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379U - 크리스털 상패 - Google Patents

크리스털 상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379U
KR20110011379U KR2020100005768U KR20100005768U KR20110011379U KR 20110011379 U KR20110011379 U KR 20110011379U KR 2020100005768 U KR2020100005768 U KR 2020100005768U KR 20100005768 U KR20100005768 U KR 20100005768U KR 20110011379 U KR20110011379 U KR 201100113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ystal panel
crystal
panel
frame
pla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7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용
남흥순
박성호
조종철
Original Assignee
김인용
박성호
조종철
남흥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용, 박성호, 조종철, 남흥순 filed Critical 김인용
Priority to KR20201000057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1379U/ko
Publication of KR20110011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37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2Frames or housings for storing medals, badg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3/00Medals; Badges
    • A44C3/001Badges
    • A44C3/002Honorific badges, e.g. ribbon holders for dec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B44C3/08Stamping or bending
    • B44C3/085Stamping or bending st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리스털 상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리스털 상패를 개선하여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에 투영되어 심미감을 떨어트리는 것을 방지하고, 크리스털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문자 또는 형상이 각인된 소정 두께의 크리스털 패널(100)과;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 두께의 깊이로 고정홈(210)이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의 배면에 위치하되 그 중심을 향해 장식부재(3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분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을 통해 상기 장식부재(310)가 전면에서 투영되는 고정패널(300)과; 상기 고정패널(3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 체결시키는 체결수단(400)으로 구성되어, 접착부위 없이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신뢰성 높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막고, 크리스털 패널이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장식부재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크리스털 상패{Crystal plaque}
본 고안은 크리스털 상패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크리스털 상패를 개선하여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에 투영되어 심미감을 떨어트리는 것을 방지하고, 크리스털 패널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접착부위 없이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신뢰성 높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막고, 크리스털 패널이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장식부재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패란 그림을 그리거나 글씨를 쓰거나 새긴 종이나 나무, 쇠붙이 따위의 상으로 받는 조그마한 조각이다.
특히, 크리스털 상패는 투명 소재의 크리스털에 그림 또는 글을 각인한 것으로 보는 이의 심미감이 뛰어나 상패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종래의 크리스털 상패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림 또는 글이 각인된 크리스털 패널(10)과, 상기 크리스털 패널(10)의 저면에 접착에 의해 고정되는 받침대(2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크리스털 상패는 크리스털 패널(10)과 받침대(20)가 상호 접착되어 있어, 상기 받침대(20)를 통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을 원하는 위치에 세워놓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크리스털 상패는 크리스털 패널(10)과 받침대(20)가 상호 접착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접착제의 특성상 취성이 강해 작은 충격에도 크리스털 패널(10)이 받침대(20)로부터 분리되어 손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크리스털 패널(10)이 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그 접착부위(도 1 참조)가 크리스털 패널(10)에 투영됨으로써 외부에서 인지되기 때문에 보는 이로 하여금 심미감을 떨어뜨린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부위 없이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신뢰성 높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막고, 크리스털 패널이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장식부재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리스털 상패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문자 또는 형상이 각인된 소정 두께의 크리스털 패널과; 상기 크리스털 패널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크리스털 패널 두께의 깊이로 고정홈이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되 그 중심을 향해 장식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크리스털 패널의 분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상기 장식부재가 전면에서 투영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확장된 머리부를 갖는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는 별물의 받침대가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접착부위 없이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신뢰성 높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막고, 크리스털 패널이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장식부재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있어서 A-A선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있어서 B-B선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를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있어서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있어서 B-B선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 또는 형상이 각인된 크리스털 패널(100)을 프레임(200)의 고정홈(210) 내에 삽입한 후,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을 통해 투영되는 장식부재(310)가 형성된 고정패널(300)로 덮어, 체결수단(400)으로 고정시킴으로써, 기존과 같이 접착제를 사용치 않아 내구성이 뛰어날 뿐 아니라 접착부위가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막아 상품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는, 문자 또는 형상이 각인된 소정 두께의 크리스털 패널(100)과;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 두께의 깊이로 고정홈(210)이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200)과; 상기 프레임(200)의 배면에 위치하되 그 중심을 향해 장식부재(31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분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을 통해 상기 장식부재(310)가 전면에서 투영되는 고정패널(300)과; 상기 고정패널(3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 체결시키는 체결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은 소정 두께를 갖는 크리스털 재질의 패널로써, 그 단면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는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크리스털 패널(100)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크리스털 패널(100)은 투명도가 높으며, 그 전면(前面) 또는 배면(背面)에 글씨 또는 형상을 통상적으로 음각(陰刻)하게 된다.
다음으로, 프레임(200)은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테두리를 수용하는 불투명 소재로 성형된 것으로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 그 재질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테두리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고정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홈(210)의 깊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하여, 상기 고정홈(210) 내에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이 꼭 맞게 들어가게 되며, 상기 고정홈(210)에 들어간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이 두께 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고정패널(300)은 상기 프레임(200)의 배면에 위치하는 패널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홈(210) 내에 크리스털 패널(1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배면을 받쳐주게 되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이 상기 고정홈(2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막게 된다.
이러한 고정홈(210) 또한 나무, 금속, 합성수지 등의 불투명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할 장식부재(310)의 가공 편의성에 따르면 합성수지가 가장 적절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패널(300)에 있어서 장식부재(3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테두리를 통해 전면으로 투영되기 때문에, 그 형상을 통해 심미감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아름답게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체결수단(400)은 상기 고정패널(3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 체결시키는 구성으로써,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패널(300)의 배면에서 체결하여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되며, 도면에는 상기 고정패널(300)의 네 모서리에 하나씩 총 4개의 체결수단(400)을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400)은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확장된 머리부(410)를 갖는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체결수단(400)으로 못이나 일반적인 스크류를 이용할 수도 있지만, 머리부(410)가 손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로 확장된 스크류로 할 경우, 드라이버와 같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손쉽게 상기 머리부(410)를 잡고 돌릴 수 있어 체결수단(400)을 용이하게 체결 및 분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을 수용하는 상기 프레임(200)을 직접 설치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기 프레임(200)의 저부에는 별물의 받침대(500)가 연결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프레임(200)의 하부에 상기 프레임(200)의 바닥면보다 넓은 별물의 받침대(500)를 연결하여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홈(210)이 형성된 프레임(200) 내에 문자 또는 형상이 각인된 투명 소재의 크리스털 패널(100)을 넣은 후, 장식부재(310)가 일체로 성형된 고정패널(300)을 상기 프레임(200) 배면에서 덮고,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400)으로 상기 고정패널(3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고정 체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에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이 견고하게 조립되어 장기간 사용에도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이 상기 프레임(200)으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300)에 일체로 형성된 장식부재(310)가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로 투영되어 전면에서 보는 이로 하여금 높은 심미감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체결수단(400)으로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크기의 머리부(410)를 갖는 스크류를 적용하면, 별도의 공구 없이도 상기 체결수단(400)을 손으로 잡고 손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게 되어 조립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 또한 갖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프레임(200)의 저면에 별도의 받침대(500)를 연결하여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가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크리스털 상패는 접착을 배제하여 기존과 같이 접착부위가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크리스털 패널(100)이 프레임(2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에 따라 발생하는 예기치 못한 크리스털 패널(100)의 손상 또한 막을 수 있고, 상기 크리스털 패널(100)의 테두리를 통해 배면에 위치한 고정패널(300)의 장식부재(310)가 투영됨으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높은 심미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는 탁월한 이점을 지닌 고안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접착부위 없이 크리스털 패널을 받침대에 신뢰성 높게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접착부위가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외부로 투영되는 것을 막고, 크리스털 패널이 받침대로부터 분리되어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장식부재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켜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크리스털 패널 200 : 프레임
210 : 고정홈 300 : 고정패널
310 : 장식부재 400 : 체결수단
410 : 머리부 500 : 받침대

Claims (3)

  1. 문자 또는 형상이 각인된 소정 두께의 크리스털 패널과;
    상기 크리스털 패널의 테두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크리스털 패널 두께의 깊이로 고정홈이 내측에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배면에 위치하되 그 중심을 향해 장식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크리스털 패널의 분리를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크리스털 패널을 통해 상기 장식부재가 전면에서 투영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을 상기 프레임에 고정 체결시키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털 상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별도의 공구 없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확장된 머리부를 갖는 스크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털 상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저부에는 별물의 받침대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스털 상패.
KR2020100005768U 2010-06-03 2010-06-03 크리스털 상패 KR201100113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68U KR20110011379U (ko) 2010-06-03 2010-06-03 크리스털 상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768U KR20110011379U (ko) 2010-06-03 2010-06-03 크리스털 상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379U true KR20110011379U (ko) 2011-12-09

Family

ID=72886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768U KR20110011379U (ko) 2010-06-03 2010-06-03 크리스털 상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137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58A (ko) 2018-08-29 2020-03-10 (주)상패트로피 아크릴 액자상패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158A (ko) 2018-08-29 2020-03-10 (주)상패트로피 아크릴 액자상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90018S1 (en) Bulletin board and frame
KR20080091698A (ko) 강화유리가 부착된 학생용 책상 상판의 결합구조 및제조방법
USD532220S1 (en) Cocktail table
WO2006102587A3 (en) Standard
KR20110011379U (ko) 크리스털 상패
KR101446305B1 (ko) 액자
KR101104218B1 (ko) 액자형 문양형성 문
US8291629B2 (en) Point of purchase graphic sign holder device
JP2008175015A (ja) 採光扉
KR200458956Y1 (ko) 지지대를 이용한 장식판
KR20170002089U (ko) 전면 부분 개폐가 용이한 투명 액자
KR101634341B1 (ko) 이중 액자
KR101402295B1 (ko)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KR200455884Y1 (ko) 스테플 가리개
JP3142903U (ja) キャップ用マグネット止着具
KR101242601B1 (ko) 패널 고정용 캡너트를 이용한 패널고정구조
KR20100004121U (ko) 부착형 장식구
JP4236562B2 (ja) 枠縁付きパネル
JPH08256887A (ja) 展示具
CN213993128U (zh) 一种画框
KR200408419Y1 (ko) 스크린장치
USD528222S1 (en) Keystone
KR100851339B1 (ko) 유리 고정 장치
KR200429192Y1 (ko) 가구용 장식 패널
KR20100012417U (ko) 스테플 가리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