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3712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3712A
KR20150033712A KR1020157002821A KR20157002821A KR20150033712A KR 20150033712 A KR20150033712 A KR 20150033712A KR 1020157002821 A KR1020157002821 A KR 1020157002821A KR 20157002821 A KR20157002821 A KR 20157002821A KR 20150033712 A KR20150033712 A KR 20150033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t
air
water
pin
electro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츠로 오자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50033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3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perfuming or deodori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5/00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Spray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harging the spray electrically; Apparatus for spra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other electric means
    • B05B5/02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 B05B5/0255Discharge apparatus, e.g. electrostatic spray guns spraying and depositing by electrostatic for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정전 무화 장치를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분출구까지의 사이에 탑재하고, 이 정전 무화 장치는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방출부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갖고, 흡수한 물을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공기 조화기에서는, 위생적 관점에서, 예를 들어 탈취 작용 및 제균 작용 등을 발휘하는 공기 청정 기능을 구비한 것이 고려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정전 무화 장치가 발생시키는 미스트에 의해 공기 청정 기능을 실현하는 구성이 고려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정전 무화 장치는, 미스트로서 방출하기 위한 물의 공급원으로서 펠체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펠체 소자는 고가이기 때문에 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또한, 펠체 소자에 의한 냉각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방열 핀 등의 방열 기구가 필요해지고, 따라서,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어 설치 스페이스가 제한되어 버린다.
일본 특허 제4701746호 공보
본 실시 형태는 정전 무화 장치의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정전 무화 장치를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분출구까지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탑재한다. 이 정전 무화 장치는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방출부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갖고, 흡수한 물을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 2는 정전 무화 장치를 분해해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정전 무화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정전 무화 장치의 정면도.
도 5는 정전 무화 장치의 저면도.
도 6은 정전 무화 장치의 좌측면도.
도 7은 정전 무화 장치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4의 A-A 선을 따르는 정전 무화 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도 4의 B-B 선을 따르는 정전 무화 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정전 무화 장치 및 그 주변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정전 무화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정전 무화 장치의 단면도
(제1 실시 형태)
이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 조화기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 조화기는 실내에 설치된 실내기(10)와, 실외에 설치되고, 이 실내기(10)에 냉매 배관을 개재해서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내기(10)는, 실내기 하우징(11) 내에, 열교환기(13)나 횡류 팬(14)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 하우징(11)의 상부에는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 하우징(11) 내에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5)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기 하우징(11)의 하부에는, 실내기 하우징(11) 내에 흡입된 공기를 실내에 분출하기 위한 공기 분출구(16)가 마련되어 있다. 실내기(10)는 횡류 팬(14)의 송풍 작용에 의해, 실내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15)로부터 흡입하고, 그 공기를 열교환기(13)에서 열교환하여, 공기 분출구(16)로부터 분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기 분출구(16)에는 수직 루버(17)와, 후방측 수평 루버(18) 및 전방측 수평 루버(19)가 전후 방향에 설치되어 있다.
수직 루버(17)는 실내기(10)의 좌우 방향을 따라서 복수 배치되어 있고, 좌우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수직 루버(17)는 공기 분출구(16)로부터 분출하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는 풍향판, 즉 좌우 풍향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후방측 수평 루버(18) 및 전방측 수평 루버(19)는 실내기(1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상의 부재이며,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들 후방측 수평 루버(18) 및 전방측 수평 루버(19)는 공기 분출구(16)로부터 분출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풍향판, 즉 상하 풍향판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이 실내기(10)는 상기 실내기(1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하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에 기초하여, 냉방, 난방, 제습 등의 공기 조화 운전, 실내 공기의 제균 및 탈취를 행하는 공기 청정 운전, 실내기(10)의 내부를 청소하는 클리닝 운전 등 다양한 운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실내기(10)는 정전 무화 장치(2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정전 무화 장치(21)는 실내기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열교환기(13)의 전방부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이 정전 무화 장치(21) 및 그 주변 부분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 정전 무화 장치(21)는 그 이면측이 열교환기(13)의 전방면에 대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전 무화 장치(21)는 미스트 발생부(22), 전극(23) 등을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미스트 발생부(22)는 방전 전극 부재(24)를 구비한다. 이 경우, 방전 전극 부재(24)는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핀 케이스(31)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각각 흡수성 및 보수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 예를 들어 섬유 형상의 폴리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펠트재로 형성된 것으로, 전체로서 원기둥 형상이지만, 그 선단부가 둥그스름한 핀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의 선단부가 미스트 방출부를 구성하고,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중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급수부를 구성한다. 또한, 1개의 부재를 포함하는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의 선단부가 미스트 방출부를 구성하고,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 중 선단부 이외의 부분이 급수부를 구성한다. 즉,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각각 그 전체가 동일한 부재를 포함하며, 이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서 선단측의 미스트 방출부는 각각 기단부측의 급수부의 일단부에 이음매 없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흡수성 및 보수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주위의 분위기 습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공기 중의 수분을 자발적으로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발휘한다. 이러한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로서는, 예를 들어 공기 중의 수분을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흡수해서 용해하는 조해성 물질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조해성 물질로서 인산계의 고분자인 폴리인산 칼륨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함침되어 있다. 이에 의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각각 미스트 방출부 및 급수부를 포함하는 전체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가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조해성 물질로서 폴리인산 칼륨을 함침시킨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 즉 방전 전극 부재(24)는, 예를 들어 주위의 온도가 5℃이고 습도가 40%를 초과하면 주위의 공기 중으로부터의 흡수를 개시한다. 이 경우, 주위의 습도를 40 내지 50% 정도로 유지함으로써, 방전 전극 부재(24)의 흡수 작용이 안정적으로 계속되게 된다. 이와 같이, 방전 전극 부재(24)에 함침시킨 물질의 특성에 따라서 주위의 온도나 습도를 조정함으로써, 방전 전극 부재(24)의 흡수 개시 조건을 컨트롤할 수 있고, 또한 방전 전극 부재(24)의 흡수 작용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 부재(24)에 함침하는 조해성 물질은 최대한 자연스럽게 정전 무화하기 어려운 물질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분자량 300 이상의 고분자를 채용하면 좋다. 이는,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등 저분자량의 조해성 물질이면, 상기 물질이 조해되었을 때에 방전 전극 부재(24)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정전 무화되어 방출되고, 서서히 조해성 물질의 함유량이 감소되어서 방전 전극 부재(24)의 자기 흡수성이 열화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분자량 300 이상의 조해성 물질은 적어도 1종이 방전 전극 부재(24)에 함침되어 있으면 좋고, 또한 분자량 300 이상의 조해성 물질을 적어도 1종 포함하는 것을 조건으로, 방전 전극 부재(24)에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조해성 물질을 함침시켜도 좋다. 따라서, 방전 전극 부재(24)에 분자량 300 이상(예를 들어 400 정도)의 조해성 물질과 분자량 300 미만(예를 들어 200 정도)의 조해성 물질을 함침시켜도 좋다.
분자량 200 정도의 조해성 물질만을 방전 전극 부재(24)에 함침시켰다고 하더라도, 그 조해성 물질은 정전 무화에 의해 방전 전극 부재(24)로부터 방출되기 쉽다. 그러나, 분자량 200 정도의 조해성 물질이어도, 분자량 300 이상의 조해성 물질과 함께 방전 전극 부재(24)에 함침시킴으로써, 그 저분자량의 조해성 물질이 방전 전극 부재(24)로부터 용출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방전 전극 부재(24)에 분자량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조해성 물질을 함침시킴으로써, 방전 전극 부재(24)의 자기 흡수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전 전극 부재(24)는 그 전체에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키지 않아도 좋고, 그 일부에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방전 전극 부재(24)는, 예를 들어 미스트 방출부에는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키지 않고, 상기 미스트 방출부 이외의 부분에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방전 전극 부재(24)는 선단측의 미스트 방출부와 기단부측의 급수부를 상이한 부재로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미스트 방출부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켜도 시키지 않아도 좋고, 또한 급수부를 구성하는 부재에는, 그 전부에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켜도 좋고, 그 일부에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켜도 좋다.
핀 케이스(31)는 그 거의 중앙부에 핀 지지용 구멍부(31a)를 갖고 있음과 함께, 이 구멍부(31a)보다도 양쪽 선단부측에 위치해서 동일하게 핀 지지용 지지부(3lb)를 갖고 있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각각 기단부측을 구멍부(31a)에 삽입하고, 선단부측을 지지부(3lb)에 끼워 넣음으로써, 핀 케이스(31)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핀 케이스(31)에 지지된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의 기단부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의 기단부는, 도 3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핀 케이스(31)의 이면(31e)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핀 케이스(31)의 이면(31e)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핀 케이스(31) 중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이 설치된 선단부측의 부분에는 실내기 하우징(11) 내에 개방하는 내부용 방출 구멍(31c)이 형성되어 있다.
핀 케이스(31)에 지지된 자기 흡수성을 갖는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 즉 방전 전극 부재(24)에는, 공기 중의 수분이 외부로부터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자발적으로 흡수된다. 이 경우, 방전 전극 부재(24) 중 핀 케이스(31)의 이면(31e)으로부터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흡수되기 쉽게 되어 있다. 그리고, 방전 전극 부재(24)에 흡수된 수분은 상기 방전 전극 부재(24) 내를 침투해서 선단부의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된다. 또한, 이 경우, 이 미스트 방출부는 자기 흡수성을 갖는 방전 전극 부재(24)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미스트 방출부 자체도 당연히 자기 흡수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미스트 방출부에는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수분, 바꾸어 말하면 급수부로부터 침투하는 수분 이외에, 상기 미스트 방출부 자신이 흡수한 수분도 포함된다.
전극(23)은 핀 케이스(31)에 설치된 전극 지지부(31d)에 지지된다. 전극(23)은 핀 케이스(31)의 전극 지지부(31d)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기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고전압 전원에 접속된다. 또한, 전극(23)은 그 선단부에 2개의 접촉부(23a)를 갖는다. 이들 접촉부(23a)는 각각 상하 방향에 대향해서 핀 케이스(31) 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편부를 가진 단면이 역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핀 케이스(31)에 유지된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표측으로부터 접촉한다. 또한, 이들 접촉부(23a)는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을 표측으로부터 유지하는 기능도 담당한다.
상기와 같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 및 전극(23)을 지지한 핀 케이스(31)의 표측에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는 핀 커버(32)가 설치된다. 이 핀 커버(32) 중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이 설치된 측의 부분에는, 도 1 및 도 10에 도시하는 덕트(33)에 연통 접속하는 외부용 방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덕트(33)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를 포함하며, 외부용 방출 구멍(32a)으로부터 실내기(10)의 공기 분출구(16)에 연장되어 있다. 이 경우, 덕트(33)는 파이프 형상으로 연장하는 본체부(33a)와, 이 본체부(33a)의 선단부에 설치된 노즐부(33b)를 포함한다. 또한, 이 핀 커버(32) 중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이 설치된 선단부측의 부분에는, 도 3부터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내부용 방출 구멍(3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정전 무화 장치(21)는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이 내부용 방출 구멍(31c) 및 내부용 방출 구멍(32b)을 통해서 실내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연통되고,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이 외부용 방출 구멍(32a) 및 덕트(33)를 통해서 공기 분출구(16)에 연통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핀 커버(32)의 전방부에는,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대향하는 위치에 공기 유입구(32c, 32d)를 갖고 있으며, 상기 횡류 팬(14)의 송풍 작용에 의해 실외기 본체(12) 내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이들 공기 유입구(32c, 32d)를 통해서 정전 무화 장치(21)의 내부에 흐르고,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측으로 흐르는 공기는, 내부용 방출 구멍(31c)을 통해서 실내기 하우징(11)의 내부에 공급되고, 한편,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 측으로 흐르는 공기는, 도 10에 에 화살표 a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용 방출 구멍(32a) 및 덕트(33)를 통해서 공기 분출구(16)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으로부터 내부용 방출 구멍(31c) 및 내부용 방출 구멍(32b)에 이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내부용 미스트 공급 경로부(100)로서 구성되고,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으로부터 외부용 방출 구멍(32a) 및 덕트(33)를 통해서 공기 분출구(16)에 이르는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외부용 미스트 공급 경로부(200)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핀 커버(32)의 하부에는 정전 무화 장치(21)의 이면측을 향해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도수부(32e)가 설치되어 있으며, 방전 전극 부재(24)에 물이 과잉으로 흡수된 경우에는, 도 10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방전 전극 부재(24)로부터 넘쳐서 적하되는 물이 상기 도수부(32e)로부터 무리없이 흘러나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수부(32e)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은, 열교환기(13)로부터의 드레인수를 받기 위해서 상기 열교환기(13)의 하방에 설치된 드레인 팬(41)으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즉, 방전 전극 부재(24)는 드레인 팬(41)의 상방, 나아가 도수부(32e)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상방」이란 바로 위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드레인 팬(41)의 상방이란, 드레인 팬(41)보다도 높은 위치라면, 드레인 팬(41)의 바로 위로부터 어긋난 위치도 포함하며, 도수부(32e)의 상방이란, 도수부(32e)보다도 높은 위치라면 도수부(32e)의 바로 위로부터 어긋난 위치도 포함한다. 또한, 이 경우, 도수부(32e)의 기울기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10도 정도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 기울기는 적절히 변경해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핀 커버(32)에는 상기 전극(23)을 덮는 전극 커버부(32f)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정전 무화 장치(21)는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전원으로부터 전극(23)에 고전압(예를 들어, -6kV)을 인가함으로써, 이 전극(23)을 통해서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고전압을 인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은, 공기 중으로부터 흡수한 물을 포함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의 선단부에 전하가 집중되면, 상기 선단부에 포함되는 물에 표면 장력을 초과하는 에너지가 부여된다. 이에 의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의 선단부의 물이 분열(레일리 분열)되어, 상기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의 선단부로부터 물이 무화되어서 미스트 형상으로 방출되게 된다. 즉, 정전 무화 현상이 발생한다.
여기서, 미스트 형상으로 방출된 물 입자는 대전되어 있으며, 그 에너지에 의해 생성된 히드록시라디칼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강한 산화 작용을 갖는 히드록시라디칼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으로부터 미스트와 함께 방출되도록 되어, 이 히드록시라디칼의 작용에 의해 제균 및 탈취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으로부터 방출된 히드록시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스트는, 내부용 미스트 공급 경로부(100)를 통해서 상기 미스트 공급 경로부(100) 내를 흐르는 공기와 함께 실내기(10)의 내부에 공급되고, 또한 외부용 미스트 공급 경로부(200)를 통해서 상기 미스트 공급 경로부(200) 내를 흐르는 공기(도 10 중, 화살표 a 참조)와 함께 공기 분출구(16)로부터 실내기(10)의 외부에 공급된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21)는 대전된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전극, 즉 대향 전극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경우, 상기 정전 무화 장치(21)가 설치되는 실내기(10)에서, 어스선 등을 통해서 접지되는 부재, 예를 들어 실내기(10)의 금속제의 하우징이, 대전된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대응하는 다른 쪽의 전극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정전 무화 장치(21)는 고전압 전원으로부터의 고전압에 의해 대전된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에 대응하는 대향 전극을, 이들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의 근방에 설치하지 않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로 인해,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으로부터의 방전 자체가 매우 완만해져, 코로나 방전의 발생이 없고, 따라서, 예를 들어 오존 혹은 상기 오존이 공기 중의 질소를 산화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질소산화물, 아질산, 질산 등 유해 가스의 발생이 억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21)는 방전 전극 부재(24)의 선단부, 즉 미스트 방출부에 대한 대향 전극을 방전 전극 부재(24)의 근방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21)는 방전 전극 부재(24)에 백금을 담지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구성의 실내기(10)에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는 실내기(10)가 공기 청정 운전 중인 경우에는, 정전 무화 장치(21)를 구동한다. 즉, 정전 무화 장치(21)의 전극(23)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내부용 미스트 방출 핀(24a) 및 외부용 미스트 방출 핀(24b)으로부터 히드록시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스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정전 무화 장치(21)는 실내기(10)가 공기 청정 운전 중인 경우에는, 발생된 미스트를 내부용 미스트 공급 경로부(100)를 통해서 실내기(10)의 내부에 공급함과 함께, 외부용 미스트 공급 경로부(200)를 통해서 실내기(10)의 공기 분출구(16)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 공기 청정 운전을 실행함으로써, 실내기(10)의 내부에서도 외부에서도 균의 발생 및 냄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21)는 미스트로서 방출하기 위한 물로서, 공기 중으로부터 흡수한 물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물의 공급원으로서 펠체 소자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또한 이러한 펠체 소자가 불필요한 점에서 펠체 소자에 의한 냉각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방열 기구를 구비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정전 무화 장치(21)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정전 무화 장치(21)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가 한정된 공기 조화기의 내부에서, 정전 무화 장치(21)의 설치 위치의 자유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정전 무화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다. 이하, 상이한 점만을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전 무화 장치(51)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 등의 절연성 재료를 포함하는 케이스(52)의 내부에 방전 전극 부재(54)를 구비한다.
이 방전 전극 부재(54)도 흡수성 및 보수성을 갖는 다공질 재료에 자기 흡수성을 갖는 물질을 함침시킨 것이며, 따라서, 주위 분위기의 습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공기 중의 수분을 자발적으로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발휘한다. 이 경우, 방전 전극 부재(54)는 그 선단부측(미스트 방출부측)이 높고 기단부측(급수부측)이 낮아지도록 경사된 상태에서, 케이스(52)의 내부에 설치된 지지부(52a)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지지된 방전 전극 부재(54)의 기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전극이 접촉되어 있으며, 이 전극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고전압 전원으로부터 고전압이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52)는 또한 커버부(52b)와 물받이부(52c)를 구비한다. 커버부(52b)는 케이스(52)의 본체 부분으로서 구성된 용기 형상의 부분이며, 이 경우, 케이스(52) 내의 방전 전극 부재(54)의 전체를 덮고 있다. 또한, 커버부(52b)는 방전 전극 부재(54)의 전체를 덮는 것은 아니며, 방전 전극 부재(54) 중 적어도 급수부를 덮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정전 무화 장치(51)는, 예를 들어 방전 전극 부재(54) 중 급수부를 제외한 부분, 즉 선단부의 미스트 방출부가 커버부(52b)에 의해 덮이지 않고 케이스(52)로부터 돌출된 구성으로 해도 좋다.
물받이부(52c)는 케이스(52)의 내부가 지지부(52a)에 의해 구획되어 있음으로써 형성된 용기 형상의 부분이며, 커버부(52b)보다도 용적이 작고, 케이스(52) 내에 지지된 방전 전극 부재(54)의 기단부, 즉 급수부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2)의 측벽부 중 물받이부(52c)를 구성하지 않는 부분에는, 케이스(5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 구멍(5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2)의 측벽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52e)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정전 무화 장치(51)는, 공기 분출구(16)를 구성하는 벽부(16a)에 설치된 설치부(16b)에 돌출부(52e)를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공기 분출구(16) 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정전 무화 장치(51)에서는, 케이스(52)의 외부 공기, 즉 공기 분출구(16) 내에 존재하는 공기가 연통 구멍(52d)을 통해서 케이스(52)의 내부에 유입되고, 방전 전극 부재(54)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방전 전극 부재(54)에 접촉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이 상기 방전 전극 부재(54)에 흡수되어, 선단부의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된다.
그리고, 방전 전극 부재(54)에 물이 포함된 상태에서, 상기 방전 전극 부재(54)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방전 전극 부재(54)의 선단부, 즉 미스트 방출부로부터 히드록시라디칼을 포함하는 미스트가 발생한다. 그리고, 발생한 미스트는 연통 구멍(52d)을 통해서 케이스(52)의 외부로 방출되고, 공기 분출구(16) 내를 흐르는 공기와 함께 실내로 분출된다. 또한, 연통 구멍(52d)은 공기 분출구(16) 내를 흐르는 공기의 방향에 대한 정전 무화 장치(51)의 설치 방향에 따라서, 공기의 유입 구멍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고, 공기 및 미스트의 방출 구멍으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공기 분출구(16) 내를 흐르는 공기(화살표 c 참조)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연통 구멍(52d)은 주로 공기의 유입 구멍으로서 기능하고, 그 이외의 연통 구멍(52d)은 주로 공기 및 미스트의 방출 구멍으로서 기능한다(화살표 d 참조). 또한, 정전 무화 장치(51)의 설치 방향에 관계없이, 공기 분출구(16) 내를 공기가 흐르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모든 연통 구멍(52d)이 공기의 유입 구멍 및 유출 구멍을 겸용하는 구멍으로서 기능한다.
이 정전 무화 장치(51)도 미스트로서 방출하기 위한 물로서, 공기 중으로부터 흡수한 물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펠체 소자나 방열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정전 무화 장치(51)의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실시 형태의 공기 조화기는, 정전 무화 장치를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분출구까지의 사이 중 어느 한 위치에 탑재한다. 이 정전 무화 장치는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방출부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갖고, 흡수한 물을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스트 방출부에 물을 공급하는 펠체 소자나, 펠체 소자에 의한 냉각 효과를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한 방열 기구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정전 무화 장치의 저비용화 및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조화기에서, 정전 무화 장치의 탑재 위치는 적절히 변경해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공기에 접촉하기 쉬운 위치, 예를 들어 실내기(10)의 공기 흡입구(15)로부터 공기 분출구(16)까지의 사이에서 적당한 위치를 선택해서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 형태를 조합해서 실시해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고 있다. 이들 신규의 실시 형태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8)

  1. 미스트를 방출하는 미스트 방출부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는 자기 흡수성을 갖고, 흡수한 물을 상기 미스트 방출부에 공급하는 급수부를 구비하는 정전 무화 장치를, 공기 흡입구로부터 공기 분출구까지의 사이에 탑재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인산계의 조해성 물질을 갖는, 공기 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조해성 물질로서 분자량 300 이상의 물질을 적어도 1종 갖는, 공기 조화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방출부는 상기 급수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이들 미스트 방출부 및 급수부에 의해 방전 전극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 부재의 전체에 상기 조해성 물질을 갖는, 공기 조화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 전극 부재의 일부에 상기 조해성 물질을 갖는, 공기 조화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드레인 팬보다도 상방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부로부터 넘친 물을 상기 드레인 팬으로 유도하는 도수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공기 분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급수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급수부의 하방에 설치된 물받이부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57002821A 2012-08-23 2013-08-07 공기 조화기 KR2015003371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84192 2012-08-23
JP2012184192A JP2014040977A (ja) 2012-08-23 2012-08-23 空気調和機
PCT/JP2013/071369 WO2014030539A1 (ja) 2012-08-23 2013-08-07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3712A true KR20150033712A (ko) 2015-04-01

Family

ID=5014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821A KR20150033712A (ko) 2012-08-23 2013-08-07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4040977A (ko)
KR (1) KR20150033712A (ko)
CN (1) CN104428596B (ko)
WO (1) WO20140305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1340B2 (ja) * 2016-08-31 2020-10-21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4294760A (zh) * 2022-01-06 2022-04-08 成都万物之成科技有限公司 空气消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43516A (ja) * 1991-01-23 1992-08-31 Fujitsu Ltd 除湿装置
JP2996319B2 (ja) * 1991-12-03 1999-12-27 河野製紙株式会社 高水分含有性を有するティッシュペーパー
JP4243516B2 (ja) * 2003-06-19 2009-03-25 日工株式会社 汚染土壌の浄化可能なアスファルトプラント
JP4535748B2 (ja) * 2004-03-03 2010-09-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浄化装置
JP2006316402A (ja) * 2005-01-17 2006-11-24 Masaki Kai 砂漠緑化用水分採取装置
JP4701746B2 (ja) * 2005-02-23 2011-06-1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能付き空気調和機
CN101314151A (zh) * 2007-05-28 2008-12-03 有限会社科技新领域 静电雾化装置
JP5330738B2 (ja) * 2008-05-27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
JP5523689B2 (ja) * 2008-09-30 2014-06-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空気調和機
US8556237B2 (en) * 2008-09-25 2013-10-15 Panasonic Corporation Reduced water mist generating device and electric apparatus
JP5156596B2 (ja) * 2008-11-25 2013-03-06 株式会社カンドー 被ライニング既設管路の穿孔部封止処理工法及び穿孔部封止処理治具
KR101177975B1 (ko) * 2009-02-16 2012-08-2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런드리 머신과 미스트 발생 장치
JP4818399B2 (ja) * 2009-06-15 2011-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静電霧化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1075164A (ja) * 2009-09-29 2011-04-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送風装置
KR101294874B1 (ko) * 2010-01-25 2013-08-0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정전 분무화 장치 및 전기 청소기
JP5366924B2 (ja) * 2010-12-15 2013-12-1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CN103391818A (zh) * 2011-01-21 2013-11-13 瑟拉夫特株式会社 释放销部件、气雾产生部件及使用其的静电雾化装置
JP4841699B2 (ja) * 2011-02-19 2011-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4010596A1 (ja) * 2012-07-09 2014-01-16 株式会社セラフト 潮解性成分含有ミスト放出ピン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静電霧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30539A1 (ja) 2014-02-27
CN104428596A (zh) 2015-03-18
JP2014040977A (ja) 2014-03-06
CN104428596B (zh) 2018-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8276B2 (ja) 空気調和機
JP2006288453A (ja) 空気処理装置
JP6272188B2 (ja) 超音波式加湿器
JP2008105613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JP5405943B2 (ja) 空気調和機
JP4966169B2 (ja) 送風装置
KR20150033712A (ko) 공기 조화기
JP7174584B2 (ja) 超音波加湿器
JP5834211B2 (ja) 送風装置
JP2007305436A (ja) イオン放出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節装置
CN216346867U (zh) 桌面空气处理器
CN102149977B (zh) 空调机
KR20160060438A (ko) 공기 청정 겸용 가습기
JP5109889B2 (ja) 空気調和機
JP2013236654A (ja) 脱臭装置、脱臭装置を備えたごみ収容体の収納装置
JP5919557B2 (ja) 送風装置
CN216409175U (zh) 桌面空调器
CN215062594U (zh) 加湿装置
JP2018048810A (ja) 超音波式加湿器
JP2013157169A (ja) イオン発生装置およびイオン発生方法
JP6527779B2 (ja) 加湿装置
JP2010164251A (ja) 空気調和機
WO2011037016A1 (ja) パネル装置
JP2014140788A (ja) 静電霧化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10065972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