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341B1 - 이중 액자 - Google Patents

이중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341B1
KR101634341B1 KR1020140182250A KR20140182250A KR101634341B1 KR 101634341 B1 KR101634341 B1 KR 101634341B1 KR 1020140182250 A KR1020140182250 A KR 1020140182250A KR 20140182250 A KR20140182250 A KR 20140182250A KR 101634341 B1 KR101634341 B1 KR 101634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b
plate
decorativ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3663A (ko
Inventor
김상운
Original Assignee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운 filed Critical 김상운
Priority to KR1020140182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341B1/ko
Publication of KR20160073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47G1/0611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the profiles having clamping action; Elongated cli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화면과 보조화면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이중 액자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메인패널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구역이 분획된 상태로 전면에 복수개의 제 1 장식부재가 배치된 장식시트와, 상기 장식시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각 제 1 장식부재가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홀이 형성된 분획판, 및 전면에 제 2 장식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개방홀에 내삽된 복수개의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이중 액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액자는 보조패널을 메인패널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장소에 따라 적합한 화면이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 액자{DOUBLE PICTURE FRAME}
본 발명은 메인화면과 보조화면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이중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등이 사용되지 않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에 따른 상해의 위험성이 작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화면과 보조화면을 선택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이중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시물 또는 그림 등을 책상 위에 놓거나 벽에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전시물이 수용되는 액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액자는 책상의 상부에 안착되는 탁상형 또는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된 벽걸이형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사진 액자의 구성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 데, 액자 앞쪽에서 볼 때 안쪽으로 층을 이루면서 장착되는 부재들을 순서적으로 살펴보면 액자의 틀인 프레임(frame), 유리나 아크릴 등으로 된 투명판, 작품의 표면을 액자의 유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매트(Matboard), 사진 작품, 폼보드나 매트지를 사용한 배접판(Mounting Board), 합판이나 MDF(톱밥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만든 합성 나무)를 사용한 뒷판, 마감용 종이인 먼지 덮개, 범퍼 등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범퍼는 국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나, 외국에서는 액자의 뒷면을 벽면에서 약간 띄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액자의 재질은 보통 나무를 재단해서 만들지만, 근래에는 알미늄, MDF, 플라스틱(Polystyene) 등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눈에 잘 띄는 벽면이나 장식대 등에 올려놓고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투명유리를 통하여 사진 및 그림을 볼 수 있었다.
최근에는 투명유리의 중량이 무거워 취급의 어려움과 파손 시 부상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사진이나 그림의 표면에 직접 수지필름막을 코팅하여 투명유리 없이도 사진이나 그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 경량화 및 취급이 용이해졌고 사진이나 그림의 질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사진이나 그림을 액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판와 사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접착제 표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접착시켜 사진 등이 배면판 표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842호에는 메인액자 내부에 보조액자를 내삽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단일의 메인사진과 하나 이상의 보조사진을 하나의 액자를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8159호(2006년10월9일 공고)에는 고정판, 고정판의 표면 전체에 얇게 코팅된 투명층, 고정판의 전면의 투명층 위에 부착된 사진, 사진이 부착된 고정판의 전면에 도포되고,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bisphenol A epoxy resin)와 변성 지방족 아민 경화제를 약 2:1의 비율로 합하여 만들어진 투명한 방수성 도막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도막 형성 사진 액자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3416호에는 프레임의 내측에 받침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다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공간부에 액자를 삽입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상기 액자의 후면에 위치이동이 용이하게 한 다수개의 액자를 상면에 다수개의 벨크로테이프로 결합한 덮개를 형성하여 액자들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액자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들은 기본 화면의 변경이 어렵거나, 사진과 액자의 틀을 일체화시켜 사진을 교체하고 싶을 때 상기 사진과 액자의 틀을 별도로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22842호(2013.01.1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28159호(2006.10.09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53416호(2004.06.22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진에 대한 유지관리의 용이성 및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 사진과 보조 사진을 하나의 액자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이중 액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메인패널과,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구역이 분획된 상태로 전면에 복수개의 제 1 장식부재가 배치된 장식시트와, 상기 장식시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각 제 1 장식부재가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홀이 형성된 분획판, 및 전면에 제 2 장식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개방홀에 내삽된 복수개의 보조패널을 포함하는 이중 액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 액자를 사용하면, 보조패널을 메인패널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장소에 따라 적합한 화면의 사진이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적인 환경이나 취향에 따라 전시되는 사진의 종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패널에 구비된 메인 사진이 노출되도록 보조패널이 탈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고, 메인 사진 대신 보조패널에 구비된 사진이 노출되도록 보조패널이 메인패널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의 커버재로서 유리 등이 사용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을 때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 시 부상 등의 위험성이 유발되지 않아 아이들의 방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진의 표면에 사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투명층이 구비되어 있어 사진이 훼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형 칠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보조패널이 분리된 이중 액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이중 액자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 액자는 안착홈(110)이 형성된 메인패널(100)과, 상기 안착홈(110)에 안착되며 전면에 장식부재가 배치된 장식시트(200)와, 상기 장식시트(2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식부재가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홀(310)이 형성된 분획판(300), 및 상기 개방홀(310)에 내삽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40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안착홈(110)과 장식시트(200)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금속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는 이중 액자는 메인패널(1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패널(100)은 이중 액자의 외형을 제공하며 장식시트(200)와 분획판(300) 및 보조패널(400)이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 장식시트(200)와 금속판(500)을 내삽시키기 위한 안착홈(110)이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안착홈(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110)은 메인패널(100)의 전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장식시트(200)와 마주보는 메인패널(100)의 표면을 전면이라 지칭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는 장식시트(200)를 포함한다.
상기 장식시트(200)는 전면에 제 1 장식부재(210)가 배치되어 메인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인패널(100)의 안착홈(110)에 안착되며 접착제 등을 통해 메인패널(100)에 부착된다. 여기서, 외부로 노출되는 장식시트(200)의 표면을 전면이라 지칭한다.
또한, 제 1 장식부재(210)는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구역이 분획된 상태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제 1 장식부재(21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보조패널(400)의 설치개수가 증가하며, 상기 보조패널(400)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이중 액자에 전시되는 장식부재의 숫자가 증가한다.
상기 장식부재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으로, 사진, 압화, 그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림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직접 제작한 일러스트를 인쇄하여 부착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진 및 그림은 컴퓨터에 저장된 이미지를 장식시트(200)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상기 이미지가 출력된 별도의 필름을 장식시트(200)에 부착하는 방법을 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는 자성체 금속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체 금속판(500)은 메인패널(100)의 안착홈(110)과 장식시트(200)의 사이에 구비된 것으로, 보조패널(400)이 메인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자성체 금속판(500)은 안착홈(110)을 커버할 수 있다면 어떠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데 상기 안착홈(110)이 평판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금속판(500)은 안착홈(110)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평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금속판(500)은 자석과 함께 자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철이나 코발트 또는 니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금속판(500)은 나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메인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는 분획판(300)을 포함한다.
상기 분획판(300)은 상기 장식시트(200)의 전면에 부착된 것으로, 각 제 1 장식부재(210)가 노출되도록 제 1 장식부재(210)에 대응된 크기의 개방홀(310)이 형성되며, 각 제 1 장식부재(210)의 경계를 분리하도록 분획된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도 1과 같이 장식시트(200)의 전면에 상하 좌우로 사각형 제 1 장식부재(210)가 배치된 경우, 상기 분획판(300)은 격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분획판(300)은 직접 보조패널(400)에 자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분획판(300)은 칠판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표면에 필기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획판(300)은 필기면을 제공하는 합성수지판으로 구성되거나, 나무 등의 친환경소재로 구성된 본판과 필기면을 제공하는 합성수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판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액자는 보조패널(40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패널(400)은 전면에 제 2 장식부재(410)가 배치되어 메인화면을 대체하는 보조화면을 제공하는 것으로, 분획판(300)의 개방홀(310)에 삽입된 상태로 전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보조화면을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보조패널(400)은 전면에 제 2 장식부재(410)가 배치되고 배면에 제 3 장식부재(미도시)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사진 선택의 다양성을 증가시키고, 장소에 따라 제 2 장식부재나 제 3 장식부재 중 적합한 표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보조패널(40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보조화면 대신 메인화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분획판(300)의 개방홀(310)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또한, 보조패널(400)은 분획판(300)이나 금속판(500)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기존의 보조패널(400)을 새로운 보조패널(4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패널(400)은 자성체 금속판(500)이 본 발명의 이중 액자에 포함되면 다양한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부여할 수 있도록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오각기둥형, 육각기둥형, 원판형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보조패널(400)은 자성체 금속판(500)이 이중 액자에 미 포함되면 개방홀(310)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개방홀(310)이 사각기둥형으로 형성되면, 보조패널(400)은 사각틀로 형성되며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개방홀(31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 보조패널(400)은 자성체 금속판(500)이 포함된 경우라도 개방홀(310)과 대응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보조패널(400)이 금속판(500)과 함께 분획판(300)에 의해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보조패널(400)이 메인패널(100)로부터 분리되는 문제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보조패널(400)은 본 발명의 이중 액자가 입체적 미감을 나타낼 수 있도록 분획판(3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패널(400)은 분획판(300)의 개방홀(310)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전면에 제 2 장식부재가 배치되며, 배면에 필기가 가능한 필기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패널(400)은 배면에 필기면을 제공하는 합성수지판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합성수지판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필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보조패널(400)의 전면에 배치된 제 2 장식부재(410)가 제 1 장식부재(210)와 마주보도록 보조패널(400)을 분획판(300)의 개방홀(310)에 내삽된 경우, 보조패널(400)의 필기면과 분획판(300)의 필기면이 균일한 필기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분획판(300)과 보조패널(400)이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면 보조패널(400)의 필기면은 분획판(300)의 필기면과 동일한 수평선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필기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필요에 따라, 제 1 장식부재(210)와 제 2 장식부재(410)의 상면에는 투명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층은 유기용제나 스크래치에 잘 견딜 수 있게 하여 장식부재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층은 경화도료로서 장식부재의 전체에 도포하고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경화도료는 에폭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경질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투명한 경질 에폭시 수지로는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질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투명층이 장식부재 위에 형성되면 제 1 장식부재(210)와 제 2 장식부재(410)는 투명하고 매끄러운 미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염물질이 종래의 액자에 비교하여 덜 부착되고, 오염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이중 액자를 오랫동안 깨끗하고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중 액자는 자석판(4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판(420)은 보조패널(400)이 자력을 통해 메인패널(100)에 부착될 수 있도록 보조패널(400)에 자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보조패널(400)의 배면 일측이나, 배면 및 전면 양측, 또는 측면에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석판(420)은 도 1과 같이 금속판(500)이 구비되면 보조패널(400)의 배면 일측이나, 배면 및 전면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자석판(420)은 도 2와 같이 분획판(300)이 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되면 보조패널(40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판(420)은 보조패널(400)에 자력을 제공하여 보조패널(400)이 초기 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보조패널(400)을 메인패널(10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액자는 여러 개의 보조패널(400)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패널(400)을 분리시킨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종래의 액자와 같이 사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는 보조패널(400)을 교체하거나 일부 및 모두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이중 액자는 메인패널(100)로부터 탈착된 보조패널(400)을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활용성이 뛰어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메인패널 110 : 안착홈
200 : 장식시트 210 : 제 1 장식부재
300 : 분획판 310 : 개방홀
400 : 보조패널 410 : 제 2 장식부재
420 : 자석판 500 : 금속판

Claims (6)

  1. 상면에 안착홈이 형성된 메인패널;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며, 구역이 분획된 상태로 전면에 복수개의 제 1 장식부재가 배치된 장식시트;
    상기 장식시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각 제 1 장식부재가 노출되도록 복수개의 개방홀이 형성된 분획판;
    전면에 제 2 장식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개방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개방홀에 내삽된 복수개의 보조패널; 및
    상기 메인패널의 안착홈과, 장식시트 사이에 구비되는 자성체 금속판을 포함하며,
    상기 보조패널은 상기 분획판과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에 탈부착될 수 있도록 전면과 배면에 자석판이 구비되며, 상기 분획판은 표면에 필기가 가능한 필기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액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판은 자성체 금속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패널의 테두리에 자석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액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은 배면에 제 3 장식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액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은 배면에 필기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액자.
KR1020140182250A 2014-12-17 2014-12-17 이중 액자 KR101634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250A KR101634341B1 (ko) 2014-12-17 2014-12-17 이중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250A KR101634341B1 (ko) 2014-12-17 2014-12-17 이중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63A KR20160073663A (ko) 2016-06-27
KR101634341B1 true KR101634341B1 (ko) 2016-06-29

Family

ID=56344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250A KR101634341B1 (ko) 2014-12-17 2014-12-17 이중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3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096A (ko) 2020-11-17 2022-05-24 반용태 개폐형 액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8Y1 (ko) 2001-04-19 2001-12-28 김윤길 양면 액자
KR200421530Y1 (ko) * 2006-05-01 2006-07-12 안희철 자석을 이용한 액자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5319B2 (ja) * 1996-02-20 1999-09-06 株式会社ハル 額 縁
KR200353416Y1 (ko) 2004-03-04 2004-06-22 (주)티.에이취.아이 이중 액자
KR200428159Y1 (ko) 2006-07-13 2006-10-09 신양광 방수성 도막 형성 사진 액자
KR101222842B1 (ko) 2011-12-16 2013-01-16 김상운 메인화면과 감춤 기능이 부여된 보조화면을 구비한 액자
KR20140121579A (ko) * 2013-04-08 2014-10-16 김상운 액자프레임이 부설된 칠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8268Y1 (ko) 2001-04-19 2001-12-28 김윤길 양면 액자
KR200421530Y1 (ko) * 2006-05-01 2006-07-12 안희철 자석을 이용한 액자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096A (ko) 2020-11-17 2022-05-24 반용태 개폐형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63A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33409C (en) Modular board arrangement
US7874842B2 (en) Marker board
US20060174529A1 (en) Picture framing system
US20130160338A1 (en) Picture mount apparatus
US20080251413A1 (en) Combination display and serving tray
KR20140121579A (ko) 액자프레임이 부설된 칠판
KR101634341B1 (ko) 이중 액자
KR100954785B1 (ko) 사진의 교환이 가능한 블록액자
KR101222842B1 (ko) 메인화면과 감춤 기능이 부여된 보조화면을 구비한 액자
KR20130101265A (ko) 양면으로 사용 가능한 다목적 경량칠판
KR101402295B1 (ko)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KR101310120B1 (ko) 메인화면과 감춤 기능이 부여된 보조화면을 구비한 액자
KR101552833B1 (ko) 접이식 캔버스 패널
GB2255433A (en) Signboard.
KR20140014628A (ko) 확장된 화면을 갖는 액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3768505B2 (ja) 軽量化された額飾り兼用テーブル
JP3115387U (ja) ホワイトボード構造体及びホワイトボード兼用壁面構造体
JP2945319B2 (ja) 額 縁
US11045020B2 (en) Frame assembly for displaying an objec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90126246A1 (en) Multi-layer graphic illustrations
JP3192117U (ja) 表示パネル装置
US20160128496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50131741A (ko) 달력
JP3124718U (ja) 吊下保持具
JP3141431U (ja) 額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