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503B1 -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 Google Patents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503B1
KR101552503B1 KR1020150073762A KR20150073762A KR101552503B1 KR 101552503 B1 KR101552503 B1 KR 101552503B1 KR 1020150073762 A KR1020150073762 A KR 1020150073762A KR 20150073762 A KR20150073762 A KR 20150073762A KR 101552503 B1 KR101552503 B1 KR 10155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winding drum
guide
winding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시스템
Priority to KR1020150073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1/028Means for moving hanging scenery

Landscapes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권취드럼에 연결되고, 타측이 무대막에 연결된 결합와이어가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그 권취드럼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려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의 구동을 신속히 멈추고, 권취드럼과 가이드드럼 사이의 결합와이어가 잡아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결합와이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정면적의 무대막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결합와이어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결합와이어의 권취을 통해 상기 무대막을 승하강 시키는 무대막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와이어가 적층되게 권취되는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에 연결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하측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무대막과의 연결로 인해 일정한 장력을 갖게 되는 상기 결합와이어가 인입되어 밀착되는 밀착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드럼; 상기 가이드드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그 가이드드럼에 가해지는 상기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그 가이드드럼을 상기 권취드럼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되게 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이 상기 권취드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DEVICE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OF THE STAGE CURTAIN}
본 발명은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이 권취드럼에 연결되고, 타측이 무대막에 연결된 결합와이어가 상기 권취드럼에 권취되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그 권취드럼의 수용홈으로부터 이탈되려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의 구동을 신속히 멈추고, 권취드럼과 가이드드럼 사이의 결합와이어가 잡아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권취드럼으로부터 결합와이어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은 연극, 인형극 등을 위한 무대로 소정의 장소에 적정높이의 무대를 만들고 무대 주위에는 가림 막을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이러한 가림 막을 무대 막이라 하며, 이 무대 막은 극장 등의 무대에서 천정에서부터 바닥으로 드리워지는 섬유 재질의 막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무대 뒤의 소품 및 배우들과 일반 관객 사이에 일종의 차단막의 역할을 하여 무대 뒤에서 연극을 준비하는 과정 등의 모습을 관객에게 일정시간 동안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무대막은 천막과 같은 비교적 넓은 면적의 직물을 무대의 전면부가 가려지도록 무대 전면부 상측의 지지부에 일측측면을 고정시키고, 이러한 천막의 양측하단에는 각각 와이어를 고정시킨다. 그리고 천막의 하부에서 상부로 일정간격으로 고리부를 설치하여 선이 이에 걸려져 선이 감기게 되면 커튼이 하단부터 승가 되는 것이다. 커튼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수동식이나 자동식으로 사용하고, 용량에 맞는 모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대막 승하강 장치를 이용하여 무대막을 승하강시키는 경우, 무대막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장애물에 무대막이 걸려 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고, 구동모터의 계속적인 구동으로 인해 상기 와이어가 권취부에서 이탈되는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0035호 및 제10-117756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권취드럼의 회전에 의해 결합와이어가 풀려 무대막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하강하는 무대막이 장애물이나 작업자에 걸려 상기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과 가이드드럼 사이의 결합와이어가 상기 가이드드럼에 의해 잡아당겨지도록 하면서 구동부재의 구동이 멈춰지도록 하여 상기 권취드럼의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무대막을 승하강시키는 작업을 특정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든통신을 통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무대막 승하강 작업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정면적의 무대막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결합와이어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결합와이어의 권취을 통해 상기 무대막을 승하강 시키는 무대막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와이어가 적층되게 권취되는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에 연결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하측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무대막과의 연결로 인해 일정한 장력을 갖게 되는 상기 결합와이어가 인입되어 밀착되는 밀착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드럼; 상기 가이드드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그 가이드드럼에 가해지는 상기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그 가이드드럼을 상기 권취드럼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되게 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이 상기 권취드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드럼은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바디구와, 상기 바디구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밀착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바디구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가이드드럼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메인서버에 유무선 연결되게 구성되면, 상기 메인서버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용단말기와 유무선 연결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강하는 무대막이 장애물이나 작업자에 걸려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이드드럼이 회전하여 권취드럼과 상기 가이드드럼 사이의 결합와이어를 잡아당김으로써 권취드럼의 수용홈으로부터 결합와이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결합와이어의 장력 해제로 인한 가이드드럼의 회전을 감지하여 구동부재의 구동이 즉시 멈춰지게 됨으로써 권취드럼의 지속적인 회전이 방지되고, 그로 인해 결합와이어가 권취드럼의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대막을 승하강시키는 작업을 특정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든통신을 통해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하게 무대막 승하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드럼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드럼이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메인서버간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에 의해 무대막이 승강되는 형상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며,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드럼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드럼이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와 메인서버간 연결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에 의해 무대막이 승강되는 형상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는 일정면적의 무대막(10)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결합와이어(20)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결합와이어(20)의 권취를 통해 상기 무대막(10)을 승하강 시키는 무대막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와이어(20)가 권취되는 권취드럼(100)과, 상기 권취드럼(100)의 하측방향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가이드드럼(200)과, 상기 가이드드럼(200)에 연결 설치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권취드럼(10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재(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무대막(10)은 무대의 폭과 높이에 맞게 한 장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일정 간격을 두고 절개된 다수개의 무대막(10)으로 분리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대막(10)에는 다수개의 결합와이어(20)가 높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결합와이어(20)는 상기 무대막(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권취드럼(100)에 감겨져 승하강된다. 이때, 상기 무대막(10)의 상측에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승하강 장치가 다수개 일정간격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무대막 승하강 장치에 구성되는 구동부재(150)를 개별적 또는 전체적인 구동하여 상기 무대막(10)을 균일하게 상승시키거나 각각의 결합와이어 승강 높이를 달리하여 무대막이 다양한 형상을 이루면서 승하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대막(10)의 상측에는 프레임(30)이 설치되는데, 이 프레임은 무대의 상측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무대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30)의 양단부는 무대가 설치된 건축구조물의 양측면에 고정되거나 무대의 양측단부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무대막(10)에는 그 무대막의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상기 결합와이어(20)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연결고리(11)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고리(11)를 관통한 상기 결합와이어(20)의 일측 끝단에는 무게추(50)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권취드럼(100)은 상기 무대막(10)에 연결되는 상기 결합와이어(20)가 권취되는 구성으로, 그 권취드럼에는 상기 결합와이어(20)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하나의 수용홈(110)이 형성되는데, 상기 하나의 수용홈(110)에 인입되어 권취되는 상기 결합와이어(20)는 상기 수용홈(110)의 내측에서 적층되는 방식으로 권취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100)은 상기 프레임(30)에 설치되는 베이스부재(40)의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재(40)는 상기 프레임(30)의 상측에 고정체를 매개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가이드드럼(200)은 상기 권취드럼(100)의 하측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무대막(10)과의 연결로 인해 일정한 장력을 갖게 되는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인입되어 밀착되는 밀착가이드홈(221)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드럼(200)은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바디구(210)와, 상기 바디구(210)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밀착가이드홈(221)이 형성된 가이드롤러(220)와, 상기 바디구(210)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300)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구(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디구(210)는 상기 베이스부재(40)에 설치되는 연결구(41)에 일측이 삽입되고, 삽입된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결합부위를 축으로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바디구(210)의 수용공간(211) 내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211)의 내측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인입되어 밀착되는 밀착가이드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롤러(220)는 상기 권취드럼(100)과 무대막(10)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권취드럼(1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상기 권취드럼(100)의 수용홈(110)에 용이하게 안내되어 권취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권취드럼(100)이 회전하여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잡아당겨지게 되면 그 결합와이어(20)는 상기 밀착가이드홈(221)을 거치면서 상기 권취드럼(100)의 수용홈(110)으로 안내되어 용이한 권취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권취드럼(100)의 수용홈(110)과 상기 가이드롤러(220)의 밀착가이드홈(221)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결합와이어(20)의 권취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무대막(10)과의 연결로 인해 일정한 장력을 갖는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상기 밀착가이드홈(221)에 인입되게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드럼(200)을 상기 베이스부재(40)의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에 있게 된다.
즉,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되려는 것을 상기 결합와이어(20)의 장력에 의해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230)는 상기 바디구(210)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탄성부재(300)의 일측이 걸림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가이드드럼(200)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드럼(200)에 가해지는 상기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그 가이드드럼을 상기 권취드럼 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되게 한다.
즉, 상기 무대막(10)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하강되는 무대막이 장애물이나 작업자에 걸리게 되면 상기 권취드럼(100)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상기 결합와이어(20)가 느슨하게 되어 장력이 해제되고,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상기 가이드드럼(200)을 가압하는 장력 또한 해제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상기 권취드럼(100)의 수용홈(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회전을 후술되는 제어부(400)에서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150)의 구동을 멈춤으로써 상기 권취드럼(10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재(150)의 구동이 멈추더라도 상기 권취드럼(100)은 회전관성에 의해 일정 회전수 회전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권취드럼(100)에 접촉되는 상기 가이드드럼(200)에 의해 회전력이 감소되어 상기 권취드럼(100)의 회전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결합와이어(20)의 느슨해짐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하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측면에 위치한 상태로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부재(4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측면에 설치되는 연결구(230)에 걸림되는 비틀림스프링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탄성부재(300)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150)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는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10)가 설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결합와이어(20)의 장력이 해제되어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힌지결합부위를 축을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감지센서(410)에서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150)의 구동을 멈추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0)는 일정면적을 갖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재(40)의 내부 하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드럼(200)에는 상기 감지센서(410)의 센싱을 위한 센싱구(미도시)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0)는 별도의 메인서버(500)에 유무선 연결되게 설치되는데, 이는 무대막을 승하강시키는 다수개의 권취드럼을 각각 개별 동작시키거나 전체적으로 일관되게 동작시키는 경우, 상기 메인서버(500)에서 각각의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는 과정을 일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500)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용단말기(600)와 유무선 연결되어 무대막의 승하강을 관리하는 작업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무대막의 승하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휴대용단말기(600)에서 일정한 형상의 무대막 패턴을 클릭하면 그 신호를 상기 메인서버(500)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부합되는 설정값을 토대로 각각의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 상기 구동부재(150)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화는 형상의 무대막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휴대용단말기(600)에는 다양한 무대막 형상을 나타내는 패턴부가 디스플레이에 구현되도록 하여 공연의 성격이나 상황에 따라 작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무대막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권취드럼(100)에 권취된 결합와이어(20)가 풀리거나 권취드럼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동일한 길이로 일정하게 풀리거나 권취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결합와이어(20)가 하나의 수용홈에 적층되도록 권취된 상태에서 무대막을 내리기 위해 풀려지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100)의 1회전시 풀리는 결합와이어의 길이와 2회전시 풀리는 결합와이어의 길이가 상호 다르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상기 구동부재(1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1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결합와이어(20)가 일정한 길이로 풀리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구동부재(150)와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작업자가 휴대용단말기(600)의 패턴부를 터치하거나 클릭하여 메인서버(500)에 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상기 메인서버(500)에서는 수신된 신호에 부합되는 설정값을 토대로 각각의 제어부(400)에 신호를 보낸다.
상기 메인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해 제어부(400)에서는 구동부재(150)를 구동하여 권취드럼(100)이 회전되게 한다.
이후, 상기 권취드럼(100)이 회전되어 권취된 결합와이어(20)가 풀려 무대막이 하강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무대에 설치된 무대장비나 장애물, 작업자나 공연자에 무대막이 걸리게 되면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무대막(10)이 하강되는 과정에서 무대막에 장애물이 걸리게 되면 상기 권취드럼(100)의 계속적인 회전으로 상기 무대막(10)에 연결된 결합와이어(20)가 느슨하게 되어 장력이 해제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드럼(200)을 가압하는 가압력 또한 해제되어 그 가이드드럼이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상기 권취드럼(100)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드럼(200)이 상기 결합와이어(20)를 잡아당기게 되어 상기 권취드럼(100)의 수용홈(110)에서 상기 결합와이어(20)의 이탈이 방지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에서는 감지센서(410)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200)의 회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150)의 구동을 멈춰 상기 권취드럼(10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강하는 무대막이 장애물이나 작업자에 걸려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권취드럼과 가이드롤러 사이의 결합와이어에 일정한 장력이 걸리도록 하면서 구동부재의 구동이 멈춰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결합와이어가 상기 권취드럼의 수용홈에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어 무대막 승하강 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고, 내구성 악화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무대막을 승하강시키는 작업을 현장 및 원격지에서 통신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편리하게 무대막 승하강 작업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다수개의 권취드럼이 각각 연결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무대막 연출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등록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무대막 11: 연결고리
20: 결합와이어 30: 프레임
40: 베이스부재 41: 연결구
50: 무게추 100: 권취드럼
110: 수용홈 150: 구동부재
200: 가이드드럼 210: 바디구
211: 수용공간 220: 가이드롤러
221: 밀착가이드홈 230: 연결구
300: 탄성부재 400: 제어부
410: 감지센서 500: 메인서버
600: 휴대용 단말기

Claims (5)

  1. 일정면적의 무대막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결합와이어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결합와이어의 권취을 통해 상기 무대막을 승하강 시키는 무대막 승하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와이어가 적층되게 권취되는 하나의 수용홈이 형성된 상태로 일측에 연결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권취드럼;
    상기 권취드럼의 하측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되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무대막과의 연결로 인해 일정한 장력을 갖게 되는 상기 결합와이어가 인입되어 밀착되는 밀착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드럼;
    상기 가이드드럼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그 가이드드럼에 가해지는 상기 결합와이어의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해 그 가이드드럼을 상기 권취드럼방향으로 회전시켜 접촉되게 하는 탄성부재;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가이드드럼이 상기 권취드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드럼은,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수용공간이 마련된 바디구와, 상기 바디구의 수용공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밀착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롤러와, 상기 바디구의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이 연결되는 연결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가이드드럼의 위치변화를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별도의 메인서버에 유무선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는 작업자가 휴대하는 휴대용단말기와 유무선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가 장치.
KR1020150073762A 2015-05-27 2015-05-27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KR101552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762A KR101552503B1 (ko) 2015-05-27 2015-05-27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762A KR101552503B1 (ko) 2015-05-27 2015-05-27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503B1 true KR101552503B1 (ko) 2015-09-14

Family

ID=5424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762A KR101552503B1 (ko) 2015-05-27 2015-05-27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5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097B1 (ko) * 2019-04-12 2020-02-05 이은수 무대장치용 일체형 안전배튼
KR200496479Y1 (ko) 2022-05-24 2023-02-07 이승범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KR20230040218A (ko) * 2021-09-15 2023-03-22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81B1 (ko)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1030272B1 (ko) 2010-12-23 2011-04-22 박승호 무대설비 구동용 모터의 벨트장력 검출상태 표시 및 모터구동 제어장치
KR101442026B1 (ko) 2013-12-18 2014-09-2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 활차
KR101517568B1 (ko) 2014-10-07 2015-05-07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무대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781B1 (ko) 2010-04-12 2010-07-28 주식회사 중앙엔지니어링 무대용 바텐 승강장치
KR101030272B1 (ko) 2010-12-23 2011-04-22 박승호 무대설비 구동용 모터의 벨트장력 검출상태 표시 및 모터구동 제어장치
KR101442026B1 (ko) 2013-12-18 2014-09-24 주식회사 명스테이지 와이어로프의 처짐을 감지하는 무대장치용 활차
KR101517568B1 (ko) 2014-10-07 2015-05-07 주식회사 신진스테이지 무대설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097B1 (ko) * 2019-04-12 2020-02-05 이은수 무대장치용 일체형 안전배튼
KR20230040218A (ko) * 2021-09-15 2023-03-22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102577200B1 (ko) * 2021-09-15 2023-09-12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200496479Y1 (ko) 2022-05-24 2023-02-07 이승범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3544B2 (ja) 登り補助力を提供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552503B1 (ko)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RU2396998C2 (ru) Страх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9533300A (ja) 昇降リールを備える昇降装置
US11473762B2 (en) Luminaire apparatus having air cleaner attached thereto, which is connected by wires and cables so as to be vertically movable
KR101564551B1 (ko) 호스 자동 권취장치
KR100825670B1 (ko) 무대시설용 안전장치
KR101980157B1 (ko) 와이어로프 안내유도 및 이탈을 방지하는 무대시설용 안전 승하강장치
KR101784980B1 (ko) 케이블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KR101133858B1 (ko) 천장 설치형 중량물용 승강 장치
KR20170114780A (ko) 운동기구
KR20130009217A (ko) 윈치 및 레일 클라이밍 시스템
JP2009028273A (ja) 昇降物干し装置
JP5888603B2 (ja) 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方法及び屋内の空間部へのネットの吊り張り移動装置
CN115978411B (zh) 一种监控报警装置
JP4453109B1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移動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KR101942409B1 (ko) 다양한 형태의 현장 시공이 가능한 무대설비용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대설비
JP2021042658A (ja) 遮蔽装置
CN218890083U (zh) 一种电动式刚性翻板挡烟垂壁
KR101660253B1 (ko) 과부하와 하중의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는 바튼 시스템.
JP6123148B1 (ja) ロープ方向変換器
KR20220014020A (ko) 무대장치용 바튼 위치조작장치 및 바튼 위치 제어방법
KR20170068905A (ko) 음향 발생 기능을 갖는 블라인드
JP7365968B2 (ja) シャッター装置の施工方法
JPH0544343A (ja) 建物躯体の外壁部材取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