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551B1 - 호스 자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호스 자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551B1
KR101564551B1 KR1020140022581A KR20140022581A KR101564551B1 KR 101564551 B1 KR101564551 B1 KR 101564551B1 KR 1020140022581 A KR1020140022581 A KR 1020140022581A KR 20140022581 A KR20140022581 A KR 20140022581A KR 101564551 B1 KR101564551 B1 KR 101564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rotary drum
tension
wound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194A (ko
Inventor
유범상
김경철
고민혁
권대식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5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25Mechanical spr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3Hollow or hose-like material

Landscapes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스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약 등을 할 때 사용되는 호스를 자동으로 속도 조절하여 권취할 수 있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호스 자동 권취장치는, 양측에 지지대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호스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부와; 상기 회전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력감지부는 상기 회전드럼부로부터 권출 또는 권취되는 호스와 접하여 상기 호스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고, 상기 장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호스의 장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호스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호스 자동 권취장치 { HOSE WINDING APPARATUS }
본 발명은 호스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약 등을 할 때 사용되는 호스를 자동으로 속도 조절하여 권취할 수 있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압 분무기를 사용하여 원격지에 물을 뿌리거나 농약을 분사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호스를 길게 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고압 호스를 권취드럼에 감거나 풀어주는 호스 권취기를 필요로 하게 된다.
기존의 호스 권취기는 일정 길이를 갖게 되는 호스를 감아주는 권취드럼을 구비하되, 상기 권취드럼은 내장된 모터 또는 외부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권취드럼의 회전 구동력은 클러치를 이용하여 단속이 가능한 동시에 정역 변환 스위치 또는 외부 동력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권취드럼의 회전이나 정지 또는 정역 회전이 선택되게 된다.
상기 권취드럼에는 많은 량의 호스가 감겨져야 하는 것으로, 순차적으로 호스가 감기고 풀리게 하기 위한 호스정렬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 호스를 감거나 풀을 때 권취드럼의 폭 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면서 호스가 순차적으로 감기거나 풀리도록 함으로써 호스를 감거나 풀을 때 호스가 엉키지 않고 잘 풀리거나 감기도록 즉 잘 권출 및 권취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호스는 강한 외력 등에 의해 빨리 풀리거나 감겨야 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천천히 풀리거나 감겨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호스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함이 없이 거의 동일한 속도로 호스를 감거나 풀기 때문에, 호스가 외부에 걸려 있을 경우 호스를 감는 힘에 의해 호스가 파손되거나, 호스의 권취속도 또는 권출속도가 느릴 경우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4792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권취 또는 권출되는 호스에 작용되는 장력을 감지하여 호스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회전드럼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호스에 높은 장력이 작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호스를 필요에 따라 고속 또는 저속으로 권취 또는 권출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호스 자동 권취장치는, 양측에 지지대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호스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부와; 상기 회전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의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장력감지부는 상기 회전드럼부로부터 권출 또는 권취되는 호스와 접하여 상기 호스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고, 상기 장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호스의 장력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호스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력감지부는, 상기 회전드럼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와 접하는 회전하는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선회부재를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선회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선회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1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스의 이동시 상기 호스와 상기 선회부재의 마찰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 및 제1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엔코더는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호스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상기 호스는 상기 선회부재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상기 회전드럼부는 상기 호스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으면서 회전하되, 상기 호스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와 타단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회전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를 통해 감지된 상기 호스의 장력이 클수록 상기 구동부 즉 모터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되, 상기 호스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킨다.
상기 회전드럼부에 권취되는 상기 호스가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정렬되도록 하는 호스가압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드럼부는 상기 호스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으면서 회전하고, 상기 호스가압부는, 상기 회전드럼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전드럼부에 의해 권취되는 호스를 가압하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스가압부는, 상기 제2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2엔코더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엔코더에서 감지된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부에 권취된 상기 호스의 권취량을 산출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한다.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축과; 상기 회전드럼부의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축에 전달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한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호스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스는 상기 호스가이드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드럼부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호스드럼부에 권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호스 자동 권취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권취 또는 권출되는 호스에 작용되는 장력을 감지하여 호스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회전드럼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호스에 높은 장력이 작용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호스를 필요에 따라 고속 또는 저속으로 권취 또는 권출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일방향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타방향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단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장력감지부의 작동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가압부의 작동과정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일방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타방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장력감지부의 작동과정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스 자동 권취장치의 호스가압부의 작동과정도이다.
본 발명의 호스 자동 권취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0)와, 회전드럼부(20)와, 구동부(30)와, 장력감지부(40)와, 제어부(미도시)와, 호스가압부(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양측에 지지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0)에는 호스 권취장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바퀴(12) 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부(20)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드럼부(20)는 호스(80)를 권취 및/또는 권출한다.
상기 회전드럼부(20)는 상기 호스(80)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으면서 회전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3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드럼부(2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구동부(3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체인 등을 통해 상기 구동부(30)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드럼부(20)에 전달한다.
이를 통해 상기 회전드럼부(20)는 회전하면서 상기 호스(80)를 감거나 풀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30)를 이루는 상기 모터는 정회전 및 역회전이 모두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장력감지부(40)는 상기 베이스부(10)에 장착되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80)의 장력을 감지한다.
즉, 상기 장력감지부(40)는 상기 회전드럼부(20)로부터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80)와 접하여 상기 호스(80)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력감지부(40)는, 선회부재(41)와, 제1회전축(42)과, 스프링(43)과, 제1엔코더(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회부재(41)는 상기 회전드럼부(20)의 전방에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선회부재(41)는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80)와 접하면서 상기 호스(80)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지지대(11)와의 회전부위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회전축(42)은 상기 선회부재(41)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선회부재(41)를 상기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상기 스프링(43)은 일단이 상기 선회부재(4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선회부재(41)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상기 스프링(43)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41)는 자유상태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상기 선회부재(41)가 상기 제1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43)은 압축 또는 팽창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43)은 코일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호스(80)는 상기 선회부재(41)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80)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41)와 타단은 상기 제1회전축(42)을 중심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회전된다.
상기 선회부재(41)를 관통하는 상기 호스(8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41)는 상기 제1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1엔코더(44)는 상기 제1회전축(42)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축(42)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상기 제1엔코더(44)는 상기 제1회전축(42)의 회전각도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호스(80)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게 된다.
즉, 상기 호스(80)의 이동시 상기 호스(80)와 상기 선회부재(41)의 마찰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41) 및 제1회전축(42)이 회전하면, 상기 제1엔코더(44)는 상기 제1회전축(42)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호스(80)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30)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30)를 이루는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호스(80)의 권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호스(80)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44)로부터 감지된 상기 호스(80)의 장력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3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44)를 통해 감지된 상기 호스(80)의 장력이 클수록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증가시켜, 상기 호스(80)가 보다 신속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호스(80)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80)가 외부에 걸렸다고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30)를 정지시킨다.
상기 호스가압부(60)는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권취되는 상기 호스(80)가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정렬되면서 감기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호스가압부(60)는, 제2회전축(61)과 누름판(62)과 제2엔코더(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축(61)은 상기 회전드럼부(2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누름판(62)은 넓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61)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상기 회전드럼부(20)에 의해 권취되는 호스(80)를 회전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상기 누름판(62)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권취되는 호스가 눌려지기 때문에, 상기 호스(80)는 이중으로 권취되거나 다른 곳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거의 균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감기게 된다.
상기 제2엔코더(63)는 상기 제2회전축(61)에 장착되어 상기 제2회전축(61)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제2엔코더(63)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엔코더(63)에서 감지된 상기 제2회전축(61)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권취된 상기 호스(80)의 권취량을 산출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권취되어 있는 호스(80)의 권취량을 알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가이드축(71)과, 연결부재(72)와, 호스가이드부재(73) 등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축(71)은 상기 회전드럼부(20)의 전방에서 상기 지지대(1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72)는 체인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전드럼부(20)의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축(71)에 전달한다.
상기 호스가이드부재(73)는 상기 가이드축(71)에 장착되어, 상기 연결부재(72)에 의한 상기 가이드축(7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71)을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호스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호스가이드부재(73)에 의해 상기 호스(80)는 상기 회전드럼부(20)의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호스(80)드럼부에 균일하게 권취되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회전드럼부(20)에 호스가 권취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호스(80)를 풀기 위해 상기 구동부(30)를 작동시키면, 상기 회전드럼부(20)는 회전되면서 상기 호스(80)는 상기 호스가이드부재(73)와 선회부재(41)를 통해 외부로 권출된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호스(80)를 잡고 이동한다.
상기 회전드럼부(20)에서 권출된 상기 호스(80)는 자중에 의해 거의 지면에 접하면서 이동하게 되는데, 작업자가 호스(80)를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호스(80)는 팽팽하게 되면서 지면으로부터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회부재(41)는 상기 호스(80)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1엔코더(44)는 상기 선회부재(41)의 회전각도를 감지하고, 그에 따라 상기 호스(80)에 가해지는 장력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호스(80)가 상기 회전드럼부(20)에서 보다 빨리 권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엔코더(63)는 상기 호스(80)가 풀림에 따라 상기 제2회전축(61)의 회전각도가 점점 커짐을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한다.
그러다가 상기 장력조절부(40)에서 상기 호스(80)에 가해지는 장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즉 상기 호스(80)의 이동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스(80)가 풀릴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상기 구동부(30)를 정지시킨다.
한편 풀려진 호스(80)를 감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작업자가 상기 구동부(30)를 작동시켜 상기 회전드럼부(20)에서 상기 호스(80)를 권취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드럼부(2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호스가이드부재(73)는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호스(80)가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균일하게 권취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부재(41)는 상기 제1회전축(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이동하는 상기 호스(80)의 장력을 상기 제1엔코더(44)에서 감지하도록 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3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누름판(6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감겨지는 호스(80)를 상부에서 누르고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드럼부(20)에 감겨지는 호스(80)가 이중으로 감기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호스(80)가 감기는 도중에 외부에서 걸리게 될 경우, 상기 회전드럼부(20)는 계속 회전하면서 상기 호스(80)를 감게 되는바, 상기 호스(80)에는 높은 장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선회부재(41)는 상기 호스(80)에 작용하는 높은 장력에 의해 일단이 하강하게 되고, 이를 상기 제1엔코더(44)에서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구동부(30)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호스(80)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는 상기 장력감지부(40)에 의해, 호스(80)를 권출 또는 권취하는 속도를 제어하여, 호스(80)가 높은 장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호스(80)에 가해지는 장력조건 또는 호스(80)의 권취량 등에 따라 회전드럼부(2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호스(80)의 권출 또는 권출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호스 자동 권취장치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베이스부, 11 : 지지대, 12 : 바퀴,
20 : 회전드럼부,
30 : 구동부,
40 : 장력감지부, 41 : 선회부재, 42 : 제1회전축, 43 : 스프링, 44 : 제1엔코더,
50 : 제어부,
60 : 호스가압부, 61 : 제2회전축, 62 : 누름판, 63 : 제2엔코더,
71 : 가이드축, 72 : 연결부재, 73 : 호스가이드부재,
80 : 호스,

Claims (7)

  1. 양측에 지지대가 돌출 형성된 베이스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호스를 권취 또는 권출하는 회전드럼부와;
    상기 회전드럼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드럼부로부터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와 접하여 상기 호스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는 장력감지부와;
    상기 장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호스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호스가 권출 또는 권취되도록 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드럼부에 권취되는 상기 호스가 수평방향으로 균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정렬되도록 하는 호스가압부와;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가이드축과;
    상기 회전드럼부의 회전력을 상기 가이드축에 전달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의한 상기 가이드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호스를 상기 회전드럼부의 좌우방향로 이동시키는 호스가이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드럼부는 상기 호스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으면서 회전하고,
    상기 호스가압부는,
    상기 회전드럼부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회전축과;
    넓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상기 제2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회전드럼부에 의해 권취되는 호스를 회전중심방향으로 가압하는 누름판과;
    상기 제2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2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엔코더에서 감지된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회전드럼부에 권취된 상기 호스의 권취량을 산출하여 상기 구동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지부는,
    상기 회전드럼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권출 또는 권취되는 상기 호스와 접하는 회전하는 선회부재와;
    상기 선회부재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선회부재를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선회부재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선회부재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스프링과;
    상기 제1회전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제1엔코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호스의 이동시 상기 호스와 상기 선회부재의 마찰에 의해 상기 선회부재 및 제1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제1엔코더는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각에 따라 상기 호스에 가해지는 장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
  3. 청구항2에 있어서,
    상기 호스는 상기 선회부재를 관통하여 이동하고,
    상기 회전드럼부는 상기 호스를 상부에서 하부로 감으면서 회전하되,
    상기 호스의 장력 변화에 따라 상기 선회부재와 타단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강 또는 상승하면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
  4. 청구항2 또는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엔코더를 통해 감지된 상기 호스의 장력이 클수록 상기 구동부의 회전력을 증가시키되,
    상기 호스의 장력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자동 권취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40022581A 2014-02-26 2014-02-26 호스 자동 권취장치 KR101564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581A KR101564551B1 (ko) 2014-02-26 2014-02-26 호스 자동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581A KR101564551B1 (ko) 2014-02-26 2014-02-26 호스 자동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94A KR20150101194A (ko) 2015-09-03
KR101564551B1 true KR101564551B1 (ko) 2015-10-30

Family

ID=5424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581A KR101564551B1 (ko) 2014-02-26 2014-02-26 호스 자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5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111B1 (ko) * 2018-05-15 2019-11-07 미광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호스 및 튜브 권취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호스 및 튜브 제조 유닛
KR102387475B1 (ko) 2022-01-11 2022-04-14 이원태 호스 자동 권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65354A (zh) * 2017-03-22 2017-06-20 响水县晨丰纺织有限公司 一种用于导丝装置的滑块以及导丝装置
KR102031442B1 (ko) * 2017-12-22 2019-10-11 주식회사 포스코 로프 권취 장치
KR102127318B1 (ko) * 2020-03-18 2020-06-29 엠에스씨 주식회사 자동 호스릴 장치와 작동법
KR102390354B1 (ko) 2020-04-17 2022-04-26 유한회사 와이디 로프 소분장치
CA3237176A1 (en) * 2020-10-30 2022-05-05 Ma Industries, Llc Crop input applicatio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KR102479646B1 (ko) * 2022-05-30 2022-12-21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워터젯 클리닝 장치
KR102479654B1 (ko) * 2022-05-30 2022-12-21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워터젯 클리닝 장치용 텐션구조
KR102479655B1 (ko) * 2022-05-30 2022-12-21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워터젯 클리닝 장치용 배출가이드 구조
KR102479656B1 (ko) * 2022-05-30 2022-12-21 고려종합기술 주식회사 워터젯 클리닝 장치용 권취스토퍼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571A (ja) 2003-08-22 2005-03-17 Maruyama Mfg Co Ltd ホース送出し装置
JP2008303050A (ja) * 2007-06-11 2008-12-18 Hatsuta Industrial Co Ltd 散布ホースの繰り出し巻き取り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571A (ja) 2003-08-22 2005-03-17 Maruyama Mfg Co Ltd ホース送出し装置
JP2008303050A (ja) * 2007-06-11 2008-12-18 Hatsuta Industrial Co Ltd 散布ホースの繰り出し巻き取り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111B1 (ko) * 2018-05-15 2019-11-07 미광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호스 및 튜브 권취기 및 이를 포함하는 호스 및 튜브 제조 유닛
KR102387475B1 (ko) 2022-01-11 2022-04-14 이원태 호스 자동 권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194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4551B1 (ko) 호스 자동 권취장치
JP4139384B2 (ja) 自動送り/巻戻式電気コードリール
CN211366447U (zh) 一种退卷机
US874660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ooling and unspooling linear material
US7708043B2 (en) Device for splicing web material
EP2241526B1 (en) Unit for handling and gathering flexible hoses
CN108408501A (zh) 一种电缆线收放张紧滚筒
KR102127318B1 (ko) 자동 호스릴 장치와 작동법
US4380330A (en) Catcherless cloth spreading machine
KR101552503B1 (ko)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KR102027254B1 (ko) 주행 로봇
EP2899329A1 (en) Automatic tensioning system for roll-type awnings
KR200459118Y1 (ko) 호스권취기
KR101441969B1 (ko) 농업용 호스 릴
CN104444498A (zh) 一种胶条卷绕机
CN211437530U (zh) 一种铝条放卷机
KR200323741Y1 (ko) 비닐 테이프 권취용 텐션 조절구
JP3602342B2 (ja) ホース繰出装置
KR101811563B1 (ko) 호스 자동 권취 장치
KR102512266B1 (ko) 무선트레버스를 적용한 농업용 호스릴
JP5681057B2 (ja) ホース収容装置
JP3024859B2 (ja) ウエブ材料送り装置
JP2522595B2 (ja) 地盤掘削機用ホ―スの巻取繰出し装置
JP2006219210A (ja) 引き出し装置及び遠隔操作式ホースリール装置
JP3583417B1 (ja) 繰り出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