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2006B1 -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 Google Patents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2006B1
KR102622006B1 KR1020230017469A KR20230017469A KR102622006B1 KR 102622006 B1 KR102622006 B1 KR 102622006B1 KR 1020230017469 A KR1020230017469 A KR 1020230017469A KR 20230017469 A KR20230017469 A KR 20230017469A KR 102622006 B1 KR102622006 B1 KR 10262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heating
unit
present
electric ond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7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계영
백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30017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20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2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설치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최소화 또는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며, 제작성과 생산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위 패널 본체; 상기 단위 패널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양 패널 부재; 상기 단위 패널 본체와 보양 패널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 부재; 및 상기 열선 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와 보양 패널 부재를 일체화시키도록 구비되는 패널간 일체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ASSEMBLY TYPE-STRENGTHENED FLOOR INTEGRATED ONDOL PANEL}
본 발명은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 설치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최소화 또는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갖도록 하며, 제작성과 생산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닥 난방의 경우 바닥에 매설된 온수배관에 온수를 공급하여 바닥을 가열하고 바닥에서 방출되는 열로 인해 실내온도가 상승하는 구조로 난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온수배관을 이용한 바닥 난방의 경우 바닥을 가열하기까지 예열시간이 소요되어 연료소비량이 많아질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이 오래 걸리고 보일러 구입에 따른 초기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온수배관을 이용한 바닥 난방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전열선을 이용한 바닥 난방 방법이 다수 제안되고 있다.
최근에는 예를 들면 강화 마루와 같은 패널에 전기 온돌이 일체화된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 온돌 판넬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 온돌 판넬은 온돌 판넬 작업 후에 장판이나 강화마루를 시공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없이 온돌 판넬과 강화마루를 동시에 시공할 수 있어 인건비 절감을 꾀할 수 있다. 종래의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 온돌 판넬은 목재 재질인 강화마루에 발열선을 내장시키는 형태로 만들어진다.
종래의 강화 마루 일체형 전기 목재 온돌 패널은,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과, 상기 사각형상의 목재 패널의 일면에 이격되어 형성된 다수의 세로 홈과, 상기 다수의 세로홈을 연결하도록 상기 목재 패널의 일면의 양 가장자리 부근에 형성되는 적어도 두 개의 가로 홈과, 횡과 열을 이루는 상기 세로 홈과 가로홈을 따라 삽입 배선되는 발연선을 구비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 온돌 판넬은 사로홈과 세로홈에 발연선을 매립시킬 때 장력을 잘유지하지 않으면 중간 부분이나 꺾이는 부분에서 홈에서 빠져 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여 제품 불량의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빠져 나온 발열선이 과도하게 꺾이거나 눌리어 그 부분에서 열이 발생하여 화재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 온돌 판넬은 발열선을 홈에 매립시키는 과정이 까다로워 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인건비 절감 측면에서도 개선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526호(2009. 11. 05. 공고)에는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온돌판넬'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에는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 사각 형상의 목재 패널의 일면에 일정 간격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부에는 발열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세로 홈들; 다수의 세로 홈들을 연결하도록 목재 패널의 일면의 양 가장자리 부근에 적어도 2 센티미터 이상 10센티 미만의 폭을 가지고 일측 상부에는 발열선이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가로 홈들; 횡과 열을 이루는 세로 홈과 가로홈을 따라 삽입되어 배선되는 발열선; 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알루미늄박으로서 세로 홈들을 따라 발열선 매립 부위의 상면에 덮이어 부착되는 열반사 테이프; 열반사 테이프가 부착된 목재 패널의 일면 전체에 부착되는 단열 필름; 첫 세로 홈의 앞 부분 및 마지막 세로 홈의 뒷 부분에서 세로 홈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전력선이 매립되는 중심 홈; 및 중심홈에서 길이방향 중간 부근으로부터 바깥 모서리까지 연장 형성되는 전선 연결구;를 포함하는 강화 마루 일체형 전기온돌판넬의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 기술적 구성은 목재 패널의 사용으로 완충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열전도성이 낮다는 문제점과 함께 목재 판재를 일정 크기로 잘라 목재 패널을 제작하고 목재 패널의 일측면에 발열선을 위치시키기 위한 홈들을 가공하는데 있어 재질의 특성상 가공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6526(2009.11.0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14732(2003.05.2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91865(2017.06.10.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51324(2008.08.08.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 설치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최소화 또는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갖도록 함과 아울러 상부로부터의 충격 흡수 기능을 갖도록 하며, 제작성과 생산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단위 패널 본체; 상기 단위 패널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양 패널 부재; 상기 단위 패널 본체와 보양 패널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 부재; 및 상기 열선 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와 보양 패널 부재를 일체화시키도록 구비되는 패널간 일체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다른 단위 패널 본체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의 조립부는 이웃하는 두 측면 각각에 형성되는 요홈부와 돌출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양 패널 부재는 플라베니아 패널 또는 단프라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는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접착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는 필름형 접착 시트로 구성되거나, 소정 두께를 갖는 접착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접착 시트는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최소화 또는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갖도록 하여 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전력을 줄여 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하부 구조에서 단열 기능과 함께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을 다소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열선이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고른 난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제작성과 생산성이 뛰어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제작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제작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도면들에서 발명의 구성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두께를 포함한 사이즈를 크게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와, 열선 부재(300), 및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은,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위 패널 본체(100);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양 패널 부재(200);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 부재(300); 및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 간에 구비되고, 상기 열선 부재(300)를 개재한 상태에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를 일체화시키도록 구비되는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는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포함하여 소정 사이즈의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패널형 부재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는 일 실시 예로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성형시킨 합성수지 마루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실시 예로 원목과 껍질을 통째로 곱게 갈아서 방수 수지를 첨가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는 측면에 다른 단위 패널 본체(즉, 이웃하는 다른 단위 패널 본체)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에 형성되는 조립부는, 일 실시 형태로, 이웃하는 두 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다른 두 측면에는 상기 요홈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에 형성되는 조립부는, 이웃하는 두 측면 중 하나의 측면에 요홈부가 형성되고, 이웃하는 두 측면 중 다른 하나에 상기 요홈부에 상응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단위 패널 본체(100)에 형성되는 조립부는, 단위 패널 본체(100)를 바닥에 깔아 시공할 때, 이웃하는 단위 패널 본체(100) 끼리 요홈부와 돌출부가 서로 끼움 조립되어 결합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양 패널 부재(200)는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보양 패널 부재(200)는 플라스틱 재질, 바람직하게는 PVC(폴리염화비닐) 재질로 형성되는 플라베니아 패널로 구성되거나, 폴리프로필렌(PP) 재질로 형성되는 단프라(DANPLA)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부에는 열선 부재(300)가 개재되면서 단위 패널 본체(100)와의 일체화를 위한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가 구비되는데, 아래에서 설명될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달리 적용되겠지만, 상기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면에는 열선 부재(300)가 안정적으로 안착 또는 위치 결정되어 위치되도록 열선 부재(300)의 하부 일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의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계속해서, 상기 열선 부재(300)는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 사이에 구비되어 전기의 공급으로 발열하도록 구성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열선 부재(300)는 전기의 공급으로 내부 저항으로 인해 발열하는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은 열에 강하며 전기전도도와 열전도도가 높은 카본을 이용하여 구성된 카본 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열선 부재(300)는 하나의 연속적인 열선이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부(또는 상면)에 지그재그(zigzag)로 구비되거나(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부(또는 하면)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구비되며(도 4 및 도 5 참조), 이웃하는 다른 단위 패널 부재(100)에 구비되는 열선 부재(300)와 접속 또는 결선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열선 부재(300)는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면 또는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면에 접착 테이프로 가고정된 상태에서,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를 통해 보양 패널 부재(200)와 단위 패널 본체(100) 간을 결합하여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이 완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열선 부재(300)는 아래에서 설명될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의 실시 형태에 따라 그 하부 일부가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면에 안착 또는 위치 결정되어 구비되거나,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의 하면이나 상면에 안착 또는 위치 결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는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 간에 구비되어 상기 단위 패널 본체(100)와 보양 패널 부재(200)를 일체화시키도록 구비되는 구성부이다.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는 일 실시 형태로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필름형 접착 시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형 접착 시트는 소정 두께(바람직하게는, 1T(mm)~1.5T(mm))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열선 부재(300)는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면 또는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면에 접착 테이프로 고정되고, 상기 필름형 접착 시트의 일면이 단위 패널 본체(100)(또는 보양 패널 부재(200))에 접착된 상태에서 타면이 상기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면(또는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면)에 접착되어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이 완성된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 상기 필름형 접착 시트의 일면이 보양 패널 부재(200)에 접착되고, 그 필름형 접착 시트의 하면에 열선 부재(300)를 배열하게 되는데, 필름형 접착 시트의 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배열되는 열선 부재(300)는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필름형 접착 시트의 타면과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면을 접착시켜서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필름형 접착 시트의 일면이 보양 패널 부재(200)에 접착되고, 그 필름형 접착 시트의 상면에 열선 부재(300)를 배열하게 되는데, 필름형 접착 시트의 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배열되는 열선 부재(300)는 안정적으로 위치 결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필름형 접착 시트의 타면과 단위 패널 본체(100)의 하면을 접착시켜서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을 완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가 양면에 접착층을 갖는 필름형 접착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보양 패널 부재(200)의 상면에는 열선 부재(300)가 배열되는 패턴(pattern)대로 열선부재 위치결정홈(또는 열선부재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선부재 위치결정홈(또는 열선부재 안착홈)은 열선 부재(300)의 하부 일부, 바람직하게는 열선 부재(300)의 1/10의 하부 부분만 안착될 수 있게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서, 상기 열선 부재(300)를 배열시킬 때, 상기 열선부재 위치결정홈을 따라 칼 등으로 필름형 접착 시트를 절개하고, 그 절개된 사이의 열선부재 위치결정홈에 열선 부재(300)를 배열하게 되는데, 필름형 접착 시트의 절개된 부분에서의 접착층에 의해 열선 부재(300)가 고정되게 되어 열선 부재(300)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완료 후 열선부재 위치결정홈에 의해 열선 부재(300)가 벗어나지 않고 제 위치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설계적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는 다른 실시 형태로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완충성을 갖는 소정 두께(바람직하게는, 1T(mm)~2T(mm))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른 실시 형태의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는 스티로폼이나 스폰지와 같은 발포체 또는 고무재질로 형성되어 완충성을 갖는 소정 두께의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의 양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층을 형성하는 발포체 또는 고무재질에는 인계, 브롬계, 연소계와 같은 유기계 난연제 또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안티몬 등의 무기계 난연제를 포함하여 난연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러한 다른 실시 형태의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의 양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 어느 일면에 바로 열선 부재(300)를 배열하여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실시 형태의 패널간 일체화 부재(400)는 그 상면에 열선 부재(300)가 배열되는 패턴(pattern)대로 열선부재 위치결정홈(또는 열선부재 안착홈)(미도시)을 형성시킴으로써, 열선 부재(300)의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 완료 후 열선부재 위치결정홈에 의해 열선 부재(300)가 벗어나지 않고 제 위치에 위치결정됨으로써 설계적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에 의하면,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최소화 또는 차단하여 단열 성능을 갖도록 하여 난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어 소비전력을 줄여 난방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하부 구조에서 단열 기능과 함께 상부로부터의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는 층간 소음을 완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선이 제 위치에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고른 난방성 및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제작성과 생산성이 뛰어나며, 조립이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단위 패널 본체
200: 보양 패널 부재
300: 열선 부재
400: 패널간 일체화 부재

Claims (7)

  1. 단위 패널 본체;
    상기 단위 패널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보양 패널 부재;
    상기 단위 패널 본체와 보양 패널 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열선 부재; 및
    상기 열선 부재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와 보양 패널 부재를 일체화시키도록 구비되는 패널간 일체화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는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되고, 난연제를 포함하는 고무재질의 패널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패널간 일체화 부재의 일면에는 열선부재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포함하는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다른 단위 패널 본체와의 조립을 위한 조립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패널 본체의 조립부는
    이웃하는 두 측면 각각에 형성되는 요홈부와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양 패널 부재는
    플라베니아 패널 또는 단프라 패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30017469A 2023-02-09 2023-02-09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KR10262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469A KR102622006B1 (ko) 2023-02-09 2023-02-09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7469A KR102622006B1 (ko) 2023-02-09 2023-02-09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2006B1 true KR102622006B1 (ko) 2024-01-10

Family

ID=8951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7469A KR102622006B1 (ko) 2023-02-09 2023-02-09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200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208A (ja) * 1998-11-05 2000-05-26 Eidai Co Ltd 床暖房パネル
JP2001263688A (ja) * 2000-03-17 2001-09-26 Eidai Co Ltd 床暖房パネル
KR200314732Y1 (ko) 2003-03-11 2003-05-27 (주)신광보드텍 온돌 및 강화겸용 마루판
JP2008051469A (ja) * 2006-08-28 2008-03-06 Eidai Co Ltd 電気式床暖房パネル
KR100851324B1 (ko) 2008-01-30 2008-08-08 최성완 전기 목재 온돌 패널
KR200446526Y1 (ko) 2009-02-24 2009-11-05 (주)재우철강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온돌판넬
KR20160001904U (ko) * 2014-11-25 2016-06-02 권웅택 시공성 및 단열성을 높힌 모듈러하우스의 바닥재
KR20170091865A (ko)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일광 케나프 섬유를 이용한 바닥재 일체형 전열보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46208A (ja) * 1998-11-05 2000-05-26 Eidai Co Ltd 床暖房パネル
JP2001263688A (ja) * 2000-03-17 2001-09-26 Eidai Co Ltd 床暖房パネル
KR200314732Y1 (ko) 2003-03-11 2003-05-27 (주)신광보드텍 온돌 및 강화겸용 마루판
JP2008051469A (ja) * 2006-08-28 2008-03-06 Eidai Co Ltd 電気式床暖房パネル
KR100851324B1 (ko) 2008-01-30 2008-08-08 최성완 전기 목재 온돌 패널
KR200446526Y1 (ko) 2009-02-24 2009-11-05 (주)재우철강 강화마루 일체형 전기온돌판넬
KR20160001904U (ko) * 2014-11-25 2016-06-02 권웅택 시공성 및 단열성을 높힌 모듈러하우스의 바닥재
KR20170091865A (ko)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일광 케나프 섬유를 이용한 바닥재 일체형 전열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94513C (en) Multilayer insulating panel for the installation of an electric heating system in subfloors or walls
US8065849B2 (en) Decking plank
KR20180106092A (ko) 양면 호환이 가능한 난방용 바닥단열패널 및 그 바닥단열패널을 이용한 건식 난방 시공 방법
KR101284739B1 (ko) 온수장판
KR102622006B1 (ko) 조립식 전기온돌 판넬
KR200493148Y1 (ko) 강화 마루 바닥재 및 층간 소음 방지재
KR100705295B1 (ko) 전열 카페트 및 그 제조 방법
JP2658490B2 (ja) 床暖房用の面状発熱体
JP6769699B2 (ja) 建築物の断熱構造
KR101265058B1 (ko) 온돌기능은 물론 시공성을 개선토록 한 발열시트
GB2569581A (en) Improvements in flooring system
JP2018169146A (ja) 床暖房装置
JP2001336774A (ja) 暖房機能付ベンチ
JP4258820B2 (ja) カウンターにおける発熱パネル設置装置及び発熱パネル固定部材並びに発熱パネル
JPH03158552A (ja) 床材
JP4578722B2 (ja) 床暖房フロア用の床仕上材及び床暖房パネル並びに床暖房フロア
KR20170116972A (ko) 배관 패널
JP6770301B2 (ja) 建築物の暖房構造
JP2507266B2 (ja) 部分発熱床材および部分発熱床材の製造方法
JPH062233Y2 (ja) 発熱床材
JP4102732B2 (ja) 床暖房用周辺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床暖房直貼り施工方法
JP2010223496A (ja) 床暖房パネル
KR200382074Y1 (ko) 난방설치용 바닥판
JP2021006688A (ja) 床下断熱材及びフリーアクセスフロア
JP2012158888A (ja) 断熱パネル、及びそ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