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40218A -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40218A
KR20230040218A KR1020210123535A KR20210123535A KR20230040218A KR 20230040218 A KR20230040218 A KR 20230040218A KR 1020210123535 A KR1020210123535 A KR 1020210123535A KR 20210123535 A KR20210123535 A KR 20210123535A KR 20230040218 A KR20230040218 A KR 20230040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distillation column
controller
gam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3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7200B1 (ko
Inventor
박장근
정성희
문진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23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72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4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7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7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20Sources of radiation
    • G01N2223/202Sources of radiation isoto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08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upport of radiation sour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21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manipulator for positioning a pa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object fixed; source and detector mo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31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large structures, wa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46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flaws, defec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는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원 또는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사되어 증류탑을 통과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디텍터부 중 어느 하나인 연결 대상과 연결된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가 상측에 배치되고, 지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CONTROLLER FOR GAMMA COLUMN SCANNER AND GAMMA COLUMN SCANN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증류탑을 검사할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장치된 방사선원과 방사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는 디텍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증류탑이 포함하는 증류탑 트레이의 손상 여부, 프러딩(Flooding)의 유무 등을 검사할 수 있다.
종래에는 방사선을 이용하여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하여, 증류탑 검사위치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사선원을 설치하고 또한 케이블을 이용하여 증류탑에 대하여 방사선원과 대향하도록 디텍터를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 방사선원과 디텍터로 증류탑을 검사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방사선원 및 디텍터를 설치하였다. 먼저 검사위치에 케이블을 이용하여 방사선원을 설치하고 설치 높이를 줄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줄자 등을 이용하여 방사선원과 증류탑에 대한 대향 위치를 선정하고 디텍터의 설치 높이를 방사선원의 설치위치와 동일하게 되도록 조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방사선원이나 디텍터가 장애물로 인해 상하로 이동이 불가능해지는 케이블의 주행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케이블이 느슨해지거나, 컨트롤러가 들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검사장치를 정지시키고 방사선원이나 디텍터를 장애물로부터 벗어나도록 한 후에 검사장치를 다시 작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이러한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할 수 없어, 케이블의 주행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검사장치가 계속 작동하여 검사장치의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케이블의 주행 이상이 발생된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워 검사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할 수 있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는,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원 또는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사되어 증류탑을 통과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디텍터부 중 어느 하나인 연결 대상과 연결된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가 상측에 배치되고, 지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획득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연결 대상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상승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상승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상승 이상감지부는, 상기 지면과 일면이 접촉되는 지면 접촉 부재 및 상기 지면 접촉 부재를 상기 바디부에 대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상승 이상감지부는, 상기 지면 접촉 부재의 작동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작동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 이상감지부는, 상기 작동 감지 센서가 획득한 상기 지면 접촉 부재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지면 접촉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 접촉 부재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권취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된 상기 케이블이 풀리는 동안 상기 연결 대상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하강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하강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케이블에 걸리게 되는 장력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장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는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장력 감지 센서가 획득한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케이블에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 상의 기준 지점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모터부가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어낸 길이와, 상기 엔코더가 획득한 상기 기준 지점이 이동한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는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원, 증류탑을 중심으로 상기 방사선원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사되어 증류탑을 통과한 방사선을 감지하는 디텍터부, 상기 방사선원과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상기 디텍터부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케이블을 주행시켜 상기 방사선원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중 상기 방사선원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케이블을 주행시키게 마련되는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는 제1 이상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상감지부는, 상기 제1 이상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케이블이 권취되는 제1 권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부는, 상기 제1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제1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는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권취부로부터 풀릴 때, 상기 방사선원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케이블의 일부가 걸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증류탑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도르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제1 이상감지부는, 상기 제1 케이블이 풀리는 동안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방사선원의 하측에 위치한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하강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1 하강 이상감지부 및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방사선원의 상측에 위치한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상승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1 상승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케이블을 주행시켜 상기 디텍터부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케이블의 주행 중 상기 디텍터부가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2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는 이상감지부를 통해 케이블의 주행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주행 이상에도 불구하고 장치가 계속 작동해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상이 감지된 위치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재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계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계측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주행 이상이 감지되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어, 주행 이상으로 인해 발생된 검사 결과 오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가 적용된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승 주행 이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하강 주행 이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의 지면 접촉 부재가 지면에 접촉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의 지면 접촉 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선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면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00)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에 사용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1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100)가 적용된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는 연결 대상(10), 케이블(20) 및 컨트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대상(10)은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원(11) 또는 방사선원(11)에서 방사되어 증류탑(T)을 통과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디텍터부(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방사선원(11)은 방사선을 방사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방사선원(11)은 방사선을 방사하기 위해, 밀봉된 밀봉 방사성 동위원소를 내부에 가질 수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가 방출하는 무작위 방향의 방사선 중 원하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방사선만을 방사선원(11)의 외부로 방출시키기 위해, 방사선원(11)은 밀봉 방사성 동위원소를 둘러싸는 방사선원 시준기(collimator,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원 시준기는 복수의 미세한 구멍 또는 슬릿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방출되는 방사선은 차단하고, 상기 구멍 또는 슬릿과 나란한 방향으로 방출되는 방사선 만을 방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것과 같이 증류탑(T)의 높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만 방사선이 방출되도록, 방사선원 시준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증류탑(T)의 높이방향은 연직 상방과 동일하나, 증류탑(T)의 높이방향이 다르게 배치될 수도 있다.
방사선원(11)으로부터 방사된 방사선은 증류탑(T)을 거쳐 디텍터부(12)에 도달할 수 있다. 디텍터부(12)는 증류탑(T)을 통과하여 도달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디텍터부(12)는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는 디텍터(미도시)와, 상기 디텍터로 방사선이 안내될 수 있는 방사선 감지창(미도시)을 구비하는 디텍터 시준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증류탑(T)의 높이방향과 수직한 일 방향으로 입사하는 방사선만을 디텍터가 검출할 수 있도록, 디텍터 시준기의 방사선 감지창이 형성될 수 있고, 디텍터 시준기는 디텍터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제어부(3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케이블(20)의 주행 이상 상태에 기초하여 케이블(20)의 주행을 조절하도록 컨트롤러(100)를 제어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3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케이블(20)의 주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명령 등을 프로세서에서 생성함에 있어서 기초가 되는 제어명령들(instructions)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휘발성 매체, 비휘발성 매체 등의 데이터 스토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컨트롤러(1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1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100)는 권취부(101), 모터부(102), 바디부(103) 및 이상감지부(104)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101)에는 연결 대상(10)과 연결된 케이블(20)이 권취될 수 있다. 케이블(20)은 연결 대상(10)과 연결되는 선으로, 주행함에 따라 연결 대상(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주행이라 함은, 케이블(20)의 권취 및 풀림을 의미할 수 있다.
모터부(102)는 권취부(101)를 회전시켜, 케이블(20)을 권취부(101)에 권취시키거나, 권취부(101)로부터 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디부(103)는 권취부(101)가 상측에 배치되고, 지면과 소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바디부(103)에는 복수 개의 다리가 결합되어, 지면 위에 안착될 수 있다.
이상감지부(104)는, 바디부(103)에 결합되어,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주행 이상이라 함은, 케이블(20)이 권취부(101)로부터 권취되거나 풀리는 과정에서 연결 대상(10)이 상승 또는 하강을 하여야 하는데, 연결 대상(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한 장애물(OB)에 의해 연결 대상(10)의 상승 또는 하강이 방해를 받아, 케이블(20)의 권취 또는 풀림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는 이상감지부(104)를 통해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에도 불구하고 장치가 계속 작동해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상이 감지된 위치에서 문제를 해결하고 재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계측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고 계측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이 감지되는 시점을 파악할 수 있어, 주행 이상으로 인해 발생된 검사 결과 오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예로, 주행 이상은 상승 주행 이상과 하강 주행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승 주행 이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승 주행 이상은 케이블(20)이 권취부(101)에 권취되는 동안 연결 대상(10)이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장애물(OB)은 연결 대상(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20)은 권취부(101)에 권취되려 하는데, 연결 대상(10)이 상측의 장애물(OB)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바디부(103)가 상측으로 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4는 하강 주행 이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강 주행 이상은 권취부(101)에 권취된 케이블(20)이 풀리는 동안 연결 대상(10)이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케이블(20)의 주행 이상일 수 있다. 이때 장애물(OB)은 연결 대상(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케이블(20)은 풀리고 있는데, 연결 대상(10)이 하측으로 그만큼 이동하지 못하므로, 케이블(20)이 느슨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승 이상감지부(105)>
이상감지부(104)는, 상승 이상감지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승 이상감지부(105)는 바디부(103)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획득하여 상승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승 이상감지부(105)는 바디부(103)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획득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승 이상감지부(105)의 일 예에 관하여 상술한다.
일 예로, 상승 이상감지부(105)는 지면 접촉 부재(105a) 및 탄성부재(105b)를 포함할 수 있다. 지면 접촉 부재(105a)는 지면과 일면이 접촉될 수 있다. 지면 접촉 부재(105a)는 지면과의 접촉을 위해 롤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부(103)에는, 지면 접촉 부재(105a)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107)이 형성되고, 지면 접촉 부재(105a)는, 관통 홀(107)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05b)는 지면 접촉 부재(105a)를 바디부(103)에 대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105b)가 지면 접촉 부재(105a)를 바디부(103)에 대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함에 따라, 지면 접촉 부재(105a)는 지면과 항상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승 이상감지부(105)는, 지면 접촉 부재(105a)의 작동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작동 감지 센서(105c)를 포함할 수 있다. 지면 접촉 부재(105a)의 작동은 바디부(103)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105b)가 지면 접촉 부재(105a)를 바디부(103)에 대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므로, 지면 접촉 부재(105a)는 탄성부재(105b)에 의해 항상 지면을 향해 가압되고 있고, 지면으로부터 거리가 이격되는 경우, 지면에 의한 지지가 사라지므로, 지면 접촉 부재(105a)의 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상승 이상감지부(105)는, 작동 감지 센서(105c)가 획득한 지면 접촉 부재(105a)의 작동에 기초하여 모터부(10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면 접촉 부재(105a)가 소정 거리 이상의 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작동 감지 센서(105c)가 획득하는 경우, 상승 이상감지부(105)는 상승 주행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부(10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의 지면 접촉 부재가 지면에 접촉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의 지면 접촉 부재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전술한 상승 이상감지부(105)의 전체적인 구조는 일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일 예로,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이격 거리를 측정하고, 이격 거리가 소정의 값 이상으로 변화 하는 경우 상승 주행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등의 방법 등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하강 이상감지부(106)>
이상감지부(104)는, 하강 이상감지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권취부(101)에 결합되어 하강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엔코더(106a)를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106a)는 모터부(102)로부터 이격되고, 케이블(20)에 접촉되어, 케이블(20) 상의 기준 지점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될 수 있다. 기준 지점의 이동에 관한 정보라 함은, 케이블(20)이 풀린 길이 또는 권취된 길이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모터부(102)가 케이블(20)을 권취부(101)로부터 풀어낸 길이를 획득할 수 있다. 케이블(20)이 풀리는 동안 하강 주행 이상이 발생하면, 케이블(20)이 느슨해지므로, 그로 인해 모터부(102)가 케이블(20)을 권취부(101)로부터 풀어낸 길이에 비해, 엔코더(106a)가 획득한 기준 지점의 이동 거리가 짧을 수 있다.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모터부(102)가 케이블(20)을 권취부(101)로부터 풀어낸 길이와 엔코더(106a)가 획득한 기준 지점이 이동한 거리를 비교하여, 모터부(10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장력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장력 감지 센서는 케이블(20)에 걸리게 되는 장력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20)이 풀리는 동안 하강 주행 이상이 발생하면, 케이블(20)이 느슨해지므로, 그로 인해 케이블(20)의 장력이 변화할 수 있다.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장력 감지 센서가 획득한 케이블(20)의 장력에 기초하여 모터부(102)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력 감지 센서가 획득한 케이블(20)의 장력이 소정의 기준 값 이하일 때, 하강 이상감지부(106)는 하강 주행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모터부(10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이하에서는, 전술한 컨트롤러(100)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100)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에 대하여 상술한다. 컨트롤러(100)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는 방사선원(11), 디텍터부(12), 제1 케이블(21), 제2 케이블(22) 및 컨트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원(11)은 방사선을 방사할 수 있다. 디텍터부(12)는 증류탑(T)을 중심으로 방사선원(11)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방사선원(11)에서 방사되어 증류탑(T)을 통과한 방사선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케이블(21)은 방사선원(11)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케이블(22)은 디텍터부(12)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제1 케이블(21) 및 제2 케이블(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더욱 자세하게는 컨트롤러(100)는 제1 컨트롤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케이블(21)을 주행시켜 방사선원(11)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케이블(21)의 주행 중 방사선원(11)이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제1 케이블(21)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모터부 및 제1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부는 제1 케이블(21)을 주행시키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상감지부는 제1 케이블(21)의 주행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이상감지부는, 제1 이상감지부가 감지한 제1 케이블(21)의 주행 이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110)는, 제1 케이블(21)이 권취되는 제1 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부는, 제1 권취부를 회전시켜, 제1 케이블(21)을 제1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제1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는 제1 도르래부(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르래부(41)는 제1 케이블(21)이 제1 권취부로부터 풀릴 때, 방사선원(11)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제1 케이블(21)의 일부가 걸리도록 마련되고, 증류탑(T)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이상감지부는, 제1 하강 이상감지부 및 제1 상승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강 이상감지부는 제1 케이블(21)이 풀리는 동안 방사선원(11)이 방사선원(11)의 하측에 위치한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제1 케이블(21)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승 이상감지부는 제1 케이블(21)이 제1 권취부에 권취되는 동안 방사선원(11)이 방사선원(11)의 상측에 위치한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제1 케이블(21)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제2 컨트롤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는 제2 케이블(22)을 주행시켜 디텍터부(12)의 위치를 제어하고, 제2 케이블(22)의 주행 중 디텍터부(12)가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제2 케이블(22)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120)는, 제2 모터부 및 제2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부는 제2 케이블(22)을 주행시키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상감지부는 제2 케이블(22)의 주행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이상감지부는, 제2 이상감지부가 감지한 제2 케이블(22)의 주행 이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컨트롤러(120)는, 제2 케이블(22)이 권취되는 제2 권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부는, 제2 권취부를 회전시켜, 제2 케이블(22)을 제2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제2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는 제2 도르래부(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르래부(42)는 제2 케이블(22)이 제2 권취부로부터 풀릴 때, 디텍터부(12)가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제2 케이블(22)의 일부가 걸리도록 마련되고, 증류탑(T)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이상감지부는, 제2 하강 이상감지부 및 제2 상승 이상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강 이상감지부는 제2 케이블(22)이 풀리는 동안 디텍터부(12)가 디텍터부(12)의 하측에 위치한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제2 케이블(22)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승 이상감지부는 제2 케이블(22)이 제2 권취부에 권취되는 동안 디텍터부(12)가 디텍터부(12)의 상측에 위치한 장애물(OB)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제2 케이블(22)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1 컨트롤러(110) 및 제2 컨트롤러(120)는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 컨트롤러(110) 및 제2 컨트롤러(120)가 각각 하나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컨트롤러(110) 및 제2 컨트롤러(120)가 하나의 제어부에 함께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연결 대상
11: 방사선원
12: 디텍터부
20: 케이블
21: 제1 케이블
22: 제2 케이블
30: 제어부
41: 제1 도르래부
42: 제2 도르래부
100: 컨트롤러
101: 권취부
102: 모터부
103: 바디부
104: 이상감지부
105: 상승 이상감지부
105a: 지면 접촉 부재
105b: 탄성부재
105c: 작동 감지 센서
106: 하강 이상감지부
106a: 엔코더
107: 관통 홀
110: 제1 컨트롤러
120: 제2 컨트롤러
OB: 장애물
T: 증류탑

Claims (17)

  1.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원 또는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사되어 증류탑을 통과한 방사선을 검출하는 디텍터부 중 어느 하나인 연결 대상과 연결된 케이블이 권취되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가 상측에 배치되고, 지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바디부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정도를 획득하여 상기 케이블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연결 대상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상승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상승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승 이상감지부는,
    상기 지면과 일면이 접촉되는 지면 접촉 부재; 및
    상기 지면 접촉 부재를 상기 바디부에 대해 지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승 이상감지부는,
    상기 지면 접촉 부재의 작동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작동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승 이상감지부는,
    상기 작동 감지 센서가 획득한 상기 지면 접촉 부재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지면 접촉 부재의 폭보다 큰 폭을 갖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관통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면 접촉 부재는,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게 배치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감지부는,
    상기 권취부에 결합되어, 상기 권취부에 권취된 상기 케이블이 풀리는 동안 상기 연결 대상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하강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하강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케이블에 걸리게 되는 장력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장력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용 컨트롤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는 모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장력 감지 센서가 획득한 상기 케이블의 장력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마련되는 모터부; 및
    상기 모터부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케이블에 접촉되어, 상기 케이블 상의 기준 지점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게 마련되는 엔코더를 포함하고,
    상기 하강 이상감지부는,
    상기 모터부가 상기 케이블을 상기 권취부로부터 풀어낸 길이와, 상기 엔코더가 획득한 상기 기준 지점이 이동한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11. 방사선을 방사하는 방사선원;
    증류탑을 중심으로 상기 방사선원과 대칭되는 위치에 배치되되, 상기 방사선원에서 방사되어 증류탑을 통과한 방사선을 감지하는 디텍터부;
    상기 방사선원과 연결되는 제1 케이블;
    상기 디텍터부와 연결되는 제2 케이블;
    상기 제1 케이블 및 상기 제2 케이블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케이블을 주행시켜 상기 방사선원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중 상기 방사선원이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1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케이블을 주행시키게 마련되는 제1 모터부; 및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는 제1 이상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상감지부는,
    상기 제1 이상감지부가 감지한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모터부의 작동 여부를 결정하게 마련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트롤러는,
    상기 제1 케이블이 권취되는 제1 권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모터부는,
    상기 제1 권취부를 회전시켜, 상기 제1 케이블을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시키거나, 상기 제1 권취부로부터 풀도록 구비되는,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권취부로부터 풀릴 때, 상기 방사선원이 하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제1 케이블의 일부가 걸리도록 마련되고, 상기 증류탑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1 도르래부를 더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상감지부는,
    상기 제1 케이블이 풀리는 동안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방사선원의 하측에 위치한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하강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1 하강 이상감지부; 및
    상기 제1 케이블이 상기 제1 권취부에 권취되는 동안 상기 방사선원이 상기 방사선원의 상측에 위치한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1 케이블의 주행 이상인 상승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1 상승 이상감지부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2 케이블을 주행시켜 상기 디텍터부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케이블의 주행 중 상기 디텍터부가 장애물에 걸리게 되어 발생하는 상기 제2 케이블의 주행 이상을 감지하게 마련되는 제2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 장치.
KR1020210123535A 2021-09-15 2021-09-15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102577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35A KR102577200B1 (ko) 2021-09-15 2021-09-15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3535A KR102577200B1 (ko) 2021-09-15 2021-09-15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0218A true KR20230040218A (ko) 2023-03-22
KR102577200B1 KR102577200B1 (ko) 2023-09-12

Family

ID=8600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3535A KR102577200B1 (ko) 2021-09-15 2021-09-15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72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2155B2 (ja) * 1995-06-27 1999-11-22 株式会社協和エクシオ 電線又はケーブル牽引用ロープの自動巻き取り装置
KR100787622B1 (ko) * 2003-09-18 2007-12-21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101552503B1 (ko) * 2015-05-27 2015-09-14 주식회사 프라임시스템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KR20200073006A (ko) * 2018-12-13 2020-06-23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2155B2 (ja) * 1995-06-27 1999-11-22 株式会社協和エクシオ 電線又はケーブル牽引用ロープの自動巻き取り装置
KR100787622B1 (ko) * 2003-09-18 2007-12-21 한국원자력연구원 자동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101552503B1 (ko) * 2015-05-27 2015-09-14 주식회사 프라임시스템 무대막 형상조절 승하강 장치
KR20200073006A (ko) * 2018-12-13 2020-06-23 한국원자력연구원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7200B1 (ko) 2023-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5578A1 (en) Condition sensing arrangement for elevator system brake assembly and method
JP2009263108A (ja) エレベータの位置検出装置
US20100262384A1 (en) High tension cable measurement system and assembly
JP201800238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30319122A1 (en) Laser-based edge detection
WO2015010401A1 (zh) 卡匣和卡匣的检测方法
BRPI1101439B1 (pt) Método para detectar a degradação do desempenho de um sensor em um aparelho de medição angular de fluxo
KR102577200B1 (ko)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US20210347605A1 (en) Failure detection device for an elevator
KR20090117496A (ko) 케이블의 권취상태 감시방법
KR102200392B1 (ko) 감마 증류탑 검사장치
KR102538159B1 (ko) 텐셔너 및 이를 포함하는 증류탑 검사장치
JP2010105754A (ja) エレベーターの安全装置
US94173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pins on a probe card
KR102538160B1 (ko) 증류탑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165829A (zh) 具有激光测距装置的电梯设备
US20230339125A1 (en) Method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environment of a cable
JP2015125080A (ja) 貯留物高さ測定器の位置姿勢調整器及び照射軸調整方法
JP2004251678A (ja) 変位角測定装置
KR20230138802A (ko) 스캐닝 장치 및 스캐닝 방법
US11761875B2 (en) Adjusting for air flow temperature changes in an aspirating smoke detector
KR102232588B1 (ko) 무동력 장력유지 구조와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사면 감시 시스템 및 사면 감시 방법
RU200027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уровня направляющего узла
KR200431207Y1 (ko) 자동식 방사선 측정장치
US10627529B2 (en) Real time X-ray dosimeter using diodes with variable thickness degr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