할 수 있어, 효율적인 통신이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조작부 110~130: 제1, 제2, 제N조작부
200: 제어부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간의 데이터 송신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서 전송할 조작 데이터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조작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1과정;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수신된 조작 데이터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작부로 응답하는 제2과정;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어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가 완료되면 제어부와의 상태 동기화를 완료하고 상기 조작 데이터 수행을 완료하는 제3과정;
    상기 제어부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받은 후 시간 카운트를 시작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 이후 조작부에서 제어부로 조작데이터 송신 중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조작실패로 판단하는 제5과정; 및
    상기 제1과정 이후 제어부에서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대기 상태로 응답받을 경우 조작부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카운트하지 않고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부여할 때 까지 대기하는 제6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디바이스는 하나의 조작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되거나,
    제1, 제2조작부를 각각 포함하는 각각의 디바이스와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조작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산출은 상기 제어부에 설정된 현재 상태값에서 상기 조작부에서 새롭게 설정하는 설정 상태값으로 변경하기 위한 데이터의 전송패킷 수 및 전송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전송시간 및 보정시간을 합산하여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현재 상태값이 설정온도 N℃이고, 조작부의 설정 상태값이 온도 N+A℃로 업데이터로 조작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데이터 1패킷 송신간격이 K이면, 상기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은 "A * K + C" (여기서, C는 보정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다수의 조작부에서 동시에 조작 데이터가 전송될 경우 상기 제어부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지정하여 순차적으로 조작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조작부가 다수의 조작부일 경우, 제1조작부에서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 동안조작 데이터 송신을 완료하지 못하면 조작 데이터 송신 에러로 판단하며,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반납하여 제2조작부에서 조작가능한 상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은 상기 조작부가 다수의 조작부일 경우, 제1조작부에서 먼저 조작 데이터 송신 시 상기 제어부는 제1조작부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하는 단계;
    상기 제1조작부가 조작 데이터 송신 중일 때 제2조작부에서 조작 데이터 송신 시 상기 제어부는 제2조작부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대기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작부로부터 조작 완료 또는 조작 실패 수신시 상기 제2 조작부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을 부여하여 조작 데이터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은 통신환경에 따른 보정율을 산출하고, 보정율에 따른 보정시간(C)를 포함하되,
    상기 보정율은 조작실패와,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 및 실제 측정된 조작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 동일여부와, 상태 동기화 완료 횟수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율은 상기 조작부의 설정된 데이터 송신 예측시간인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 및 실제 측정된 조작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조작부와 제어부 간의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이 경과되어 조작실패로 판단될 경우, 기본 설정된 최대값(MAX)으로 설정하여 상기 보정시간(C)을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조작부와 제어부 간의 상태 동기화가 완료되었을 때, 상기 제어부와의 상태 동기화 시간이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과 실제 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이 다르면 보정율을 현재 보정율로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와의 상태 동기화 시간이 상기 데이터 동기화 우선권 유지시간(PT)과 실제 데이터 송신 완료시간(RT)이 동일하면, 그 횟수(N)를 카운트하여 보정율을 기 설정된 최소 보정율(MIN%)이 되기까지 보정율을 N%씩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20210163250A 2021-11-24 2021-11-24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KR10262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50A KR102622110B1 (ko) 2021-11-24 2021-11-24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250A KR102622110B1 (ko) 2021-11-24 2021-11-24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387A KR20230076387A (ko) 2023-05-31
KR102622110B1 true KR102622110B1 (ko) 2024-01-09

Family

ID=8654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250A KR102622110B1 (ko) 2021-11-24 2021-11-24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1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62860B (zh) * 2015-04-27 2020-01-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时间同步的方法及系统、网络设备
KR102483884B1 (ko) * 2016-05-10 2022-12-3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복수 단말의 상태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26641B1 (ko) 2016-12-23 2024-01-19 코웨이 주식회사 비데 장치 및 이의 데이터 동기화 방법
CN112119026B (zh) * 2018-05-22 2021-09-28 三菱电机大楼技术服务株式会社 电梯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KR102095534B1 (ko) * 2018-09-14 2020-04-01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온도조절기 연결 및 우선권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6387A (ko) 202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75438A1 (ja)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62102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EP3026530A1 (en) Keyboard-video-mouse switch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2622110B1 (ko) 디바이스간 통신 데이터 동기화 방법
US7428660B2 (en) Starting control method, duplex platform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or
JP4717098B2 (ja) 表示操作装置
JP2002318003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装置
WO2013154284A1 (ko) 분산 제어 시스템의 시간 동기화 장치 및 방법
US20170033886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lens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206009B2 (ja) フォルトトレラントコンピュータ、同期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49518A (ja)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同期方法
JPH11110092A (ja) 接続装置、周辺装置、周辺装置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KR101153322B1 (ko) 세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449274B1 (ko) 유효 채널을 이용하는 와치독 및 그 동작방법
CN111800890A (zh) 一种处理方法及输入设备
JP2014157386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4794407B2 (ja) フィール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0078066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CN117032025A (zh) 低功耗状态同步控制方法、系统及电器设备
KR20080020909A (ko) 전자장치 및 i2c 통신방법
KR100654713B1 (ko) 두 개의 중앙 제어 프로세서를 구비한 관리 시스템 및 그시스템에서의 리셋 제어방법
JPS5995749A (ja) ホ−ムコントロ−ルシステム
JPH04150538A (ja) シリアル通信割り込み処理装置およびその処理方法
CN117109124A (zh) 一种空调机组冗余控制方法、装置及空调机组
JPH05322287A (ja) 空気調和システムの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