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2295B1 -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 Google Patents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2295B1
KR101402295B1 KR1020120044761A KR20120044761A KR101402295B1 KR 101402295 B1 KR101402295 B1 KR 101402295B1 KR 1020120044761 A KR1020120044761 A KR 1020120044761A KR 20120044761 A KR20120044761 A KR 20120044761A KR 101402295 B1 KR101402295 B1 KR 101402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b
frame
groov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1505A (ko
Inventor
김상운
Original Assignee
김상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운 filed Critical 김상운
Priority to KR1020120044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2295B1/ko
Publication of KR2013012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2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2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666Devices for connecting a suspension wire to a pic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B44C5/0446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bearing graphical in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조작으로 사진의 위치와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가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배면에 절곡홈이 형성된 메인패널과, 배면에 내삽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사진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 및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 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에 내삽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에 내삽되어 상기 메인패널과 복수개의 보조패널을 연결하는 체결줄을 포함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적인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단일의 사진이 노출되도록 사용하거나, 복수개의 사진이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사진을 노출시키는 경우에는 사진 사이의 간격을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FRAME FOR ADJUSTING THE NUMBER OF PHOTO AND LOCATION OF PHOTO}
본 발명은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등이 사용되지 않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에 따른 상해의 위험성이 작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으로 사진의 위치와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시물 또는 그림 등을 책상 위에 놓거나 벽에 부착하고자 할 때에는 전시물이 수용되는 액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액자는 책상의 상부에 안착되는 탁상형 또는 벽에 부착할 수 있도록 걸이홈이 형성된 벽걸이형이 있다.
이러한 전통적인 사진 액자의 구성 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 데, 액자 앞쪽에서 볼 때 안쪽으로 층을 이루면서 장착되는 부재들을 순서적으로 살펴보면 액자의 틀인 프레임(frame), 유리나 아크릴 등으로 된 투명판, 작품의 표면을 액자의 유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매트(Matboard), 사진 작품, 폼보드나 매트지를 사용한 배접판(Mounting Board), 합판이나 MDF(톱밥을 접착제와 혼합하여 만든 합성 나무)를 사용한 뒷판, 마감용 종이인 먼지 덮개, 범퍼 등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범퍼는 국내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으나, 외국에서는 액자의 뒷면을 벽면에서 약간 띄워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한다.
또한, 액자의 재질은 보통 나무를 재단해서 만들지만, 근래에는 알미늄, MDF, 플라스틱(Polystyene) 등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눈에 잘 띄는 벽면이나 장식대 등에 올려놓고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투명유리를 통하여 사진 및 그림을 볼 수 있었다.
최근에는 투명유리의 중량이 무거워 취급의 어려움과 파손 시 부상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사진이나 그림의 표면에 직접 수지필름막을 코팅하여 투명유리 없이도 사진이나 그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 경량화 및 취급이 용이해졌고 사진이나 그림의 질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사진이나 그림을 액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판와 사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접착제 표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접착시켜 사진 등이 배면판 표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552호(1998년3월30일 공개)에는 내측으로 형성된 창부 하측으로 그림 또는 사진이 부착되고, 저면에는 접착제층이 도포되어 접착 설치되는 접착식 액자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이 저면에 도포되며, 상기 창부가 내측으로 형성되고, 유색 형성되어 상부면은 백화 처리되는 PVC 재질로 형성되는 연질시트층과, 배면에 장식층이 인쇄되어 상기 연질시트층의 상측으로 적층되며 PVC 재질로 형성된 코팅시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연질시트층과 코팅시트층은 그 사이에 형성된 접착제층으로서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연질시트층의 내측 창부에는 그 하측으로 부착되는 사진 등을 보호토록 하는 투명보호판이 결합되어 접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식 액자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8159호(2006년10월9일 공고)에는 고정판, 고정판의 표면 전체에 얇게 코팅된 투명층, 고정판의 전면의 투명층 위에 부착된 사진, 사진이 부착된 고정판의 전면에 도포되고,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bisphenol A epoxy resin)와 변성 지방족 아민 경화제를 약 2:1의 비율로 합하여 만들어진 투명한 방수성 도막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 도막 형성 사진 액자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른 일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98982호(2008년11월12일 공개)에는 사진 액자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액자이미지와 사진이미지를 이미지 합성하여 한 장의 인화지 출력물을 제작하는 제1과정, 상기 인화지 출력물을 패널의 전면을 덮으면서 측면을 감싸지도록 접는 제2과정, 상기 패널에 인화지 출력물을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액자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발명들은 사진과 액자의 틀을 일체화시켜 사진을 교체하고 싶을 때 상기 사진과 액자의 틀을 별도로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사진의 교환이 가능한 블록액자에 관한 발명을 개발(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54785호)하였다.
그러나 상기 블록액자는 사진의 교환이 편리하지만 다양한 사진을 동시에 전시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블록액자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552호(1998.3.30.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428159호(2006.10.9.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8-0098982호(2008.11.12.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4785호(2010.4.2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대신 합성수지로 형성된 커버재가 구비되어 사진에 대한 유지관리의 용이성 및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과 사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복수개의 사진을 하나의 액자를 통해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면에 절곡홈이 형성된 메인패널과, 배면에 내삽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사진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 및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 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에 내삽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에 내삽되어 상기 메인패널과 복수개의 보조패널을 연결하는 체결줄을 포함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자를 사용하면, 사진을 화면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장소에 따라 적합한 화면의 사진이 노출되도록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적인 환경이나 취향에 따라 전시되는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종래의 액자와 달리 사진과 사진 사이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진의 교체 이외에도 사진과 사진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진의 커버재로서 유리 등이 사용되지 않아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을 때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 시 부상 등의 위험성이 유발되지 않아 아이들의 방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진의 표면에 사진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투명층이 구비되어 있어 사진이 훼손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패널 및 자석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이하, "다화면 액자"라고 약칭함)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절곡홈이 형성된 메인패널과, 배면에 내삽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사진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 및 상기 절곡홈과 내삽홈에 내삽되어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을 연결하는 체결줄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메인패널과 보조패널의 배면에 구비되는 자석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배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메인패널(1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패널(100)은 다화면 액자를 벽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표면에 사진이 배치되거나 전체적으로 도안화된 알파벳의 외형을 갖는다. 예를 들면, 메인패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문 "STAR"가 도안화된 외형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메인패널(100)은 다화면 액자를 나사 등을 사용하여 벽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결합수단(110)을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수단(110)은 나사를 통해 벽면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도록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관통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벽면에 설치된 나사를 통해 벽면에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외부로 돌출 형성된 걸림고리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메인패널(100)은 체결줄(200)의 일단부를 내삽시키기 위해서 배면에 절곡홈(120)이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홈(120)은 체결줄(200)과의 사이에 충분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메인패널(100)의 구조 상 허용하는 범위에서 최대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곡홈(120)은 체결줄(200)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꺽어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절곡홈(120)은 10 내지 90°의 내각을 갖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줄의 두께 상 10° 미만의 내각을 갖는 구조를 채용하기 어렵고, 90°가 초과되는 내각을 채용하면 절곡홈(120)과 체결줄(200) 사이에 형성되는 결합력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곡홈(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
Figure 112012034021838-pat00001
"형이나 "
Figure 112012034021838-pat00002
"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절곡홈(120)의 내부에는 체결줄(200)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절곡홈(120)과 체결줄(20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찰돌기는 체결줄(20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체결줄(200)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반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복수개의 보조패널(300)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패널(300)은 배면에 내삽홈(302)이 형성되고 전면에 사진이 배치되는 것으로서, 체결줄(200)을 내삽홈(302)에 내삽시킴으로써 메인패널(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보조패널(300)은 사진이 배치되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면 어떠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원형, 별(STAR)형, 삼각형,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보조패널(300)은 모두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외형을 갖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예컨대, 복수개의 보조패널(300)은 원형 보조패널과 별형 보조패널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내삽홈(302)의 내부에는 체결줄(200)과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복수개의 마찰돌기(30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킴에 따라 내삽홈(302)과 체결줄(20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마찰돌기(304)는 체결줄(200)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체결줄(200)의 손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반구형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패널(300)은 체결줄(200)로부터 분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화면 액자의 설치 장소 및 취향에 따라 기존의 보조패널(300)을 새로운 보조패널(3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화면 액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보조패널(300)과 보조패널(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줄여 체결줄(200)에 5개의 보조패널을 배치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보조패널(300)과 이웃한 보조패널(300)과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여 체결줄(200)에 3개의 보조패널(310, 320, 330)을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진만을 교체할 수 있는 종래의 액자와 달리 사진과 사진 사이의 이격 거리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진의 교체 이외에도 사진과 사진 사이의 거리 조절을 통해 다양한 미감을 연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체결줄(200)을 포함한다.
상기 체결줄(200)은 메인패널(100)의 절곡홈(120)과 보조패널(300)의 내삽홈(302)에 내삽되어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절곡홈(120) 및 내삽홈(302)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절곡홈(120) 및 내삽홈(302)에 내삽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체결줄(200)이 절곡홈(120) 및 내삽홈보다 큰 부피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은 체결줄(200) 및 메인패널(100) 사이와, 체결줄(200) 및 보조패널(3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자체 부피보다 작은 부피로 구성된 절곡홈(120) 및 내삽홈(302)에 내삽되기 위해, 상기 체결줄(200)은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체결줄(200)은 절곡홈(120) 및 내삽홈(302)에 접촉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줄(200)로는 도 1과 같이 꼬임 처리된 가죽줄을 사용하거나, 표면에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줄을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꼬임 처리된 가죽줄이나 표면에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줄은 절곡홈(120)과 내삽홈(302)에 삽입되면, 절곡홈(120) 및 내삽홈(302)과의 접촉면적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고정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400)은 보조패널(300)의 하부에 위치한 체결줄(200)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보조패널(3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보조패널(300)이 중력의 작용에 의해 체결줄(200)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고정수단(400)은 체결줄(200)과 결합되어 보조패널(300)의 초기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로 형성되어 무방하며, 고정핀이나 집게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수단(400)은 보조패널(30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보조패널(300)과 동일한 개수가 체결줄(200)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패널(300) 및 자석판(5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자석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석판(500)은 메인패널(100)의 배면, 보조패널(300)의 배면, 또는 이들 모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이 자력을 통해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에 자력을 부여한다.
이러한 자석판(500)은 체결줄(200)에 설치된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에 자력을 제공하여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이 초기 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줄(200)에 결합되지 않은 보조패널(300)이 단독으로 벽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또한, 자석판(500)은 나사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에 부착될 수 있지만, 다화면 액자의 전체적인 미려함을 위해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장식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층은 메인패널(100)의 전면과 보조패널(300)의 전면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 장식부재가 부착된다. 여기서, 장식부재는 사진, 압화, 그림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림은 컴퓨터 그래픽 프로그램으로 직접 제작한 일러스트를 인쇄하여 부착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사진 및 그림은 컴퓨터에 저장된 이미지를 메인패널(100)(보조패널) 또는 후술하는 경질시트층의 표면에 직접 인쇄하거나, 상기 이미지가 출력된 별도의 필름을 메인패널(100)(보조패널) 또는 경질시트층에 부착하는 방법을 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패널(100)의 전면에 제 1 장식층이 구비되며, 보조패널(300)의 전면에 제 2 장식층이 구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패널(100)과 제 1 장식층의 사이와 보조패널(300)과 제 2 장식층의 사이에는 경질시트층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질시트층은 장식층이 메인패널(100) 및 보조패널(300) 표면에 형성될 경우 보다 투명하고 매끄러운 미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에폭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질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화면 액자는 투명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제 1 장식층과 제 2 장식층을 보호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 1 장식층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 1 투명층과 제 2 장식층의 표면에 구비되는 제 2 투명층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투명층은 유기용제나 스크래치에 잘 견딜 수 있게 하여, 장식층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투명층은 경화도료로서 장식층의 전체에 도포하고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경화시켜 형성한다. 상기 경화도료는 에폭시 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에폭시-아크릴레이트 수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경질 에폭시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투명한 경질 에폭시 수지로는 주제와 경화제의 이액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경질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실시 예로, 상기 주제로는 열경화성 수지인 비스페놀 A 에폭시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경화제로는 변성 지방족 아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주제와 경화제의 비율은 메인패널(100) 및 보조패널(300)의 전면을 코팅하여 상기 메인패널(100) 및 보조패널(300)을 보호하기에 접합한 정도의 비율이면 어느 비율로 형성되어도 무방하지만, 2:1인 경우가 강도 및 투명도에서 바람직하다. 투명층의 두께는 약 1 내지 2 ㎜가 바람직하며, 30 내지 40℃에서 4 내지 6시간 동안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층이 30℃ 미만으로 경화되면, 경질 에폭시 수지가 균일하게 증착되지 않으며, 상기 투명층이 40℃를 초과하여 경화되면 메인패널(100) 및 보조패널(300)의 일부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경질 에폭시 수지는 저점도 타입으로 작업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전기적 물성이 우수한 수지로서 코팅 시 수축률이 작고 액자 전면을 코팅할 경우 내수성이 우수하며, 표면이 깨끗하고 미려하여 메인패널(100) 및 보조패널(300)의 질감이 향상된다. 특히, 자외선이 아닌 열경화 방식을 택함으로써 에폭시의 자외선 불안정화로 인한 황변형상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투명도와 표면 광택이 뛰어나다. 또한, 코팅을 통하여 외부 공기와의 접촉이 적어지므로 수분이나 외부 오염물질에 의한 변형이 없이 장시간 동안 사진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존에 사용된 유리에 비해 무게도 가볍고, 운반이나 안정성 면에서도 뛰어나다.
그리고 상기 경화도료는 작업의 편리함을 위하여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되는 자외선 경화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투명층이 장식층 위에 형성되면 메인패널(100)과 보조패널(300)은 투명하고 매끄러운 미감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염물질이 종래의 액자에 비교하여 덜 부착되고, 오염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다화면 액자를 오랫동안 깨끗하고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경화도료가 경화될 경우 일정한 강도를 가지게 되어 투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보다 강한 표면경도를 가진 다화면 액자를 만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액자는 건축물의 내측 벽면에 좌우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메인패널(100)은 보조패널(300)과 동일한 외형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배면에 절곡홈(120)이 형성되고 전면에 사진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체결줄(200)은 일단부가 상기 절곡홈(120)에 내삽되고, 상기 일단부에 대응되는 타단부가 나사 등을 이용하여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화면 액자는 여러 개의 보조패널(300)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고, 보조패널(300)과 보조패널(300) 사이의 이격 거리를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진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종래의 액자와 같이 사진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외형을 가지는 보조패널(300)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 보조패널(300)의 이격 거리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인테리어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화면 액자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벽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설치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줄(200)로부터 탈착된 보조패널(300)을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장소의 제약이 없으며 활용성이 뛰어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메인패널 110 : 결합수단
120 : 절곡홈 200 : 체결줄
300 : 보조패널 302 : 내삽홈
304 : 마찰돌기 310 : 제 1 보조패널
320 : 제 2 보조패널 330 : 제 3 보조패널
400 : 고정수단 500 : 자석판

Claims (7)

  1. 배면에 10 내지 90°의 내각을 갖도록 꺽어진 구조로 형성된 절곡홈이 구비된 메인패널;
    배면에 내삽홈이 형성되고, 전면에 사진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 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에 내삽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구성되며, 상기 절곡홈 및 내삽홈에 내삽되어 상기 메인패널과 복수개의 보조패널을 연결하는 체결줄;
    사진, 압화, 그림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패널의 전면과 보조패널의 전면에 구비되는 장식층; 및
    상기 장식층을 보호하기 위해 장식층의 표면에 구비되며 경화도료로 구성된 투명층을 포함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패널의 배면, 보조패널의 배면, 또는 이들 모두에 자석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 내삽홈, 또는 이들 모두에는 상기 체결줄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줄은
    가죽 또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줄은
    꼬임 처리된 가죽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체결줄은
    표면에 복수개의 마찰돌기가 형성된 합성수지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의 하부에 위치한 체결줄에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조패널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KR1020120044761A 2012-04-27 2012-04-27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KR101402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61A KR101402295B1 (ko) 2012-04-27 2012-04-27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61A KR101402295B1 (ko) 2012-04-27 2012-04-27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05A KR20130121505A (ko) 2013-11-06
KR101402295B1 true KR101402295B1 (ko) 2014-06-02

Family

ID=49851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61A KR101402295B1 (ko) 2012-04-27 2012-04-27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22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9888A1 (de) * 2017-12-14 2019-06-19 Fischerwerke Gmbh & Co. Kg Befestigungssystem mit integrierter Ausrichtefunk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094U (ko) * 1974-07-18 1976-02-02
JPS62174471U (ko) * 1986-04-25 1987-11-06
KR200239174Y1 (ko) * 2001-04-07 2001-10-11 손경찬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030024733A (ko) * 2003-02-20 2003-03-26 안태진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KR200348404Y1 (ko) * 2004-01-15 2004-04-29 이종근 부착형 액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094U (ko) * 1974-07-18 1976-02-02
JPS62174471U (ko) * 1986-04-25 1987-11-06
KR200239174Y1 (ko) * 2001-04-07 2001-10-11 손경찬 길이조절이 가능한 장신구
KR20030024733A (ko) * 2003-02-20 2003-03-26 안태진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KR200348404Y1 (ko) * 2004-01-15 2004-04-29 이종근 부착형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505A (ko)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62942B (zh) 具有背光模块框体结构的液晶显示器
US7874842B2 (en) Marker board
TWI600358B (zh) 邊緣附加護甲之顯示器覆蓋板
US20060174529A1 (en) Picture framing system
US20100258691A1 (en) Detachable screen protector assembly for large flat panel displays
KR20140121579A (ko) 액자프레임이 부설된 칠판
KR101402295B1 (ko)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CN111327733A (zh) 一种电子设备
KR101222842B1 (ko) 메인화면과 감춤 기능이 부여된 보조화면을 구비한 액자
US946831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sealed frame mount
KR100954785B1 (ko) 사진의 교환이 가능한 블록액자
WO2014155595A1 (ja) コンソール据付用画像表示装置
JP2005079865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310120B1 (ko) 메인화면과 감춤 기능이 부여된 보조화면을 구비한 액자
KR101634341B1 (ko) 이중 액자
KR101074717B1 (ko) 측면조사방식의 엘이디를 이용한 라이트패널
KR101639518B1 (ko) 모둠 수업용 자석칠판
JP4924096B2 (ja) 画面保護装置
KR20130003354U (ko)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CN102819986A (zh) 显示器
KR20150072872A (ko) 패널의 신축변형 흡수부재
KR20140014628A (ko) 확장된 화면을 갖는 액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11379U (ko) 크리스털 상패
KR20170127086A (ko) 메모지 부착이 가능한 휴대용 화이트 보드
CN211352242U (zh) 一种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