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773A - 턴버클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턴버클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773A
KR20200001773A KR1020180074700A KR20180074700A KR20200001773A KR 20200001773 A KR20200001773 A KR 20200001773A KR 1020180074700 A KR1020180074700 A KR 1020180074700A KR 20180074700 A KR20180074700 A KR 20180074700A KR 20200001773 A KR20200001773 A KR 20200001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buckle
rotating
guide rail
circumferential surfa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5378B1 (ko
Inventor
심규철
송재원
김종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53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5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5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힘을 사용하지 않고 턴버클을 회전시켜 턴버클의 인장력을 손쉽게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 회전장치가 제공된다. 턴버클 회전장치는, 중앙이 관통되어 턴버클이 삽입되며, 턴버클이 접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만입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이드레일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만입부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턴버클을 관통하며, 양단부가 각각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와,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재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기어부와, 기어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턴버클 회전장치{Turnbuckle tensioning apparatus}
본 발명은 턴버클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힘을 사용하지 않고 턴버클을 회전시켜 턴버클의 인장력을 손쉽게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턴버클은 양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막대에 수나사의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수나사에 연결된 밧줄, 체인 및 철사 등의 와이어로프에 인장력을 가하거나 제거하여 길이를 조절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턴버클의 양단부에 와이어로프가 결합된 상태에서 턴버클의 직경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에 막대바를 삽입하고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로프를 당기거나 풀어주면서 인장력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턴버클이 복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거나 좁은 공간에 배치될 경우, 막대바의 회전범위에 한계가 있어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큰 인장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다수의 작업자가 막대바를 직접 회전시키면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최근에는 보다 적은 힘으로 턴버클을 정방향과 역방항으로 회전시켜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은 장치도 작업자가 회전장치를 직접 회전시키는 구조로 인해, 복수 개의 턴버클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될 경우, 작업공간의 한계로 인해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39267호, (2008.03.2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협소한 작업공간에서 힘을 사용하지 않고 턴버클을 회전시켜 턴버클의 인장력을 손쉽게 조절하기 위한 턴버클 회전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는, 중앙이 관통되어 턴버클이 삽입되며, 상기 턴버클이 접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만입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이드레일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상기 턴버클을 관통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로 분할 형성되고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만입부는 상기 회전부재가 수용되는 내측공간의 폭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주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입구의 폭보다 크게 확장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을 가로질러 지름을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체인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단부는 상기 체인에 후크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기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턴버클과 상기 회전바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턴버클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턴버클을 감싸도록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에 의해 적어도 일부에 삽입배치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는, 모터에 의해 턴버클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 턴버클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턴버클 회전장치는 하우징을 이루는 가이드레일과 지지부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턴버클을 회전시킬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턴버클의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턴버클 회전장치는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는 회전장치의 개폐가 용이하며, 턴버클을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턴버클이 장치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 중 미연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A-A와 B-B의 단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턴버클 회전장치에 턴버클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고정부재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양단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턴버클(T)의 지지막대를 작업자가 큰 힘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손쉽게 회전하여 밧줄, 체인 및 철사 등과 같은 와이어로프(도시하지 않음)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턴버클 회전장치(1)는 하우징을 이루는 가이드레일(10)과, 지지부(41)의 위치가 변화하지 않고, 턴버클(T)과 처음 결합된 상태에서 턴버클(T)의 지지막대를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자리를 이동하지 않고 턴버클(T)의 인장력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턴버클 회전장치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에,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에 턴버클이 결합 및 고정되고 작동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턴버클 회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A-A와 B-B의 단면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중앙이 관통되어 턴버클(T)이 삽입되며, 턴버클(T)이 접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만입부(21)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이드레일(10)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만입부(21)에 삽입되어 가이드레일(10)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20)와, 회전부재(20)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턴버클(T)을 관통하며, 양단부가 각각 회전부재(2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30)와,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재(2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기어부(42)와, 기어부(42)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하는 구동유닛(4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에 만입된 만입부(21)가 형성되고, 만입부(21)에 회전부재(20)가 가이드레일(1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회전부재(20)는 구동유닛(40)에 의해 가이드레일(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20)에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바(30)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하고 회전바(30)가 턴버클(T)과 결합 배치되어, 턴버클(T)이 회전부재(20)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회전바(30)가 턴버클(T)의 중앙에 삽입 배치되고, 회전바(30)와 회전부재(20)가 구동유닛(40)에 의해 회전하며, 가이드레일(10)과 구동유닛(40)은 특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턴버클(T)을 회전시켜 턴버클(T)에 연결된 와이어로프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가이드레일(10)은 둥근 링 형상의 하우징을 이루며, 중앙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턴버클(T)이 수직하게 배치된다. 가이드레일(10)은 원형 형상이 분할되어 한 쌍의 제1 가이드부(10a)와 제2 가이드부(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10a)와 제2 가이드부(10b)는 원형이 링 형상이 반으로 분할 형성되고,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링 형상의 가이드레일(10)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제1 가이드부(10a)와 제2 가이드부(10b)가 힌지부(1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10)은 개폐 가능한 구조로 분할 형성되어 턴버클(T)이 후술할 회전바(3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내측 중앙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가이드레일(10)은 턴버클(T)이 접하는 내주면을 따라 만입된 만입부(21)를 형성하여 회전부재(20)를 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만입부(21)는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에 만입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고, 만입된 내측 공간에 회전부재(20)를 수용할 수 있다. 도 3의 (a)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만입부(21)는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입구부(21a)와, 입구부(21a)로부터 가이드레일(10)의 외주면을 향하여 폭이 확장된 확장부(21b)를 포함할 수 있다. 만입부(21)는 확장부(21b)가 입구부(21a)의 폭보다 크게 확장 형성되고 가이드레일(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내측공간을 형성하여 회전부재(20)를 수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만입부(21)는 확장부(21b)에 회전부재(20)가 수용되고, 입구부(21a)가 확장부(21b)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회전부재(20)가 입구부(21a)를 통해 가이드레일(10)의 내측으로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입구부(21a)는 가이드레일(10)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회전바(30)가 회전부재(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입구부(21a)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부재(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하도록 한다.
회전부재(20)는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 배치되어 회전바(30)와 결합되어 턴버클(T)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만입부(21)의 내측공간 즉, 확장부(21b)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부재(20)는 분할 형성된 가이드레일(10)이 개방될 경우, 가이드레일(10)의 내측 공간을 개방하기 위하여 양단부가 후크 결합되어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루며, 가이드레일(10)의 내측공간에 배치되어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회전부재(20)는 입구부(21a)의 폭보다 크고 단턱지게 형성된 확장부(21b)에 삽입 배치되어 입구부(21a)로부터 가이드레일(10)의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으며, 입구부(21a)가 개구된 상태로 유지되어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부재(20)는 일종의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유닛(40)의 기어부(42)와 맞물려 기어부(42)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으로 노출된 회전부재(20)의 적어도 일부에는 회전바(30)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바(30)는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서 턴버클(T)을 회전시키기 위한 지지막대로, 양단부가 회전부재(20)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회전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다. 회전바(30)는 가이드레일(10) 지름과 유사한 길이의 가늘고 기다란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레일(1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바(30)는 가이드부재(10)의 중앙을 가로질러 지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양단부가 각각 체인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단부는 체인에 후크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회전바(30)는 일단이 체인에 완전하게 고정되고 타단이 체인에 후크결합되거나, 양단이 체인에 후크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는 회전바(30)의 양단부에 후크부(31)가 형성되어 회전부재(20)에 결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회전바(30)는 후크부(31)가 회전부재(20)에 결합되고 입구부(21a)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후크부(31)는 회전부재(20)에 결합되고 가이드레일(10)의 내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입구부(21a)와 마주하도록 배치되어, 회전부재(20)의 회전에 따라 입구부(21a)의 연장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힌지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부(10a, 10b)가 개방되고 회전바(30)의 일단부가 회전부재(20)로부터 분리될 때, 턴버클(T)이 회전바(30)를 관통하여 회전바(30)의 외측에 배치되어 회전부재(20)와 회전바(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회전바(30)는 적어도 일부에 관통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32)는 후술할 고정부재(도 6의 50참조)가 삽입되기 위한 구멍으로, 회전바(30) 및 턴버클(T)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바(30)의 일측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부(32)는 회전바(30)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 즉, z축방향으로 회전바(30)에 관통 형성되어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 상에서의 관통부(32)는 회전바(30)에 적어도 한 쌍이 이격 배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구동유닛(40)은 회전부재(20)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 가이드레일(10)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부재(20)에 구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구동유닛(40)은 지지부(41)와, 기어부(42)와, 구동모터(43)와, 토크감지부(44)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회전부재(20)와 회전바(30)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턴버클(T)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부(41)는 구동유닛(40)의 본체를 이루는 일종의 하우징으로, 가이드레일(10)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41)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기어부(42)와, 구동모터(43)와, 토크감지부(44)가 배치할 수 있다. 지지부(41)는 일측면이 가이드레일(10)과 연통되도록 가이드레일(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레일(10) 내측에 배치된 회전부재(20)는 지지부(41)의 수용공간으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기어부(42)는 연통되어 수용공간으로 노출된 회전부재(2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구동모터(4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회전부재(2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어부(42)는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재(20)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전달기어(42a)과, 구동기어(42b, 42c)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달기어(42a)는 회전부재(2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회전 구동하는 것으로, 구동기어(42b, 42c)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전달기어(42a)는 체인으로 이루어진 회전부재(20)와 결합 가능하도록 스프로킷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며, 제1 회전축(420)의 양단에 제1 구동기어(42b)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구동기어(42b, 42c)는 구동모터(43)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을 전달기어(42a)로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3)와 전달기어(4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기어(42b, 42c)는 전달기어(42a)의 회전축인 제1 회전축(420)과 구동모터(43)의 회전축인 제2 회전축(421)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동기어(42a, 42b)는 제1 회전축(420)과 제2 회전축(421)에 각각 결합되고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제1 구동기어(42b)와 제2 구동기어(42c)를 포함한다. 제1 구동기어(42b)와 제2 구동기어(42c)는 서로 수직하게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회전 가능한 일종의 베벨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회전축(421)은 일단과 타단에에 제2 구동기어(42c)와 구동모터(43)가 각각 연결되어, 구동모터(43)의 구동력이 제2 구동기어(42c)로 전달되고 제2 구동기어(42c)의 회전에 의해 제2 구동기어(42c)와 맞물려 있는 제1 구동기어(42a)가 회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유닛(40)은 구동모터(43)의 동작 시, 제2 회전축(421), 제2 구동기어(42c), 제1 구동기어(42b), 제1 회전축(420), 전달기어(42a), 회전부재(20)로 순으로 구동력이 전달되어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6의 작동과정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의 전달기어(42a)와 회전부재(20)는 체인과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모터(43)로부터 구동력을 인가받아 서로 맞물려 회전하여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동기어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달기어(42a)는 구동모터(43)의 구동력을 구동기어(42b, 42c)를 거쳐 전달받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달기어(42a)와 구동모터(43)가 제1 회전축(420)에 각각 연결되어 전달기어(42a)가 구동모터(43)로부터 구동력을 직접적으로 전달받을 수도 있으며, 구동모터(43)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구동기어(42b, 42c)와 구동모터(43) 사이의 제2 회전축(421)에는 토크감지부(44)가 배치될 수 있다.
토크감지부(44)는 기어부(42)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지하는 일종의 센서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크감지부(44)는 구동유닛(40)과 기어부(42) 사이의 구동력이 전달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기어부(42)에 작용되는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토크감지부(44)는 기어부(42)에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게 될 경우, 구동모터(43)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토크감지부(44)는 일종의 로드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가이드레일이 개방되고 회전바가 회전레일로부터 분리되어 턴버클이 결합되는 상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턴버클 회전장치에 턴버클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고정부재를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회전하여 개방 가능한 가이드레일(10)의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가이드레일(10)은 한 쌍의 제1 가이드부(10a)와 제2 가이드부(10b)가 힌지결합된 힌지부(11)를 기준으로 회동하여 개폐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은 일측에 결합된 후크를 분리하여 제1 가이드부(10a)가 힌지부(11)를 기중으로 회동하여 내측을 개방 시킬 수 있다. 가이드레일(10)이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바(30)는 일단부의 후크부(31)를 회전부재(20)로부터 분리하여 좌우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턴버클(T)의 위치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회전바(30)는 가이드레일(10)이 개방된 방향을 따라 회전하고, 턴버클(T)에 관통되어 외주면에 턴버클(T)이 배치된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바(30)에 턴버클(T)이 관통 배치되고, 회전부재(20)와 분리된 후크부(31)를 다시 회전부재(20)에 후크 결합시킨다.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 턴버클(T)이 배치된 후에, 개방된 제1 가이드부(10a)는 힌지부(11)를 중심으로 원상태로 회전하여 제2 가이드부(10b)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가이드레일(10)의 개방 가능한 구조로 분할 형성 되어, 내측에 턴버클(T)을 손쉽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회전바(30)에 의해 가이드레일의 내측에 고정된 턴버클(T)의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턴버클 회전장치(1)는 회전부재(20)와 턴버클(T)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더라도 턴버클(T)을 고정부재를(50) 이용하여 완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규격을 가진 턴버클(T)을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 배치 가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턴버클 회전장치(1)는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 배치된 턴버클(T)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완전하게 제한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50)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0)는 회전바(30)에 관통 배치되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턴버클(T)의 이동을 제한하기 보조고정장치로, 턴버클(T)과 회전바(30)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부(32)에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50)는 기다란 막대바가 굴절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절개된 양단부가 각각 한 쌍의 관통부(3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턴버클(T)은 회전바(30)에 의해 관통되어 한 쌍의 관통부(32)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부재(50)가 관통부(32)를 관통하여 턴버클(T)을 감싸도록 고정하여 턴버클(T)의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완전하게 제한될 수 있다. 특히, 고정부재(50)는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내측에 삽입 배치되는 스토퍼(51)를 포함하여 턴버클(T)과 회전바(3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스토퍼(51)는 고정부재(50)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고정부재(50)의 내측에 배치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고정부재(50)의 내측에 배치되거나 외측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의 확대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스토퍼(51)는 고정부재(50)가 관통부(32)에 삽입될 때, 스프링이 수축하면서 경사진면에 의해 자연스럽게 고정부재(5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스토퍼(51)는 고정부재(50)가 관통부(32)를 통과하였 때,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고정부재(5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바(30)에 걸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턴버클(T)이 가이드레일(10)의 닫혀진 구조에 내측에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구동모터(43)의 동작 중에 가이드레일(10)의 내측으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하여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부재(50)와 스토퍼(51)의 구조를 더 포함하여, 턴버클(T)을 회전바(30)에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50)는 가이드레일(10)이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바(30)에 턴버클(T)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가이드레일(10)이 닫힌 후에 관통부(32)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턴버클 회전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도 1의 턴버클 회전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턴버클(T)은 관통 배치되는 회전바(30)와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정부재(50)에 의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상태에서 구동모터(43)가 구동하면, 제2 회전축(421)이 회전하고, 제2 회전축(421)에 결합된 제2 구동기어(42c)가 제2 회전축(421)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구동기어(42b)는 제2 구동기어(42c)의 구동에 따라 맞물려 회전하고, 제1 회전축(420)과 이에 맞물린 전달기어(42a)가 회전할 수 있다. 전달기어(42a)와 제1 구동기어(42b)는 동일축에 결합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에서 전달기어(42a)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달기어(42a)와 맞물리 회전부재(20)가 이와 반대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바(30)는 회전부재(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회전바(30)에 완전하게 고정된 턴버클(T)도 이와 동일한 방향인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지지막대의 양단부에 결합된 수나사는 지지막대의 회전에 의해 지지막대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수나사에 결합된 와이어로프는 조여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2 회전축(421)과 제2 구동기어(42c)가 이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구동기어(42b), 제1 회전축(420), 전달기어(42a)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전달기어(42a)와 맞물려 회전하는 회전부재(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회전바(30)와 턴버클(T)의 지지막대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막대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수나사는 지지막대로부터 풀어지게 되며, 수나사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는 느슨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턴버클(T)은 구동모터(43)에 연결된 제2 회전축(421)이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턴버클(T)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가이드레일(10)의 내측에 턴버클(T)이 배치된 상태에서 외측의 하우징을 이루는 가이드레일(10)과 지지부(41)는 회전하지 않고, 턴버클(T)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와 턴버클(T)만 자동으로 회전하여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인장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턴버클 회전장치(1)는 회전장치는, 구동모터(32)에 의해 턴버클(T)을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 큰 힘을 사용하지 않고 턴버클(ㅅ)의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을 이루는 가이드레일(10)과 지지부(41)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턴버클(T)만 회전시킬 수 있어 제한된 공간에서 턴버클(T)의 인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감소시키고 작업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턴버클 회전장치 10: 가이드레일
10a: 제1 가이드부 10b: 제2 가이드부
11: 힌지부 20: 회전부재
21: 만입부 21a: 입구부
21b: 확장부 30: 회전바
31: 후크부 32: 관통부
40: 구동유닛 41: 지지부
42: 기어부 42a: 전달기어
42b: 제1 구동기어 42c: 제2 구동기어
43: 구동모터 44: 토크감지부
50: 고정부재 51: 스토퍼
420: 제1 회전축 421: 제2 회전축
T: 턴버클

Claims (8)

  1. 중앙이 관통되어 턴버클이 삽입되며, 상기 턴버클이 접하는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만입부가 형성된 링 형상의 가이드레일;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만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레일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
    상기 회전부재의 내주면을 가로질러 상기 턴버클을 관통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회전바; 및
    적어도 일부가 상기 회전부재와 맞물려 회전 구동하는 기어부와, 상기 기어부에 구동력을 인가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은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로 분할 형성되고 일단부가 서로 힌지결합되어 링 형상을 이루며,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턴버클 회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입부는 상기 회전부재가 수용되는 내측공간의 폭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주면이 개구되어 형성된 입구의 폭보다 크게 확장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내측공간에 위치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중앙을 가로질러 지름을 형성하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체인에 결합되되, 적어도 일단부는 상기 체인에 후크결합되는 턴버클 회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기어부에 작용하는 토크를 감지하는 토크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버클과 상기 회전바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상기 턴버클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는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턴버클을 감싸도록 고정 배치되는 턴버클 회전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탄성에 의해 적어도 일부에 삽입배치되거나 외측으로 돌출배치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턴버클 회전장치.
KR1020180074700A 2018-06-28 2018-06-28 턴버클 회전장치 KR102095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00A KR102095378B1 (ko) 2018-06-28 2018-06-28 턴버클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00A KR102095378B1 (ko) 2018-06-28 2018-06-28 턴버클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73A true KR20200001773A (ko) 2020-01-07
KR102095378B1 KR102095378B1 (ko) 2020-03-31

Family

ID=6915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00A KR102095378B1 (ko) 2018-06-28 2018-06-28 턴버클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5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86B1 (ko) * 2023-02-22 2024-01-04 주식회사 태영건설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606A (en) * 1945-11-14 1949-07-12 Theodore L Gagnon Turnbuckle wrench
JPH0728208U (ja) * 1993-11-02 1995-05-23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ターンバックル用工具
KR200439267Y1 (ko) 2008-01-21 2008-03-28 정유승 턴버클 회전장치
KR20080065781A (ko) * 2007-01-10 2008-07-15 김병수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KR20140022820A (ko) * 2011-05-04 2014-02-25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토크 감지 유닛이 구비된 파워 렌치
KR200474389Y1 (ko) * 2013-04-08 2014-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난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5606A (en) * 1945-11-14 1949-07-12 Theodore L Gagnon Turnbuckle wrench
JPH0728208U (ja) * 1993-11-02 1995-05-23 積水ハウス株式会社 ターンバックル用工具
KR20080065781A (ko) * 2007-01-10 2008-07-15 김병수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KR200439267Y1 (ko) 2008-01-21 2008-03-28 정유승 턴버클 회전장치
KR20140022820A (ko) * 2011-05-04 2014-02-25 아틀라스 콥코 인더스트리얼 테크니크 에이비 토크 감지 유닛이 구비된 파워 렌치
KR200474389Y1 (ko) * 2013-04-08 2014-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난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0986B1 (ko) * 2023-02-22 2024-01-04 주식회사 태영건설 호이스트 방식의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5378B1 (ko) 202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495A (en) Gear for converting a rotary into a translational motion
AU2017101341A4 (en) Winch including rotatable tie structure
KR102031442B1 (ko) 로프 권취 장치
US20130270499A1 (en) Pull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TW201714681A (zh) 用於致動快拆式鏈條緊固器之裝置
US2174192A (en) Wire rope fitting
KR102447795B1 (ko) 간접활선용 자동방향전환 진자형 회전구동 라쳇 장선기 및 이를 이용한 간접활선 전선 가선공법
KR20200001773A (ko) 턴버클 회전장치
US4836345A (en) Clutch system for gear drive
JP2016059213A (ja) 張力緩和装置
AU2006202572B2 (en) Rope tensioner
KR20150003493U (ko) 와이어로프 타이밍 조정 기능을 갖는 윈치
US5297782A (en) Modular snubber apparatus
KR200439267Y1 (ko) 턴버클 회전장치
KR20120025061A (ko) 턴버클 회전장치
US4051741A (en) Drive belt with connector
US5070582A (en) Chain tight chain binder
JP3869460B1 (ja) パイプ圧入工具
JP6593829B1 (ja) プーリ
KR200483732Y1 (ko) 윈치용 동력전달장치
US903997A (en) Derrick-swinging mechanism.
JP6061353B2 (ja) 自動ドア装置のシャフトとプーリーの取り付け方法
DE202023002544U1 (de) Tragbare Spillwinde
KR100880260B1 (ko) 단위 파이프의 조립구조로 이루어진 바튼파이프
DE202013102259U1 (de) Gurtspan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