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2653B1 - 토양의 개량 방법 - Google Patents

토양의 개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2653B1
KR102612653B1 KR1020207034109A KR20207034109A KR102612653B1 KR 102612653 B1 KR102612653 B1 KR 102612653B1 KR 1020207034109 A KR1020207034109 A KR 1020207034109A KR 20207034109 A KR20207034109 A KR 20207034109A KR 102612653 B1 KR102612653 B1 KR 10261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water
nanobubble
bubbles
improvement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3882A (ko
Inventor
다카시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아솔루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쿠아솔루션
Publication of KR20210003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3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15Leaf crops, e.g. lettuce or spinac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01G22/60Flowers; Ornamental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2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1Aerating, i.e. introducing oxygen containing gas in liquids
    • B01F23/237613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2Carbon di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6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characterised by the gas being introduced
    • B01F23/23765Nitro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00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5/20Liquid fertilisers
    • C05G5/27Dispersions, e.g. suspensions or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7/00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 C09K17/02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 C09K17/04Soil-conditioning materials or soil-stabilising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compounds only applied in a physical form other than a solution or a grout, e.g. as granules or g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2Mixing fertiliser ingredi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215/00Auxiliary or complementary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Technical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13Numerical information
    • B01F2215/0418Geometrical information
    • B01F2215/0431Numerical size values, e.g. diameter of a hole or conduit, area, volume, length, width, or ratio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215/00Auxiliary or complementary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Technical information in relation with mixing
    • B01F2215/0413Numerical information
    • B01F2215/0436Operational information
    • B01F2215/044Numerical composition values of components or mixtures, e.g. percentage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에 의해 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의 개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토양의 개량 방법은,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하는, 토양의 개량 방법이다.

Description

토양의 개량 방법
본 발명은, 토양의 개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질소, 인산 및 칼륨은, 비료 성분의 3 요소라고도 일컬어지며, 식물체의 생육에 있어서 불가결하다.
이와 같은 비료 성분은, 물에 용해된 상태에서 식물체에 흡수되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물에 용해되어 있음으로써, 식물체가 흡수할 수 없는 영역으로 유출되는 문제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식물의 육성에 유용한 영양분으로서 적어도 1 종의 발효 유기물이 제올라이트에 부착되어 있는 토양 개량재를, 비료가 혼입된 흙에, 또는 비료와 함께 흙에 시용 (施用) 하는 토양 개량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청구항 1] [청구항 1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75848호
본 발명자는,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토양 개량 방법에 대해 검토한 결과, 발효 유기물을 제올라이트에 부착시키는 조작이 번잡함을 밝혔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간편한 조작에 의해 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의 개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토양에 나노버블수를 시용함으로써, 토양이 개량되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자는, 이하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과제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1]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하는, 토양의 개량 방법.
[2]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살수를 실시하는, [1] 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3] 상기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의 최빈 (最頻) 입자경이 10 ∼ 500 nm 인, [1] 또는 [2] 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4] 상기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가,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포함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5] 상기 나노버블수가, 1 × 108 ∼ 1 × 1010 개/㎖ 의 기포를 갖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6] 상기 토양이, 식물체의 토경 재배 또는 양액 토경 재배에 사용하는 토양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7] 상기 식물체가, 화훼류 또는 엽경채류인, [6] 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8] 상기 식물체가, 알스트로메리아과 식물 또는 소송채인, [6] 또는 [7] 에 기재된 토양의 개량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간편한 조작에 의해 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의 개량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나노버블 생성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 요건의 설명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양태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지만, 본 발명은 그러한 실시양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를 사용하여 나타내는 수치 범위는, 「∼」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토양의 개량 방법 (이하,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이라고도 약칭한다) 은,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하는, 토양의 개량 방법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토양에 나노버블수를 시용함으로써, 토양의 개량을 도모할 수 있다.
이것은, 상세하게는 분명하지 않지만, 본 발명자는 이하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즉, 후술하는 실시예의 시험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한 시험구에 있어서는, 우물물을 토양에 시용하고, 추가로 추비 (追肥) 를 실시한 관행구와 비교해도, 질산태 질소의 가급태의 양이 증가하여, 토양이 개량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나노버블수에 의해 토양 중의 미생물의 활동 또는 수가 증대되어, 밑거름으로부터 가급태로의 변태가 진행되기 쉬워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에서 사용하는 나노버블수 및 임의의 성분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나노버블수〕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에서 사용하는 나노버블수는, 직경이 1 ㎛ 미만인 기포를 포함하는 물로서, 상기 기포를 혼입시킨 물이다. 또한, 「상기 기포를 혼입시킨 물」이란, 나노버블수의 생성에 사용하는 물 (예를 들어, 불순물을 포함하는 정수 (井水)) 등에서 기인하여 불가피적으로 포함되는 상기 기포를 포함하는 물을 제외하는 의도이다.
여기서,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의 직경 (입자경), 그리고, 후술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 및 기포의 개수는, 수중의 기포의 브라운 운동 이동 속도를, 나노 입자 트래킹 해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시리즈 (NanoSight 사 제조) 에 의해 측정한 수치를 채용한다.
또한,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시리즈 (NanoSight 사 제조) 에서는, 직경 (입자경) 은, 입자의 브라운 운동의 속도를 계측하여, 그 속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고, 최빈 입자경은, 존재하는 나노 입자의 입자경 분포로부터, 모드 직경으로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토양이 보다 개량되는 이유로부터, 상기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이 10 ∼ 500 nm 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300 nm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70 ∼ 130 nm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를 구성하는 기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중에 장시간 잔존시키는 관점에서, 수소 이외의 기체가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공기, 산소, 질소, 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토양이 보다 개량되는 이유로부터, 산소, 질소, 이산화탄소 및 오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기포가 보다 장시간 잔존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산소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산소를 포함하는 것이란, 공기 중의 산소 농도보다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질소, 및, 이산화탄소도 동일하다. 또한, 산소의 농도에 대해서는, 기포 중의 30 체적%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체적% 초과 100 체적%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버블수는, 토양이 보다 개량되는 이유로부터, 1 × 108 ∼ 1 × 1010 개/㎖ 의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기포의 생성 시간과 기포의 잔존성의 밸런스가 양호해지는 이유로부터, 1 × 108 개/㎖ 보다 많고, 1 × 1010 개/㎖ 보다 적은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토양이 더욱 개량되는 이유로부터, 5 × 108 ∼ 5 × 109 개/㎖ 의 기포를 가지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스태틱 믹서법, 벤투리법, 캐비테이션법, 증기 응집법, 초음파법, 선회류법, 가압 용해법, 및, 미세 구멍법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은, 상기 나노버블수를 시용하기 전에, 상기 나노버블수를 생성시키는 생성 공정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은, 예를 들어, 저수 탱크, 우물 또는 농업용수 등의 수원으로부터 물을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도입하여, 나노버블수를 생성시키는 생성 공정과, 생성된 나노버블수를 시용하는 시용 공정을 갖는 방제 방법이어도 된다. 또한, 수원으로부터의 물을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도입하는 수법으로는, 예를 들어, 통 (桶) 또는 펌프 등을 사용하여 수원으로부터 퍼올린 물을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공급하는 수법, 및, 수원과 나노버블 생성 장치 사이에 부설 (敷設) 된 유로를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연결하여 유로로부터 나노버블 생성 장치에 물을 직접 보내는 수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으로는, 의도적으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는 장치를 사용한 생성 방법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5715호의 [0080] ∼ [0100] 단락에 기재된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내용은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의도적으로 라디칼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없는 다른 나노버블 생성 장치로는, 예를 들어, 물을 토출하는 액체 토출기와, 상기 액체 토출기로부터 토출된 물에, 기체를 가압하여 혼입시키는 기체 혼입기와, 기체를 혼입시킨 물을 내부에 통과시킴으로써, 수중에 미세 기포를 생성하는 미세 기포 생성기를 갖는 미세 기포 생성 장치로서, 상기 기체 혼입기가, 상기 액체 토출기와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 사이에 있어서, 가압된 상태로 상기 미세 기포 생성기를 향해 흐르는 액체에, 기체를 가압하여 혼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 기포 생성 장치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 에 나타내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도 1 에 나타내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는, 그 내부에 액체 토출기 (30), 기체 혼입기 (40), 및,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을 구비한다.
또, 액체 토출기 (30) 는, 펌프에 의해 구성되고, 나노버블수의 원수 (예를 들어, 우물물) 를 도입하여 토출한다. 기체 혼입기 (40) 는, 압축 가스가 봉입된 용기 (41) 와, 대략 통 (筒) 형상의 기체 혼입기 본체 (42) 를 갖고, 액체 토출기 (30) 로부터 토출된 물을 기체 혼입기 본체 (42) 내에 흘리면서, 기체 혼입기 본체 (42) 내에 용기 (41) 내의 압축 가스를 도입한다. 이로써, 기체 혼입기 본체 (42) 내에서 기체 혼입수가 생성되게 된다.
또,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은, 그 내부에 기체 혼입수가 통과함으로써, 가압 용해의 원리에 따라서 기체 혼입수 중에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그 구조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5715호에 기재된 나노버블 생성 노즐과 동일한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내에 생성된 나노버블수는,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의 선단으로부터 분출된 후,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로부터 유출되어, 도시 생략된 유로 내를 통해 소정의 이용처를 향해 송수된다.
이상과 같이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에서는, 기체 혼입기 (40) 가, 액체 토출기 (30) 와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사이에 있어서, 가압된 상태로 나노버블 생성 노즐 (50) 을 향해 흐르는 물 (원수) 에, 압축 가스를 혼입시킨다. 이로써, 액체 토출기 (30) 의 흡입측 (석션측) 에서 기체를 물에 혼입시킬 때에 생기는 캐비테이션 등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가스가 가압 (압축) 된 상태에서 물에 혼입되므로, 가스 혼입 지점에서의 물의 압력에 저항하여 가스를 혼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스 혼입 지점에 있어서 특별히 부압 (負壓) 을 발생시키지 않아도, 가스를 적절히 물에 혼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액체 토출기 (30) 의 석션측에, 우물 또는 수도 등의 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유로가 연결되어 있고, 그 유로에 있어서 액체 토출기 (30) 의 상류측으로부터 액체 토출기 (30) 로 흘러드는 물의 압력 (즉, 석션측의 수압) 이 정압 (正壓) 이면 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의 구성이 보다 유의의한 것이 된다. 즉, 액체 토출기 (30) 의 상류측의 수압 (석션압) 이 정압이 되는 경우에는, 액체 토출기 (30) 의 하류측에서 가스를 물에 혼입시키게 되기 때문에, 액체 토출기 (30) 의 하류측에서도 가스를 적절히 물에 혼입시킬 수 있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 (10) 의 구성이 보다 두드러지게 된다.
또,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에 사용하는 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빗물, 수돗물, 정수, 농업용수, 및, 증류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은, 나노버블수의 발생에 제공되기 전에 다른 처리가 실시된 것이어도 된다. 다른 처리로는, 예를 들어, pH 조정, 침전, 여과, 및, 멸균 (살균)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농업용수를 사용하는 경우, 전형적으로는, 침전, 및, 여과 중의 적어도 일방을 실시한 후의 농업용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나노버블수의 토양에 대한 시용 양태는, 그 토양을 사용한 식물체의 재배 방법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토경 재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살수하는 양태, 양액 토경 재배 (관수 동시 시비 재배) 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에 의해 희석된 배양액을 토양에 공급하는 양태, 및, 양액 토경 재배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를 그것 단독으로 토양에 살수 (관수) 하는 양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보다 간편한 조작에 의해 토양의 개량을 도모할 수 있는 이유로부터,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살수를 실시하는 양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시용의 일 양태인 「살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재배 방법이 토경 재배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식물체 전체에 물을 산포하는 방법, 식물체의 일부 (예를 들어, 줄기 또는 잎 등) 에 물을 산포하는 방법, 및, 식물체가 심어진 토양에 물을 산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재배 방법이 양액 토경 재배인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관수에 의한 살수여도 된다.
<다른 성분>
상기 나노버블수는, 추가로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농약, 비료, 계면 활성제, 동결 방지제, 소포제, 방부제, 산화 방지제, 및, 증점제 등을 들 수 있다.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목적에 따라 선택 가능하다.
단,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 상기 나노버블수 중에 있어서 라디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디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란, 상기 나노버블수의 생성에 사용하는 물 (예를 들어, 불순물을 포함하는 정수) 등에서 기인하여 불가피적으로 라디칼이 포함되는 것을 제외하는 의도는 아니고, 어떠한 조작으로 생성시킨 라디칼을 혼입시키는 것을 제외하는 의도이다.
〔토양/식물체〕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을 적용하는 토양은, 식물체의 토경 재배 또는 양액 토경 재배에 사용하는 토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식물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인위적으로 비료를 주어 재배하는 식물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식물체로는, 예를 들어, 장미, 알스트로메리아, 시클라멘, 튤립, 금어초, 달리아, 국화, 거베라, 및, 난 등의 화훼류 ;
가지과 식물 (예를 들어, 가지, 페피노, 토마토 (미니토마토를 포함한다), 타마릴로, 고추, 꽈리고추, 하바네로, 피망, 파프리카, 및, 컬러 피망 등), 두릅나무과 식물 (예를 들어, 매발톱 나무 등), 박과 식물 (예를 들어, 호박, 주키니, 오이, 키와노, 월과, 여주, 동아, 차요테, 수세미, 박, 수박, 멜론, 및, 참외 등), 아욱과 식물 (예를 들어, 오크라 등), 그리고, 장미과 식물 (예를 들어, 딸기 등) 등의 과채류 ;
양배추, 양파, 파, 배추, 시금치, 양상추, 브로콜리, 소송채, 부추, 아스파라거스, 샐러리, 쑥갓, 콜리플라워, 마늘, 및, 염교 등의 엽경채류 ;
무, 당근, 우엉, 순무, 및, 연근 등의 근채류 ;
귤, 사과, 복숭아, 배, 서양배, 바나나, 포도, 체리, 수유나무, 산딸기, 블루베리, 라즈베리, 블랙베리, 오디, 비파, 무화과, 감, 으름덩굴, 망고, 아보카도, 대추, 석류, 패션프루트, 파인애플, 파파야, 살구, 매실, 자두, 키위프루트, 모과, 소귀나무, 밤, 미라클프루트, 구아바, 스타프루트, 및, 아세롤라 등의 과수류 ;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 중, 본 발명의 토양 개량 방법의 유용성이 높아지는 이유로부터, 화훼류 또는 엽경채류가 바람직하고, 알스트로메리아과 식물 또는 소송채가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나타내는 재료, 사용량, 비율, 처리 내용, 및, 처리 순서 등은,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의해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시험 1〕
<시험 1 의 내용>
시험은, 지바현 모바라시에서 재배한 알스트로메리아의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이하의 구분에 의해 실시하였다.
시험구 : 2017년 6월 ∼ 7월에 알스트로메리아 (품종 : 카리오 하이브리드) 를 300 그루 식부 (植付) 한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식부에서부터 2018년 1월 말까지, 토양 및 경엽에 대한 수동 살수에, 하기의 방법으로 생성한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시험구에 있어서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밑거름의 상태로부터, 추비를 실시하지 않고, 재배하였다.
관행구 : 2017년 6월 ∼ 7월에 알스트로메리아 (품종 : 카리오 하이브리드) 를 300 그루 식부한 다른 농업 하우스에 있어서, 식부에서부터 2018년 1월 말까지, 토양 및 경엽에 대한 수동 살수에, 우물물을 사용하고,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지 않았다. 또한, 관행구에 있어서는, 하기 표 1 에 나타내는 밑거름의 상태로부터, 2017년 10월 14일 및 2018년 1월 5일에, 8 그루당 20 g 의 양으로 추비〔질소 : 인산 : 칼륨 = 6 : 3 : 3 (질량비)〕를 실시하고, 재배하였다.
여기서, 살수의 빈도 및 양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알스트로메리아의 생육 상황, 및, 기후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였지만, 시험구 및 관행구에서 대체로 동일해지도록 조정하였다.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
나노버블수는, 나노버블 생성 장치〔주식회사 가쿠이치 제작소 아쿠아솔루션 사업부 (현 : 주식회사 아쿠아솔루션) 제조, 100 V, 10 ℓ/min 타입〕를 사용하여 가압 용해 방식으로 수중에 기포 (나노버블) 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하였다.
또한, 나노버블수의 생성용으로 사용한 물에는 우물물을 사용하고, 기포를 구성하는 기체에는 산소 (공업용 산소, 농도 : 99.5 체적%) 를 사용하였다.
또, 상기의 나노버블 생성 장치를 사용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조건은, 나노 입자 해석 시스템 나노사이트 LM10 (NanoSight 사 제조) 에 의한 해석 결과가 이하가 되는 조건에서 실시하였다.
·물 1 ㎖ 당의 기포의 수 : 5 × 108 개/㎖
·기포의 최빈 입자경 : 100 nm
<토양 개량의 평가>
시험구 및 관행구에 있어서, 식부시의 토양, 2017년 10월 7일의 토양, 2017년 11월 18일의 토양, 2017년 12월 23일의 토양, 및, 2018년 1월 27일의 토양에 대해, Dr.소일 (토양 양분 검정기) 을 사용하여, 이하의 순서로, 질산태 질소, 인산 및 칼슘의 가급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에 나타낸다.
(측정 순서)
(1) 토양의 일부를 채취하고, 채취한 토양에 아세트산을 첨가한다.
(2)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 분리하고, 토양으로부터 아세트산으로 추출한 추출액을 회수한다.
(3) 회수한 추출액에 성분별 시약을 첨가한다.
(4) 흡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색미 (色味) 로부터 함유량을 측정한다.
Figure 112020127479613-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시험구에 있어서는, 2017년 10월 7일, 2017년 11월 18일, 2017년 12월 23일, 및, 2018년 1월 27일 중 어느 날에 채취한 토양에서도, 질산태 질소의 가급태의 양이, 식부시의 밑거름과 비교해도 증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 토양이 개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효과는, 관행구에 있어서, 2017년 10월 14일 및 2018년 1월 5일에 추비를 실시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의외의 효과라고 할 수 있고, 나노버블수의 시용에 의해, 토양 중의 밑거름에 포함되어 있는 암모니아태 질소가 질산태 질소로 변화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인산 및 칼슘에 대해 보아도, 추비를 실시하지 않았던 시험구는, 추비를 실시한 관행구와 동등 정도의 함유량을 유지하고 있어, 토양이 개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 2〕
<시험 2 의 내용>
시험은, 2018년 8월 29일 (파종) ∼ 10월 8일 (수확) 에 걸쳐 나가노현 코모로시에서 재배한 소송채의 포장에 있어서 이하의 구분에 의해 실시하였다. 각 시험구는, 동일한 비닐하우스 내에 설정되어 있다.
시험구 2-1 : 비닐하우스 재배에 있어서, 2 일에 1 회의 살수에, 농업용수를 사용하고,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구 2-2 : 비닐하우스 재배에 있어서, 2 일에 1 회의 살수에, 물 1 ㎖ 당의 기포수가 2 × 108 개/㎖ 로 조정된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였다.
시험구 2-3 : 비닐하우스 재배에 있어서, 2 일에 1 회의 살수에, 물 1 ㎖ 당의 기포수가 5 × 108 개/㎖ 로 조정된 나노버블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각 시험구에서는, 각각, 비닐하우스 내에 설치한 화분에 파종한 소송채를 2 화분씩 재배하였다.
또, 살수의 양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소송채의 생육 상황, 및, 기후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하였지만, 3 개의 시험구 사이에서 대체로 동일해지도록 조정하였다.
또, 시험 2 에서는, 나노버블수 1 ㎖ 중의 기포수에 의한 우위성을 시험하기 위해, 농약의 산포를 의도적으로 실시하지 않았다.
<나노버블수의 생성 방법>
나노버블수는, 나노버블 발생 장치 (주식회사 아쿠아솔루션 제조, 100 V, 10 ℓ/min 타입) 를 사용하여 가압 용해 방식으로 수중에 기포 (나노버블) 를 발생시킴으로써 생성하였다. 나노버블수의 생성용에 사용한 물에는 농업용수를 사용하고, 기포를 구성하는 기체의 종류는 산소 (공업용 산소, 농도 : 99 체적%) 인 것으로 하였다.
또, 상기의 나노버블 발생 장치를 사용하여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조건 중, 기포의 사이즈 (최빈 입자경) 는, 100 nm 로 하였다.
또, 나노버블수 1 ㎖ 당의 기포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험구 2-2 에서는 2 × 108 개/㎖ 로 하고, 시험구 2-3 에서는 5 × 108 개/㎖ 로 하였다. 나노버블수 1 ㎖ 당의 기포수는, 예를 들어, 상기의 나노버블 발생 장치의 하류측에 나노버블수의 저류조를 설치하고, 저류조 내의 나노버블수를 나노버블 발생 장치에 반송하여 나노버블수를 계 내에서 순환시키고, 그 순환 시간을 변경함으로써 조정 가능하다.
<토양 개량의 평가>
시험구 2-1 ∼ 2-3 에 있어서, 파종시 (2018년 8월 29일) 의 토양, 및, 수확시 (2018년 10월 8일) 의 토양에 대해, 상기 서술한 시험 1 과 동일한 순서로, 질산태 질소, 인산 및 칼륨의 가급태의 양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재배한 소송채는, 각 시험구에 있어서 성장의 정도에 거의 차이가 보이지 않았기 때문에, 하기 표 2 중의 수확시의 값은, 각 시험구에서 재배한 소송채에 있어서의 비료의 흡수율의 영향을 받지 않은 값이라고 할 수 있다.
Figure 112020127479613-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한 시험구 2-2 및 시험구 2-3 은,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하지 않았던 시험구 2-1 과 비교하면, 질산태 질소의 가급태, 인산, 및, 칼륨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증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어, 토양이 개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나노버블수 1 ㎖ 중의 기포수가 5 × 108 개/㎖ 인 시험구 2-3 에서는, 기포수가 2 × 108 개/㎖ 인 시험구 2-2 뿐만 아니라, 파종시의 토양보다 칼륨의 함유량이 증대되어 있어, 토양이 보다 개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시험 1 및 시험 2 의 시험 결과로부터, 나노버블수에 의한 토양의 개량 효과가 분명해졌다.
10 : 나노버블 생성 장치
30 : 액체 토출기
40 : 기체 혼입기
41 : 용기
42 : 기체 혼입기 본체
50 : 나노버블 생성 노즐

Claims (8)

  1. 나노버블수를 토양에 시용하고, 질산태 질소의 가급태를 증대시킴으로써 토양을 개량하는, 토양의 개량 방법으로서,
    상기 나노버블수가, 1 × 108 ∼ 1 × 1010 개/㎖ 의 기포를 갖고,
    상기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의 최빈 입자경이 10 ∼ 500 ㎚ 이고,
    상기 나노버블수에 포함되는 기포가, 공기 또는 산소를 포함하고,
    여기서, 기포가 산소를 포함하는 양태는, 공기 중의 산소보다 높은 농도로 포함하는 양태이며,
    상기 토양이, 식물체의 토경 재배 또는 양액 토경 재배에 사용하는 토양인, 토양의 개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를 사용한 살수를 실시하는, 토양의 개량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버블수가, 5 × 108 ∼ 1 × 1010 개/mL 의 기포를 갖는, 토양의 개량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가, 화훼류 또는 엽경채류인, 토양의 개량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가, 알스트로메리아과 식물 또는 소송채인, 토양의 개량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7034109A 2018-05-30 2019-05-29 토양의 개량 방법 KR102612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03058 2018-05-30
JPJP-P-2018-103058 2018-05-30
PCT/JP2019/021247 WO2019230778A1 (ja) 2018-05-30 2019-05-29 土壌の改良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3882A KR20210003882A (ko) 2021-01-12
KR102612653B1 true KR102612653B1 (ko) 2023-12-11

Family

ID=6869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4109A KR102612653B1 (ko) 2018-05-30 2019-05-29 토양의 개량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10212266A1 (ko)
EP (1) EP3804505A4 (ko)
JP (2) JP7210570B2 (ko)
KR (1) KR102612653B1 (ko)
CN (1) CN112218520A (ko)
AU (1) AU2019277519B2 (ko)
BR (1) BR112020023833A2 (ko)
CA (1) CA3101788A1 (ko)
IL (1) IL279011A (ko)
NZ (1) NZ770218A (ko)
RU (1) RU2761450C1 (ko)
TW (1) TW202003802A (ko)
WO (1) WO20192307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94038A1 (en) * 2021-09-22 2023-03-30 Ronald Pote System and method for water body algae control
US20230103656A1 (en) * 2021-10-05 2023-04-06 Ronald Pot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rrigation water having improved oxygen content
CN114097521B (zh) * 2021-12-27 2022-12-02 贵州大学 一种马尾松林下土壤铵态氮和硝态氮含量的原位培养方法
CN115517139A (zh) * 2022-11-09 2022-12-27 青海省农林科学院 一种有机蔬菜栽培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266A (ja) * 2009-02-06 2010-08-19 Kochi Univ Of Technology 微細気泡含有液体製造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植物の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用液体
JP2015097509A (ja) * 2013-11-19 2015-05-28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超微細粒子を利用した植物栽培方法
JP2018069193A (ja) * 2016-11-01 2018-05-10 株式会社スイッチ・オン・ライフ ミネラル含有水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6285B1 (en) * 1999-12-22 2002-08-20 William B. Kerfoot Laminated microporous diffuser
JP2005075848A (ja) 2003-08-28 2005-03-24 Kokusai Chart Co 土壌改良材及び該土壌改良材を用いた土壌改良方法
JP2006042785A (ja) * 2004-08-07 2006-02-16 Nanoplanet Kenkyusho:Kk 植物活性装置、植物活性化方法及びこれを利用した水質浄化装置
JP4899434B2 (ja) 2005-11-16 2012-03-21 有限会社 健康百二十才 新規な物理化学融合型殺菌消毒液
JP4490904B2 (ja) * 2005-11-22 2010-06-30 シャープ株式会社 水処理装置
JP2010094117A (ja) * 2008-10-16 2010-04-30 Gunjiro Higashitani 無農薬農作物栽培方法及びそれに利用する土壌改善剤
US8500104B2 (en) * 2010-06-07 2013-08-06 James Richard Spears Pressurized liquid stream with dissolved gas
JP5929483B2 (ja) * 2011-05-10 2016-06-08 住友化学株式会社 植物の生長を促進する方法
JP2014000057A (ja) * 2012-06-21 2014-01-09 Sorekkusu Kk 植物栽培システム
JP2013078761A (ja) * 2012-11-14 2013-05-0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極微小気泡を含有する水又は水溶液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らの用途
RU2524956C1 (ru) * 2012-12-14 2014-08-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Москов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имени М.В. Ломоносова" (МГУ) Кремнегуминовый почвенный мелиорант
JP6043368B2 (ja) * 2013-01-11 2016-12-1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人工土壌培地
KR101901539B1 (ko) * 2013-01-17 2018-09-21 아이뎃쿠 가부시키가이샤 고밀도 미세기포액 생성방법 및 고밀도 미세기포액 생성장치
JP2015097515A (ja) * 2013-11-20 2015-05-28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耕育苗方法および水耕栽培方法
JP2015097516A (ja) * 2013-11-20 2015-05-28 三菱重工交通機器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水耕栽培方法および水耕栽培装置
KR20150068572A (ko) * 2013-12-12 2015-06-22 노 웅 송 식물 재배용 이산화 탄소수 공급 장치
JP6439156B2 (ja) * 2014-08-20 2018-12-19 ナノリンク株式会社 スプラウト栽培方法
CN105417674A (zh) * 2015-11-23 2016-03-23 天津颐品农庄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微纳米气泡水的制备方法和应用
JP2018007646A (ja) * 2016-07-15 2018-01-18 株式会社アースプロジェクト 栄養素循環システム、土壌改良材、及び、栄養素循環方法
JP6129390B1 (ja) 2016-07-28 2017-05-17 株式会社カクイチ製作所 ナノバブル生成ノズル及びナノバブル生成装置
JP2018075240A (ja) * 2016-11-10 2018-05-17 国立大学法人 東京大学 微生物の殺菌・静菌および昆虫や病害虫の防除を行う数気圧の加圧により大気に開放された水中に発生させるco2マイクロ・ナノバブル水
JP6317505B1 (ja) * 2017-04-24 2018-04-25 有限会社ベイクルーズ ジェット噴射装置
CN107125102A (zh) * 2017-06-21 2017-09-05 南京灏晨瀚泽环保科技有限公司 农作物的灌溉方法及系统和能增加果实甜度的灌溉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9266A (ja) * 2009-02-06 2010-08-19 Kochi Univ Of Technology 微細気泡含有液体製造装置、及びこの装置を用いた植物の栽培装置、並びに植物栽培用液体
JP2015097509A (ja) * 2013-11-19 2015-05-28 サンスター技研株式会社 超微細粒子を利用した植物栽培方法
JP2018069193A (ja) * 2016-11-01 2018-05-10 株式会社スイッチ・オン・ライフ ミネラル含有水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03802A (zh) 2020-01-16
JPWO2019230778A1 (ja) 2021-04-22
AU2019277519A1 (en) 2020-12-17
AU2019277519B2 (en) 2021-12-02
EP3804505A1 (en) 2021-04-14
WO2019230778A1 (ja) 2019-12-05
US20210212266A1 (en) 2021-07-15
KR20210003882A (ko) 2021-01-12
BR112020023833A2 (pt) 2021-04-13
CN112218520A (zh) 2021-01-12
NZ770218A (en) 2023-05-26
IL279011A (en) 2021-01-31
EP3804505A4 (en) 2021-08-11
RU2761450C1 (ru) 2021-12-08
JP2022048165A (ja) 2022-03-25
JP7210570B2 (ja) 2023-01-23
CA3101788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12653B1 (ko) 토양의 개량 방법
KR102613598B1 (ko) 비료 흡수율의 향상 방법
JP7370972B2 (ja) マグネシウム欠乏症の防除方法
WO2019230776A1 (ja) 根こぶ病の抑制方法
JP7402930B2 (ja) ハダニ類の防除方法
WO2019230753A1 (ja) コナジラミ類の防除方法
WO2019230766A1 (ja) トマト果実の形状制御方法
TW202002766A (zh) 收穫期的延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