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0986B1 -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0986B1
KR102620986B1 KR1020230023567A KR20230023567A KR102620986B1 KR 102620986 B1 KR102620986 B1 KR 102620986B1 KR 1020230023567 A KR1020230023567 A KR 1020230023567A KR 20230023567 A KR20230023567 A KR 20230023567A KR 102620986 B1 KR102620986 B1 KR 102620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unit
pulley
transport
ho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3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건설
Priority to KR1020230023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09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0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09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6Applications of indicating, registering, or weig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2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08Runners; Runn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04Pulley blocks or like devices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a rope, cable, or chain which passes over one or more pulleys, e.g. to obtain mechanical advan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Abstract

운송물에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켜 운송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를 개시한다.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는 운송물을 지지하여 작업장 천장의 운반레일을 따라 운송물을 운반하기 위한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로서,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운반레일이 연장되는 운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관통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운반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이송방향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크레인에 결합되는 이송유닛, 운송물이 걸려 지지될 수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이스트유닛, 호이스트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호이스트유닛의 하부를 커버하는 받침유닛 및 호이스트유닛에 운송물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호이스트유닛에 설치되고 운송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Hoist type transport device}
본 발명은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송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 크레인은 리프트를 이용하여 운송물을 들어 올려 원하는 위치로 이송, 운반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장치는 운송물과 크레인 사이에서 운송물을 걸어 올려주는 후크, 후크를 끌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는 힘을 발생시키는 권상기, 크레인 전체를 이송시킬 수 있는 주행장치, 주행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횡행장치, 크레인 전체를 조작할 수 있는 운전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의 경우, 작업자가 운송물의 중앙에 묶은 줄을 후크에 걸고, 권상기가 동작하여 와이어를 통해 운송물을 들어올리게 되는데, 권상기와 후크가 일직선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들어올릴 때, 와이어와 후크 및 운송물이 회전하거나 스윙(swing) 또는 스웨이(sway) 운동하게 되어 운송물이 낙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후크가 운송물을 지지한 상태에서, 외부에 충격이 가해질 경우, 와이어와 후크 및 운송물이 회전하거나 스윙 또는 스웨이 운동하게 되어 운송물이 낙하하는 문제가 있다.
KR 10-2002-0062445
본 발명은 운송물에 충격 혹은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시켜 운송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는 운송물을 지지하여 작업장 천장의 운반레일을 따라 상기 운송물을 운반하기 위한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로서,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운반레일이 연장되는 운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관통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운반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이송방향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는 이송유닛; 상기 운송물이 걸려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이스트유닛; 상기 호이스트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호이스트유닛의 하부를 커버하는 받침유닛; 및 상기 호이스트유닛에 운송물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호이스트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호이스트유닛은, 그 외주면에 상기 이송유닛에 구비된 제1 구동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판; 상기 결합판과 상기 도르래의 하부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절곡되며, 상기 운송물이 걸려 지지 가능한 지지고리; 상기 지지고리와 상기 결합판에 각각 연결되고, 그 상하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체;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체는, 그 일단이 상기 결합판에 고정되는 제1 길이조절부재; 그 일단에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가 관통되며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길이제어부재; 및 그 일단이 상기 길이제어부재의 타단을 관통하여 오른나사나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지지고리에 장착되는 제2 길이조절부재; 외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길이제어부재를 자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길이제어부재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지지고리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고리에 가해지는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감지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고리에 가해지는 상기 운송물의 중량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지지고리에서 상기 운송물의 스윙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판단모듈이 상기 운송물이 스윙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길이제어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재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상기 길이제어부재를 자전시키고, 상기 지지고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운송물이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삭제
상기 도르래는, 외주면에 와이어홈이 형성되는 도르래롤러; 상기 도르래롤러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도르래롤러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함몰홈; 및 상기 도르래롤러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함몰홈에 내에서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밸런스유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롤러는, 링형상의 제1 도르래바디; 상기 제1 도르래바디의 외측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제2 도르래바디; 상기 제1 도르래바디와 상기 제2 도르래바디를 연결하는 바디연결체; 및 상기 제1 도르래바디를 회전축에 연결하기 위한 바디체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체결체는, 상기 제1 도르래바디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바디체결체; 상기 제1 바디체결체의 내부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상기 복수의 결합판을 연결하는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1 통공이 형성되는 제2 바디체결체; 상기 제1 바디체결체의 양쪽에 각각 삽입되도록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기 위한 제2 통공이 형성되는 제3 바디체결체; 및 상기 제2 바디체결체와 상기 제3 바디체결체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바디체결체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3 바디체결체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상기 제1 바디체결체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제3 바디체결체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2 바디체결체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제2 도르래바디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은, 상기 함몰홈의 폭방향으로 하부측 길이와 상부측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홈의 상부측은, 상기 밸런스유지체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홈은, 상기 제2 도르래바디에 형성되고,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홈에 상기 제2 도르래바디를 관통하는 배출구를 형성하며, 상기 배출구의 상부측은, 상기 도르래롤러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밸런스유지체는, 상기 함몰홈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다면체로 형성되는 밸런스추; 및 상기 밸런스추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스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막대는, 상기 밸런스추를 상기 함몰홈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런스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밸런스추는, 적어도 일부에 밀착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추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하며, 상기 밸런스추는, 상기 함몰홈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외측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함몰홈의 폭방향으로 함몰홈의 상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밸런스추의 일면에는, 상기 밸런스추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밸런스추의 타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맞물려질 수 있는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돌기를 인접한 밸런스추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밸런스추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받침유닛은, 그 상부에 상기 운송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운송물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거치부에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부몸체를 포함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상기 운송물에 접촉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와이어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 구동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거치부와 상기 운송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운송물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운송물을 지지하도록 이격되어 구비되는 거치부지지대; 및 그 상부에 상기 운송물의 적어도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거치부지지대에 연결되는 거치부거치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운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로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운송물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몸체와, 상기 제1 고정부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운송물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로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운송물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몸체와, 상기 제2 고정부몸체에서 연장되고 상기 운송물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로드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상기 운송물에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와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고정부몸체와 상기 제2 고정부몸체는, 각각 적어도 일부에 요철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작동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작동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 작동프레임은, 상기 운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제1 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 작동프레임은,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작동프레임과 상기 제2 작동프레임을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에서 분리시킨 경우, 상기 고정블록을 상기 운송물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제1 고정프레임과 상기 제2 고정프레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될 경우, 운송물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이송유닛의 진동흡수부가 충격을 흡수하여 운송물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통해 운송물을 들어올리게 될 때 와이어와 지지고리 및 운송물이 회전하거나 스윙(swing) 또는 스웨이(sway) 운동하여 지지고리로부터 운송물이 분리 이탈될 경우, 받침유닛이 분리 이탈된 운송물을 받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유닛으로 호이스트유닛에서 이탈된 운송물을 수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유닛으로 호이스트유닛에서 이탈된 운송물을 수거하여 고정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의 도르래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유지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고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지지고리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지지고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유닛으로 호이스트유닛에서 이탈된 운송물을 수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유닛으로 호이스트유닛에서 이탈된 운송물을 수거하여 고정 지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흡수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르래의 도르래롤러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런스유지체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10)는 작업장 천장에 설치된 운반레일(1)을 따라 운송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치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10)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10)는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간(100a)이 형성되고 운반레일(1)이 연장되는 운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100), 관통공간(100a)의 상부에 배치되고 운반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이송방향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크레인(100)에 결합되는 이송유닛(200), 운송물(M)이 걸려 지지될 수 있고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유닛(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이스트유닛(300), 호이스트유닛(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유닛(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호이스트유닛(300)의 하부를 커버하는 받침유닛(400) 및 호이스트유닛(300)에 운송물(M)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호이스트유닛(300)에 설치되고 운송물(M)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제어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100)은 관통공간(100a)을 형성하고 이송방향을 따라 제1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제1 크레인부재(110)와, 제1 크레인부재(110)의 외측에 형성되고 그 단부가 제1 크레인부재(110) 보다 높게 형성되며 이송방향을 따라 제2 이송경로를 형성하는 제2 크레인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경로는 제2 이송경로와 수평한 방향으로 연장된 경로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방향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이송방향은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고 운반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크레인부재(110)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고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관통공간(1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크레인부재(110)는 후술되는 제1 이송부(210)가 이동하는 제1 이송경로를 형성하도록, 그 양측에 레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크레인부재(120)는 제1 크레인부재(110)의 외측에서 제1 크레인부재(110)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된다. 제2 크레인부재(120)는 후술되는 제2 이송부(220)가 이동하는 제2 이송경로를 형성하도록, 그 양측에 레일(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2 크레인부재(120)는 그 높이가 제1 이동부에 설치된 제1 구동부(230)와 제2 이송부(220)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제1 크레인부재(110)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송유닛(200)은 제1 크레인부재(110)에 제1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이송부(210), 제1 이송부(210)의 상측에서 제2 크레인부재(120)에 상기 제2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이송부(220), 제1 구동부(230), 제2 구동부(240) 및 진동흡수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부(210)는 제1 크레인부재(110)의 레일을 따라 제1 이송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송부(210)는 제1 크레인부재(110)의 레일에 안착되는 이동바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이송부(220)는 제2 크레인부재(120)의 레일을 따라 제2 이송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송부(220)는 제2 크레인부재(120)의 레일에 안착되는 이동바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30)는 호이스트유닛(300)을 지지하도록 제1 이송부(210)에 설치되는 제1 구동모터(231)와, 제1 구동모터(23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1 와이어롤러(232)와, 일부가 제1 와이어롤러(232)에 권취되고 일부가 관통공간(100a) 내에 삽입되며 호이스트유닛(300)의 도르래(310)에 감기는 제1 구동와이어(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구동부(240)는 받침유닛(400)을 지지하도록 제2 이송부(220)에 설치되는 제2 구동모터(241)와, 제2 구동모터(241)에 의해 회전 가능한 제2 와이어롤러(242)와, 일부가 제2 와이어롤러(242)에 권취되고 일부가 관통공간(100a) 내에 삽입되며 받침유닛(400)에 연결되는 제2 구동와이어(24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흡수부(250)는 제1 구동와이어(233)와 호이스트유닛(300)을 통해 운송물(M)로 전해지는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제1 이송부(210)에 설치된다.
진동흡수부(250)는 제1 이송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서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진동흡수물질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흡수물질부재(251)는 제1 이송부(210)에 연결되는 제1 흡수구조체(251a), 제1 흡수구조체(251a) 상에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원통 형태를 가지는 제2 흡수구조체(251b) 및 제2 흡수구조체(251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고 인접하는 다른 진동흡수물질부재(251)와 연결되도록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개의 제3 흡수구조체(25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제1 이송부(210)에 안착되는 안착바디(251aa) 및 제2 흡수구조체(251b)과 연결되도록 안착바디(251aa) 상으로 연장되고, 제2 흡수구조체(251b)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태를 가지는 지지바디(251a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진동흡수물질부재(251)는 행과 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서로 연결되어 단위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단위체에서 복수개의 진동흡수물질부재(251)는 행과 열 방향으로 동일한 개수가 구비되어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바디(251ab)의 직경은 제2 흡수구조체(251b) 직경의 1/9 이상 내지 1/7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1 흡수구조체(251a)와 제2 흡수구조체(251b)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3 흡수구조체(251c)가 연장되는 길이는 제2 흡수구조체(251b) 직경의 1/11 이상 내지 1/9 이하일 수 있다.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안착바디(251aa)가 제1 이송부(210)에 부착되도록 안착바디(251aa)의 단부에 마련되는 접착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제1 이송부(210)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흡수구조체(251a)와, 제2 흡수구조체(251b)와, 제3 흡수구조체(251c)와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제1 이송부(210)에 연결된다.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제2 흡수구조체(251b)를 지지할 수 있고, 진동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즉,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진동에 의해 요동 가능한 요동구조물일 수 있다. 제1 흡수구조체(251a)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흡수구조체(251a)는 PLA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안착바디(251aa), 및 지지바디(251ab)를 포함한다.
안착바디(251aa)는 제1 이송부(210)에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바디(251aa)는 원형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안착바디(251aa)는 지지바디(251a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바디(251aa)가 제1 이송부(210)과 접촉하여 부착되는 면적을 증가시켜, 안착바디(251aa)가 제1 이송부(210)과 부착되는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지지바디(251ab)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바디(251aa)의 형상 및 제1 이송부(210)에 연결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바디(251ab)는 제2 흡수구조체(251b)과 연결되도록 안착바디(251aa) 상으로 연장된다. 예를 들어, 지지바디(251ab)는 제2 흡수구조체(251b)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 형태를 가지고, 상하방향(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단은 안착바디(251aa)의 상부와 연결되고, 상단은 제2 흡수구조체(251b)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지지바디(251ab)는 안착바디(251aa)와 제2 흡수구조체(251b)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바디(251ab)는 요동 가능하게 제2 흡수구조체(251b)를 지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바디(251a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제1 흡수구조체(251a)는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층은 안착바디(251aa)의 하면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바디(251aa)의 하부면과 제1 이송부(210)의 상부면 사이에 도포된 글루가 경화되어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글루는 안착바디(251aa)의 하부면 형상을 따라 도포될 수 있다. 접착층에 의해 안착바디(251aa)가 제1 이송부(21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안착바디(251aa)를 제1 이송부(210)에 부착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흡수구조체(251b)는 제1 흡수구조체(251a) 상에서 요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흡수구조체(251b)는 PLA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제2 흡수구조체(251b)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흡수구조체(251a)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지지바디(251ab)가 진동에 의해 요동하거나 휘어지면, 제2 흡수구조체(251b)이 지지바디(251ab)를 원위치로 복귀시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제2 흡수구조체(251b)는 제1 흡수구조체(251a)의 요동을 억제시켜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구조물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지지바디(251ab)의 직경이, 제2 흡수구조체(251b) 직경의 1/9 이상 내지 1/7 이하일 수 있다. 지지바디(251ab)의 직경이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직경 1/9 미만이면 지지바디(251ab)가 제2 흡수구조체(251b)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고, 지지바디(251ab)의 직경이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직경 1/7을 초과하면 지지바디(251ab)가 제2 흡수구조체(251b)과 연결된 상태에서 제대로 휘어지지 않아 진동을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지지바디(251ab)가 제2 흡수구조체(251b)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흡수구조체(251b)는 제1 흡수구조체(251a)과, 동일한 두께(또는, 상하방향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 흡수구조체(251b)의 크기가 너무 커져 지지바디(251ab)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제2 흡수구조체(251b)의 크기가 너무 작아져 지지바디(251ab)에서 전달되는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흡수구조체(25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3 흡수구조체(251c)는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 흡수구조체(251b)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흡수구조체(251c)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흡수구조체(251c)는 PLA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흡수구조체(251c)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흡수구조체(251c)는 복수개가 구비되어 제2 흡수구조체(251b)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3 흡수구조체(251c)는 제2 흡수구조체(251b)의 둘레면 상부에 연결되고, 인접하는 다른 메타물질부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제3 흡수구조체(251c)이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외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3 흡수구조체(251c)들 각각은 인접하는 다른 진동흡수물질부재(251)들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제3 흡수구조체(251c)는 진동흡수물질부재(251)들을 연결해주기 위한 연결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진동흡수물질부재(251)들이 서로 연결되기 때문에, 제1 이송부(210)을 통과하는 진동을 진동흡수물질부재(251)들이 함께 흡수하여 더욱 효과적으로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흡수구조체(251c)이 연장되는 길이는, 제2 흡수구조체(251b) 직경의 1/11 이상 내지 1/9 이하일 수 있다. 즉, 제3 흡수구조체(251c)의 연장 길이가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직경 1/11 미만이면 진동흡수물질부재(251)들에 구비되는 제2 흡수구조체(251b)들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여 제1 흡수구조체(251a)이 제2 흡수구조체(251b)를 요동시킬 공간이 부족하고, 제3 흡수구조체(251c)의 연장 길이가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직경 1/9을 초과하면 제2 흡수구조체(251b)의 사이즈가 감소하여 진동을 제대로 흡수하기 어렵기 때문에, 제2 흡수구조체(251b)를 안정적으로 요동시키면서 제2 흡수구조체(251b)이 진동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제3 흡수구조체(251c)의 연장 길이가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3 흡수구조체(251c)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호이스트유닛(300)은 그 외주면에 이송유닛(200)에 구비된 제1 구동와이어(233)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르래(310), 도르래(31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판(320), 결합판(320)과 도르래(310)의 하부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절곡되며 운송물(M)이 걸려 지지 가능한 지지고리(330) 및 지지고리(330)와 결합판(320)에 각각 연결되고, 그 상하방향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체(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310)는 외주면에 와이어홈(311a)이 형성되는 도르래롤러(311), 도르래롤러(311)의 적어도 일측면에 도르래롤러(311)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함몰홈(134a) 및 도르래롤러(311)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몰홈(311b)에 내에서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밸런스유지체(311c)를 포함한다.
도르래롤러(311)는 링형상의 제1 도르래바디(311d), 제1 도르래바디(311d)의 외측에 구비되는 링형상의 제2 도르래바디(311e), 제1 도르래바디(311d)와 제2 도르래바디(311e)를 연결하는 바디연결체(311f), 제1 도르래바디(311d)를 회전축에 연결하기 위한 바디체결체(311g)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체결체(311g)는 제1 도르래바디(311d)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바디체결체(311ga),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내부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복수의 결합판(320)을 연결하는 회전축(H)이 삽입되기 위한 제1 통공(311gba)이 형성되는 제2 바디체결체(311gb),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양쪽에 각각 삽입되도록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회전축(H)이 삽입되기 위한 제2 통공(311gca)이 형성되는 제3 바디체결체(311gc) 및 제2 바디체결체(311gb)와 제3 바디체결체(311gc)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바디고정체(311gd)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바디체결체(311gc)의 내주면과 외주면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3 바디체결체(311gc)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 및 제3 바디체결체(311gc)의 내주면과 접촉하는 제2 바디체결체(311gb)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함몰홈(311b)은제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적어도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11b)은 함몰홈(311b)의 폭방향(도 15 참조)(상술한 운반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부측 길이와 상부측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11b)의 상부측은 밸런스유지체(311c)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홈(311a)은 제2 도르래바디(311e)에 형성되고, 이물질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와이어홈(311a)에 제2 도르래바디(311e)를 관통하는 배출구(311aa)를 형성할 수 있다.
배출구(311aa)의 상부측은 도르래롤러 의 회전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유지체(311c)는 함몰홈(311b)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다면체로 형성되는 밸런스추(311ca) 및 밸런스추(311c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스막대(311cb)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막대(311cb)는 밸런스추(311ca)를 함몰홈(311b)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밸런스추(311ca) 내부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는, 적어도 일부에 밀착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는 함몰홈(311b)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내측면과 함몰홈(311b)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의 내측면에서 외측면까지의 길이는 함몰홈(311b)의 폭방향으로 함몰홈(311b)의 상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의 일면에는, 밸런스추(311ca)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의 타면에는 체결돌기에 맞물려질 수 있는 형상의 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를 인접한 밸런스추(311ca)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밸런스추(311ca)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르래롤러(311)는 링 형상의 제1 도르래바디(311d)와, 제1 도르래바디(311d)의 외측에 구비되는 링 형상의 제2 도르래바디(311e) 및 제1 도르래바디(311d)와 제2 도르래바디(311e)를 연결하는 바디연결체(311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도르래바디(311d)와 제2 도르래바디(311e) 및 바디연결체(311f)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도르래바디(311d)는 도르래롤러(311)의 중심부에서 회전축(H)을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 도르래바디(311d)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도르래바디(311d)의 내주면에는 회전축(H)을 체결하기 위한 바디체결체(311g)와 맞물려질 수 있는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돌기는 제1 도르래바디(311d)의 길이방향(도 15 참조)(상술한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 예컨대 제1 도르래바디(311d)의 직경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도르래바디(311e)는 제1 도르래바디(311d)의 외측에 배치되며, 제1 구동와이어(233)를 연결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외주면에는 제2 도르래바디(311e)의 둘레방향을 따라 제1 구동와이어(233)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홈(311a)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홈(311a)은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도르래바디(311e)의 길이방향, 예컨대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직경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개의 와이어홈(311a)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홈(311a)은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와이어홈(311a)에는 배출구(311aa)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11aa)는 회전 시 발생하는 열과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다. 배출구(311aa)는 제2 도르래바디(311e)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홈(311a)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11aa)는 와이어홈(311a)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311aa)는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직경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출구(311aa)의 상측이 도르래롤러(311)의 회전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와이어홈(311a)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배출구(311aa)의 내벽에 형성되는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며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 도르래바디(311e)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홈(311a)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제2 도르래바디(311e)는 와이어홈(311a)의 깊이보다 긴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양쪽에 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측면에는 밸런스유지체(311c)를 삽입하기 위한 함몰홈(311b)이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11b)은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도르래바디(311e)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홈(311b)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함몰홈(311b)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함몰홈(311b)은 밸런스유지체(311c)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함몰홈(311b) 내에서 밸런스유지체(311c)가 이동 가능한 동시에 이탈을 억제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도르래바디(311e)의 직경방향으로 절단한 함몰홈(311b)의 단면 형상은 하부 측 길이가 상부 측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함몰홈(311b)은 밸런스유지체(311c)를 수용할 수 있는 동시에, 밸런스유지체(311c)를 이동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함몰홈(311b)의 단면 면적은 밸런스유지체(311c)의 단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함몰홈(311b)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함몰홈(311b)은 밸런스유지체(311c)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함몰홈(311b)의 소정 위치에는 밸런스유지체(311c)를 함몰홈(311b)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인입부(311ba)가 형성될 수 있다. 인입부(311ba)는 함몰홈(311b)의 내부 공간과 연통될 수 있으며, 밸런스유지체(311c)를 함몰홈(311b)으로 삽입하거나 인출할 수 있도록 인입부(311ba)의 폭보다 긴 폭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함몰홈(311b)은 사다리꼴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 측이 밸런스유지체(311c)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밸런스유지체(311c)를 함몰홈(311b) 내에 고정시킬 때 함몰홈(311b)의 상부 측이 밸런스유지체(311c)의 상부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함몰홈(311b)은 사각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가지면서, 상부 측이 밸런스유지체(311c)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삽입홈의 형상은 균형조절부재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유지체(311c)는 함몰홈(311b)에 삽입하기 위한 밸런스추(311ca)와, 밸런스추(311ca)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스막대(311cb)를 포함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는 다면체, 구형 또는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밸런스추(311ca)를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 밸런스추(311ca)에서 함몰홈(311b)의 내주면 및 외주면과 대향하는 면은 측면이라 하고, 그 교차하는 면은 전면 또는 후면이라 한다. 그리고 함몰홈(311b)의 바닥면에 하부면, 그리고 그 반대면은 상부면이라 한다. 그리고 밸런스추(311ca)에서 함몰홈(311b)의 폭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은 폭방향, 함몰홈(311b)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은 길이방향이라 하고, 함몰홈(311b)의 깊이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은 높이방향(도 15 참조)(상술한 상하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라 한다.
밸런스추(311ca)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밸런스추(311ca)의 폭방향 길이, 즉 폭은 적어도 함몰홈(311b)의 상부측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는 폭방향으로 하부측 길이를 상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밸런스추(311ca)의 하부측 길이는 함몰홈(311b)의 상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밸런스추(311ca)를 함몰홈(311b)에 삽입했을 때 함몰홈(311b)으로 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의 전면과 후면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양쪽 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밸런스추(311ca)는 함몰홈(311b) 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양쪽 측면에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밸런스추(311ca)의 양쪽 측면은 대략 함몰홈(311b)의 곡률과 유사한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밸런스추(311ca)는 폭방향으로 하부측 길이와 상부측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함몰홈(311b)은 상부측이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함몰홈(311b)의 폭방향으로 상부 측 길이는 적어도 밸런스추(311ca)의 폭방향 길이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밸런스추(311ca)가 함몰홈(311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밸런스추(311ca)의 중심부에는 밸런스추(311ca)를 상하방향, 즉 높이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구(311c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구(311cc)의 내주면에는 밸런스막대(311cb)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밸런스막대(311cb)의 외주면에는 관통구(311cc)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밸런스막대(311cb)는 관통구(311cc)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에 의해 관통구(311cc)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밸런스막대(311cb)는 밸런스추(311ca)를 함몰홈(311b) 내부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에 의해 적어도 일부, 예컨대 하부측이 밸런스추(311ca) 외부로 노출되어 함몰홈(311b)의 바닥면에 접촉할 수 있다.
밸런스추(311ca)를 함몰홈(311b) 내부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밸런스막대(311cb)는 밸런스추(311ca)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밸런스추(311ca)를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에 이동시킨 후에, 밸런스막대(311cb)를 회전시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밸런스막대(311cb)의 하부는 함몰홈(311b)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밸런스막대(311cb)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밸런스막대(311cb)는 계속해서 하강하게 되고 밸런스추(311ca)는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밸런스추(311ca)의 상부면 또는 측면이 함몰홈(311b)의 내면에 접촉하게 되면서 밸런스추(311ca)가 함몰홈(311b)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도르래롤러(311)의 불균형 정도에 따라 밸런스유지체(311c)를 한 개 또는 복수개로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밸런스추(311ca)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도르래롤러(311)의 불균형 정도에 따라 적절한 무게를 갖는 밸런스추(311ca)를 선택하여 함몰홈(311b)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몰홈(311b)에 복수개의 밸런스유지체(311c)를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밸런스유지체(311c)마다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밸런스추(311ca)는 적어도 일부에 밀착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밀착부재(미도시)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밀착성이 좋고 탄성이 좋은 재질을 포함할 수 다. 밀착부재는 적어도 함몰홈(311b)의 내면과 접촉하는 밸런스추(311ca)의 표면에 형성하여 밸런스추(311ca)를 함몰홈(311b) 내부에 고정할 때 밸런스추(311ca)의 표면과 함몰홈(311b)의 내면 간의 밀착력을 높여주고, 고정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디체결체(311g)는 도르래롤러(311)를 회전축(H)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종래에는 회전축의 특정 위치에 풀리를 연결하였기 때문에 회전축의 축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이 거의 불가능하거나 설비 전체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풀리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바디체결체(311g)를 구성하였다.
바디체결체(311g)는 제1 도르래바디(311d)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와,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내부에 삽입되고 중심부에 회전축(H)을 삽입하기 위한 제1 통공(311gba)이 형성되는 제2 바디체결체(311gb)와, 중심부에 회전축(H)을 삽입하기 위한 제2 통공(311gca)이 형성되고 제2 바디체결체(311gb)의 양쪽에 각각 결합되도록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3 바디체결체(311gc) 및 제2 바디체결체(311gb) 및 제3 바디체결체(311gc)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제1 바디체결체(311ga), 제2 바디체결체(311gb) 및 제3 바디체결체(311gc)를 상호 연결하는 바디고정체(311g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체결체(311ga)는 상하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바디체결체(311ga)는 제1 도르래바디(311d)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 도르래바디(311d)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외주면에는 제1 도르래바디(311d)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미도시)와 맞물려지는 가이드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내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체결체(311gb)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회전축(H)을 삽입하기 위한 제1 통공(311gb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바디체결체(311gb)의 상부측 외주면과 및 하부측 외주면에는 양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도록 형성, 즉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1 바디체결체(311ga)와 제2 바디체결체(311gb) 사이에는 제3 바디체결체(311gc)를 삽입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체결체(311gc)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양쪽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회전축(H)을 삽입하기 위한 제2 통공(311gc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바디체결체(311gc)의 내주면과 외주면에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에 형성되는 경사면 및 제2 바디체결체(311gb)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접촉할 수 있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바디체결체(311gc)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제1 바디체결체(311ga) 및 제2 바디체결체(311gb)에 형성되는 경사면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제3 바디체결체(311gc)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의 경사면 및 제2 바디체결체(311gb)의 경사면과 서로 접촉하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3 바디체결체(311gc)는 제1 바디체결체(311ga)와 제2 바디체결체(311g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압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3 바디체결체(311gc)가 제1 바디체결체(311ga)와 제2 바디체결체(311gb)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면 제2 바디체결체(311gb)를 회전축(H) 측으로 가압하여 제2 바디체결체(311gb)의 내주면을 회전축(H)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바디고정체(311gd)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볼트는 제3 바디체결체(311gc)와 제2 바디체결체(311gb)와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고정체(311gd)는 제3 바디체결체(311gc)를 제1 바디체결체(311ga)와 제3 바디체결체(311gc)에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판(320)은 도르래(310)의 양측에 결합되며 도르래(310)를 보호할 수 있다.
지지고리(330)는 결합판(320)과 도르래(310)의 하부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절곡되며, 운송물(M)이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고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지지고리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4에 도시된 선B-B'에 따른 지지고리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변형예에 따른 지지고리(330)의 구조를 도시한다.
지지고리(330)는 지지고리(330)는, 운송물(M)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곡면을 가지는 지지고리 몸체(331) 및 운송물(M)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지지고리 몸체(331)에 구비되는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고리 몸체(3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파트와, 운송물(M)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331f)가 형성되고, 지지파트의 하부에 연결되는 고리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고리 몸체(331)의 지지파트에는 크레인의 제1 구동와이어(334)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331d)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고리 몸체(331)의 고리파트에는 운송물(M)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331f)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331f) 내측으로는 운송물(M)을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간(331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체결공간(331g)은 원통 형상의 운송물(M)의 둘레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고리 몸체(331)에서 상하방향은 높이 방향이라 한다. 그리고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파트를 기준으로 고리파트의 직경 방향은 길이방향이라 하며, 길이방향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은 폭방향이라 한다.
이러한 지지고리 몸체(331)는 복수의 플레이트(331a, 331b)와, 복수의 플레이트(331a, 331b)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331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레이트(331a, 331b)는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플레이트(331a: 331aa, 331ab)와, 제1 플레이트(331a)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플레이트(331b: 331ba~331bg)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331b)의 개수는 지지고리(330)를 이용하여 핸들링하기 위한 운송물(M)의 중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운송물(M)의 중량에 따라 가감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제2 플레이트(331b)가 7개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며, 지지고리 몸체(331)는 총 9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지지고리 몸체(331)가 복수개의 플레이트(331a,331b)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지지고리 몸체(331)는 하나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331a)는 제2 플레이트(331b)는 지지파트와 고리파트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를 서로 중첩시켰을 때 동일한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지지고리 몸체(331)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들(331a,331b) 중 가운데에 배치되는 제2 플레이트(331bd)의 면적이 가장 크고, 나머지 플레이트들은 외측, 예컨대 제1 플레이트(331a) 쪽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는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플레이트(331a)는 제2 플레이트(331b)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플레이트(331a)는 제2 플레이트(331b)보다 얇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331b)는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는 결합부재(331c)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고리 몸체(33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재(331c)는 복수의 지점에서 제1 플레이트(331a) 및 제2 플레이트(331b)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플레이트(331a) 및 제2 플레이트(331b)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331c)로는 볼트 및 너트가 사용될 수도 있고, 리벳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결합부재(331c)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가 결합부재(331c)를 이용하여 결합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는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지지고리 몸체(331)에는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설치하기 위한 회전체 고정홈(331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 고정홈(331h)은 지지고리 몸체(331)의 고리파트에 형성된 체결공간(331g)에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 고정홈(331h)은 체결공간(331g)에 운송물(M)을 안착시켰을 때 운송물(M)과 접촉하는 바닥면에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 고정홈(331h)에 대해서 설명하기 이전에 지지고리 회전체(332)에 대해서 먼저 설명한다.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회전축(322)과, 회전축(322)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회전체 롤러(332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지지고리 몸체(331)의 체결공간(331g)에 운송물(M)이 삽입 또는 체결되었을 때, 운송물(M)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위치에서 접촉 가능하도록 운송물(M)과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지지고리 몸체(33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322)에는 한 개의 회전체 롤러(332f)가 회전축(3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회전체 롤러(332f)가 복수 개, 예컨대 2개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는, 회전축(322)이 복수 개로 구비되고, 회전축(322)마다 회전체 롤러(332f)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회전축(322)은 지지고리 몸체(331)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 롤러(332f)는 운송물(M)과 접촉을 통해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322)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회전체 롤러(332f)와 회전축(322) 간의 마찰 저항을 방지하도록 회전축(322)과 회전체 롤러(332f) 사이에 베어링 등과 같은 회전부재(332d)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축(322)과 회전체 롤러(332f) 또는 회전부재(332d)의 윤활을 위해, 회전축(322)에 윤활제를 주입하기 위한 유로(332c)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운송물(M)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하도록 지지고리 몸체(331)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운송물(M)의 외주면과 선 접촉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지지고리 몸체(331)에 형성된 회전체 고정홈(331h)에 설치될 수 있다. 회전체 고정홈(331h)은 지지고리 몸체(331)를 구성하는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를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331a)에는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회전축(3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331b)와 마주보는 내면에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331b)에는 회전체 롤러(332f)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오목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에 형성되는 오목홈은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회전체 고정홈(331h)은 제1 플레이트(331a)에 형성된 오목홈과, 제2 플레이트(331b)에 형성된 오목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 각각에는 오목홈이 형성되고,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를 결합하여 지지고리 몸체(331)를 형성하면, 각각의 오목홈이 지지고리 몸체(331)의 폭방향을 따라 서로 연결되어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회전체 고정홈(331h)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체 고정홈(331h)은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일부를 돌출시킬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고리 몸체(331)에 설치되는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운송물(M)과 접촉하여, 지지고리 몸체(331), 예컨대 체결공간(331g) 내에서 운송물(M)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 고정홈(331h)은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운송물(M)과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적어도 일부를 돌출시킬 수 있으면서,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회전체 고정홈(331h)은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반경보다 깊고,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직경보다 얕은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를 체결하는 과정에서 회전체 고정홈(331h)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지지고리 몸체(331), 즉 지지고리 몸체(331)의 회전체 고정홈(331h)에 설치되면 제1 플레이트(331a)에 의해 회전축(322)에 형성된 유로(332c)에 윤활제를 주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31a)에 유로(332c) 또는 회전체 고정홈(331h)과 연통되는 주입구(331e)를 형성함으로써 회전체 고정홈(331h)에 설치된 지지고리 회전체(332)에 윤활제를 원활하게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주입구(331e)는 회전체 고정홈(331h)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주입구(331e)를 통해 회전체 고정홈(331h)으로 주입되는 윤활제가 주입구(331e)를 통해 다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회전체 고정홈(331h)으로 주입된 윤활제는 회전체 고정홈(331h) 내에 체류하면서 지지고리 회전축(332)과 회전부재(332d) 또는 회전부재(332d)의 윤활능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윤활제가 회전체 고정홈(331h) 내에 체류되기 때문에 윤활제의 주입 주기를 연장시켜 줄 수 있다.
지지고리 몸체(331)에는 라이너(333)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라이너(333)는 운송물이 지지고리 몸체(331)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라이너(333)는 지지고리 몸체(331)에 교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고리 몸체(331)에 비해 운송물과 마찰 저항이 작은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라이너(333)는 체결공간(331g)에 운송물을 안착시켰을 때 지지고리 몸체(331)와 접촉하는 면, 예컨대 회전체 고정홈(331h)의 외측 또는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라이너(333)에는 회전체 고정홈(331h)에서 돌출된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운송물과 접촉할 수 있도록,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노출시킬 수 있는 관통구(333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라이너(333)는 지지고리 몸체(331)에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둘러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라이너(333)는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회전체 고정홈(331h)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즉, 회전체 고정홈(331h)은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구속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제1 플레이트(331a)와 제2 플레이트(331b)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회전체 고정홈(331h) 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고리 회전체(332)의 교체를 원활하게 위해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삽탈 가능하도록 회전체 고정홈(331h)을 형성하는 경우, 라이너(333)를 이용하여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회전체 고정홈(331h)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관통구(333a)의 크기, 적어도 지지고리 몸체(331)의 길이방향으로 관통구(333a)의 길이를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구성하는 회전체 롤러(332f)의 직경보다 짧게 형성하면,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회전체 고정홈(331h)에서 이탈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체결공간(331g)에서 운송물이 안착되는 면에 지지고리 몸체(331)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운송물과 접촉 가능하도록 지지고리 몸체(331)에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운송물이 지지고리 몸체(331)의 체결공간(331g)에 안착되었을 때 지지고리 몸체(331)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운송물에 접촉시켜 운송물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함이다. 이에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체결공간(331g) 내에서 운송물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운송물과 접촉을 통해 회전하면서 운송물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고리 몸체(331)에는 1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복수 개, 예컨대 2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고리 몸체(331)에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설치되는 경우,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지지고리 몸체(331)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서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지지고리 몸체(3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열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지지고리 몸체(331)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를 설치하면,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운송물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지점에서 선 접촉하여, 운송물과 지지고리 몸체(331) 사이에 윤활 작용을 하는 동시에, 운송물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고리 회전체(332)가 운송물을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운송물과 지지고리 몸체(331) 간의 접촉 면적을 억제하거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운송물이나 지지고리 몸체(331)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송물을 지지고리 몸체(331)에 체결하여 권상시켰을 때, 운송물이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이 좋다. 복수 개의 지지고리 회전체(332)는 서로 접촉하지 않으면서, 운송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길이조절체(340)는 그 일단이 결합판(320)에 고정되는 제1 길이조절부재(341), 그 일단에 제1 길이조절부재(341)가 관통되며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길이제어부재(342) 및 그 일단이 길이제어부재(342)의 타단을 관통하여 오른나사나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그 타단이 지지고리(330)에 장착되는 제2 길이조절부재(343) 외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길이제어부재(342)를 자전시킬 수 있도록 길이제어부재(342)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모터(344)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유닛(400)은 그 상부에 상기 운송물을 안착시키기 위한 거치부(410), 적어도 일부가 운송물에 접촉 및 분리 가능하도록 거치부(410)에 연결되고 복수의 고정부몸체(422a,422b)를 포함하는 고정부(420), 고정부(420)를 운송물에 접촉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420)에 연결되고 제2 구동와이어(243)에 의해 지지되는 작동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430)는 제2 구동와이어(243)의 장력과, 거치부(410)와 운송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고정부(420)의 적어도 일부를 운송물에 접촉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거치부(410)는 운송물을 지지하도록 이격되어 구비되는 거치부지지대(411) 및 그 상부에 운송물의 적어도 일부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거치부지지대(411)에 연결되는 거치부거치대(41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420)는 운반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고정로드(421),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송물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고정부몸체(422a)와, 제1 고정부몸체(422a)에서 연장되고 운송물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고정로드(42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고정프레임(422b)을 포함하는 제1 고정부재(422),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운송물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고정부몸체(423a)와, 제2 고정부몸체(423a)에서 연장되고 운송물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고정로드(421)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고정프레임(423b)을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423) 및 운송물에 접촉 가능하도록 제1 고정프레임(422b)과 제2 고정프레임(423b)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블록(4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422)와 제2 고정부재(42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로드(42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부몸체(422a)와 제2 고정부몸체(423a)는 각각 적어도 일부에 요철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부(430)는 제1 고정프레임(422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1 작동프레임(431) 및 제2 고정프레임(423b)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 작동프레임(4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프레임(431)과 제2 작동프레임(432)은 운반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제1 작동프레임(431)과 제2 작동프레임(432)은 제1 고정프레임(422b)과 제2 고정프레임(423b)에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작동프레임(431)과 제2 작동프레임(432)을 제1 고정프레임(422b)과 제2 고정프레임(423b)에서 분리시킨 경우, 고정블록(424)을 운송물에 접촉시킨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해 제1 고정프레임(422b)과 제2 고정프레임(423b)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유닛(500)은 지지고리(330)에 설치되어 지지고리(330)에 가해지는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모듈(510), 감지모듈(510)에 연결되고 지지고리(330)에 가해지는 운송물의 중량의 변화를 확인하여, 지지고리(330)에서 운송물의 스윙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520) 및 판단모듈(520)이 운송물이 스윙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길이제어부재(342)를 제어하여 제1 길이조절부재(341)와 제2 길이조절부재(343)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길이제어부재(342)를 자전시키고 지지고리(330)에 의해 지지된 운송물이 받침유닛(40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는 외부에서 충격이 발생될 경우, 운송물을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이송유닛의 진동흡수부가 충격을 흡수하여 운송물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를 통해 운송물을 들어올리게 될 때 와이어와 지지고리 및 운송물이 회전하거나 스윙(swing) 또는 스웨이(sway) 운동하여 지지고리로부터 운송물이 분리 이탈될 경우, 받침유닛이 분리 이탈된 운송물을 받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100: 크레인
200: 이송유닛 300: 호이스트유닛
400: 받침유닛 500: 제어유닛

Claims (3)

  1. 운송물을 지지하여 작업장 천장의 운반레일을 따라 상기 운송물을 운반하기 위한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로서,
    그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운반레일이 연장되는 운반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크레인;
    상기 관통공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운반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이송방향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상기 크레인에 결합되는 이송유닛;
    상기 운송물이 걸려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적어도 일부가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연장된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호이스트유닛;
    상기 호이스트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하방향을 따라 상기 이송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호이스트유닛의 하부를 커버하는 받침유닛; 및
    상기 호이스트유닛에 운송물이 걸렸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상기 호이스트유닛에 설치되고,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제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유닛은,
    그 외주면에 상기 이송유닛에 구비된 제1 구동와이어가 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도르래;
    상기 도르래의 양측에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판;
    상기 결합판과 상기 도르래의 하부로 연장되고, 그 단부가 절곡되며, 상기 운송물이 걸려 지지 가능한 지지고리;
    상기 지지고리와 상기 결합판에 각각 연결되고, 그 상하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성되는 길이조절체;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체는,
    그 일단이 상기 결합판에 고정되는 제1 길이조절부재;
    그 일단에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가 관통되며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는 길이제어부재; 및
    그 일단이 상기 길이제어부재의 타단을 관통하여 오른나사나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지지고리에 장착되는 제2 길이조절부재;
    외부의 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길이제어부재를 자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길이제어부재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지지고리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고리에 가해지는 상기 운송물의 중량을 감지하는 감지모듈;
    상기 감지모듈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고리에 가해지는 상기 운송물의 중량의 변화를 확인하여, 상기 지지고리에서 상기 운송물의 스윙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 및
    상기 판단모듈이 상기 운송물이 스윙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길이제어부재를 제어하여,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와 상기 제2 길이조절부재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상기 길이제어부재를 자전시키고, 상기 지지고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운송물이 상기 받침유닛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도르래는,
    외주면에 와이어홈이 형성되는 도르래롤러;
    상기 도르래롤러의 적어도 일측면에 상기 도르래롤러의 둘레방향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함몰홈; 및
    상기 도르래롤러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함몰홈에 내에서 이동 및 고정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밸런스유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유지체는,
    상기 함몰홈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다면체로 형성되는 밸런스추; 및
    상기 밸런스추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밸런스막대;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막대는, 상기 밸런스추를 상기 함몰홈 내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밸런스추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밸런스추는, 적어도 일부에 밀착재를 포함하고,
    상기 밸런스추는, 서로 다른 무게를 갖도록 복수개로 형성하며,
    상기 밸런스추는, 상기 함몰홈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내측면과 상기 함몰홈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외측면에 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내측면에서 상기 외측면까지의 길이는 상기 함몰홈의 폭방향으로 함몰홈의 상부측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밸런스추의 일면에는, 상기 밸런스추의 폭방향을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밸런스추의 타면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맞물려질 수 있는 형상의 체결홈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돌기를 인접한 밸런스추의 체결홈에 삽입하여 복수개의 밸런스추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길이제어부재는,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상기 길이조절모터를 통해 자전될 수 있고, 상기 제어유닛으로부터 인가되는 실시간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운송물의 스윙이 감소될 수 있는 속도로 자전되며 상기 지지고리에 의해 지지된 상기 운송물에 충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운송물을 상기 받침유닛에 안착시키도록 회전되며,
    상기 결합판은, 상기 도르래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도르래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도르래에 감긴 상기 제1 구동와이어가 그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도르래보다 직경이 더 큰 상기 결합판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고리는, 상기 길이조절체에 연결되는 일 부분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일부분이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하향경사지게 연장되고 또 다른 일부분이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라운지게 절곡되어 상부에 운송물을 삽입할 수 있는 개구와 상기 개구의 내측으로는 운송물을 안착시켜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간이 형성되는 지지고리 몸체; 및
    상기 지지고리 몸체의 절곡된 부분의 상부면에 인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고리 회전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리 몸체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복수의 지지고리 몸체는 서로 중첩된 상태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 가능하며,
    복수의 지지고리 몸체는, 일부의 지지고리 몸체와 다른 일부의 지지고리 몸체의 두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고리 회전체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체결공간으로 노출되도록, 서로 중첩된 복수의 지지고리 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지지고리 몸체는,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기 지지고리 회전체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고리 몸체의 내벽체에 대응되는 형상인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간을 구획하는 복수의 상기 지지고리 몸체의 내벽체 상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공간으로 노출된 상기 지지고리 회전체가 관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고리 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찰 저항이 작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3567A 2023-02-22 2023-02-22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KR102620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567A KR102620986B1 (ko) 2023-02-22 2023-02-22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3567A KR102620986B1 (ko) 2023-02-22 2023-02-22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0986B1 true KR102620986B1 (ko) 2024-01-04

Family

ID=8954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3567A KR102620986B1 (ko) 2023-02-22 2023-02-22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0986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400A (ja) * 1984-10-26 1986-05-24 モルガン コンストラクシヨン カンパニー ホイスト装置
KR960041035A (ko) * 1995-05-27 1996-12-17 이해규 크레인의 컨테이너 흔들림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2445A (ko) 2001-01-20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제습식 건조기의 건조정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98016A (ko) * 2014-02-19 2015-08-27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장치
KR20170021659A (ko) * 2015-08-18 2017-02-28 오철규 크레인 안전 진단 시스템
KR102034265B1 (ko) * 2018-05-15 2019-10-17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장치
KR102034173B1 (ko) * 2019-02-27 2019-10-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KR20200001773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회전장치
KR2021006577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포스코 후크
KR102466485B1 (ko) * 2022-05-12 2022-1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지지설비
KR102530526B1 (ko) * 2023-01-20 2023-05-09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불티 비산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6400A (ja) * 1984-10-26 1986-05-24 モルガン コンストラクシヨン カンパニー ホイスト装置
KR960041035A (ko) * 1995-05-27 1996-12-17 이해규 크레인의 컨테이너 흔들림방지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62445A (ko) 2001-01-20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제습식 건조기의 건조정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50098016A (ko) * 2014-02-19 2015-08-27 주식회사 포스코 운송장치
KR20170021659A (ko) * 2015-08-18 2017-02-28 오철규 크레인 안전 진단 시스템
KR102034265B1 (ko) * 2018-05-15 2019-10-17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장치
KR20200001773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회전장치
KR102034173B1 (ko) * 2019-02-27 2019-10-18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수중 운동체 진수장치
KR20210065770A (ko) * 2019-11-27 2021-06-04 주식회사 포스코 후크
KR102466485B1 (ko) * 2022-05-12 2022-11-11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진동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인공위성 지지설비
KR102530526B1 (ko) * 2023-01-20 2023-05-09 주식회사 대산이엔씨 불티 비산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5603B (zh) 一种传输系统
KR102420712B1 (ko) 수직순환식 주차장치
JPH07145606A (ja) 橋梁支承構造
CA2551379C (en) Side-flexing conveyor module with detachable roller assembly
WO2012172400A2 (en) Elevator device and roller guide assembly
US7464823B2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EP0692440A1 (en) Roller with tapered shuttle
KR102620986B1 (ko)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KR101577377B1 (ko) 완강기
US20070113753A1 (en) Drive for an amusement ride
CN205616089U (zh) 一种传输系统
EP1519077B1 (en) Drive belt pulley and belt drive system
US6439003B1 (en) Ball balancing arrangement
KR19980087023A (ko) 수동 체인 블록
FI94512B (fi) Kuulatasolaite
KR102365818B1 (ko) 수배전반 내진장치
JP7004290B2 (ja) コンベヤ装置
US5248132A (en) Air spring structure free from the shakes of a suspended rotator
JP6489047B2 (ja) 物品搬送装置
JP5176864B2 (ja) 摩擦車式無段変速機のオイル供給構造
CN211593610U (zh) 一种便于运输的纺织机筒子架
JP2975903B2 (ja) 旋回座軸受
JP3093966B2 (ja) カーブドコンベヤ
KR102356711B1 (ko)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리턴 벨트 이물질 제거 브러쉬 시스템
JP2009155087A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