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747B1 -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 Google Patents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747B1
KR102621747B1 KR1020220106744A KR20220106744A KR102621747B1 KR 102621747 B1 KR102621747 B1 KR 102621747B1 KR 1020220106744 A KR1020220106744 A KR 1020220106744A KR 20220106744 A KR20220106744 A KR 20220106744A KR 102621747 B1 KR102621747 B1 KR 102621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oor body
panel
garnish memb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6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주환
신주한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20106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7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75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comprising removable or hinged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부품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차량용 도어 트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은 일부 영역에 장식용 공간이 형성된 도어 바디(10); 상기 장식용 공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부재(20); 상기 가니쉬 부재(20)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30); 상기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마그넷(30)에 대하여 견인력을 인가하는 제2 마그넷(40); 및 상기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가니쉬 부재(2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부재(20)에서 상기 제1 마그넷(30)의 주변에 상기 제2 마그넷(40)의 결합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CUSTOMIZABLE VEHICLE DOOR TRIM}
본 발명은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쉽게 교체 가능한 가니쉬 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 트림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엔진, 모터와 같은 동력 장치 및 동력 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차체로 구성되며, 차체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차량의 기능 및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부품(외장재 또는 내장재)이 구비된다. 기존에는 차량의 제조사에 의해 부품이 결정되며, 사용자는 옵션 등을 통해 일정 범위 내에서 부품을 선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사용자의 만족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품을 교체할 수 있는, 즉 커스터마이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차량 부품의 커스터마이징을 위한 시장이 성장하고 있으나, 커스터마이징을 위해 부품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 일반적인 사용자는 숙련된 작업자에게 작업을 의뢰하여야 한다. 이는, 부품의 교환을 위해 부품의 조립 구조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고 또한 부품 교환을 위해 도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량 조립 구조의 복합성 및 도구의 필요성은 차량의 커스터마이징에 있어 장벽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부품의 교환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차량용 도어 트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은 일부 영역에 장식용 공간이 형성된 도어 바디(10); 상기 장식용 공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부재(20); 상기 가니쉬 부재(20)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30); 상기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마그넷(30)에 대하여 견인력을 인가하는 제2 마그넷(40); 및 상기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가니쉬 부재(2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부재(20)에서 상기 제1 마그넷(30)의 주변에 상기 제2 마그넷(40)의 결합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니쉬 부재(20)는, 상기 도어 바디(10)의 장식용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패널(22); 및 상기 제1 패널(22)에서 연장되며 제1 마그넷(30)이 설치되는 제2 패널(2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패널(22)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 바디(10)의 모서리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26)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패널(24)은, 상기 제1 패널(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면(24A); 상기 제1 면(24A)에서 일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제2 면(24B); 상기 제1 면(24A)과 상기 제2 면(24B)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측벽(24C); 및 상기 제2 면(24B)에 형성된 관통홀(24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마그넷(40)은 상기 제2 면(24B)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마그넷(30)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벽(24C)은 상기 제2 마그넷(40)이 상기 제1 마그넷(30)과 결합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턱 및 상기 제2 마그넷(40)의 충돌을 방지하는 상기 가이드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면(24B)은 상기 제2 마그넷(40)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기 제2 마그넷(40)의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마그넷(40)은 상기 도어 바디(10)에서 상기 제2 패널(24)과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니쉬 부재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과 제2 마그넷의 결합을 통해 가니쉬 부재가 도어 판넬로부터 쉽게 탈부착 가능하게 되며, 그리하여 도어 트림에서 가니쉬 부재에 대한 커스터마이징이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트림에서 가니쉬 부재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트림에서 마그넷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트림에서 가니쉬 부재의 장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또는 결합)"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도어 트림에 대한 커스터마이징 방법의 예로서 사용자가 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가니쉬 부재의 구조를 예로서 설명한다. 본 문서에서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의 예로서 쉽게 교체 가능한 가니쉬 부재를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내장재 또는 외장재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차량용 도어 트림(1)에는 다양한 기능 및 장식을 위한 부품들이 구비된다. 차량용 도어 트림(1)은 일정한 형상을 갖는 도어 바디(10) 및 도어 바디(10)에 장착되는 가니쉬 부재(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니쉬 부재(20)는 도어 바디(10)에 형성된 장식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트림(1)에서 가니쉬 부재(20)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트림(1)에서 마그넷(30, 40)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트림(1)은, 일부 영역에 장식용 공간이 형성된 도어 바디(10)와, 장식용 공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부재(20)와, 가니쉬 부재(20)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30)과,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제1 마그넷(30)에 대하여 견인력을 인가하는 제2 마그넷(40)과,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가니쉬 부재(2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한다. 가니쉬 부재(20)에서 제1 마그넷(30)의 주변에 제2 마그넷(40)의 결합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니쉬 부재(20)와 도어 바디(10)에 각각 마련된 제1 마그넷(30) 및 제2 마그넷(40) 간의 결합에 의해 도어 바디(10)에 가니쉬 부재(20)가 장착될 수 있으며, 가니쉬 부재(20)를 도어 바디(10)에 장착할 때 가이드부를 통해 마그넷 간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별도의 도구 없이도 쉽게 사용자가 도어 바디(10)에 가니쉬 부재(20)를 탈부착할 수 있다. 그리하여, 종래 기술과 같이 복잡한 형태의 조립 구조 대비 별도의 도구 및 전문 작업자의 도움 없이도 사용자가 쉽게 가니쉬 부재(20)를 도어 바디(10)에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도어 트림(1)의 커스터마이징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니쉬 부재(20)는 도어 바디(10)의 장식용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패널(22)과, 제1 패널(22)에서 연장되며 제1 마그넷(30)이 설치되는 제2 패널(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바디(10)의 장식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면에 일정 형상의 장식 무늬를 갖는 제1 패널(22)이 일정 방향(X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2 패널(24)은 제1 패널(22)로부터 수직 방향(Y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며, 제2 패널(24)에 가니쉬 부재(20)를 도어 바디(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마그넷(30)이 고정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니쉬 부재(20)의 제1 패널(22)의 일측에서 도어 바디(10)의 모서리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26)가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가니쉬 부재(20)의 끝단에 후크(26)가 형성되며, 후크(26)가 도어 바디(10)의 모서리측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후크(26)를 도어 바디(10)의 모서리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가니쉬 부재(20)를 임시 장착시키고, 가이드부를 따라 가니쉬 부재(20)의 제1 마그넷(30)을 도어 바디(10)의 제2 마그넷(40)에 부착시킴으로써 가니쉬 부재(20)를 도어 바디(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패널(24)은, 제1 패널(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면(24A)과, 제1 면(24A)에서 일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제2 면(24B)과, 제1 면(24A)과 상기 제2 면(24B)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24C)과, 제2 면(24B)에 형성된 관통홀(24D)을 포함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제2 패널(24)의 제1 면(24A)은 제1 패널(22)로부터 직접 맞닿아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제1 패널(22)이 연장된 방향(X 방향)에 수직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2 면(24B)은 제1 면(24A)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인입되어 형성된 면으로서 제2 마그넷(40)의 충돌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측벽(24C)은 제1 면(24A)과 제2 면(24B)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제2 마그넷(40)의 이동을 차단하는 스토퍼 및 제2 마그넷(40)의 이동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면(24B)에는 관통홀(24D)이 형성되며, 관통홀(24D)에 제1 마그넷(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마그넷(40)은 제2 면(24B)에 의해 가이드되어 제1 마그넷(30)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제1 마그넷(30)은 가니쉬 부재(20)의 관통홀(24D)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제2 마그넷(40)은 제1 마그넷(30)에 접촉하거나 제2 마그넷(40)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 마그넷(40)은 제2 면(24B)과 그 주변의 측벽(24C)에 의해 가이드되어 도 5와 같이 제1 마그넷(3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24C)은 제2 마그넷(40)이 제1 마그넷(30)과 결합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턱 및 제2 마그넷(40)의 충돌(간섭)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패널(24)의 제2 면(24B)(또는 측벽(24C))은 제2 마그넷(40)을 향하여 개방되며, 제2 마그넷(40)의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제2 면(24B)의 제2 마그넷(40)이 위치하는 방향에 대하여 일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끝부분은 제2 마그넷(40)으로 갈수록 더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그리하여, 가니쉬 부재(20)의 제1 마그넷(30)이 제2 마그넷(40)으로 이동할 때 제2 마그넷(40)이 제2 패널(24))과 충돌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마그넷(40)은 도어 바디(10)에서 제2 패널(24)과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가니쉬 부재(20)의 제2 패널(24)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베이스 플레이트(60)가 도어 바디(10)에 구비되고,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제2 마그넷(40)이 고정 장착된다. 제2 마그넷(40)은 베이스 플레이트(60)로부터 제1 마그넷(30)의 방향을 향하여 일부 돌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하여, 제2 마그넷(40)은 가니쉬 부재(20)의 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제2 면(24B)을 따라 제1 마그넷(30)과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토퍼(50)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토퍼(50)는 베이스 플레이트(60)로부터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제1 마그넷(30)과 제2 마그넷(40)이 접촉한 후 가니쉬 부재(20)의 제2 패널(24)이 Y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스토퍼(50)는 제2 패널(24)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만큼 베이스 플레이트(6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은 가니쉬 부재(20) 및 도어 바디(10)에 각각 구비된 제1 마그넷(30) 및 제2 마그넷(40)을 서로 접촉시키고 분리시킴으로써 가니쉬 부재(20)를 쉽게 도어 바디(10)로부터 장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규 가니쉬 부재(20)를 도어 바디(10)에 장착할 때, 가니쉬 부재(20)의 후크(26)를 도어 바디(10)에 끼운 상태에서 가니쉬 부재(20)의 제2 패널(24)에 고정 장착된 제1 마그넷(30)을 도어 바디(10)의 베이스 플레이트(60)에 고정 장착된 제2 마그넷(40)에 부착시킴으로써 가니쉬 부재(20)가 도어 바디(10)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가니쉬 부재(20)의 교체를 원하는 경우 힘을 가하여 제1 마그넷(30)을 제2 마그넷(4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가니쉬 부재(20)가 도어 바디(1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6과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니쉬 부재(20)에서 제2 패널(24)이 위치한 쪽을 분리시킨 후 후크(26)를 도어 바디(10)로부터 분리하면 가니쉬 부재(20)가 완전히 도어 바디(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사용자는 세부적인 조립 구조를 숙지하거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손쉽게 가니쉬 부재(20)를 교체할 수 있으며, 다양한 가니쉬 부재(20)를 준비하여 원하는 때에 교체함으로써 차량의 내부 분위기를 바꾸는 등 차량의 커스터마이징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커스터마이징 조립 구조는 가니쉬 부재(20)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 부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도어 트림
10: 도어 바디
20: 가니쉬 부재
30: 제1 마그넷
40: 제2 마그넷
50: 스토퍼
60: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9)

  1. 일부 영역에 장식용 공간이 형성된 도어 바디(10);
    상기 장식용 공간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가니쉬 부재(20);
    상기 가니쉬 부재(20)에 구비되는 제1 마그넷(30);
    상기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마그넷(30)에 대하여 견인력을 인가하는 제2 마그넷(40); 및
    상기 도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가니쉬 부재(2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50)를 포함하고,
    상기 가니쉬 부재(20)에서 상기 제1 마그넷(30)의 주변에 상기 제2 마그넷(40)의 결합 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트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니쉬 부재(20)는,
    상기 도어 바디(10)의 장식용 공간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 패널(22); 및
    상기 제1 패널(22)에서 연장되며 제1 마그넷(30)이 설치되는 제2 패널(24)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트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널(22)의 일측에서 상기 도어 바디(10)의 모서리부에 걸리도록 형성된 후크(26)가 구비되는, 차량용 도어 트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널(24)은,
    상기 제1 패널(2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제1 면(24A);
    상기 제1 면(24A)에서 일정 깊이만큼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된 제2 면(24B);
    상기 제1 면(24A)과 상기 제2 면(24B) 사이의 높이차에 의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측벽(24C); 및
    상기 제2 면(24B)에 형성된 관통홀(24D)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트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40)은 상기 제2 면(24B)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제1 마그넷(30)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 트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24C)은 상기 제2 마그넷(40)이 상기 제1 마그넷(30)과 결합된 위치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걸림턱 및 상기 제2 마그넷(40)의 충돌을 방지하는 상기 가이드부로서 기능하는 차량용 도어 트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24B)은 상기 제2 마그넷(40)을 향하여 개방되며, 상기 제2 마그넷(40)의 방향으로 갈수록 너비가 커지도록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트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그넷(40)은 상기 도어 바디(10)에서 상기 제2 패널(24)과 평행하게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되는 차량용 도어 트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0)에 장착되는 차량용 도어 트림.
KR1020220106744A 2022-08-25 2022-08-25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KR10262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44A KR102621747B1 (ko) 2022-08-25 2022-08-25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6744A KR102621747B1 (ko) 2022-08-25 2022-08-25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747B1 true KR102621747B1 (ko) 2024-01-05

Family

ID=89541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6744A KR102621747B1 (ko) 2022-08-25 2022-08-25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7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27A (ko) * 1999-12-07 2001-07-02 류정열 레저 차량의 리어 도어 가니쉬
KR200378030Y1 (ko) * 2004-12-13 2005-03-11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KR102208260B1 (ko) * 2019-09-20 2021-01-2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210077254A (ko) * 2019-12-17 2021-06-25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627A (ko) * 1999-12-07 2001-07-02 류정열 레저 차량의 리어 도어 가니쉬
KR200378030Y1 (ko) * 2004-12-13 2005-03-11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도어
KR102208260B1 (ko) * 2019-09-20 2021-01-28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20210077254A (ko) * 2019-12-17 2021-06-25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40633B1 (en) Door trim
KR20070066845A (ko) 도어 모듈 위치 결정 시스템
US9650825B2 (en) Vehicle door
JP2016137810A (ja) ドアロック装置の取付構造
KR102621747B1 (ko)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WO2017164116A1 (ja) 内装部品
KR102642959B1 (ko)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US11525297B2 (en) Integrated window regul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911553B2 (ja) 分割式カウルパネル
JP2018083600A (ja) オーナメント取付構造
US20190275713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a cover, assembly for a vehicle roof, and vehicle roof for a motor vehicle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KR101892175B1 (ko) 자동차용 로드 플로어 매트의 스트랩 고정용 고정 브래킷
JPH11350813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170697Y1 (ko) 자동차의 벨트 가이드 설치 구조
CN112172660B (zh) 灯体安装构造
JP2005088789A (ja) 内装部品
KR100837386B1 (ko) 자동차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결합구조
JP2006021585A (ja) 自動車用ドアの衝撃吸収部材取り付け構造
KR101560538B1 (ko)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1566122B1 (ko) 자동차용 스위치의 데코 플레이트
KR100775363B1 (ko) 차량 센터필라 트림의 조립구조
JP6836919B2 (ja) 固定具
KR100384752B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래스 장착구조
KR100570390B1 (ko) 차량의 러기지 매트 결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