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1442B1 - 로프 권취 장치 - Google Patents

로프 권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1442B1
KR102031442B1 KR1020170177908A KR20170177908A KR102031442B1 KR 102031442 B1 KR102031442 B1 KR 102031442B1 KR 1020170177908 A KR1020170177908 A KR 1020170177908A KR 20170177908 A KR20170177908 A KR 20170177908A KR 102031442 B1 KR102031442 B1 KR 10203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reel
gear
roll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6257A (ko
Inventor
박형준
여동규
양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7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4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2Translation screw-threa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65H2555/21Actuating means angular pneum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5Ropes, lines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권취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릴로 공급되는 로프의 권취 위치를 조정하는 로프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 공급부는 상기 릴에 권취된 상기 로프가 상기 릴로부터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로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프 권취 장치{ROPE WINDING DEVICE}
본 발명은 냉연 연속소둔공정에서 소둔로 수리 시 사용되는 로프를 권취하는 로프 권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속소둔공정의 소둔로는 보통 6개월 간격으로 내부 설비의 점검, 교환 및 수리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소둔로의 내부에 로프를 배치하고 제거하는 작업이 진행된다.
그런데 종래의 경우, 로프를 제거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로프를 당겨 권취기(Reel)에 감고 있어 안전 사고 위험성이 높다. 또한 대략 2,200m의 로프를 권취하기 위해 7시간이 넘는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점검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수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KR 10-1999-0025093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으로 로프를 권취할 수 있는 로프 권취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권취 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릴로 공급되는 로프의 권취 위치를 조정하는 로프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 공급부는 상기 릴에 권취된 상기 로프가 상기 릴로부터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로프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압축 공기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에어 모터 및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릴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릴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공급부는, 상기 릴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 홈이 형성된 회전 샤프트 및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 홈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고정부는, 상기 이동편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편과 함께 왕복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편과 함께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고정부는, 상기 이동편에 체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의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롤러가 역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단부에는 기어가 체결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기어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롤러의 역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기어와 이격 배치되며 힌지가 구비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힌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기어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회전 반경은, 상기 기어와 상기 힌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력 장치를 통해 자동으로 로프를 릴에 권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로프 공급부와 로프 고정부를 통해 로프를 릴에 고르게 권취할 수 있다. 더하여, 하나의 동력 장치를 이용하여 릴과 로프 공급부를 함께 구동하므로, 구성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권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 권취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프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프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기어와 차단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프 권취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프 권취 장치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프 공급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로프(R)는 납작하고 폭이 넓은 형태의 로프(R)가 이용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로프 권취 장치(100)는 프레임(110), 구동부(130), 로프(R)가 권선되는 릴(120), 및 로프(R)를 릴(120)로 공급하는 로프 공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릴(120)은 프레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내부에 로프(R)가 권취된다. 릴(120)은 로프(R)가 권취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릴(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릴(120)에 회전력을 공급한다.
구동부(130)는 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동력 장치(132), 동력 장치(132)와 릴(120)을 연결하는 릴 연결 부재(13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동력 장치(132)로 에어 모터(air motor)가 이용된다. 따라서 동력 장치(132)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압축 공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릴(120)에 공급한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동력 장치(132)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라인에는 레귤레이터나, 에어의 공급 방향을 전환시켜 에어 모터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레버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릴 연결 부재(134)는 동력 장치(132)와 릴(120)의 회전축(120a)을 연결하여 동력 장치(132)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릴(120)로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릴 연결 부재(134)로 체인이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벨트를 이용하나 다수의 기어를 통해 동력 장치(132)와 릴(120)의 회전축(120a)을 연결하는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릴 연결 부재(134)가 연결되는 릴(120)의 회전축(120a)에는 클러치(clutch)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클러치를 조작하여 동력 장치(132)로부터 릴(120)에 공급되는 동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로프 공급부(140)는 릴(120)의 전방에 배치되어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로프 공급부(140)는 릴(120)에 공급되는 로프(R)를 권취 위치를 조정하여 로프(R)를 고르게 권취시킨다. 이를 위해 로프 공급부(140)는 리버스 캠(142), 가이드부(145), 및 로프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리버스 캠(142)은 회전 샤프트(143)와 이동편(144)을 포함한다.
회전 샤프트(143)는 릴(12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릴(120)과 함께 회전한다. 이를 위해 릴(120)의 회전 샤프트(143)와 릴(120)은 캠 연결 부재(14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캠 연결 부재(141)는 전술한 연결 부재와 마찬가지로 체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회전 샤프트(143)는 릴(120)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어야 로프(R)가 릴(120)에 권취되는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로프(R)를 릴(120)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릴(120)과 회전 샤프트(143)는 동일한 기어비(gear ratio)로 연결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143)가 릴(120)의 회전축(120a)에 연결되어 동력을 공급받도록 구성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샤프트(143)가 동력 장치(132)에 직접 연결되어 동력 장치(132)로부터 동력을 공급 받도록 구성하거나, 회전 샤프트(143)를 회전시키기 위해 별도의 동력 장치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 샤프트(143)의 외주면에는 나선 홈(14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편(144)은 내주면의 일부가 회전 샤프트(143)의 나선 홈(143a)에 삽입되도록 회전 샤프트(143)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동편(144)은 회전 샤프트(143)가 회전할 때, 나선 홈(143a)을 따라 회전 샤프트(143)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부(145)는 회전 샤프트(143)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46)과, 가이드 레일(146)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가이드 레일(146)에 결합되는 이동 부재(147)를 포함한다.
이동 부재(147)는 리버스 캠(142)의 이동편(144)과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 부재(147)는 이동편(144)과 함께 이동한다. 이동편(144)이 이동 부재(147)와 체결됨에 따라, 회전 샤프트(143)가 회전할 때 이동편(144)은 회전 샤프트(143)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나선 홈(143a)을 따라 회전 샤프트(14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로프 고정부(150)는 이동편(144)의 하부에 배치되며 이동편(144)에 체결되어 이동편(144)과 함께 이동한다.
로프 고정부(150)는 릴(120)에 권취되는 로프(R)의 흔들림을 억제하며 로프(R)를 릴(120)로 공급한다. 또한 릴(120)에 권취된 로프(R)가 릴(120)로부터 풀리는 것을 억제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로프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로프 고정부(150)는 이동편(144)에 체결되는 브라켓(152)과 2개의 롤러(155a, 155b), 탄성 부재(153), 및 차단 부재(156)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152)은 이동편(144)에 고정 체결되며, 내부에 2개의 롤러(155a, 155b)가 배치된다. 따라서 내부에 롤러(155a, 155b)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하며, 롤러(155a, 155b)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한다.
또한 로프(R)는 2개의 롤러(155a, 155b) 사이를 관통하며 릴(120)에 권취된다. 따라서 로프(R)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브라켓(152)의 전방과 후방은 개방된다.
2개의 롤러(155a, 155b)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브라켓(152)에 결합된다. 이때, 롤러(155a, 155b)의 회전축은 양 단이 브라켓(152)의 외부로 노출된다.
2개의 롤러(155a, 155b) 사이에는 로프(R)가 삽입되어 이동한다. 따라서 2개의 롤러(155a, 155b)는 로프(R)의 두께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롤러(155a, 155b)는 상부에 배치되는 제1 롤러(155a)와 하부에 배치되는 제2 롤러(155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는 일단이 탄성 부재(15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는 탄성 부재(153)로부터 가해지는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 사이에 삽입되는 로프(R)는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에 의해 상, 하부가 가압되어 로프 고정부(15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부재(153)는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롤러(155ab)와 제2 롤러(155ab)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2 롤러(155b)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브라켓(152)의 관통 구멍(152a)은 길이가 제2 롤러(155b)의 회전축 직경보다 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관통 구멍(152a)은 제2 롤러(155b)의 회전축 직경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하 방향으로는 제2 롤러(155b)의 회전축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 롤러(155b)는 관통 구멍(152a) 내에서 관통 구멍(15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즉, 제2 롤러(155b)는 제1 롤러(155a)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는 탄성 부재(153)에 의해 서로 최대한 인접하게 밀착 배치된다. 그러나 로프(R)에서 두께가 두꺼운 부분(예컨대 로프와 로프를 연결한 매듭 부분)이 로프 고정부(150)를 지나는 경우 제2 롤러(155b)는 상기한 두꺼운 부분에 의해 제1 롤러(155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두꺼운 부분이 지나가면 탄성 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제1 롤러(155a)의 타단에는 기어(154)가 결합된다 기어(154)는 제1 롤러(155a)의 회전축에 체결되어 제1 롤러(155a)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어(154)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면 제1 롤러(155a)의 회전도 제한된다.
제1 롤러(155a)의 기어(154)는 차단 부재(156)에 의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기어와 차단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차단 부재(156)는 몸체부(159)와 스토퍼(158), 가압 부재(157)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9)는 차단 부재(156)의 전체적인 외형을 구성하며, 내부에 스토퍼(158)가 배치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또한 스토퍼(158)가 결합되는 힌지(159b)를 구비한다.
스토퍼(158)는 일단이 몸체부(159)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스토퍼(158)는 힌지(159b)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몸체부(159)에 결합된다.
가압 부재(157)는 스토퍼(158)의 타단을 기어(154)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이에 스토퍼(158)의 타단은 몸체부(159)의 외부로 돌출되어 기어(154)의 톱니 사이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압 부재(157)는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비되어 일단이 몸체부(159)에 체결되고 타단이 가압 부재(157)에 체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부재(157)의 일단을 탄성적으로 몸체부(159)의 외부로 가압할 수만 있다면 가압 부재(157)의 형상이나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157)와 몸체부(159)에 삽입 홈(158a, 159a)을 각각 형성한 후, 가압 부재(157)의 양 단이 상기한 삽입 홈(158a, 159a)에 각각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압 부재(157)의 양 단이 스토퍼(158)와 몸체부(159)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차단 부재(156)는 기어(154)를 한 방향으로만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차단 부재(156)는 로프(R)가 릴(120)에 권취되는 방향(이하, 정회전)으로 제1 롤러(155a)가 회전되는 것은 허용하고, 반대 방향(이하, 역회전)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158)는 끝단이 기어(154)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며, 스토퍼(158)의 회전 반경은 기어(154)와 힌지(159a)와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54)가 정회전(C1) 하는 경우, 스토퍼(158)는 기어(154)의 톱니에 의해 몸체부(159) 쪽으로 가압되며, 이에 가압 부재(157)가 압축되며 스토퍼(158)가 힌지(159a)를 회전축으로 하여 몸체부(159) 측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기어(154)는 무리없이 지속적으로 정회전(C1)이 가능하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154)가 역회전(C2)하는 경우, 스토퍼(158)는 기어(154)의 톱니와 맞물리게 되므로 기어(154)의 회전이 억제된다. 따라서 로프(R)를 권취하는 도중에 권취가 중단되더라도 릴(120)에 권취된 로프(R)가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로프 권취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60)를 구비할 수 있다. 커버(160)는 릴(120)을 덮는 뚜껑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개가 서로 겹치는 형태로 회전되며 릴(120)의 내부 공간을 덮거나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160)에는 적어도 하나의 투명 창(161a)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커버(160)로 릴(120)의 내부 공간을 최대한 덮은 상태에서 투명 창(161a)을 통해 로프(R)가 권취되는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로프 권취 장치(100)를 이용하여 로프(R)를 권취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는 로프 고정부(150)에 구비되는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 사이로 로프(R)를 관통시킨 후 릴(120)에 고정한다.
이어서 동력 장치(132)를 동작시킨다. 이에 릴 연결 부재(134)를 통해 동력 장치(132)와 연결되어 있는 릴(120)과, 캠 연결 부재(141)를 통해 릴(120)의 회전축(120a)에 연결되어 있는 회전 샤프트(143)는 회전을 시작하고, 로프(R)는 릴(120)에 권취된다.
로프(R)가 릴(120)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리버스 캠(142)의 이동편(144)은 회전 샤프트(143)의 나선 홈(143a)을 따라 회전 샤프트(143)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이에 이동편(144)에서 릴(120)로 공급되는 로프(R)는 이동편(144)에 의해 릴(12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며 릴(120)에 권취된다. 따라서 어느 한 곳에 집중적으로 로프(R)가 권취되지 않고 릴(120) 전체에 고르게 로프(R)가 권취된다.
이 과정에서 로프 고정부(150)는 로프(R)의 상부와 하부에서 로프(R)를 가압하며 로프(R)를 릴(120) 측으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릴(120)과 로프 고정부(150) 사이에 배치되는 로프(R)에는 장력이 발생되어 보다 균일하게 릴(120)에 권취될 수 있다.
또한 로프(R)에 형성된 매듭 부분이 로프 고정부(150)를 통과하는 경우, 제2 롤러(155a)가 제1 롤러(155b)와 멀어지면서 제1 롤러(155a)와 제2 롤러(155b)가 이격되므로, 상기한 매듭 부분도 무리 없이 로프 고정부(150)를 통과할 수 있다.
더하여, 제1 롤러(155a)는 차단 부재(156)에 의해 일 방향으로만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로프(R)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권취가 중단되더라도 로프 고정부(150)에 의해 로프(R)의 움직임이 고정되므로 릴(120)에 권취된 로프(R)가 쉽게 풀리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로프 권취 장치(100)는 동력 장치(132)를 통해 자동으로 로프(R)를 릴(120)에 권취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로프 공급부(140)와 로프 고정부(150)를 통해 로프(R)를 릴(120)에 고르게 권취할 수 있다.
더하여, 하나의 동력 장치(132)를 이용하여 릴(120)과 로프 공급부(140)를 함께 구동하므로, 구성 요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로프 권취 장치
110: 프레임
120: 릴
130: 구동부
140: 로프 공급부
142: 리버스 캠
145: 가이드부
150: 로프 고정부
160: 커버

Claims (9)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릴;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어 상기 릴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 및
    상기 릴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릴로 공급되는 로프의 권취 위치를 조정하는 로프 공급부;
    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 공급부는,
    상기 릴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나사 홈이 형성된 회전 샤프트;
    상기 회전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나사 홈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이동편; 및
    상기 릴에 권취된 상기 로프가 상기 릴로부터 풀리는 것을 억제하는 로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 고정부는,
    상기 이동편에 체결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롤러와 제2 롤러;
    상기 제1 롤러의 단부에 체결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롤러가 역회전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기어와 이격 배치되며 힌지가 구비되는 몸체부;
    일단이 상기 몸체부의 힌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기어의 톱니 사이에 삽입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기어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
    를 포함하는 로프 권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압축 공기를 통해 회전력을 제공하는 에어 모터; 및
    상기 에어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릴의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릴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로프 권취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고정부는,
    상기 이동편에 체결되어 상기 이동편과 함께 왕복 이동하는 로프 권취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샤프트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편과 함께 왕복 이동하는 이동 부재;
    를 더 포함하는 로프 권취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회전 반경은,
    상기 기어와 상기 힌지 사이의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 로프 권취 장치.
KR1020170177908A 2017-12-22 2017-12-22 로프 권취 장치 KR10203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908A KR102031442B1 (ko) 2017-12-22 2017-12-22 로프 권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908A KR102031442B1 (ko) 2017-12-22 2017-12-22 로프 권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57A KR20190076257A (ko) 2019-07-02
KR102031442B1 true KR102031442B1 (ko) 2019-10-11

Family

ID=6725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908A KR102031442B1 (ko) 2017-12-22 2017-12-22 로프 권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80B1 (ko) 2022-09-19 2023-02-07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권취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 로프 가이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354B1 (ko) 2020-04-17 2022-04-26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소분장치
KR102539994B1 (ko) * 2021-03-15 2023-06-07 주식회사 가람 케이블 릴
KR102637186B1 (ko) * 2021-11-12 2024-02-14 송기수 케이블 권선 장치
CN114620545B (zh) * 2022-04-19 2023-10-24 常熟市电力机具有限公司 电力施工收绳装置
KR20240057910A (ko) 2022-10-25 2024-05-03 신한테크(주) 로프 소분 자동화장치
KR102642682B1 (ko) * 2023-11-02 2024-03-04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로프 꼬임 교정용 리와인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드럼 로프 와인딩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7644A1 (en) * 2003-10-13 2005-04-28 Hyupwoo Trading Co., Ltd. Labor reduction type agricultural chemical spraying system having automatic hose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093A (ko) 1997-09-05 1999-04-06 구자홍 캠코더의 떨림 보정장치 및 그 방법
JP4018795B2 (ja) * 1998-03-09 2007-12-05 有光工業株式会社 ホース巻取装置
KR20080040479A (ko) * 2006-11-03 2008-05-08 이상정 과립형 살포재의 살포장치
KR101564551B1 (ko) * 2014-02-26 2015-10-30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호스 자동 권취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7644A1 (en) * 2003-10-13 2005-04-28 Hyupwoo Trading Co., Ltd. Labor reduction type agricultural chemical spraying system having automatic hose winding and unwinding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280B1 (ko) 2022-09-19 2023-02-07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권취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 로프 가이드 장치
KR20230024311A (ko) 2022-09-19 2023-02-20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권취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 로프 가이드 장치
KR20230024310A (ko) 2022-09-19 2023-02-20 주식회사 에스디호이스트 권취 효율이 향상된 와이어 로프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257A (ko)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1442B1 (ko) 로프 권취 장치
US10662039B2 (en) Winch for vehicle
JP2015152172A (ja) 開口部、特に機械開口部用カバー装置
KR101511013B1 (ko) 3롤 타입 롤 밴딩장치
CN106172289B (zh) 钓鱼用绕线轮的往复移动机构
DE102005043891B4 (de) Vorrichtung zum Hin- und Herbewegen eines Drahtes
GB2433405B (en) A fixed spool fishing reel
US20160116056A1 (en) Geared drive assemblies
JP2018178696A (ja) 車両用ドア開閉装置
CN105548012A (zh) Ccd检测机的翻转机构
JP6306335B2 (ja) 巻取装置
EP3295072B1 (de) Schutzgehäuse für eine prüf-, mess-, oder fertigungseinrichtung
CN112441480B (zh) 一种便携手提式自动缠绕机
KR102182101B1 (ko) 와이어 윈치 장치
JPS5894665A (ja) ワイヤの伸びを吸収する機構
CN117206866B (zh) 一种喷油泵装配的轨道自动挡料机构
JP5511357B2 (ja) 巻取補助装置及び巻取装置
CN109969847A (zh) 一种自动化粘带分条装置
JP6434340B2 (ja) 給電機構
KR100575396B1 (ko) 방제기의 호스정렬장치
KR100994163B1 (ko) 권취기
DE202016100606U1 (de) Werkzeugbefestigungsanordnung einer Revolverkopfvorrichtung in einer Werkzeugmaschine
JPH0713162U (ja)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の釣糸案内装置
JP2005239339A (ja) 手巻きウインチ
US6572281B2 (en) Film winding-rewinding apparatus for a came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