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0922B1 - 개폐형 액자 - Google Patents

개폐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0922B1
KR102610922B1 KR1020200153422A KR20200153422A KR102610922B1 KR 102610922 B1 KR102610922 B1 KR 102610922B1 KR 1020200153422 A KR1020200153422 A KR 1020200153422A KR 20200153422 A KR20200153422 A KR 20200153422A KR 102610922 B1 KR102610922 B1 KR 102610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pening
main body
body fram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096A (ko
Inventor
반용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생기의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생기의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생기의집
Priority to KR1020200153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092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0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0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0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 F16F1/37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having a particular shape having projections, studs, serrations or the like on at least on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액자틀의 절첩식 개폐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보관이 이루어지는 캘린더, 사진 등의 물품 교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면판(30)이 일체로 결합된 본체틀(10)과; 상기 본체틀(1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일측에서 경첩(40)에 의해 연결 구성된 개폐틀(20)과; 상기 본체틀(10) 및 개폐틀(2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자석(11,21)과; 상기 본체틀(1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개폐틀(2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홈(16);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폐형 액자{Retractable picture frame}
본 발명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림이나 캘린더 등을 벽에 걸어서 보관이 이루어지는 액자틀의 개폐형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한 개폐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캘린더나 사진 또는 그림 등을 손상되지 않게 벽에 걸어두거나 테이블이나 책상 위에 세워 놓고 수시로 볼 수 있는 용도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액자는 통상 일정 형상의 금속이나 나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소정 크기의 액자틀과, 이 액자틀의 내부에 조립되는 투명 전면판과, 상기 투명 전면판 후방에 위치되는 배면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한편, 캘린더의 경우 매월마다 교체를 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벽에서 액자를 탈거한 후 배면판을 분리시켜서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매번 이러한 교체작업에 따른 불편이 있으며, 벽에서 액자를 탈거하는 과정에서 자칫 낙하 사고가 발생함에 따른 액자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009565호(2019.08.05.등록)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634341호(2016.06.22.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액자에 보관되는 보관 물품(캘린더, 사진, 그림 등)의 교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폐형 구조를 이룸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액자는, 배면판이 일체로 결합된 본체틀과; 상기 본체틀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일측에서 경첩에 의해 연결 구성된 개폐틀과; 상기 개폐틀 및 개폐틀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자석과; 상기 본체틀의 일측 테두리 부위에 돌출 형성되어 개폐틀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장식손잡이 또는 손잡이홈;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틀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종이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홈부가 테두리 내측에 형성됨과 함께 경첩의 안착을 위한 경첩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폐형 액자는, 액자틀의 절첩식 개폐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보관이 이루어지는 캘린더, 사진 등의 물품 교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액자의 열린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액자의 열린상태 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액자의 닫힘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액자의 닫힘상태 단면 구조도.
도 6은 도 5의 B부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액자의 캘린더 사용 상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요부 구조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다른 액자 단면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응용 예에 따른 가로 개폐형 액자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술의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개폐형 액자의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액자는 캘린더 종이(P)의 보관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배면판(30)이 일체로 결합된 사각형상의 본체틀(10)과, 상기 본체틀(10)의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상부측에서 경첩(40)에 의해 연결 구성된 동일한 사각형상의 개폐틀(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틀(10) 및 개폐틀(2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는 각각 자석(11,21)이 구비되고, 본체틀(1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는 개폐틀(2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홈(16)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틀(10)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캘린더 종이(P)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홈부(13)가 테두리 내측에 형성됨과 함께 경첩(40)의 안착을 위한 경첩 안착홈(14)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개폐틀(20)은 본체틀(10) 보다 일정 두께(d) 증가된 구조를 이루어서 내측 종이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으며, 개폐틀(20) 내측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완충 재질의 탄성돌부(23)가 도 6에서와같이 반구 형상을 이루어 돌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개폐형 액자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액자는 내부에 달력 형태의 캘린더 종이 보관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벽에 걸거나 세워서 사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캘린더 종이를 교체코자 하는 경우에는 전면의 개폐틀(20)을 열어서 교체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홈(16)에 손가락을 넣고서 개폐틀(20)을 본체틀(10)로 부터 열어준 상태에서 투명 보호판(미도시)을 분리시킴과 함께 내부 캘린더 종이(P)의 교체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때, 본체틀(10) 내에 적층 형태로 안착되어 있는 캘린더 종이(P)를 인출하는 과정에서는 본체틀(10) 내측에 형성된 홈부(13)에 손가락을 넣어서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투명 보호판(미도시)을 캘린더 종이(P) 위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개폐틀(20)을 다시 닫아주게 되면 자석(11,21)의 자력에 의해 닫힘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개폐틀(20)에 형성된 탄성돌부(23)가 캘린더 종이(P)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관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폐형 액자는, 액자틀의 절첩식 개폐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보관이 이루어지는 캘린더, 사진, 그림 등의 보관 및 교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른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소비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체틀(10)에는 내부 공간을 다수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15)이 구비되되, 상기 구획벽(15)에는 구획 공간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15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획벽(15)의 구성을 이루게 되면, 하나의 액자에 캘린더 종이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그림을 함께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슬라이딩홈(15a)의 구성을 통하여 일부 구획벽(15)의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면, 각각의 공간 크기 가변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사진 및 그림이 보관될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배면판(30)에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층(31)이 코팅 형성 된다.
이때 항균층(31)은 트라이에탄올아민 20~40중량%, 카벤다짐 수화제 10~30중량%, 규산소다 10~30중량%, 프로폴리스 10~20중량%, 황산아연 1~10중량%, 항균 기능의 나노은 1~10중량%, 셀룰로오스 1~10중량%, 벤토나이트 1~10중량%, 카본블랙 1~10중량%, 팜오일 1~10중량%, 이산화티탄 1~5중량%, 삼산화황 1~5중량%의 비율로 혼합 조성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항균층(31)의 구성을 이루게 되면, 캘린더 종이가 늘어 붙거나 변질 발생이 방지되어 양호한 보관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특히, 항균층(31)에는 트라이에탄올아민 및 카벤다짐 수화제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살균 기능을 나타내고, 규산소다 및 카본블랙은 항균층의 내구성 및 내열성을 강화하여 외부 충격에 따른 크랙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황산아연은 트라이에탄올아민의 활성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다당류인 셀룰로오스는 혼합물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고, 수팽창성 물질인 벤토나이트는 내부 습도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팜오일은 코팅층의 표면 윤활력을 향상시켜서 종이와의 마찰력을 최소화 하게 된다.
또한, 이산화티탄은 항균층(31)의 산화 현상을 방지하게 되며, 삼산화황은 촉매 기능을 통한 표면 변색 및 변질을 방지하는 진보된 작용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액자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세로 방향으로 개폐틀의 개폐가 이루어지는 형태가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제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틀(10) 및 개폐틀(20) 테두리 부위의 외측에는 개폐틀(2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장식손잡이(12,22)가 돌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본체틀 11,21 : 자석
13 : 홈부 14 : 경첩 안착홈
16 : 손잡이홈 20 : 개폐틀
30 : 배면판 40 : 경첩

Claims (7)

  1. 배면판(30)이 일체로 결합된 본체틀(10)과;
    상기 본체틀(1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일측에서 경첩(40)에 의해 연결 구성된 개폐틀(20)과;
    상기 본체틀(10) 및 개폐틀(20)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자석(11,21)과;
    상기 본체틀(1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개폐틀(2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홈(16);
    을 포함하는 구성을 이루되,
    상기 본체틀(10)에는 내부에 보관되는 종이의 인출이 용이하도록 홈부(13)가 테두리 내측에 형성됨과 함께 경첩(40)의 안착을 위한 경첩 안착홈(14)이 형성되어 개폐틀(20)을 닫았을 때 경첩(40)의 외부 노출이 방지되고;
    상기 개폐틀(20)은 본체틀(10) 보다 일정 두께(d) 증가된 구조를 이루어서 내측 종이의 이탈이 방지되며;
    상기 개폐틀(20) 내측에는 완충 재질의 탄성돌부(23)가 반구 형상을 이루어 돌출 구비되고;
    상기 본체틀(10)에는 내부 공간을 다수로 구획하기 위한 구획벽(15)이 구비되되, 상기 구획벽(15)에는 구획 공간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홈(15a)이 형성되며;
    상기 배면판(30)에는 내부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층(31)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항균층(31)은 트라이에탄올아민, 카벤다짐 수화제, 규산소다, 프로폴리스, 황산아연, 나노은, 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카본블랙, 팜오일, 이산화티탄, 삼산화황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형 액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00153422A 2020-11-17 2020-11-17 개폐형 액자 KR102610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22A KR102610922B1 (ko) 2020-11-17 2020-11-17 개폐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22A KR102610922B1 (ko) 2020-11-17 2020-11-17 개폐형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96A KR20220067096A (ko) 2022-05-24
KR102610922B1 true KR102610922B1 (ko) 2023-12-27

Family

ID=8180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422A KR102610922B1 (ko) 2020-11-17 2020-11-17 개폐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09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58B1 (ko) * 2007-08-03 2009-04-29 김상운 키보드 매립형 책상
KR200457289Y1 (ko) * 2011-04-27 2011-12-19 민경직 박스형 장식판
KR101580525B1 (ko) * 2014-12-16 2015-12-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가변형 액자 거치대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6252A (ja) * 1996-11-15 1998-06-02 Nimura Design:Kk 額縁兼用鏡
KR20110114097A (ko) * 2010-04-12 2011-10-19 김기섭 자석 지지부가 구비된 상패
KR20130000883U (ko) * 2011-07-28 2013-02-06 한성수 전면개폐식 액자
KR101634341B1 (ko) 2014-12-17 2016-06-29 김상운 이중 액자
KR20160109407A (ko) * 2015-03-11 2016-09-21 박선업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2009565B1 (ko) 2016-09-12 2019-08-12 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 복합기능을 갖는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558B1 (ko) * 2007-08-03 2009-04-29 김상운 키보드 매립형 책상
KR200457289Y1 (ko) * 2011-04-27 2011-12-19 민경직 박스형 장식판
KR101580525B1 (ko) * 2014-12-16 2015-12-29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가변형 액자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096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805815S1 (en) Jewelry box
US7481014B2 (en) Decorative wall mounted storage container
US8365452B2 (en) Display frame
USD877613S1 (en) Clamshell package for a cartridge valve
USD516425S1 (en) Dispensing closure
KR102610922B1 (ko) 개폐형 액자
US20200000253A1 (en) Concealing pillowcase assembly
JP2001270575A (ja) ティッシュケース
KR20130027131A (ko) 받침대 고정부가 부설된 케익 포장용 상자
JP3203484U (ja) 物品保管庫
US20180220816A1 (en) Hanging Artwork System
US474062A (en) George b
AU2006100021A4 (en) Container openable and closable in different ways
JP2006217961A (ja) コンパクト容器
KR20200038771A (ko) 거울 오염 방지 화장품 케이스
CN209450298U (zh) 一种收纳盒
CN110386319A (zh) 一种可折叠式盒子连接结构和可折叠式盒子及其使用方法
CN210924338U (zh) 一种轻便式笔记本
KR100673357B1 (ko) 포장용 박스
USD1011879S1 (en) Sliding lid closure
KR200440181Y1 (ko) 앨범 보관용 액자
CN109805571A (zh) 化妆盒
JP3169721U (ja) 表示機能付き収納箱
CN208017066U (zh) 一种防摔的化妆品盒
KR200326973Y1 (ko) 필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