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781A -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 Google Patents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781A
KR20080065781A KR1020070002850A KR20070002850A KR20080065781A KR 20080065781 A KR20080065781 A KR 20080065781A KR 1020070002850 A KR1020070002850 A KR 1020070002850A KR 20070002850 A KR20070002850 A KR 20070002850A KR 20080065781 A KR20080065781 A KR 20080065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hackle
shake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김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수 filed Critical 김병수
Priority to KR102007000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65781A/ko
Publication of KR20080065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7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5/00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joints; Chain links; Chain bushes
    • F16G15/04Quickly-detachable chain couplings; Shackles chain links with rapid junction mea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F16G15/06Shackles designed for attachment by joint pins to chain elements, e.g. D-shackles so called harp links; the D-chain link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kind of ch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66C1/36Crane hooks with means, e.g. spring-biased detents, for preventing inadvertent disengagement of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oks, Suction Cups, And Attachment By Adhesive Means (AREA)

Abstract

크레인의 후크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셔클을 이용하여 중량의 물체(work)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 셔클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셔클핀이 작업중 셔클본체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은, 관통공과 나사공이 대항되게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셔클본체와, 셔클본체의 나사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손잡이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셔클핀과, 셔클핀의 나사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에 장착되고, 셔클본체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나사공에 셔클핀을 나사결합시 셔클본체에 형성된 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셔클본체로부터 셔클핀이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셔클, 셔클핀 이탈방지장치, 로킹홈, 이탈방지핀, 탄성부재

Description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shackle of having preventer shackle pi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셔클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셔클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관통공
2; 나사공
3; 셔클본체
4; 나사부
5; 손잡이부
6; 셔클핀
11; 결합공
12; 로킹홈
13; 이탈방지핀
14; 탄성부재
15; 캡
본 발명은 크레인의 후크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셔클을 이용하여 중량의 물체(work)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하는 경우 사용되는 셔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셔클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셔클핀이 작업중 셔클본체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셔클은, 관통공(1)과 나사공(2)이 대항되게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셔클본체(3)와,
나사공(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4)가 일단에 형성되고, 손잡이부 (5)가 타단에 형성되는 셔클핀(6)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레인의 후크(7)에 고정되는 와이어(8), 또는 로프의 단부에 셔클본체(3)를 고정하고, 셔클본체(3)는 셔클핀(6)에 의해 중량의 물체(9)에 형성된 걸이부(1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후크(7)를 승강시켜 중량의 물체(9)를 인양작업 하거나, 인양된 물체(9)를 크레인의 주행으로 인해 소정거리 이동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셔클은, 전술한 셔클본체(3)의 나사공(2)과 셔클핀(6)의 나사부(4)사이에 가공오차가 발생되고, 셔클본체(3)와 셔클핀(6)을 반복적으로 착탈시켜 사용함으로 인한 이들의 나사공(2)과 나사부(4)의 마모 발생으로 이들의 나사결합부위에 유격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작업자 부주의로 인해 셔클본체(3)에 셔클핀(6)을 완전하게 나사결합시키지않은 상태(나사공(2)에 나사부(4) 일부만 결합된 상태를 말함)에서 작업하는 경우, 셔클본체(3)의 나사공(2)으로부터 셔클핀(6)의 나사부(4)가 쉽게 이완되어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중량의 물체(9)를 인양하는 작업중 작업자 의사(작업자 의지(意志)를 말함)에 반하여 셔클본체(3)로부터 셔클핀(6)이 이탈되는 경우, 중량의 물체(9) 낙하로 인해 작업자가 다치는 대형 인사사고가 발생되거나, 또는 물체(9)의 낙하로 인해 작업장 주변의 장비, 기계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셔클본체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셔클핀이 작업중 셔클본체로부터 이탈되어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양되는 중량의 물체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은, 관통공과 나사공이 대항되게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셔클본체와, 셔클본체의 나사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손잡이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셔클핀과, 셔클핀의 나사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에 장착되고, 셔클본체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나사공에 셔클핀을 나사결합시 셔클본체에 형성된 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셔클본체로부터 셔클핀이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이탈방지장치는, 결합공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캡과, 캡에 내설되는 이탈방지핀과, 캡 내부에서 이탈방지핀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설되고, 이탈방지핀이 셔클본체의 로킹홈에 결합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 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은, 관통공(1)과 나사공(2)이 대항되게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셔클본체(3)와, 셔클본체(3)의 나사공(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4)가 일단에 형성되고, 손잡이부(5)가 타단에 형성되는 셔클핀(6)과, 셔클핀(6)의 나사부(4)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11)에 장착되고, 셔클본체(3)의 관통공(1)을 통과하여 나사공(2)에 셔클핀(6)을 나사결합시키는 경우, 셔클본체(3)의 나사공(2)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로킹홈(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셔클본체(3)로부터 셔클핀(6)이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전술한 이탈방지장치는, 결합공(11)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캡(15)과, 캡(15)에 내설되는 이탈방지핀(13)과, 캡(15) 내부에서 이탈방지핀(13)을 이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설되고, 이탈방지핀(13)이 셔클본체(3)의 로킹홈(12)에 결합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14)(압축코일스프링이 사용됨)를 포함한다.
이때, 전술한 U자 형상의 셔클본체(3)에 관통공(1)과 나사공(2)이 대항되게 형성되고, 셔클핀(6)에 나사부(4)와 손잡이부(5)가 형성되는 것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한편,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셔클핀(6)에 결합공(11)이 관통되지 않도록 형성하고, 결합공(11)에 탄성부재(14)를 안착한 후 이탈방지핀(13)을 결합공(11)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셔클핀(6)의 나사부(4)에 형성된 결합공(11)에 캡(15)을 결합하고, 캡(15)에 탄성부재(14) 및 이탈방지핀(13)을 결합시킨 후, 셔클핀(6)의 나사부(4)를 셔클본체(3)의 관통공(1)을 통과시켜 나사공(2)에 결합시킨다. 셔클핀(6)의 나사부(4) 단부가 나사공(2)의 끝단부에 체결되는 순간 셔클본체(3)에 형성된 로킹홈(12)에 이탈방지핀(13)이 결합된다.
이때, 전술한 이탈방지핀(13)은 탄성부재(14)의 탄성력에 의해 로킹홈(12)쪽으로 가압되어 로킹홈(1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셔클본체(3)의 나사공(2)과 셔클핀(6)의 나사부(4)의 이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셔클본체(3)로부터 셔클핀(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중량(重量)의 물체에 형성된 걸이부에 셔클본체(3)를 셔클핀(6)에 의해 고정한 후, 셔클본체(3)에 고정되는 와이어 또는 로프를 크레인의 후크에 걸어 물체를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됨).
이때, 전술한 셔클핀(6)의 나사부(4)에 형성된 이탈방지장치에 의해 셔클본체(3)로부터 셔클핀(6)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양되는 중량의 물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중량의 물체 낙하시 발생되는 작업자가 다치는 인명피해를 방지하거나, 또는 작업장 주변의 장비,기계의 파손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셔클본체(3)로부터 셔클핀(6)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 셔클본체(3)의 로킹홈(12)에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집어넣어 이탈방지핀(13)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한 상태(이때, 탄성부재(14)는 압축력을 받는다)에서 셔클핀(6)을 회전시키는 경우, 로킹홈(12)으로부터 이탈방지핀(13)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셔클핀(6)을 회전시켜 셔클본체(3)의 나사공(2)으로부터 이탈시킴에 따라 셔클본체(3)로부터 셔클핀(6)은 분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크레인의 후크에 고정되는 와이어와 셔클을 이용하여 인양작업하는 도중, 셔클본체로부터 셔클핀이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중량의 물체 낙하로부터 작업자 또는 작업장 주변의 기계,장비 등을 보호할 수 있다.

Claims (2)

  1. 관통공과 나사공이 대항되게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셔클본체;
    상기 셔클본체의 나사공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나사부가 일단에 형성되고, 손잡이부가 타단에 형성되는 셔클핀; 및
    상기 셔클핀의 나사부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결합공에 장착되고, 상기 셔클본체의 관통공을 통과하여 나사공에 셔클핀을 나사결합시, 상기 셔클본체에 형성된 로킹홈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셔클본체로부터 셔클핀이 이탈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장치는,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캡;
    상기 캡에 내설되는 이탈방지핀; 및
    상기 캡 내부에서 이탈방지핀을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탄설되고, 상기 이탈방지핀이 상기 셔클본체의 로킹홈에 결합된 것을 초기상태로 탄성바이어스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KR1020070002850A 2007-01-10 2007-01-10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KR20080065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50A KR20080065781A (ko) 2007-01-10 2007-01-10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850A KR20080065781A (ko) 2007-01-10 2007-01-10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781A true KR20080065781A (ko) 2008-07-15

Family

ID=39816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50A KR20080065781A (ko) 2007-01-10 2007-01-10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6578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9047A1 (en) * 2011-09-26 2013-04-04 Robins Terry K Quick release fastening system
WO2017131255A1 (ko) * 2016-01-27 2017-08-03 김중호 샤클
CN109578517A (zh) * 2018-12-25 2019-04-05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水下自锁卸扣
KR20200001773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회전장치
WO2021084278A1 (en) * 2019-11-01 2021-05-06 Mcilvenny Lee Fastening pi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9047A1 (en) * 2011-09-26 2013-04-04 Robins Terry K Quick release fastening system
US8677727B2 (en) 2011-09-26 2014-03-25 Terry K. Robins Quick release fastening system
WO2017131255A1 (ko) * 2016-01-27 2017-08-03 김중호 샤클
KR20200001773A (ko) * 2018-06-28 2020-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턴버클 회전장치
CN109578517A (zh) * 2018-12-25 2019-04-05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水下自锁卸扣
CN109578517B (zh) * 2018-12-25 2024-03-15 中国海洋石油集团有限公司 水下自锁卸扣
WO2021084278A1 (en) * 2019-11-01 2021-05-06 Mcilvenny Lee Fastening pi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5781A (ko) 셔클핀 이탈방지장치가 구비된 셔클
JP5068318B2 (ja) 持ち上げ把持具
EP1764337B1 (en) Lifting assembly
JP5755203B2 (ja) ワイヤロープ把持具
US9393678B2 (en) Head bolt tightening tool for a cone crusher head assembly
US6076633A (en) Personnel safety device
US20220033230A1 (en) Remote release shackle for choker hitch
US11203512B2 (en) Winch drum tension isolation system
US20200398445A1 (en) Rigid temporary attachment device for a robotic gripper
US2618504A (en) Lifting device
JP4795703B2 (ja) 吊り具
JP6678560B2 (ja) 錘片抜挿装置及び方法
CN106628230B (zh) 一种安全牵引挂具
US4790049A (en) Rope locking device
CN211081758U (zh) 一种新型的吊钳及动力钳用安全手把
CN116209842A (zh) 自紧固缆绳夹持器
KR20100072947A (ko)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60079504A (ko) 일체형 전선 바이스 클램프
KR200448585Y1 (ko) 기어 커플링 조립용 지그
JP2009062106A (ja) 吊り具
US3640555A (en) Connector for handtool suspension system
KR102109888B1 (ko) 이탈방지 해머렌치
KR20140001516U (ko) 발전기의 베어링 링 인양용 지그
US10890232B2 (en) Socket assembly
CN210825114U (zh) 一种金属盘具装卸吊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