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60B1 -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60B1
KR102208260B1 KR1020190116171A KR20190116171A KR102208260B1 KR 102208260 B1 KR102208260 B1 KR 102208260B1 KR 1020190116171 A KR1020190116171 A KR 1020190116171A KR 20190116171 A KR20190116171 A KR 20190116171A KR 102208260 B1 KR102208260 B1 KR 102208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trim
magnetic body
magnetic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90116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7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도어트림의 조립구조를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조립구조는 차량용 도어의 도어바디에 고정되는 제1자성체; 상기 제1자성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바디에 조립되는 상기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2자성체; 상기 제2자성체가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트림에 마련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트림은 상부의 거치부를 기준으로 내면이 상기 도어바디에 인접하거나 도어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거치부 하부의 상기 도어트림 내면에 상기 제2자성체를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assembling structure and method of door trim for vehicle}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을 위한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도어는 외관을 이루는 도어바디와, 도어바디의 내측에 조립되는 도어트림을 구비한다.
도어바디는 금속재질로 마련되고, 도어바디 내측에 조립되어 실내 쪽을 향하게 되는 도어트림은 사출물로 마련되어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어트림은 장식효과 외에도 차량 실내의 차음 및 흡음 성능을 높이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한다.
통상 도어트림은 파스너(fastener)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도어바디에 조립되고 있다.
그러나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기존의 도어트림 조립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고정시키는 과정에서는 체결부재의 체결조작을 위해 체결공구가 사용되는데, 이때 체결공구의 진입이 어려운 부분에 체결부재가 체결되어야 하는 경우 체결공구를 체결부재에 적용시키기가 어렵게 되어 체결부재의 원활한 체결이 힘들었다.
또 체결부재를 이용하는 도어트림의 조립구조에서는 체결부재의 체결자리로 인해 도어트림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부재의 체결자리를 별도의 커버를 이용하여 덮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도어트림의 조립구조에서는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작업에다 체결부재의 체결자리를 가리는 작업이 추가되어 도어트림의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19985호(1995.06.16)
체결공구가 없이도 차량의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조립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도어트림의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도어트림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조립구조는 차량용 도어의 도어바디에 고정되는 제1자성체; 상기 제1자성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바디에 조립되는 상기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2자성체; 상기 제2자성체가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트림에 마련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트림은 상부의 거치부를 기준으로 내면이 상기 도어바디에 인접하거나 도어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거치부 하부의 상기 도어트림 내면에 상기 제2자성체를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의 수용을 위해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트림이 상기 도어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자성체는 상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도어트림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두께는 상기 제2자성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는 각각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 극성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은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을 상기 도어의 도어바디에 분해 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조립하되, 상기 제1성체는 도어바디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자성체를 상기 도어트림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조립할 때는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도어트림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트림을 조립되어 있는 상기 도어바디에서 분해할 때는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도어트림에서 분리되어 제1자성체에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에 따르면,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조립할 수 있게 되므로, 체결공구가 없이도 차량의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조립할 수 있다.
또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에서는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고정시키는 자성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므로, 도어트림의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도어트림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다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가 적용된 차량용 도어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을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한 후 화살표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트림이 도어바디에 지지되도록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도어트림이 도어바디 쪽으로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제2자성체가 제1자성체 쪽으로 당겨지면서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어트림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분리시키기 위해 도어바디 반대쪽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5에서 제2자성체가 수납공간으로부터 인출되어 제1자성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는 차량 도어(1)의 도어바디(2)에 고정되는 제1자성체(10)와, 제1자성체(1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도어바디(2)에 대한 도어트림(3)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2자성체(20)와, 제2자성체(20)가 장착되도록 도어트림(3)에 마련되는 장착부(30)를 구비한다.
도어바디(2)는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차량 도어(1)의 외관을 이룰 수 있고, 도어트림(3)은 사출물을 통해 차량 도어(1)의 내면을 형성하도록 도어바디(2)의 내측에 조립되어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어바디(2)는 도어글래스(미도시)를 통해 개폐되는 상부의 창부(2a)와, 하부의 몸체부(2b)를 포함하고, 도어트림(3)은 도어바디(2)의 몸체부(2b) 쪽 내면을 덮도록 도어바디(2)에 조립될 수 있다.
도어트림(3)은 장식효과 외에도 차량 실내의 차음 및 흡음 성능을 높이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기능도 담당할 수 있다. 또 도어트림(3)에는 스피커, 암 레스트(armrest), 포켓(pocket) 등이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는 상호 간에 자기적인 인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가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 사이의 충분한 자력 세기를 보장할 수 있도록 영구자석은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은 네오디뮴과 철과 붕소를 포함하는 Nd-Fe-B계 소결 영구자석으로써, 일반적인 페라이트 영구자석에 비해 월등히 높은 자력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은 양쪽 모두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으로 마련되어 극성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자력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자성체(10)는 제1 네오디뮴 영구자석(11)으로 마련되고, 제2자성체(20)는 제2 네오디뮴 영구자석(21)으로 마련되며, 제1 네오디뮴 영구자석(11)과 제2 네오디뮴 영구자석(12)은 N극과 S극이 서로 반대를 이룬 상태로 각각 도어바디(2)와 도어트림(3)에 위치되어 상호 각의 자력에 의해 도어트림(3)을 도어바디(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자성체(10)는 접착제를 통해 도어트림(3)을 향하는 도어바디(2)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제1자성체(10)를 도어바디(2)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방식이나, 도어바디(2)에 제1자성체(10)를 고정시키는 걸림구조물(미도시)을 추가하는 방식 등 제1자성체(10)를 유동이 방지된 상태로 도어바디(2)에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트림(3)은 상부에 형성되는 거치부(3a)를 통해 도어바디(2)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거치부(3a)를 통해 도어바디(2)에 거치된 도어트림(3)은 그 내면이 도어바디(2)에 인접하거나 도어바디(2)에서 멀어지도록 거치부(3a)를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부(3a)는 도어트림(3) 상부에 저부방향으로 개방되는 고리모양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도어바디(2)의 몸체부(2b) 상부에 형성되는 지지부(2c)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도어바디(2)에 대한 도어트림(3)의 거치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트림(3)의 거치구조는 도어트림(3)이 도어바디(2)에 양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분리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는 범위 내에서 끼움구조나 접힘구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장착부(30)는 제2자성체(20)를 상부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제1자성체(10)의 위치에 대응하는 거치부(3a) 하부의 도어트림(3) 내면 쪽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트림(3)은 조립시에는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 사이의 자력에 의해 도어바디(2)에 안정적으로 고정되고, 분해시에는 도어바디(2)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됨은 물론 제2자성체(20)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바디(2)에 거치된 도어트림(3)이 거치부(3a)를 기준으로 도어바디(2)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장착부(30)와 제1자성체(10)는 상호 인접하여 마주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착부(30)에 수용된 제2자성체(20)와 제1자성체(10) 사이의 자력에 의해 도어트림(3)은 도어바디(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도어트림(3)을 도어바디(2)에서 분리시키고자 할 때, 도어트림(3)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와 반대로 도어바디(2)에서 멀어지도록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장착부(30)는 도어트림(3)의 회전동작에 의해 기울어지면서 제1자성체(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반면, 제2자성체(20)는 제1자성체(10)와의 자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를 유지하려 하게 되므로, 제1자성체(10)와 장착부(30) 사이가 분리되면서 제2자성체(20)는 장착부(30)로부터 인출되어 제1자성체(10)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자성체(20)는 도어트림(3)의 분리동작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제1자성체(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분실될 우려가 없게 된다.
제2자성체(20)가 장착부(30)에서 인출되어 제1자성체(10)에 부착되면, 도어트림(3)과 도어바디(2) 사이의 고정력이 해제되므로, 이 상태에서는 지지부(2c)에 대한 거치부(3a)의 걸림을 해제시킴으로써 도어트림(3)을 도어바디(2)로부터 간단히 분리해 낼 수 있게 된다.
장착부(30)는 제1자성체(10)의 수용을 위한 수용공간(30a)을 제공하고, 수용공간(30a)은 제2자성체(20)를 상부로 인출 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장착부(30)는 수용공간(30a)의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벽(31)과, 수용공간(30a)의 전방을 형성하는 전면벽(32)과, 수용공간(30a)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벽(33)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공간(30a)의 후면은 도어트림(30)의 내면을 통해 마련되고, 장착부(30)는 바닥벽(31)이나 측면벽(33)을 통해 도어트림(3)의 내면과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자성체(20)는 도어트림(3)이 도어바디(2)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가 수용공간(30a)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수용공간(30a)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체(20)는 도어트림(3)이 도어바디(2)에서 멀어지도록 회전하면서 수용공간(30a)이 제1자성체 (10)쪽으로 기울어질 경우, 수용공간(30a) 상부로 돌출된 상부를 통해 제1자성체(10)에 보다 원활하게 부착되면서 도어트림(3)과 도어바디(2) 사이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이때 제2자성체(20)가 제1자성체(10) 쪽으로 회전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제1자성체(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도어트림(3)의 회전방향으로 수용공간(30a)의 두께(a)는 제2자성체(20)의 두께(b)보다 두껍게 마련되고, 전면벽(32)의 상단 내측에는 제1자성체(10) 쪽으로 회전하는 제2자성체(20)의 회전동작을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면(32a)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도어트림(3)이 거치부(3a)를 기준으로 도어바디(2)에 최대한 인접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수용공간(30a)의 바닥은 제1자성체(10)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3)이 조립을 위해 도어바디(2) 쪽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자성체(20)는 하단이 수용공간(30a) 바닥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장착부(30)와 제1자성체(10)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어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 사이의 자력이 증대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자성체(20)는 고정되어 있는 제1자성체(10) 쪽으로 당겨지면서 상승한 상태에서 도어트림(3)이 도어바디(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자성체(20)는 도어트림(3)이 도어바디(2)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단이 수용공간(30a) 바닥의 상부로 이격되어 보다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의 저부 사이는 전면벽(32)이 개재된 상태로 상호 밀착하고,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의 상부 사이는 상호 간의 접촉이 방지된 상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도어바디(2)에 대한 도어트림(3)의 고정력이 보장되도록 하면서 이후 도어트림(3)과 도어바디(2) 사이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트림(3)의 조립구조와 조립방법에 따르면, 제1자성체(10)와 제2자성체(20)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여 도어트림(3)을 도어바디(2)에 고정시키되, 조립상태의 도어트림(3)과 도어바디(2) 사이에는 충분한 고정력이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도어트림(3)을 도어바디(2)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도어트림(3)과 도어바디(2) 사이의 고정력을 보다 신속하게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1: 차량용 도어 2: 도어바디
3: 도어트림 3a: 거치부
10: 제1자성체 11: 제1 네오디뮴 영구자석
20: 제2자성체 21: 제2 네오디뮴 영구자석
30: 장착부 30a: 수용공간
31: 바닥벽 32: 전면벽
33: 측면벽

Claims (6)

  1. 차량용 도어의 도어바디에 고정되는 제1자성체;
    상기 제1자성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상기 도어바디에 조립되는 상기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제2자성체;
    상기 제2자성체가 장착되도록 상기 도어트림에 마련되는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트림은 상부의 거치부를 기준으로 내면이 상기 도어바디에 인접하거나 도어바디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거치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거치부 하부의 상기 도어트림 내면에 상기 제2자성체를 상부로 인출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자성체의 수용을 위해 상부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도어트림이 상기 도어바디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자성체는 상부가 상기 수용공간 상부로 돌출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트림의 회전방향으로 상기 수용공간의 두께는 상기 제2자성체의 두께보다 두껍게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으로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는 각각 네오디뮴(neodymium) 영구자석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제1자성체와 극성의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6. 제1자성체와 제2자성체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여 차량용 도어의 도어트림을 상기 도어의 도어바디에 분해 가능하도록 고정시켜 조립하되,
    상기 제1자성체는 도어바디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자성체를 상기 도어트림에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하여 상기 도어트림을 도어바디에 조립할 때는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도어트림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트림을 조립되어 있는 상기 도어바디에서 분해할 때는 상기 제2자성체가 상기 도어트림에서 분리되어 제1자성체에 부착되도록 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KR1020190116171A 2019-09-20 2019-09-20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KR102208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71A KR102208260B1 (ko) 2019-09-20 2019-09-20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71A KR102208260B1 (ko) 2019-09-20 2019-09-20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260B1 true KR102208260B1 (ko) 2021-01-28

Family

ID=7423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71A KR102208260B1 (ko) 2019-09-20 2019-09-20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747B1 (ko) * 2022-08-25 2024-01-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KR102642959B1 (ko) *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985Y1 (ko) 1993-11-30 1998-06-15 전성원 차량의 도어트림 패널 체결구
KR200342732Y1 (ko) * 2003-11-11 2004-02-18 김광호 자동차 도어의 벨로스 포켓
KR20120124766A (ko) * 2011-05-04 2012-11-1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도어 트림의 장착 구조
KR20150054478A (ko) * 2013-11-12 201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US20180154743A1 (en) * 2016-12-05 2018-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assembly with removable door panel for easy ingress and egres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9985Y1 (ko) 1993-11-30 1998-06-15 전성원 차량의 도어트림 패널 체결구
KR200342732Y1 (ko) * 2003-11-11 2004-02-18 김광호 자동차 도어의 벨로스 포켓
KR20120124766A (ko) * 2011-05-04 2012-11-14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도어 트림의 장착 구조
KR20150054478A (ko) * 2013-11-12 2015-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US20180154743A1 (en) * 2016-12-05 2018-06-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door assembly with removable door panel for easy ingress and egres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959B1 (ko) *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KR102621747B1 (ko) * 2022-08-25 2024-01-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차량용 도어 트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260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구조 및 조립방법
USD595200S1 (en) Door panel for an automobile
JP2011042327A (ja) プルハンドル用装飾キャップの取付け構造
JP2009179201A (ja) 車両用開閉体のヒンジ構造
US20130028463A1 (en) Loudspeaker assembly
USD626904S1 (en) Door panel for an automobile
JP2007008265A (ja) 車両用ドア
JP4548267B2 (ja) 電磁ロック付き引戸装置
JP6759702B2 (ja) 車両用ドアトリム
CN205686250U (zh) 一种背门扣手盒及汽车
JP2006028900A (ja) ドア錠
JPH0313075Y2 (ko)
JP3426153B2 (ja) 自動車用後部ウインドウにおけるサンシェード装置
JP6297809B2 (ja) 給電装置
JP2009269645A (ja) 収納箱
KR101050723B1 (ko) 자동차용 어시스트 핸들
US20160160549A1 (en) Faceplate body for a functionally essential structural component with a support element made from plastic material
US20160168891A1 (en) Door latch system with integrated magnet
KR101744883B1 (ko) 도어트림의 체결구조
JP5426640B2 (ja) 自動車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KR100831031B1 (ko) 대화형 미러를 구비한 선글라스 홀더
JP2017089154A (ja) 回転折れ戸
JP3980818B2 (ja) 戸当り
JPS6018516Y2 (ja) ドアロツキングボタンの取付構造
JP4398269B2 (ja) 車両用ドアのトリム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