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608B1 -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608B1
KR102621608B1 KR1020230126978A KR20230126978A KR102621608B1 KR 102621608 B1 KR102621608 B1 KR 102621608B1 KR 1020230126978 A KR1020230126978 A KR 1020230126978A KR 20230126978 A KR20230126978 A KR 20230126978A KR 102621608 B1 KR102621608 B1 KR 10262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ent
core
air
receiving sp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수인
Original Assignee
채수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수인 filed Critical 채수인
Priority to KR102023012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6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57Servicing means therefor, e.g. for renewal of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에어벤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내부에 발향체의 발향 지속 시간을 늘리고, 사용자의 발향체 교체가 간편하도록, 후방에 배치되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비되는 발향 케이싱부(200); 및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발향체로 구비되는 발향부(300);를 포함하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 Air vent attached direction device }
본 발명은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에어벤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내부에 발향체의 발향 지속 시간을 늘리고, 사용자의 발향체 교체가 간편하도록, 고정부, 발향 케이싱부 및 발향부를 포함하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는 에어컨 모듈로부터 발생 되는 냉기나 온기를 차량의 객실 내로 불어넣어 주는 에어벤트가 배치되며, 이는 방향제를 설치하여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나쁜 냄새를 제거하고 탑승객에게 보다 신선한 공기와 기분 좋은 향기를 제공하도록 차량용 방향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방향장치는 액체 방향제가 수납된 수납용기가 에어벤트 그릴의 전방에 결합 되어 에어벤트 그릴을 통해 불어나오는 바람에 의해 액체 방향제가 차량의 실내로 휘산되도록 구성되거나, 주입구가 성형된 밀폐된 용기에 방향성이 있는 재료를담아 자동차 실내의 일정한 위치에 부착하여 두거나, 사무실등의 실내에 놓고 용기의 상단부에 체결된 뚜껑을 개방하여줌으로서, 방향제의 향기가 외부로 표출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향제 장치는 단순히 방향재료를 담아 두는 역할과 뚜껑을 개폐시켜 발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임은 물론, 일정한 사용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발향성이 저하되어 방향제에 근접한 상태에서만 방향제의 효과를 기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자동차내의 통풍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방향제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설치된 최초에는 차량 내부에 필요 이상의 향이 발생되고, 이러한 이유로 빠른 시간안에 발향 능력이 소진되어 발향장치를 자주 교체하여 운전자의 비용과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3572호 고안의명칭:자동차용 방향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에어벤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내부에 발향체의 발향 지속 시간을 종래의 발향장치 대비 늘리고, 발향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 사용자가 간편하게 내부의 발향체만을 교체할 수 있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후방에 배치되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비되는 발향 케이싱부(200)로 에어벤트의 공기 이용성이 효율적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어 탈착 가능며 탄성재질의 발향체로 구비되는 발향부(300)로 방향장치 내부의 발향부만이 교체되어 비용 효율적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향부(300)는 단면이 원형인 발향코어(310)와 상기 발향코어(310)에서 외부로 방사상을 이루며 돌출되는 발향돌기(320)로 구비되어 상기 발향코어(310) 외측인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에어의 유로공간(33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향돌기(320)의 직경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발향체 내입 후 고정 안정성이 높은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향돌기(320)는 상기 에어인입공(230) 위치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나선돌기(321)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와류홈(322)이 배치되어 에어 벤트 공기와 발향체의 충돌 효과를 높이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향부(30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양단 위치에서 상기 유로공간(330)의 종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만곡 경사지게 상기 발향코어(31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요홈(331)이 다수 구비되어 내부 발향체의 내부까지도 활용되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향 케이싱부(200)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형성되는 케이싱캡(250)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캡(250)이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220)의 좌우측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 영역(2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1 영역(221)에 연통되는 제 2 영역(22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영역(221)의 통공 단면은 상기 제 2 영역(222)의 통공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측에 제 1 코어(311)가 배치되고 중앙에는 제 2 코어(312)가 배치되되, 상기 제 1 코어(311)의 직경이 상기 제 2 코어(312) 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공기 유로의 흐름이 효율적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중심까지 이어지는 불규칙하게 코어공(310a)이 배치되며 중심에는 코어통공(310b)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코어공(310a) 및 상기 코어통공(310b)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유출공(240)으로 유출되도록 구비되어 발향 효율을 높이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는 먼저, 후방에 배치되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비되는 발향 케이싱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발향체로 구비되는 발향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향부(300)는 단면이 원형인 발향코어(310)와 상기 발향코어(310)에서 외부로 방사상을 이루며 돌출되는 발향돌기(320)로 구비되어 상기 발향코어(310) 외측인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에어의 유로공간(33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향돌기(320)의 직경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향돌기(320)는 상기 에어인입공(230) 위치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나선돌기(321)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와류홈(3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부(30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양단 위치에서 상기 유로공간(330)의 종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만곡 경사지게 상기 발향코어(31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요홈(331)이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향 케이싱부(200)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형성되는 케이싱캡(250)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캡(250)이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220)의 좌우측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 영역(2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1 영역(221)에 연통되는 제 2 영역(22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영역(221)의 통공 단면은 상기 제 2 영역(222)의 통공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측에 제 1 코어(311)가 배치되고 중앙에는 제 2 코어(312)가 배치되되, 상기 제 1 코어(311)의 직경이 상기 제 2 코어(312) 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중심까지 이어지는 불규칙하게 코어공(310a)이 배치되며 중심에는 코어통공(310b)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코어공(310a) 및 상기 코어통공(310b)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유출공(240)으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제공하여,
첫째, 차량 에어벤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내부에 발향체의 발향 지속 시간을 종래의 발향장치 대비 늘리고, 발향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 사용자가 간편하게 내부의 발향체만을 교체할 수 있다.
둘째, 후방에 배치되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비되는 발향 케이싱부(200)로 에어벤트의 공기 이용성이 높아진다.
셋째,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어 탈착 가능며 탄성재질의 발향체로 구비되는 발향부(300)로 방향장치 내부의 발향부만이 교체되어 비용 효율적이다.
넷째, 상기 발향부(300)는 단면이 원형인 발향코어(310)와 상기 발향코어(310)에서 외부로 방사상을 이루며 돌출되는 발향돌기(320)로 구비되어 상기 발향코어(310) 외측인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에어의 유로공간(33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향돌기(320)의 직경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발향체 내입 후 고정 안정성이 높다.
다섯째, 상기 발향돌기(320)는 상기 에어인입공(230) 위치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나선돌기(321)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와류홈(322)이 배치되어 에어 벤트 공기와 발향체의 충돌 효과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상기 발향부(30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양단 위치에서 상기 유로공간(330)의 종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만곡 경사지게 상기 발향코어(31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요홈(331)이 다수 구비되어 내부 발향체의 내부까지도 활용되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상기 발향 케이싱부(200)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형성되는 케이싱캡(250)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캡(250)이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220)의 좌우측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 영역(2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1 영역(221)에 연통되는 제 2 영역(22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영역(221)의 통공 단면은 상기 제 2 영역(222)의 통공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측에 제 1 코어(311)가 배치되고 중앙에는 제 2 코어(312)가 배치되되, 상기 제 1 코어(311)의 직경이 상기 제 2 코어(312) 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공기 유로의 흐름이 효율적이다.
여덟째,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중심까지 이어지는 불규칙하게 코어공(310a)이 배치되며 중심에는 코어통공(310b)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코어공(310a) 및 상기 코어통공(310b)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유출공(240)으로 유출되도록 구비되어 발향 효율을 높인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발향 케이싱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발향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케이싱캡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제 1 및 2 코어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에어인입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발향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발향 케이싱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발향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케이싱캡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제 1 및 2 코어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에어인입공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 내지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발향부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는 먼저, 후방에 배치되어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부(10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100)는 클립 형태로 에어벤트에 탈부착될 수 있으며, 360°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방향장치의 외형을 이루도록 케이싱부가 구성된다.
여기에, 상기 케이싱부(200)는 외부 케이스(210)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우측, 상측 또는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인입공(230) 및 상기 에어유출공(240)의 단면은 원형, 장공,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에어인입공(230) 및 상기 에어유출공(240)의 최소 개수는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대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도록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발향체로 발향부(300)가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발향부(300)의 단면은 원형, 장공,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발향부(300)는 단면이 원형인 발향코어(310)가 구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에서 외부로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발향돌기(320)로 구성되어 상기 발향코어(310) 외측인 상기 발향돌기(320)의 사이사이에는 에어의 유로공간(330)이 형성되며, 상기 발향돌기(320)의 직경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부(200)에 탄성력을 갖으며 내입되고, 탈거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발향돌기(320)는 상기 에어인입공(230) 위치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나선돌기(321)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와류홈(322)이 구성되어 상기 에어인입공(22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향부(300)를 휘감는 와류를 이루며 상기 에어유출공(240)을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향부(30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양단 위치에서 상기 유로공간(330)의 종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만곡 경사지게 상기 발향코어(31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요홈(331)이 다수 구비되어 공기 배출이 원활해지도록 하며 와류 효과를 높이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향 케이싱부(200)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형성되는 케이싱캡(250)으로 커버되도록 변형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캡(250)이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220)의 좌우측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 영역(2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1 영역(221)에 연통되는 제 2 영역(22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영역(221)의 통공 단면은 상기 제 2 영역(222)의 통공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측에 제 1 코어(311)가 배치되고 중앙에는 제 2 코어(312)가 배치되되, 상기 제 1 코어(311)의 직경이 상기 제 2 코어(312) 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발향체(300)의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교체 후에는 고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중심까지 이어지는 불규칙하게 코어공(310a)이 배치되며 중심에는 코어통공(310b)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코어공(310a) 및 상기 코어통공(310b)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유출공(240)으로 유출되어 발향 효과를 높이도로구 구성된다.
한편,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유출공(240)은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좌우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가로형 방향장치, 상하측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세로형 방향장치로 구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일 실시 예를 통해 설명된 본원 발명의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를 이용하면, 차량 에어벤트에서 공급되는 에어를 이용하여 차량내부에 발향체의 발향 지속 시간을 종래의 발향장치 대비 늘리고, 발향 효과가 사라지는 경우 사용자가 간편하게 내부의 발향체만을 교체할 수 있으며, 후방에 배치되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비되는 발향 케이싱부(200)로 에어벤트의 공기 이용성이 효율적이며,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어 탈착 가능며 탄성재질의 발향체로 구비되는 발향부(300)로 방향장치 내부의 발향부만이 교체되어 비용 발생이 적고, 상기 발향부(300)는 단면이 원형인 발향코어(310)와 상기 발향코어(310)에서 외부로 방사상을 이루며 돌출되는 발향돌기(320)로 구비되어 상기 발향코어(310) 외측인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에어의 유로공간(33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향돌기(320)의 직경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발향체 내입 후 고정 후 안정성이 높아지며, 상기 발향돌기(320)는 상기 에어인입공(230) 위치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나선돌기(321)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와류홈(322)이 배치되어 에어 벤트 공기와 발향체의 충돌 효과를 높이며, 상기 발향부(30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양단 위치에서 상기 유로공간(330)의 종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만곡 경사지게 상기 발향코어(31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요홈(331)이 다수 구비되어 내부 발향체의 내부까지도 활용되며, 상기 발향 케이싱부(200)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형성되는 케이싱캡(250)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캡(250)이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220)의 좌우측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 영역(2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1 영역(221)에 연통되는 제 2 영역(22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영역(221)의 통공 단면은 상기 제 2 영역(222)의 통공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측에 제 1 코어(311)가 배치되고 중앙에는 제 2 코어(312)가 배치되되, 상기 제 1 코어(311)의 직경이 상기 제 2 코어(312) 보다 더 크게 구비되어 공기 유로의 흐름이 효율적인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고정부
200 ... 발향 케이싱부
210 ... 케이스
220 ... 수용공간
221 ... 제 1 영역
222 ... 제 2 영역
230 ... 에어인입공
240 ... 에어유출공
250 ... 케이싱캡
300 ... 발향부
310 ... 발향코어
310a ... 코어공
310b ... 코어통공
311 ... 제 1 코어
312 ... 제 2 코어
320 ... 발향돌기
321 ... 나선돌기
322 ... 돌기와류홈
330 ... 유로공간
331 ... 유로요홈

Claims (6)

  1. 후방에 배치되며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고정부(100);
    상기 고정부(1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100)로 결합되며,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22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는 에어인입공(230)이 배치되며, 좌측 또는 우측 중 적어도 어느 한곳에 상기 수용공간(220)과 연통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의 공기 진행 방향과 수직한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유출공(240)이 구비되는 발향 케이싱부(200); 및
    상기 수용공간(220)에 내입되도록 탄성재질의 발향체로 구비되는 발향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발향부(300)는,
    단면이 원형인 발향코어(310)와 상기 발향코어(310)에서 외부로 방사상을 이루며 돌출되는 발향돌기(320)로 구비되어 상기 발향코어(310) 외측인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에어의 유로공간(330)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발향돌기(320)의 직경은 상기 수용공간(220)의 단면 직경보다 더 크게 구비되며,
    상기 발향돌기(320)는,
    상기 에어인입공(230) 위치에서 외측으로 진행하며 나선돌기(321)로 구비되며 상단에는 단면이 반원형인 돌기와류홈(322)이 구비되며,
    상기 발향부(30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양단 위치에서 상기 유로공간(330)의 종단에는 중심 방향으로 만곡 경사지게 상기 발향코어(310)의 중심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요홈(331)이 다수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 케이싱부(200)는,
    양단이 개구되고, 중앙에 상기 에어유출공(240)이 형성되는 케이싱캡(250)으로 커버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케이싱캡(250)이 위치한 상기 수용공간(220)의 좌우측 위치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제 1 영역(221)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기 제 1 영역(221)에 연통되는 제 2 영역(222)이 구비되되, 상기 제 1 영역(221)의 통공 단면은 상기 제 2 영역(222)의 통공 단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수용공간(220)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좌우측에 제 1 코어(311)가 배치되고 중앙에는 제 2 코어(312)가 배치되되, 상기 제 1 코어(311)의 직경이 상기 제 2 코어(312) 보다 더 크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코어(310)는,
    상기 발향돌기(320) 사이사이에 중심까지 이어지는 불규칙하게 코어공(310a)이 배치되며 중심에는 코어통공(310b)이 구비되며,
    상기 에어인입공(230)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코어공(310a) 및 상기 코어통공(310b)을 경유하여 상기 에어유출공(240)으로 유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KR1020230126978A 2023-09-22 2023-09-22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KR10262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978A KR102621608B1 (ko) 2023-09-22 2023-09-22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978A KR102621608B1 (ko) 2023-09-22 2023-09-22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1608B1 true KR102621608B1 (ko) 2024-01-04

Family

ID=8954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978A KR102621608B1 (ko) 2023-09-22 2023-09-22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16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572U (ko) 1999-05-04 1999-08-16 주경거 자동차용방향제
KR20190104765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모터트랜 차량용 방향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3572U (ko) 1999-05-04 1999-08-16 주경거 자동차용방향제
KR20190104765A (ko) * 2018-03-02 2019-09-11 주식회사 모터트랜 차량용 방향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774B1 (ko) 자동차용 공기정화기
US5370829A (en) Apparatus for inducing air flow past a cartridge containing a vaporizable substance
EP1628692B1 (en) Apparatus for emitting a chemical agent
KR102621608B1 (ko)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ITMI20040160A1 (it) Diffusore di profumo per l'abitacolo di un autoveicolo
JP2007000187A (ja) 揮散性物質放散用容器
JP4710273B2 (ja) 送風ファンの吹出し部に設置する芳香装置
WO2011117428A1 (es) Ambientador para vehículos, con reproductor de oraciones y mensajes sonoros
CN211050375U (zh) 香薰机
KR20200121222A (ko) 공기청정기
JPS6021081Y2 (ja) 通風放香容器
JP2015027368A (ja) 脱臭装置
KR20110000969U (ko)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JPH0348422B2 (ko)
CN221453111U (zh) 雾化装置
CN210138333U (zh) 固体香薰
CN212889782U (zh) 香薰装置
CN217357418U (zh) 一种单香氛空气净化器
KR20120072692A (ko)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JPH0133046Y2 (ko)
JP6163944B2 (ja) 脱臭装置
JP2003116979A (ja) 車両用芳香剤・消臭剤容器
JP2023035980A (ja) 車両のための芳香デバイス
JP2017056048A (ja) 自動車用芳香剤
KR20150003620U (ko) 차량용 방향제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