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245B1 -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 Google Patents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245B1
KR101162245B1 KR1020090103619A KR20090103619A KR101162245B1 KR 101162245 B1 KR101162245 B1 KR 101162245B1 KR 1020090103619 A KR1020090103619 A KR 1020090103619A KR 20090103619 A KR20090103619 A KR 20090103619A KR 101162245 B1 KR101162245 B1 KR 101162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temperature
product
cooling
agricultural produ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6908A (ko
Inventor
석 김
Original Assignee
석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 김 filed Critical 석 김
Priority to KR102009010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2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4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4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10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orage Of Harvested Produce (AREA)

Abstract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창고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예냉 보관할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어 하우징 내부의 농산물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우징의 상부 방향을 통과하도록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유닛과;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냉각유닛에서 공급된 뒤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여 상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와;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농산물의 품온을 확인하고, 확인된 농산물의 품온을 기준으로 하여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확인된 농산물의 품온 이하가 되도록 냉각유닛을 구동제어하되,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냉각유닛의 온/오프 구동 및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이 개시된다.
농산물, 보관, 예냉, 품온, 냉각

Description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A PRE-COOLING AND KEEPING SYSTEM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산물을 일정 예냉 온도로 유지하여 보관할 수 있는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선 농산물의 예냉을 통한 저온 유통체제의 확립은 고품질의 산물을 신선하고도 안전하게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기술임과 동시에, 개방화 시대에 있어서 수입 농산물에 대하여도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핵심기술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예냉 및 저온유통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필요한 장비의 확보에 매우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있어 농가에서 활용하기에는 난점이 상존하고 있다.
우리나라 농산물의 국제적인 경쟁력의 제고는 WTO 체제하에서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생명공학기술의 개발과 활용으로 고품질, 내병성, 기능성 농산물의 획득과 함께 생산된 고품질의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신선하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유통기술의 개발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국내 신선농산물 산업이 안고 있는 시급한 과제는 고품질, 수출증대라는 과제를 안고서 산지에서 필요한 량만큼 수확 후 관리기술의 적극적인 개발 및 보 급이 선결되어야 하는 점이 있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농산물은 복잡한 유통단계와 이로써 야기되는 막대한 물류비용, 수확 후 관리 기술의 부재로 인한 부패나 감모 등으로 다른 산업보다 높은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제값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비를 고려하지 않고 생산에만 주력하던 기존의 방식을 탈피하여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품을 생산해야 함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대형유통업체의 등장으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점차 고품질, 소포장의 농산물을 선호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청과물 유통현장에서는 산지에서 도입되어 확산되고 있는 예냉 등의 수확후 관리기술을 이용하여 신선도를 유지하고, 품목별로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고품질, 차별화된 신상품을 다양하게 개발 상품화하는 시도가 확산되고 있으나, 예냉 시설의 현대화 및 정밀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서 청과물의 효과적인 예냉이 사실상 어려운 실정이다.
즉, 예냉이라 함은, 농산물을 수확 후 품온(농산물이 품고 있는 온도)을 낮추어주는 것을 말하는데, 이와 같이 품온을 낮추게 되면, 호흡이 줄어들고, 호흡열도 줄어들게 된다. 호흡을 줄이려는 이유는 호흡열뿐만 아니라, 호흡을 통해 영양분 감소, 신선도 감소, 상품성 감소, 상품성 저하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예냉이 매우 중요하나, 실질적으로 농산물의 품온에 따 라서 적절하게 예냉을 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따라서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서 설정된 온도로 자동으로 정확하게 예냉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할 수 있는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농산물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온도로, 농산물의 품온을 자동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은,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창고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예냉 보관할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농산물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방향을 통과하도록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유닛에서 공급된 뒤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여 상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부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농산물의 품온을 확인하고, 확인된 농산물의 품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의 온도가 확인된 농산물의 품온 이하가 되도록 상기 냉각유닛을 구동제어하되,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서 상기 냉각유닛의 온/오프 구동 및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 새롭게 보관되는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농산물의 종류 및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된 농산물의 품온을 기준으로 하여 예냉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풍팬을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킨 뒤, 일정 시간 경과후에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상기 농산물의 품온으로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품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냉각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에 따르면, 저장할 농산물마다 품온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히 측정된 농산물별 품온에 따라서 예냉온도를 각기 다르게 적정온도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종류의 농산물이더라도 수확지역과 수확시기 등에 따라서 각기 다른 품온을 가지는 것을 감안하여, 품온을 정확하게 확인하고, 품온 이하로 예냉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농산물의 보다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보관 시스템은, 보관창고(10)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예냉하여 보관할 농산물(20)을 수용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0)과,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부 방향으로 냉각풍을 보내기 위한 냉각유닛(130)과,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팬(120)에서 송풍된 바람이 상기 하우징(110) 내부의 농산물(20)을 통과한 뒤 타측으로 나오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140)와,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유닛(130)에서 공급되어 상기 하우징(110) 내부를 통과하여 상부로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150)와, 입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농산물 예냉 보관 창고(10) 내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 하우징(110) 내부에는 예냉보관을 필요로 하는 농산물(20)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 내부에는 다수의 농산물 수용박스를 적층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농산물 수용박스와 선반은 공기의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도록 다공성 구조를 갖는다.
또한, 하우징(110)은 일측면에 상기 송풍팬(120)이 설치되고, 타측면으로 송풍팬(120)에서 공급된 공기 즉, 유동공기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과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통과공이 없이 유동공기가 상기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냉각유닛(13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공기 유동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송풍팬(120)은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측 즉, 수평 방향으로 외부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냉각유닛(130)은 하우징(110)의 하부에 설치되며, 구동시 하우징(11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냉각공기를 공급한다. 이러한 냉각유닛(130)은 제어부(170)에 구동제어되며, 냉각부(131)와 냉각팬(132)을 구비한다. 상기 냉각부(131)와 냉각팬(132)은 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해진 시간동안 구동되어 냉각된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하되, 하우징(110)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제1온도센서(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송풍팬(120)에서 공급된 바람이 하우징(110) 내부의 농산물(20)을 통과한 뒤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되, 송풍팬(120)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송풍팬(120)에서 일정 시간 동안 외부 공기를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공기가 농산물(20)을 통과하면서 농산물과의 열교환에 의해 결국 일정 시간이 경과 후에는 공기의 온도가 농산물의 온도와 거의 동일한 온도가 된다. 따라서 제1온도센서(140)에서 일정 시간 이후 감지되는 온도는 농산물(20)의 온도(농산물 내부의 온도)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제1온도센서(140)에서 감지된 측정값은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상기 제2온도센서(14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부로 배출되는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즉, 이 제2온도센서(140)는 주로 냉각유닛(130)에서 공급되어 하우징(110) 내부의 농산물(20)을 냉각시킨 후 하우징(110) 상부의 배출구(111)로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입력부(160)는 하우징(110)에 보관되는 농산물(20)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상기 입력부(160)는 하우징(110)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정보는 제어부(170)로 전달되며, 제어부(170)는 입력부(160)로부터 전달된 입력정보를 근거로 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예냉온도를 측정된 품온 이하로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70)는 송풍팬(120) 및 냉각유닛(130)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하우징(110) 내부에 특정 농산물(20)이 보관된 것이 입력부(160)를 통해 수신되며, 송풍팬(120)을 일정 시간 동안 구동제어하여 하우징(110) 외부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한다.
일정 시간동안 외부공기가 투입되며, 외부공기와 농산물(20) 간의 열교환에 의해서 농산물(20)의 품온과 공기의 온도가 거의 비슷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시간 경과후에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온도를 제1온도센서(140)에서 측정하고, 제1온도센서(140)에서 측정된 측정값은 제어부(170)로 전달된다.
그러면, 제어부(170)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1온도센서(140)에서 측정된 측정온도를 농산물(20)의 품온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농산물(20)의 품온을 확인한 후에는, 제어부(170)는 냉각유닛(130)을 구동제어하여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때 확인된 품온을 기준으로 하여 냉각유닛(130)을 구동제어하되, 하우징(110)을 통과하면서 농산물(20)을 예냉시킨 후 배출되는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 제2온도센서(150)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냉각유닛(130)의 온/오프 구동 및 구동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를 농산물(20) 마다의 생산시 품온에 대응하여 예냉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에 따르면, 농산물의 종류마다 품온이 다르며, 동일한 종류의 농산물이라도 수확지역, 수확시기 등에 따라서 품온이 각기 다른 점을 감안하여, 이와 같이 각기 다른 농산물 마다의 품온을 보관초기에 제1온도센서(140)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값을 초기값으로 설정한 후, 초기값을 기준으로 하여 제어부(170)에서는 냉각유닛(130)의 구동 및 구동시간을 제어하되, 제2온도센서(150)에서의 측정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그 측정온도 즉, 품온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정밀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보관되는 농산물의 품온 이하를 유지하도록 정확하게 예냉하여 보관함으로써, 농산물의 품질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하여 출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본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보관 창고 110..하우징
120..송풍팬 130..냉각유닛
140..제1온도센서 150..제2온도센서
160..입력부 170..제어부

Claims (3)

  1. 농산물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창고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예냉 보관할 농산물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타측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송풍팬의 반대측에 배치되어, 상기 송풍팬에 의해 공급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의 농산물을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냉각유닛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유닛에서 공급된 뒤 상기 하우징 내부를 통과하여 상부로 배출되는 배출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보관되는 농산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송풍팬을 일정시간 동안 구동시킨 뒤,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제1온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농산물의 품온으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농산물의 품온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제2온도센서에서 측정된 온도가 상기 설정된 농산물의 품온 이하가 되도록 상기 냉각유닛의 온/오프 구동 및 구동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농산물의 종류 및 품온에 따라 농산물을 예냉 보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090103619A 2009-10-29 2009-10-29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KR101162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19A KR101162245B1 (ko) 2009-10-29 2009-10-29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619A KR101162245B1 (ko) 2009-10-29 2009-10-29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08A KR20110046908A (ko) 2011-05-06
KR101162245B1 true KR101162245B1 (ko) 2012-07-04

Family

ID=4423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619A KR101162245B1 (ko) 2009-10-29 2009-10-29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2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937B1 (ko) * 2018-03-06 2018-09-14 (주)시그마파워 농산물의 예냉 및 저장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736B1 (ko) * 2018-01-08 2019-06-14 임성혁 예냉 제습장치
KR102615874B1 (ko) * 2021-06-14 2023-12-21 대한민국 농산물 예냉 장치
CN116923904B (zh) * 2023-09-16 2023-12-08 哈尔滨迎喜农业有限公司 一种农产品生产用物料贮存容器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635A (ja) 1981-09-29 1983-04-04 Kaneko Agricult Mach Co Ltd 野菜等の予冷,低温貯蔵装置
KR200166456Y1 (ko) 1999-07-15 2000-02-15 조성환 이동식농산물예냉장치
KR100408812B1 (ko) 2001-07-13 2003-12-18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신선 농산물의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6635A (ja) 1981-09-29 1983-04-04 Kaneko Agricult Mach Co Ltd 野菜等の予冷,低温貯蔵装置
KR200166456Y1 (ko) 1999-07-15 2000-02-15 조성환 이동식농산물예냉장치
KR100408812B1 (ko) 2001-07-13 2003-12-18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신선 농산물의 이동식 예냉예건겸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8937B1 (ko) * 2018-03-06 2018-09-14 (주)시그마파워 농산물의 예냉 및 저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6908A (ko) 201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245B1 (ko) 농산물 예냉 보관시스템
CN102197266B (zh) 空调装置的控制方法、空调装置以及环境试验装置
CN108713208B (zh) 易腐产品的货物运输系统
RU2145406C1 (ru)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хранения или подготовки к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е или хранению скоропортящихся продуктов,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й контейнер и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й объект
EP3213960B1 (en) Refrigerated storage unit
US20200275671A1 (en) Method and reefer container, truck or trailer for ripening of vegetable produce in a controlled atmosphere
US20230180776A1 (en) Ripening chamber and method for ripening fruit
JP6768819B2 (ja) 温度制御された解凍の方法および装置
CN104583694A (zh) 用于冷藏集装箱的货物温度监测和控制
US11176510B2 (en) Cargo transport system for perishable products
US20210364004A1 (en) Product fan system and related methods
CN108369049A (zh) 运输容器环境控制盖
US20190105964A1 (en) Abuse detection for transport refrigeration units
JP7075807B2 (ja) 青果物の貯蔵方法及び貯蔵装置
US20100084124A1 (en) Ripening/Storage Room for Fruit and Vegetables with Reversible Air Flow and &#34;Stop &amp; Go&#34; Modulation of Air Flow
CN105120722A (zh) 保存柜、用于控制保存柜中环境状况的方法以及存储用于实施所述方法的指令的计算机可读介质
CN108775767A (zh) 一种冷库气体监控及清洁系统及方法
CN208998422U (zh) 一种冷库气体监控及清洁系统
KR101986325B1 (ko) 냉동컨테이너를 이용한 신선화물 최적 보관온도 유지 장치 및 방법
WO2012020098A2 (en) An automated container refrigeration system
KR20160007243A (ko) 다기능을 구비한 농산물 보관장치
RU2791580C2 (ru) Способ и контейнер-рефрижератор, автомобиль-рефрижератор или прицеп-рефрижератор для вызревания овощной продукции в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атмосфере
EP4137764A1 (en) A racking system for storage rooms, storage rooms with said racking system and a method for assuring uniform temperature in said storage room
CN106766493A (zh) 夹层蜂巢气流循环冰温保鲜装置
CN116468355A (zh) 一种冷藏保鲜设施数字化服务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