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692A -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692A
KR20120072692A KR1020100134554A KR20100134554A KR20120072692A KR 20120072692 A KR20120072692 A KR 20120072692A KR 1020100134554 A KR1020100134554 A KR 1020100134554A KR 20100134554 A KR20100134554 A KR 20100134554A KR 20120072692 A KR20120072692 A KR 20120072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fragrance
air vent
guid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666B1 (ko
Inventor
김숙한
도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00134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666B1/ko
Publication of KR2012007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8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on or near an air out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부에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되며, 향기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레이의 1차인출에 따라 에어벤트의 공기흐름에 향기를 혼합시켜 차실내로 방향제가 빠르게 퍼지며, 트레이의 2차 인출 시 수평블레이드가 최하향모드로 고정되면서 공기흐름으로 차량 내부를 쾌적하게 함과 아울러 향기카트리지의 리필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개방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에 다수의 수평블레이드(12)와 수직블레이드가 격자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내부로 카트리지(45)를 장착한 트레이(20)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트레이(20)의 인출에 따라 수직블레이드가 트레이(20)를 향해 하향 전환되면서, 토출되는 공기에 향기가 혼합되는 구성을 갖는 향기발산모듈(100)이 설치되어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향기발산모듈(100)은, 함체형상을 갖고 상부로 고정축(21)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끼움부(22)가 구비되고, 일측면으로 캠안내부(23)가 형성된 트레이(20)와;
상기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 일측단에 축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동기어(32) 및 감속기어(33)로 형성된 구동부(30)와;
상기 트레이(20)의 후방에 양측에 결속되며, 구동부(30)의 감속기어(33)와 맞물려 트레이(20)를 전,후 이동시키는 레크부재(24)와;
상기, 트레이(20)의 끼움부(22)로 삽입되며, 케이스(41) 상단의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도어(43)의 동작으로 케이스(41)의 유입홀(41a) 및 배출홀(41b)을 차폐하도록 하는 향기결속체(40)와;
상기 트레이(20) 상단의 고정축(21)에 몸체 중앙부가 축지되고, 일측단으로 향기결속체(40)의 도어(43) 상부와 결합되며, 다른 일단으로 안내돌기(51)가 형성된 도어암(50)과;
몸체 상단 일측으로 수직블레이드의 하단이 축지되고, 상기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몸체 하부의 오목한 가이드레일(61)에 끼워져 트레이(20) 상단부에서 하우징(11)과 결합된 레일커버(60)와;
몸체 전방으로 카트리지 삽입홀(71)이 형성되며, 레일커버(60) 상부에서 크트레이(20)와 결합되는 트레이커버(70)와;
레일커버(60)의 일측면에 축지되어, 트레이(20)의 캠안내부(23)를 따라 캠운동되는 단속암(80)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부에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되며, 향기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레이의 1차인출에 따라 에어벤트의 공기흐름에 향기를 혼합시켜 차실내로 방향제가 빠르게 퍼지며, 트레이의 2차 인출 시 수평블레이드가 최하향모드로 고정되면서 공기흐름으로 차량 내부를 쾌적하게 함과 아울러 향기카트리지의 리필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에어컨과 히터가 설치되어 실내, 외의 공기를 순환 및 정화시키거나 차실 내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공기 이동통로를 갖는 에어덕트가 구비된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실내의 패널에 에어덕트의 토출부와 연결된 에어벤트가 설치되어, 차량에 승차한 운전자 및 탑승객이 더위 또는 추위를 느끼지 않고 쾌적한 상태로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에어컨 및 히터 바람을 승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하도록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벤트는, 통상적으로 전후가 개방된 사각형의 케이스에 다수의 수평 블레이드(horizontal Blade)와 수직 블레이드(vertical blade)가 격자형태로 겹쳐지게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이들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토출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 내에는 자동차 자체의 차 냄새와 좁은 공간이므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냄새로 인해 차량에 탑승하는 운전자나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였다.
또, 차실내에서 가장 냄새가 많이 발생되는 실내하부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수평블레이드를 하부로 향하게 하였으나, 날개타입의 기구적인 문제점으로 인해 최하부로의 송풍방향에 제한이 발생되어 효과적인 환기를 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든 차량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위에 향기를 발산하는 방향제 제품을 구입하여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컵홀더에 단순히 놓고 탑승객에게 신선하고 향기로운 공기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향제 제품은 교체 시기가 되어 접착 고정된 방향제를 인스트루먼트 패널로부터 제거하면 접착제 자국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남아 지저분해지는 등의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방향제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부착되므로 인해 리어 시트에 승차한 승객은 방향성의 효과를 크게 볼 수 없게 되며, 호기심 많은 아이들로부터 쉽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독성 물질로 인하여 안전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차량 사고 시 충격 또는 이탈되면서 2차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차실내부의 공기오염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에어벤트 하우징에 향기발산장치가 일체 로 구비되어, 차실 내부에 신속하게 향기를 발산시키면서 동시에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어벤트에 결합된 향기발산장치의 인출에 따라 향기발산 및 카트리지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기발산장치의 인출에 따라 에어벤트의 수평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최하단부로 풍향을 전환시켜, 차실내부의 공기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개방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에 다수의 수평블레이드(12)와 수직블레이드가 격자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내부로 카트리지(45)를 장착한 트레이(20)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트레이(20)의 인출에 따라 수직블레이드가 트레이(20)를 향해 하향 전환되면서, 토출되는 공기에 향기가 혼합되는 구성을 갖는 향기발산모듈(100)이 설치되어 달성한다.
그리고, 상기 향기발산모듈(100)은, 함체형상을 갖고 상부로 고정축(21)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끼움부(22)가 구비되고, 일측면으로 캠안내부(23)가 형성된 트레이(20)와;
상기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 일측단에 축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동기어(32) 및 감속기어(33)로 형성된 구동부(30)와;
상기 트레이(20)의 후방에 양측에 결속되며, 구동부(30)의 감속기어(33)와 맞물려 트레이(20)를 전,후 이동시키는 레크부재(24)와;
상기, 트레이(20)의 끼움부(22)로 삽입되며, 케이스(41) 상단의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도어(43)의 동작으로 케이스(41)의 유입홀(41a) 및 배출홀(41b)을 차폐하도록 하는 향기결속체(40)와;
상기 트레이(20) 상단의 고정축(21)에 몸체 중앙부가 축지되고, 일측단으로 향기결속체(40)의 도어(43) 상부와 결합되며, 다른 일단으로 안내돌기(51)가 형성된 도어암(50)과;
몸체 상단 일측으로 수직블레이드의 하단이 축지되고, 상기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몸체 하부의 오목한 가이드레일(61)에 끼워져 트레이(20) 상단부에서 하우징(11)과 결합된 레일커버(60)와;
몸체 전방으로 카트리지 삽입홀(71)이 형성되며, 레일커버(60) 상부에서 크트레이(20)와 결합되는 트레이커버(70)와;
레일커버(60)의 일측면에 축지되어, 트레이(20)의 캠안내부(23)를 따라 캠운동되는 단속암(8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벤트의 하부에 향기발산모듈이 장착되어 공기순환 시 차실내부에 신속하게 향기를 발산하게 되므로,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에어벤트의 풍향영역을 확장시키며, 향기카트리지를 교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비용절감과 함께 상품성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향기발산모듈의 향기 농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차실내부환경을 조성해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인 향기발산모듈이 1차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본 발명인 향기발산모듈이 2차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향기결속체의 분해 사시도.
도 4a~4b는 향기결속체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향기발산모듈의 다른 일측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6c는 본 발명인 향기발산모듈의 인출시 캠곡면을 따라 수평블레이드의 동작을 제한하는 단속암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 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는, 에어벤트의 하우징 내부에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되며, 향기카트리지가 장착된 트레이의 1차인출에 따라 에어벤트의 공기흐름에 향기를 혼합시켜 차실내로 방향제가 빠르게 퍼지며, 트레이의 2차 인출 시 수평블레이드가 최하향모드로 고정되면서 공기흐름으로 차량 내부를 쾌적하게 함과 아울러 향기카트리지의 리필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와 같이 에어벤트(10)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에 다수의 수평블레이드(12)와 수직블레이드가 격자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공기의 풍향을 조절해 송풍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 하부에는 송풍되는 공기에 향기가 혼합되도록 향기발산모듈(100)이 결합되어 일체형상으로 구성된다.
즉, 에어벤트(10)의 하부에는 도 1a와 같이 1차 인출되거나, 도 1b와 같이 2차 인출되어지는 향기발산모듈(100)의 동작으로 에어벤트(10)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향기를 혼합하거나 공기만을 토출시켜, 차실내부에 향기가 포함된 공기가 순환되면서 쾌적한 실내환경을 갖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 향기발산모듈(100)은, 도 2에서와 같이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내부에서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트레이(20)와, 이 트레이(20)를 전,후 이송시키는 구동부(30)와, 트레이(20)에 결합되는 향기결속체(40)와, 트레이의 인출상태에 따라 수평블레이드(12)를 단속하는 단속암(80)으로 크게 구성된다.
즉, 상기 트레이(20)는 함체형상을 갖고 상부로 고정축(21)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끼움부(22)가 구비되고, 일측면으로 캠안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 일측면으로 구동부(30)가 형성되며, 이 구동부(30)는,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동기어(32) 및 감속기어(33)가 일측에 구성되고, 다른 일측부에는 감속기어(33) 만이 축결합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0)의 양측 후방에는, 레크부재(24)가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구동부(30)의 감속기어(33)와 상호 맞물려 구동부(30)의 동력을 이용해 트레이(20)가 전,후 이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구동부(30)는 제어부(도면 미도시)의 전기신호에 따라 트레이(20)의 인출거리를 1차 및 2차로 구분해 전,후 이동시키게 한다.
상기, 트레이(20)의 전방에 형성된 끼움부(22)에는 향기결속체(40)가 삽입되도록 하며, 이 향기결속체(40)는, 전방이 개방된 함체인 케이스(41) 상단에 고정된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도어(43)의 동작으로 케이스(41)몸체에 형성된 유입홀(41a) 및 배출홀(41b)을 차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향기결속체(40)의 몸체전방으로 카트리지(45)가 끼워지도록 하며, 에어벤트(10)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홀(41a)을 지나 배출홀(41b)로 통과되는 과정에서 카트리지에 수용된 향기와 송풍공기와 혼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도어(43)는 몸체 상부로 이송돌기(43a)를 돌출 형성시켜, 트레이(20) 상단에 구비된 고정축(21)에 몸체 중앙부가 축지된 도어암(50)의 전방부가 이송돌기(43a)에 결합되도록 한다.
또, 상기 도어암(50)의 다른 일단부에는 안내돌기(51)를 형성하고, 트레이(20) 상단에서 도어암(50)을 덮는 레일커버(60)의 몸체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레일(6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도어암(50)은 몸체 중앙이 고정축(21)에 축지된 상태에서, 이 고정축을 중심으로 양끝단부가 좌우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레일커버(60)의 상단부에서 트레이(20)와 결합되는 트레이커버(70)는, 몸체 전방으로 카트리지 삽입홀(71)이 형성되어 트레이(20)상부에서 내부 구성품을 보호한 상태에서 카트리지(45)만을 교체할 수 잇도록 하였다.
그리고, 트레이(20) 상단에 위치되어 하우징(11)에 몸체가 결속된 레일커버(60)는, 상단 일측으로 다수개인 수직블레이드의 하단이 축지되어지며, 상기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몸체 하부의 오목한 가이드레일(61)에 끼워져 구성된다.
따라서, 트레이(20)의 인출에 따라 향기결속체(40) 및 도어암(50)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레일커버(60)의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안내되면서, 도어암(50)의 다른 일단과 결합된 도어(43)를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레일커버(60)의 가이드레일(61)은 도어암(50)과 같이 대칭된 형상을 갖고, 몸체 도 3에서와 같이 닫힘구간(C)과 열림구간(O), 닫힘구간(C)이 순서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도 4a와 같이 트레이(20)가 1차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어암(50)의 이송돌기(43a)가 열림구간(O)에 위치되어 유입홀(41a)과 배출홀(41b)을 개방시켜, 에어벤트(10)를 지난 송풍공기와 카트리지(45)의 향기가 혼합되어 배출될 수 있다.
또, 도 4b와 같이 트레이(20)가 2차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어암(50)의 이송돌기(43a)가 닫힘구간(C)에 위치되어 유입홀(41a)과 배출홀(41b)을 폐쇄되어 송풍공기만이 토출되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서와 같이 레일커버(60)의 일측면에는 단속암(80)이 축지되어, 트레이(20)의 캠안내부(23)를 따라 캠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6a에서와 같이 트레이(20)가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단속암(80)이 캠안내부(23)의 최하점에 위치되어 수평블레이드(12)에 링크조립된 지지대(14)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게 되어 사용자 임의로 수평블레이드(12)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 도 6b와 같이 트레이(20)가 1차 인출되면, 단속암(80)이 캠안내부(23)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수평블레이드(12)의 지지대(14)하단과 맞닿게 되며, 도 4b의 개방된 향기결속체(40)로 송풍공기를 공급해 향기와 혼합되도록 하였다.
이때, 트레이(20)의 단속암(80)은, 수평블레이드(12)의 방향조절을 단속하지 않으므로, 상,하 방향을 조절하면서 향기가 혼합된 공기를 차실내로 송풍되도록 해 차실내부의 쾌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도 6c와 같이 트레이(20)가 2차 인출되면, 단속암(80)이 캠안내부(23)의 최상단부에 위치되면서, 수평블레이드(12)의 지지대(14) 하단을 최대로 밀어올려 극하향모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20)가 2차 인출되면, 도 4a와 같이 향기결속체(40)는 폐쇄된 상태를 갖고 있어, 송풍공기만이 차실내부의 극하향모드로 토출되도록 함으로써, 내부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였다.
이때, 수평블레이드(12)의 지지대(14)는 단속암(80)에 의해 극하향모드로 잠겨지므로, 풍향영역 확대로 인한 공기순환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에어벤트 11 - 하우징
12 - 수평블레이드 20 - 트레이
21 - 고정축 23 - 캠안내부
24 - 레크부재 30 - 구동부
33 - 감속기어 40 - 향기결속체
41 - 케이스 42 - 안내축
43 - 도어 50 - 도어암
51 - 안내돌기 60 - 레일커버
61 - 가이드레일 70 - 트레이커버
80 - 단속암 100 - 향기발산모듈
C - 닫힘구간 O - 열림구간

Claims (6)

  1. 개방된 함체 형상의 하우징(11)에 다수의 수평블레이드(12)와 수직블레이드가 격자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송풍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에어벤트(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내부로 카트리지(45)를 장착한 트레이(20)가 인출가능하게 수납되고, 상기 트레이(20)의 인출에 따라 수직블레이드가 트레이(20)를 향해 하향 전환되면서, 토출되는 공기에 향기가 혼합되는 구성을 갖는 향기발산모듈(10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모듈(100)은, 함체형상을 갖고 상부로 고정축(21)이 형성되며, 전방으로 수용공간을 갖는 끼움부(22)가 구비되고, 일측면으로 캠안내부(23)가 형성된 트레이(20)와;
    상기 에어벤트(10)의 하우징(11) 일측단에 축결합되며, 구동모터의 동력으로 회전하는 회동기어(32) 및 감속기어(33)로 형성된 구동부(30)와;
    상기 트레이(20)의 후방에 양측에 결속되며, 구동부(30)의 감속기어(33)와 맞물려 트레이(20)를 전,후 이동시키는 레크부재(24)와;
    상기, 트레이(20)의 끼움부(22)로 삽입되며, 케이스(41) 상단의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도어(43)의 동작으로 케이스(41)의 유입홀(41a) 및 배출홀(41b)을 차폐하도록 하는 향기결속체(40)와;
    상기 트레이(20) 상단의 고정축(21)에 몸체 중앙부가 축지되고, 일측단으로 향기결속체(40)의 도어(43) 상부와 결합되며, 다른 일단으로 안내돌기(51)가 형성된 도어암(50)과;
    몸체 상단 일측으로 수직블레이드의 하단이 축지되고, 상기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몸체 하부의 오목한 가이드레일(61)에 끼워져 트레이(20) 상단부에서 하우징(11)과 결합된 레일커버(60)와;
    몸체 전방으로 카트리지 삽입홀(71)이 형성되며, 레일커버(60) 상부에서 크트레이(20)와 결합되는 트레이커버(70)와;
    레일커버(60)의 일측면에 축지되어, 트레이(20)의 캠안내부(23)를 따라 캠운동되는 단속암(8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향기결속체(40)는, 트레이(20)의 1차 인출에 따라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레일커버(60)의 가이드레일(61) 열림구간(O)으로 이동되면서, 도어암(50)의 다른 일단에 축지된 도어(43)를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시켜 유입홀(41a) 및 배출홀(41b)을 개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향기결속체(40)는, 케이스(41)의 2차 인출에 따라 도어암(50)의 안내돌기(51)가 레일커버(60)의 가이드레일(61) 닫힘구간(C)으로 이동되면서, 도어암(50)의 다른 일단에 축지된 도어(43)를 안내축(42)을 따라 수평이동시켜 유입홀(41a) 및 배출홀(41b)을 폐쇄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모듈(100)의 트레이(20)가 1차 인출되면, 레일커버(60)의 단속암(80)이, 트레이(20)의 캠안내부(23)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수평블레이드(12)와 링크조립된 지지대(14)의 하단부와 맞닿은 상태를 갖고, 수평블레이드(12)는 회전가능한 상태로 유지됨을 특징으로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향기발산모듈(100)의 트레이(20)가 2차 인출되면, 레일커버(60)의 단속암(80)이, 캠안내부(23)의 끝단으로 이동되어 수평블레이드(12)와 링크조립된 지지대(14)의 하단부를 상부로 더욱 밀어올려 수평블레이드(12)가 극하향 모드를 갖고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KR1020100134554A 2010-12-24 2010-12-24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KR101201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54A KR101201666B1 (ko) 2010-12-24 2010-12-24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554A KR101201666B1 (ko) 2010-12-24 2010-12-24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692A true KR20120072692A (ko) 2012-07-04
KR101201666B1 KR101201666B1 (ko) 2012-11-14

Family

ID=4670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554A KR101201666B1 (ko) 2010-12-24 2010-12-24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50968B2 (en) 2015-11-11 2019-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 vent register for a vehicle
US10442275B2 (en) 2016-07-0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nt register with hollow actuator carrying a fragrance 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155B1 (ko) 2001-04-12 2003-05-09 조성호 수납식 송풍그릴 프레임을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KR100445700B1 (ko) 2003-03-05 2004-08-25 조성호 분리된 그릴 프레임과 수납부를 갖는 자동차용 송풍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666B1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54328A1 (zh) 集成式车载香氛总成
CN107031350B (zh) 用于车辆的通风孔调风器
CN111267576A (zh) 车室气流形成装置
JP2009133603A (ja) 空気調和機
JP5594721B2 (ja) 収納キャビネット
KR101201666B1 (ko) 향기발산모듈이 구비된 에어벤트
JP2010188993A (ja) 車内空気調節装置
JP5060445B2 (ja) 車両用静電霧化システム
KR20150125749A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리어 공조장치
CN107206869A (zh) 用于将可移除盒体固定在壳体中的系统
KR100992578B1 (ko) 차량용 음이온 발생기
KR20100069918A (ko) Havc 모듈 내부의 공기 정화장치
KR20150089420A (ko) 광촉매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6660604B2 (ja) 送風装置
US20070178821A1 (en) Vehicle airflow system
KR20230004023A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0973358B1 (ko) 에어벤트의 공기흐름을 이용한 향기 발산 장치
JP201424025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15884B1 (ko) 차량용 향기 발산장치
KR20150033712A (ko) 공기 조화기
JPH0456625A (ja) フレグランスコントローラ
JP5594679B2 (ja) 収納装置
KR101351783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5824610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WO2011037016A1 (ja) パネ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