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5874B1 - 농산물 예냉 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예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5874B1
KR102615874B1 KR1020210076470A KR20210076470A KR102615874B1 KR 102615874 B1 KR102615874 B1 KR 102615874B1 KR 1020210076470 A KR1020210076470 A KR 1020210076470A KR 20210076470 A KR20210076470 A KR 20210076470A KR 102615874 B1 KR102615874 B1 KR 102615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unit
cooling
air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7468A (ko
Inventor
이지현
양해조
홍윤표
임수연
최지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10076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58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7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7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7/0425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characterised by the ai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예냉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길이방향의 양측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해주는 개폐부재가 설치되며, 예냉 대상물이 포장된 예냉상자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와, 그러한 본체부의 내부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예냉상자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와, 그러한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바람을 토출하는 송풍부 및 그러한 송풍부와 마주하도록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송풍구를 통해 토출된 바람을 빨아들이는 흡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농산물 예냉 장치{AGRICULTURAL PRODUCTS PRE-COOLING DEVICE}
본 발명은 농산물 예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확한 농산물의 변질을 방지하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자에 포장된 농산물을 신속하게 냉각 및 소독시키는 농산물의 예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물이나 화훼류 특히 꽃대와 함께 잘라낸 절화류는 수확 후 외부로부터의 영양공급이 중단되어도 생명현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체내의 저장된 양분을 이용하여 호흡을 하며, 이러한 결과로 품온이 빠르게 상승하여 양분의 손실, 부패, 연화 등 품질 저하가 일어나 상품적 가치를 저하시키게 됨으로써 수확 즉시 작물의 온도를 신속하게 낮추어 호흡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작물 유통과정은 일반적으로 산지 직송 방식이나 저온 저장고에 보관하였다가 출하시키는 것이었으므로, 수송이나 보관 기간이 길어질 경우에는 작물의 신선도가 급격히 저하되어 품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저온 저장고를 이용하더라도 작물의 호흡중지에 필요한 온도까지의 냉각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그 사이에 품질열화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작물을 포장한 상자를 대량으로 적재하여 저온 저장고에 보관하게 됨으로써 냉각효과가 고르게 이루어지지 않아 냉각의 효과가 적고 이로 인한 결로 발생, 미생물 번식으로 부패가 진행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412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확한 농산물의 냉각 및 소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산물을 장기간 보관 및 유통시키더라도 신선하게 높은 품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예냉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예냉 장치는 길이방향의 양측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해주는 개폐부재가 설치되며, 예냉 대상물이 포장된 예냉상자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예냉상자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바람을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구를 통해 토출된 바람을 빨아들이는 흡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외부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송풍부로 공급해주는 냉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개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송풍부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송풍노즐과 상기 흡기부의 공기흡입 방향에 따라 구비되어 공기 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흡기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송풍노즐 및 흡기노즐은, 상기 본체부의 양 측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서로가 엇갈리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기 송풍부에 의한 송풍 시 예냉 대상물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송풍되는 바람에 이산화염소 기체를 첨가해주는 살균기체 발생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기부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정화화며, 정화된 공기를 일 방향으로 배출해주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공기정화부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다시 상기 송풍부로 되돌려 보내주는 이송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 개구에는 상기 예냉상자의 반입 및 반출 시 공기유막을 형성하여 바깥쪽과 안쪽의 공기류를 차단해주는 공기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예냉상자는 적어도 상부가 개폐되어 내부에 예냉 대상물을 수용하는 몸체를 가지며, 상기 몸체 내부로 바람이 통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서로가 엇갈리는 지점에 형성되는 통기공을 다수 개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예냉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길이방향의 양측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해주는 개폐부재가 설치되며, 예냉 대상물이 포장된 예냉상자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와 그러한 본체부의 내부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예냉상자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와 그러한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바람을 토출하는 송풍부 및 그러한 송풍부와 마주하도록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송풍구를 통해 토출된 바람을 빨아들이는 흡기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송풍되는 바람을 예냉상자 내부에 직접적으로 투입하여 흡기시킬 수 있어 예냉상자 내부에 포장된 예냉 대상물의 품온을 신속하게 낮춰주고 이에 따라 예냉 대상물의 신선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하여 저장 및 유통 기간에 대한 영향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를 예시한 사용상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장치를 정면도에서 바라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도면을 활용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냉상자를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예냉상자의 측단면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예냉 장치(10)는 길이방향의 양측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해주는 개폐부재(110)가 설치되며, 예냉 대상물(1)이 포장된 예냉상자(200)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01)이 마련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수용공간(10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예냉상자(200)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120)와 상기 이송부(120)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100) 일측에 설치되어 바람을 토출하는 송풍부(130) 및 상기 송풍부(130)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구(130)를 통해 토출된 바람을 빨아들이는 흡기부(150)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분되는 본 발명에 대해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부(100)는,
도 1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예냉 대상물(1)이 포장된 예냉상자(200)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터널 형태의 수용공간(101)을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본체부(100)의 길이방향 양측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해주는 개폐부재(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110)의 형상은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정해질 필요 없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거나 좌, 우 또는 전, 후로 여닫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절첩이 가능한 커튼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개폐부재(110)는 작업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열고 닫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예냉 장치(10)의 작동 여부 즉, 후술되는 이송부(12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10)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송부(120)는,
도 2 및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수용공간(101)을 관통하도록 즉, 상기 개폐부재(110)의 외측 및 본체부(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예냉상자(200)를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그러한 이송부(120)는 전동모터 등의 동력전달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이송컨베이어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송부(120)는 작업자가 전원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작동시키거나 또는 상기 이송부(120)의 일측에 구비된 센서(121)를 통해 상기 예냉상자(200)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120)는 하나의 이송컨베이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같이 구간별로 나누어 개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본체부(100) 내부로 나란하게 진입되는 상기 예냉상자(200)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진입하지 못하더라도 구간별로 설치된 상기 이송부(120) 내지는 센서(121)에 의하여 상기 예냉상자(200)가 정해진 위치에 각각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110)는 상기 이송부(120)와 상호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이송부(120)의 상면에 상기 예냉상자(200)를 적재하면 상기 센서(121)가 예냉상자(200)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는데 그러한 이송부(1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개폐부재(110) 또한 자동 개방됨으로써 상기 예냉상자(200)는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1)으로 진입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예냉상자(200)가 정해진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이송부(120)가 자동으로 멈춤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10)가 닫히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10)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본체부(100) 바깥의 외부 공기에 의해 상기 본체부(100) 내부 공기의 온도변화 또는 오염이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00)의 양단이 개폐되는 지점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예냉상자(200)의 반입 및 반출 시 공기유막을 형성하여 본체부(100)의 바깥쪽과 안쪽의 공기류를 차단해주는 공기차단부(11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송풍부(130)는,
도 4 및 5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 수용공간(101)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외기를 공급원으로 하며, 바람을 토출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송풍부(130)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바람의 방향을 조절해주는 복수의 송풍노즐(131)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부(140)는,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 즉, 상기 송풍부(130)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130)에서 빨아들인 외기의 온도를 보다 차갑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냉각부(140)를 본체부(100)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위치 또는 상기 송풍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한 냉각부(140)의 구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송풍부(130)와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송풍부(130)에 의해 송풍되는 바람에 이산화염소 기체를 첨가해주는 살균기체 발생부(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식물로 이루어진 예냉 대상물(1)의 경우, 포장에서의 미생물 오염, 초기 수확 스트레스로 인한 에틸렌이 발생할 수 있다. 에틸렌은 식물호르몬의 하나로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생성되며 식물의 성숙, 개화, 탈리 등을 유도하거나 조절해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러한 에틸렌 발생에 의하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예냉 대상물(1)의 노화 및 수분 증발을 촉진하여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살균기체 발생부(132)를 통해 이산화염소 기체를 분사하여 에틸렌을 제거하고 살균해줌으로써 예냉 대상물(1)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염소 기체를 일례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냉 대상물(1)을 살균하기 위한 또 다른 조성물의 기체가 될 수도 있다.
흡기부(15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부(130)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130)에서 토출된 바람을 빨아들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 벽면 즉, 상기 흡기부(150)의 공기흡입 방향에 따라 구비되어 공기 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흡기노즐(151)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송풍노즐(131)과 흡기노즐(151)은 상기 본체부(100)의 양 측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서로가 엇갈리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게 될 상기 예냉상자(200)의 통기공(211)과 대응될 수 있으며, 그러한 구성의 목적과 효과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흡기부(150)에 의해 흡기된 공기를 정화하며, 정화된 공기를 일 방향으로 배출해주는 공기정화부(152) 및 상기 공기정화부(152)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다시 상기 송풍부(130)로 되돌려 보내주는 이송관(153)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부(152)는 공기정화필터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미세먼지와 같은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리는 입자상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정화부(152)에는 식물호르몬의 하나인 탄화수소 즉, 에틸렌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에틸렌 제거기(도면부호 미도시)를 함께 배치할 수도 있다. 그러한 공기정화부(152)는 공기정화필터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미세먼지 또는 에틸렌 등의 오염 물질에 의한 오염 여부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송관(153)은,
상기 공기정화부(152)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부터 상기 송풍부(130)의 일측까지 관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정화부(152)에서 송풍부(130)로 보내진 공기는 다시 송풍부(130)에 의하여 본체부(100) 내부로 토출하는 강제 순환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예냉상자(200)는,
도 6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상부가 개폐되어 내부에 예냉 대상물(1)을 수용하는 몸체(210)를 가지며, 상기 몸체(210) 내부로 바람이 통하도록 몸체(210)의 양측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서로가 엇갈리는 지점에 형성되는 통기공(211)을 다수 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통기공(211)은 앞서 설명한 상기 송풍노즐(131) 및 흡기노즐(15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도 5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보면, 상기 통기공(211)은 상기 몸체(210)의 일측 상단과 타측 하단으로 엇갈리는 지점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즉, 몸체(210)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통기공(211)은 상기 송풍노즐(131)과 대면하고, 몸체(210)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통기공(211)은 상기 흡기노즐(151)과 대면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노즐(131)에서 토출된 바람은 상기 몸체(210)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통기공(211)을 통하여 상기 몸체(210)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그러한 공기는 상기 몸체(210)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통기공(211)과 대면한 흡기노즐(151)로부터 빨아들여짐으로써 냉기의 흐름이 상기 예냉상자(200) 내부 전체로 간섭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농산물 예냉 장치를 통해 예냉 대상물이 포장된 예냉상자가 냉각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냉 장치(10)는 제어부(100a)를 통해 전원을 인가시키고, 예냉시키고자 하는 예냉 대상물(1)에 적합한 설정값을 설정한다. 여기서 적합한 설정값이라 함은, 예냉 대상물(1)의 종류에 따라 송풍되는 바람의 세기 및 온도와 더불어 살균기체 발생량, 냉각 시간 등의 설정을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준비가 완료되면 상기 예냉 대상물(1)이 포장된 예냉상자(200)를 상기 이송부(120)의 상부에 안착시킨다. 안착된 예냉상자(200)는 한 개 내지는 수직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된 예냉상자(200)는 뒤를 이어 계속적으로 준비시킬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마련된 송풍노즐(131) 및 흡기노즐(151)과 부합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인 설명은 뒤에서 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부(120)에 안착된 예냉상자(200)는 작업자의 작동 지시에 따라 상기 이송부(120)를 작동시키고 작동된 이송부(120)에 의해 상기 예냉상자(200)는 상기 본체부(100)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이송부(120)와 물리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본체부(100) 양단에 마련된 개폐부재(110)가 동시에 개방되고 상기 예냉상자(200)는 본체부(100) 내부로 무사히 진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110)가 개방되어 상기 예냉상자(200)의 반입 및 반출 시 공기차단부(111)가 작동되어 공기유막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부(100) 바깥쪽과 안쪽의 공기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00) 바깥 공기에 섞인 미세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차단하고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1)을 청결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수용공간(101)의 온도를 유지시켜 예냉 장치(10)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예냉상자(200)가 상기 본체부(100) 내부의 정해진 지점에 도달하면 상기 이송부(120)가 자동으로 멈춤과 동시에 상기 개폐부재(110)가 닫히는 동작이 수행된다. 여기서, 본체부(100) 내부의 정해진 지점이라 함은, 상기 본체부(100)의 수용공간(101)에 구비된 송풍노즐(131)과 흡기노즐(151)이 위치하는 지점으로 상기 예냉상자(200)의 통기공(211)과 부합되는 위치를 말할 수 있다.
이어서, 외기를 공급원으로 하는 상기 송풍부(130)를 통해 상기 송풍노즐(131)로 바람을 토출하는 동작이 수행되며, 토출된 바람은 상기 예냉상자(200)의 일측 상단에 위치한 통기공(211)으로 진입하게 해준다. 이 때, 상기 송풍부(130)의 바람은 상기 냉각부(140)에 의해 차갑게 냉각됨과 아울러 살균기체 발생부(132)로부터 발생된 이산화염소 기체를 상기 송풍되는 바람에 첨가할 수 있다. 그러한 냉각 및 이산화염소 기체가 첨가된 바람은 상기 예냉상자(200)의 몸체(210) 내부로 진입하게 되어 예냉 대상물(1)의 품온을 낮춰줌과 동시에 미생물의 오염 및 에틸렌을 제거하여 미생물의 번식을 차단해준다. 이어서 상기한 바람은 상기 예냉상자(200) 몸체(210)의 타측 하단에 위치한 통기공(211)을 통해 배출되고 배출된 바람은 상기 흡기부(150)의 흡기노즐(151)로부터 빨아들여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바람은 상기 예냉상자(200) 내부 전체를 균일하게 간섭함으로써 상기 예냉 대상물(1)의 품온을 신속하면서도 균일하게 낮춰줌과 아울러 면밀한 소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예냉상자(200) 내부만을 직접적으로 예냉 시켜줌으로써 예냉 장치(1)의 에너지는 절감하되, 예냉 효율은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기노즐(151)로부터 빨아들인 공기를 정화하며, 정화된 공기를 일 방향으로 배출해주는 공기정화부(152)의 동작이 수행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기 이송관(153)을 통하여 상기 송풍부(130)로 되돌려 보내진다. 상기한 과정들에 의하여 상기 예냉상자(200)의 냉각이 완료되면 상기 예냉 장치(10)의 송풍(냉각) 및 흡기 등의 공기 순환 동작이 정지된다. 이후, 상기 이송부(120)가 다시 작동되어 상기 예냉상자(200)를 본체부(100)의 외부 방향 즉, 상기 예냉상자(200)가 본체부(100) 내부로 진입한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예냉상자(200)의 예냉을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예냉 대상물 10 : 예냉 장치
100 : 본체부 101 : 수용공간
100a : 제어부 110 : 개폐부재
111 : 공기차단부 120 : 이송부
121 : 센서부 130 : 송풍부
131 : 송풍노즐 132 : 살균기체 발생부
140 : 냉각부 150 : 흡기부
151 : 흡기노즐 152 : 공기정화부
153 : 이송관 200 : 예냉상자
210 : 몸체 211 : 통기공

Claims (9)

  1. 길이방향의 양측 개구를 개방 또는 차단해주는 개폐부재가 설치되며, 예냉 대상물이 포장된 몸체의 양측에 복수의 통기공이 구비된 예냉상자를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수용공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예냉상자를 이송시켜주는 이송부;
    상기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본체부 일측에 설치되어 바람을 토출하는 송풍부; 및
    상기 송풍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부를 통해 토출된 바람을 빨아들이는 흡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 벽면에는 상기 송풍부에서 바람이 토출되는 방향에 구비되어 바람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송풍노즐;과
    상기 흡기부의 공기흡입 방향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흡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노즐 및 흡기노즐은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마주하도록 배치되되, 서로가 엇갈리는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송풍노즐은 상기 예냉상자의 몸체 일측 상단에 구비된 통기공과 대면하고 상기 흡기노즐은 상기 몸체의 타측 하단에 구비된 통기공과 대면하여 상기 몸체의 내부가 통기되는 것인 농산물 예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외부 공기를 냉각시켜 상기 송풍부로 공급해주는 냉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산물 예냉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나누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며, 개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인 농산물 예냉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송풍부에 의한 송풍 시 예냉 대상물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송풍되는 바람에 이산화염소 기체를 첨가해주는 살균기체 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산물 예냉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흡기부로부터 흡기된 공기를 정화화며, 정화된 공기를 일 방향으로 배출해주는 공기정화부; 및
    상기 공기정화부에 의해 배출된 공기를 다시 상기 송풍부로 되돌려 보내주는 이송관;을 더 포함하는 것인 농산물 예냉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 개구에는,
    상기 예냉상자의 반입 및 반출 시 공기유막을 형성하여 바깥쪽과 안쪽의 공기류를 차단해주는 공기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농산물 예냉 장치.
  9. 삭제
KR1020210076470A 2021-06-14 2021-06-14 농산물 예냉 장치 KR102615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70A KR102615874B1 (ko) 2021-06-14 2021-06-14 농산물 예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470A KR102615874B1 (ko) 2021-06-14 2021-06-14 농산물 예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468A KR20220167468A (ko) 2022-12-21
KR102615874B1 true KR102615874B1 (ko) 2023-12-21

Family

ID=84536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470A KR102615874B1 (ko) 2021-06-14 2021-06-14 농산물 예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58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64Y1 (ko) 1999-08-05 2000-04-15 최병우 이송 방식 예냉기
WO2020149300A1 (ja) 2019-01-15 2020-07-23 ケレス株式会社 食材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食材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3137A (ja) * 1984-03-26 1985-10-14 Daikin Ind Ltd 青果物等の連続予冷方法および装置
JPH09113093A (ja) * 1995-10-20 1997-05-02 Daikin Plant Kk 農産物等の予冷装置
KR100439318B1 (ko) * 2001-12-03 2004-07-07 한일냉동기계공업 주식회사 터널식 차압 예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541207B1 (ko) 2004-04-14 2006-01-10 박진우 농산물 저온저장고
KR101162245B1 (ko) * 2009-10-29 2012-07-04 석 김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364Y1 (ko) 1999-08-05 2000-04-15 최병우 이송 방식 예냉기
WO2020149300A1 (ja) 2019-01-15 2020-07-23 ケレス株式会社 食材冷凍システムおよび冷凍食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7468A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43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 enclosed space
US10054321B2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ainer
US9028750B2 (en) Fumigation system and process with temperature control, filtration, and air-reintroduction
Ashby Protecting perishable foods during transport by truck
CN114667856B (zh) 一种切花预冷库及用于切花预冷库的控制系统
US20230040785A1 (en) Modular mobile treatment and precooling apparatus, methods, & systems
US4532774A (en) Portable field site pre-cooling apparatus
KR102615874B1 (ko) 농산물 예냉 장치
CA3087403C (en) Sterilizing organic products in a controlled atmosphere to ensure longer shelf-life.
JP2008050027A (ja) 青果物輸送用コンテナ及びそれを用いた青果物の保存輸送方法
AU2020100299A4 (en) Produce container for use with vapour heat treatment
EP3127432A1 (en) Method for disinfesting foodstuffs stored in sacks and/or loose
Liu Ultralow oxygen treatment for postharvest control of Nasonovia ribisnigri (Homoptera: Aphididae) on iceberg lettuce
WO2019045148A1 (ko) 신선도 유지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CN116056565A (zh) 贮器、生长和/或繁殖站、栽培系统和用于培植发育材料的方法
KR0133440Y1 (ko) 농산물의 살균예냉기
JPH0847335A (ja) キノコ栽培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423078B1 (ko) 청과물용 예냉기
CN210913739U (zh) 一种果蔬辐照保鲜装置
JP3883417B2 (ja) きのこ栽培における芽出し方法およびきのこ栽培における芽出し設備
KR20190025167A (ko) 신선도 유지기능을 갖는 엘이디 조명장치
KR200291366Y1 (ko) 저장고용 콘테이너
JPH09196545A (ja) 野菜、果実、花卉等の生鮮物の流通用貯蔵庫装置
CN220181432U (zh) 一种农产品运输用周转箱
JP2004166584A (ja) きのこ栽培方法およびきのこ栽培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