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969U -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 Google Patents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969U
KR20110000969U KR2020090009554U KR20090009554U KR20110000969U KR 20110000969 U KR20110000969 U KR 20110000969U KR 2020090009554 U KR2020090009554 U KR 2020090009554U KR 20090009554 U KR20090009554 U KR 20090009554U KR 20110000969 U KR20110000969 U KR 201100009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odorant
fragrance
present
mou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전
Original Assignee
김용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전 filed Critical 김용전
Priority to KR2020090009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0969U/ko
Publication of KR201100009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9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芳香性, 좋은 향기를 내는 성질)을 가지는 방향제 혹은 탈취제가 수납된 방취제 용기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을 장착하여 활용성을 증대시킨 방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취장치는 방향제(140) 혹은 탈취제를 수용하는 방취제 용기(100)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130)이 부착 구비되어, 방취제 용기(100)의 상단에 휴대폰 등의 간단한 물건을 부착하여 거치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방취제 용기(100)의 상부 공간을 방치하지 않고 이용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방향제, 탈취제, 방향장치, 방취장치, 거치수단, 겔 패드, 컵홀더

Description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Deodorizing Apparatus having sticking means}
본 고안은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향성(芳香性, 좋은 향기를 내는 성질)을 가지는 방향제 혹은 탈취제가 수납된 용기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을 장착하여 활용성을 증대시킨 방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향제는 실내에 특정한 향을 발산시켜 실내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통상 자동차 실내나 화장실 등과 같이 거북한 또는 고약한 냄새가 나기 쉬운 공간이나 환기가 어려운 공간 혹은 유동인구가 많은 건물 실내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향제는 생활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단순히 거북한 냄새를 개선하는 수단을 넘어서 실내에 향기로운 냄새를 풍기게 하여 실내 향기를 쾌적하게 만들 수 있도록 다양한 종류의 향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정에서도 화장실뿐 아니라 거실 등 실내 향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방향제가 향기로운 냄새를 풍기며 실내 향기를 쾌적하게 하는 방취수단이라고 한다면, 탈취제의 경우 고약한 냄새를 흡착하여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는 방취수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방향제는 단순히 향기를 발산하는 수단으로, 탈취제는 냄새를 제거하는 수단으로 설치되므로 방취제 용기의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취제는 통상 방취제를 수납하기 위한 방취제 용기에 담겨서 실내의 일측 벽면이나 한쪽 구석에 설치되고, 특히 차량 실내에 장착되는 경우 방취제 용기의 하단에 양면 부착이 가능한 부착패드를 구비하여 차량 실내에 부착 설치하거나 혹은 방취제 용기를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장착수단을 구비하여 차량 실내에 설치한 다음 이러한 장착수단에 방취제 용기를 거치하게 된다.
그리고, 방취제 용기에 담긴 방취제가 모두 휘산되고 나면 새로운 방취제로 교체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방취제 용기를 제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방취제 용기를 떼어내면서 남은 부착패드가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음에 따라 지저분해지고 차량의 실내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또는, 별도의 장착수단을 설치함에 따른 추가 비용이 지출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방향제 또는 탈취제 등의 방취제가 수납되는 방취제 용기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을 부착하여, 방취제 용기의 상단부에 물건을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방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방향제(140) 또는 탈취제를 수용하는 방취제 용기(100)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130)이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취장치는 방취제가 수납되는 방취제 용기의 상단에 휴대폰 등의 간단한 물건을 부착하여 거치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이에 따라 방취제 용기의 상부 공간을 방치하지 않고 이용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 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방향장치는 방향제(140)와, 이 방향제(140)가 수납되는 방향제 용기(100) 및 이 방향제 용기(100)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거치수단(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거치수단(130)은 양면이 부착성을 가지는 겔 타입의 패드(이하 겔 패드라고 함)(130)로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겔 패드(130)는 양끝단에서 가운데 측으로 완만하게 도드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부착면(132)이 상기 방향제 용기(100)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겔 패드(130)에는 타측 부착면(131)을 덮을 수 있는 필름지(133)가 구비되어, 물건을 부착하지 않은 초기 겔 패드(130)의 부착면(131)을 덮어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겔 패드(130) 부착면(131,132)의 접착성분은 필름지(133) 및 물건이 탈 부착될 시 끈끈하게 점착되지 않는 성분으로 마련되고, 필름지(133) 및 물건이 반복적으로 탈부착되어도 물세척 혹은 간단하게 물티슈 등을 이용하여 세척할 수 있으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핸드폰 등의 물건을 탁부착하거나 혹은 물건을 부착하지 않을시 이물질이 묻어 겔 패드(130)의 부착면(131)의 점성이 저하되면 물세척을 한 다음, 겔 패드(130)에 물건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겔 패드(130)는 방향제(140)를 수납하는 방향제 용기(100)에만 설치가능한 것이 아니라 탈취제 등을 수납하는 용기에도 적용 가능함은 명백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방향제 용기(100)는 방향제(140)가 삽입되어 수납될 수 있는 면적 및 높이 즉, 공간을 가지는 수납용기(120)와, 이 수납용기(120)가 인입될 수 있는 용기커버(110)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수납용기(120)는 방향제(140)의 삽입을 위하여 상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용기커버(110)는 수납용기(120)의 외경에 상응하는 내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용기커버(110)는 수납용기(120)의 삽입이 가능하고 수납용기(120)의 개구된 상단을 커버할 수 있도록 하단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기(120)의 상단부 외벽면에는 걸림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용기커버(110)의 상단부 내벽면에는 끼움돌기(111)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걸림홈(121)은 수납용기(120)의 외주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혹은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끼움돌기(111)는 용기커 버(110)의 내주를 따라 호 형상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111)는 슬라이딩 삽입되는 수납용기(120)의 상단이 끼움돌기(111)를 지나서 진입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용기커버(110)의 내측에 수납용기(120)가 삽입되면서 상기 걸림홈(121)에 끼움돌기(111)가 걸려 끼움결합되고, 이를 위하여 끼움돌기(111)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는 용기커버(110)의 내주 상에 복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납용기(120)에 담긴 방향제(140)의 향기가 방향제 용기(100)의 외부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좋은 향기가 풍기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커버(110)의 내벽면의 상단부(혹은 최상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통공(1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커버(110)에 삽입되는 수납용기(120)에 의해 상기 통공(11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커버(110)의 내벽면에 하나 이상의 차단부(11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부(113)는 수납용기(120)가 더이상 용기커버(110)의 안쪽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진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차단부(113)는 상기 통공(115)과 끼움돌기(1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용기커버(110)의 상단부에 복수로 구성된 통공(115) 사이 혹은 통공(115)의 사이드 부분에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은 수납용기(120)와 용기커버(110)는 플라스틱 재질과 같은 탄성재질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 상기 걸림홈(121)이 용기커버(110)의 내벽면에 구비되 고, 상기 끼움돌기(111)가 수납용기(120)의 외벽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방향제(140)가 구비되는 방향장치를 실시예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취장치를 설명한 바, 방향제 용기(1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탈취제 용기에 방향제(140) 대신 탈취제를 구비하고, 이 탈취제 용기의 상단에 상기 겔 패드(130)를 부착설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즉, 본 고안은 방향제 혹은 탈취제 등과 같이 방취를 목적으로 하는 휘산성을 가진 기능성 물질이 담긴 방취제 용기(100)의 상단에 겔 패드(130)를 부착설치하여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 용기의 상단에 핸드폰을 부착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가 차량용 컵 홀더에 안치된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는 원터치로 수납용기(120)를 용기커버(110)의 내측으로 밀어넣으면 도 3과 같이 수납용기(120)의 걸림홈(121a)에 용기커버(110)의 끼움돌기(111)가 걸리면서 끼움결합되고, 차단부(113)에 의해 수납용기(120) 상단의 진입이 차단되어 용기커버(110)의 통공(115)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결합된 방향제 용기(100)의 상단에서 필름지(133)를 떼어낸 다음, 겔 패드(130)의 부착면(131)에 핸드폰(C) 등의 물건을 올려 부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의 방향제 용기(100)는 차량용 컵 홀더(H)에 장착가능한 사이즈로 마련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가능하다.
통상 자동차용 컵홀더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나 동승자가 차량 운행 중에 내용물이 담긴 종이컵이나 각종 음료수 용기를 간단히 올려놓고서 필요시마다 조금씩 내용물을 마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컵홀더는 탑승자가 컵을 거치해놓지 않는 경우 비활용 상태인 경우가 빈번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고 있지 않은 컵홀더(H)에 본 고안의 방향장치(P)를 안착시켜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차량용 컵홀더(H)에 본 고안의 방향장치(P)를 안착시켜 사용함으로써 방향제를 차량 내부에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 및 방향제 교체시의 번거로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방향제 용기(100)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130)을 구비함으로써, 방향제 용기(100)의 상단에 물건을 부착하여 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향제 용기(100)의 상단 공간을 방치하지 않고 이용하여 공간 활용성을 증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에 첨부된 청 구범위 안에 속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제 용기의 상단에 핸드폰을 부착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장치가 차량용 컵 홀더에 안치된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향제 용기(방취제 용기)
110 : 용기커버
111 : 끼움돌기
113 : 차단부
115 : 통공
120 : 수납용기
121 : 걸림홈
130 : 겔 패드
131,132 : 부착면
133 : 필름지
140 : 방향제

Claims (5)

  1. 방향제(140) 또는 탈취제를 수용하는 방취제 용기(100)의 상단에 부착성을 가지는 거치수단(130)이 부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취제 용기(100)는 방향제(140) 또는 탈취제가 수납되는 수납용기(120)와, 상기 수납용기(120)의 외벽면에 형성된 걸림홈(121)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돌기(111)를 가지는 용기커버(1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커버(110)의 내벽면에 돌출형성되는 차단부(113)가 상기 끼움돌기(111)의 상부에 배치되어, 용기커버(1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수납용기(120)의 진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130)은 일측 부착면(131)에 필름지(133)가 부착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130)은 양끝단에서 가운데 측으로 완만하게 도드라지는 형상을 가지는 겔 패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취장치.
KR2020090009554U 2009-07-22 2009-07-22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KR201100009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54U KR20110000969U (ko) 2009-07-22 2009-07-22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554U KR20110000969U (ko) 2009-07-22 2009-07-22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969U true KR20110000969U (ko) 2011-01-28

Family

ID=44206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554U KR20110000969U (ko) 2009-07-22 2009-07-22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09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72Y1 (ko) * 2011-10-10 2013-11-25 영 섭 신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072Y1 (ko) * 2011-10-10 2013-11-25 영 섭 신 차량용 전자기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291B2 (en) Air freshener canisters
US8177916B2 (en) Fragrance dissemination device
KR20130087522A (ko) 공기 청정 시스템
KR200388322Y1 (ko) 방향제 겸용 차량용 공기청정기
US20090064401A1 (en) Toilet Device With Improved Fragrance Delivery
KR20110000969U (ko) 거치수단을 가지는 방취장치
JP2014166249A (ja) 揮散装置
EP1432879B1 (en) A dispenser
KR102235420B1 (ko) 방향제 케이스
JP6444034B2 (ja) 空き部屋の消臭方法
KR20120044610A (ko) 소변기용 탈취장치
KR102452334B1 (ko) 차량용 전화번호 표시기
JP5036151B2 (ja) ヌメリ防除機能付排水口蓋
KR20170028109A (ko) 휴대 및 재충전이 가능한 카드 타입의 디퓨저 및 이를 포함하는 디퓨저 어셈블리
JP2003079712A (ja) 芳香剤・消臭剤容器
KR200296996Y1 (ko) 거치가 용이한 향 발현장치
KR102621608B1 (ko) 에어벤트 부착형 방향장치
KR200412943Y1 (ko) 방향제를 구비한 제습용기
KR200454647Y1 (ko) 탈취제 및 방향제 케이스
US7955552B1 (en) Car freshener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JP3043595U (ja) 消臭具
KR0115107Y1 (ko) 방향제 수납홈이 부착된 선 바이저
KR200433641Y1 (ko) 암염을 이용한 탈취장치
JP3092074U (ja) 高機能匂い分解消臭器
KR200229203Y1 (ko) 서랍식 방향제 수납부를 갖는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