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3354U -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 Google Patents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3354U
KR20130003354U KR2020110010586U KR20110010586U KR20130003354U KR 20130003354 U KR20130003354 U KR 20130003354U KR 2020110010586 U KR2020110010586 U KR 2020110010586U KR 20110010586 U KR20110010586 U KR 20110010586U KR 20130003354 U KR20130003354 U KR 201300033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ayer
photo
doubl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정
Original Assignee
김택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정 filed Critical 김택정
Priority to KR2020110010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3354U/ko
Publication of KR201300033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33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1/142Supporting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6Photograph stands comprising means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ta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A47G2001/148Photograph stands adjustable to accommodate frames or pictures of varying siz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진등의 선명도가 개선된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관한 것으로,
제1아크릴층(11a)의 내측에 투명접착제(14)로 제1사진층(13a)의 표면이 표현되도록 접착,형성하고, 이 제1사진층(13a)의 배면에 알루미늄박막층(12)의 제1면이 결합하고, 이 알루미늄박막층(12)의 제2면에 제2사진층(13b)의 배면이 위치함과 아울러 제2사진층(13b)의 표면이 제2아크릴투명층(11b)의 배면에 투명접착제(14)로 접착 결합되어 액자 본체(10)를 형성하여, 제1,제2투명아크릴층(11a),(11b)의 양면을 통하여 제1,제2사진층(13a),(13b)이 각각 동시에 표현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를 제공하고, 아크릴투명층(11a)(11b)의 표면에 UV-차단층(15)을 형성하며, 액자본체(10)가 삽입되어 수직 설치되는 삽입홈(21)을 형성한 받침대(20)를 포함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Double-faced Picture Frame Assembly for not having pictureframe}
본 고안은 그림,사진등의 선명도가 개선되고 매우 얇은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알려진 일부 액자는 그림이나 사진 등의 게시물을 앞면의 투명재질의 유리판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판과 뒷면의 게시물에 밀착되는 밀착판 사이에 넣어 한쪽면만 보여줄 수 있었기 때문에 게시물을 장기간 게시하여 싫증이 나거나 게시물을 수시로 교체하려고 할 때는 액자의 뒷면을 떼어내고 유리판에 사진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다시 뒷판을 사진의 이면에 대고서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번거로웠다.
또한, 탁상 등에 액자를 올려 놓을 경우 그 이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못한 문제점이 있는 액자도 있었으며, 아울러 한쪽면만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장의 사진 등을 탁상에 전시할 경우 전시물 개수 만큼의 많은 액자들이 소요되고 사용후에는 프레임이 있어 두껍고 부피가 많아 그 수만큼 보관할 공간이 필요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액자가 알려져 있다.
먼저, 도 1a에서 도시하는 액자로서 등록특허 10-1063338호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넬의 전면과 배면에 전면피보호지와 배면피보호지가 각각 부착되고, 전면피보호지와 배면피보호지의 상면에 수지액을 도포하여 가열 경화시킨 전면광택층과 배면광택층이 각각 형성된 고광택 양면액자로서 판넬은 판넬지지부재에 의해 지면에 기립되게 배치되어 전면피보호지와 배면피보호지가 외부로 전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판넬은 MDF와 같은 인조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 액자는 모서리 부분에 고광택처리용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조치해야 하고, 고광택액체의 층을 두껍게 하기 위해서는 액체가 흐르지 않도록 차단판이 있어야 하며, 이때 고광택액체의 도포중 생긴 붓질에 의한 무늬는 대부분 없어지지만 경화가 빠를 경우엔 얼룩이 생기며, 매우 큰 사이즈에서는 양 끝의 두께가 다르고나 또한 양측 가장자리에 표면장력에 의해 곡면이 발생되어 평활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고광택액체로 형성된 표면의 휨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 사이에 두꺼운 판넬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때 판넬의 사방 모서리 측면에는 액체도포가 어렵고 깔끔하게 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액체도포가 아닌 다른 방법으로 별도의 마감처리를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 양면액자에서 사용하는 MDF 판넬은 제조과정에서 많은 접착제, 표백제, 방부제가 사용되는 데 여기엔 포르말린 등의 화합물이 들어 있어 사진 등을 빠르게 변색되게 한다. 또한, 판넬에 사진을 붙이는 방법은 일반 접착제를 사용하게 되므로 이 역시 사진 변색을 촉진하게 된다.
한편, 알려진 양면액자로는 도 1b,1c에서 도시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69278호는 납골묘용 양면액자도 알려져 있다. 이 납골묘용 액자는 외곽테두리를 구비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에 밀봉되어 내장 또는 접착되는 영정사진과, 상기 영정사진의 배면에 결합되어지는 부착용 자석판과, 납골묘 또는 영정사진 보관대 일측면에 접착되도록 접착수단을 구비하는 접착용 자석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영정사진은 투명판의 중간에 내장되거나, 밀봉수단에 의해 방수처리되어 투명판에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투명판의 하부에는 세워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가 형성된 것이다. 이 액자 역시 외곽틀을 지양하고는 있지만 일면의 사진,그림등을 보이게 하는 것에 불과하다.
한편, 양면액자로 알려진 등록실용신안 20-0258268호의 액자는 적어도 하나의 제1게시물을 제1지지판에 밀착시키는 제1밀착판을 갖는 제1액자틀과, 그 후면이 상기 제1액자틀의 후면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2게시물을 제2지지판에 밀착시키는 제2밀착판을 갖는 제2액자틀과, 상기 제1액자틀 및 제2액자틀의 각각의 저부를 연결하여 상기 제1,2지지판, 제1,2게시물 및 제1,2밀착판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저부연결부재와, 상기 제1밀착판과 제2밀착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밀착판 및 제2밀착판을 탄성지지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에 용수철이 결합되어 있는 용수철판과, 착탈가능하도록 소정 위치에 마련되어 있는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양면 액자이다.
이 액자의 문제점은 양면액자를 형성하는 데 있어 두 개의 액자를 배면 접합 한 것 같은 형태로서 제1, 제2 게시물이 슬라이드 판처럼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유격에 의한 덜렁거림을 없애기 위해 중간에 용수철판을 넣어 밀착되도록 하였으나,이로 인해 두껍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프레임 케이스가 필요하게 되었다.
전술한 고광택액자에서는 인조목재등의 사용에 따라 두께가 두꺼워지는 단점이 있었고, 깔끔한 외관을 위해서는 옆 면처리가 필요했으며, 표면 평활도가 떨어져서 고르고 울지 않는 고급스런 광택이 나지 않고, 소재의 화학적 불안정성으로 변색의 위험성이 높았다. 또 전술한 양면액자는 양면 사용을 위해 프레임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두꺼워졌다. 따라서 외부 지지프레임 없이 매우 얇고 광투과율이 좋은 투명부재로서 선명도를 향상시키도록 투명접착재료를 사용하고, 또한, 중성처리되고 공기 및 수분을 차단하여 사진의 산성화를 줄이고, 변색을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접합하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 가능한 양면액자가 필요로 되어 왔다.
본 고안은 인조목재등을 사용하지 않아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그림,사진등이 쉽게 변색되지 않으며, 접착제의 선택,접착제의 사용방법을 통하여 선명도를 높인 양면액자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알려진 양면액자의 단점을 극복하여 구조를 간단화한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를 제공하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는,
제1아크릴층의 내측에 투명접착제로 제1사진층의 표면이 표현되도록 접착,형성하고, 이 제1사진층의 배면에 알루미늄박막층의 제1면이 결합하고, 이 알루미늄박막층의 제2면에 제2사진층의 배면이 위치함과 아울러 제2사진층의 표면이 제2아크릴투명층의 배면에 투명접착제로 접착 결합되어 액자 본체를 형성하여, 제1,제2투명아크릴층의 양면을 통하여 제1,제2사진층이 각각 동시에 표현되는 특징을 갖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는 액자본체가 삽입되어 수직 설치되도록 삽입홈을 형성한 받침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는 투명한 아크릴과 사진이 투명접착제로서 밀착되어 접착됨으로써 아크릴 또는 유리와 사진 사이를 떨어뜨린 일반 액자보다 난반사를 줄여 사진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빛의 반사율을 높ㅇ인 효과를 얻는다.
또한, 알루미늄 박막층을 중간에 둠으로써 배면으로부터 오는 광투과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사진의 선명도가 높아져 눈의 피로감을 줄여 주는 효과를 얻게 되었으며, 완전 밀착하여 차단함으로써 공기와 수분으로 인한 표면 변색을 최소화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양면액자의 단점들을 극복하여 인조목재 등을 사용하지 않아 휨없이 매우 얇은 두께로 제작되어 공용의 받침대를 빼면 두께가 4.5mm ~6.5mm에 불과한 판형이므로 책과 같이 꽂을 수 있어 사용후 보관이 용이하고,외곽틀을 생략하여 심플하며, 구조도 간단하고, 비용도 절감되므로 종래 양면액자에 비하여 우수하고, 종래 양면액자들이 갖는 문제점들이 개선된 효과를 갖는다.
도 1a 내지 도1d는 종래 액자구조와 양면액자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다양한 실시예의 단면도들이다
도 5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받침대가 구현된 액자의 설치구조의 분해도이다.
도 6의 (a),(b),(c),(d),(e)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적용된 받침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같은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같은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는 크게 제1,제2아크릴층(11a)(11b)과, 제1,제2사진층(13a)(13b)으로 이루어진 액자본체(10)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는 제1아크릴층(11a)의 내측에 투명접착제(14)로 제1사진층(13a)의 표면이 표현되도록 접착,형성하고, 이 제1사진층(13a)의 배면에 알루미늄박막층(12)의 제1면이 결합하고, 이 알루미늄박막층(12)의 제2면에 제2사진층(13b)의 배면이 위치함과 아울러 제2사진층(13b)의 표면이 제2아크릴투명층(11b)의 배면에 투명접착제(14)로 접착 결합되어 액자 본체(10)를 형성하여, 제1,제2투명아크릴층(11a),(11b)의 양면을 통하여 제1,제2사진층(13a),(13b)이 각각 동시에 표현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로 이루어진다. 이 액자 본체(10)는 사용을 위하여 받침대(20)로서 받쳐진다.
본 고안 제1 실시예의 액자본체(10)는 제1아크릴층(11a)의 내측에 투명접착제(14)로 제1사진층(13a)의 표면이 표현되도록 접착,형성하고, 이 제1사진층(13a)의 배면에 제2사진층(13b)의 배면이 위치함과 아울러 제2사진층(13b)의 표면이 제2아크릴투명층(11b)의 배면에 투명접착제(14)로 접착 결합되어 중심부의 알루미늄박막층(12)이 생략된 구조로도 실시할 수 있다. 즉, 사진 용지가 빛의 투과가 크게 일어나지 않는 재질일 경우에는 알루미늄 박막층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접착제(14)는 일명 광학 투명 접착제라고도 불리며, 투명도가 높은 액체 접착제이며, 사진과 아크릴 사이에 완전한 밀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진과 아크릴 접착면의 난반사로 인한 반사율을 감소시켜 매우 선명해 보이고, 중성이라 사진 변색을 일으키지 않으며, 매우 얇게 도포하여도 강한 접착력을 유지하는 접착제이며, 액체상태로 환경에 따라 고체나 기체로 또는 겔 상태로 변화되며, 마르면 고체가 되는 성질을 갖는 접착제이다. 이 접착제의 사용으로 액자본체(10)의 두께를 약 5~7mm로 줄일 수 있으며, 옆 모서리는 경면가공 처리된다.
첨부 도면중 도 4b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즉, 이 도면에 따르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는,
제1아크릴층(11a)의 내측에 투명접착제(14)로 제1사진층(13a)의 표면이 표현되도록 접착,형성하고, 이 제1사진층(13a)의 배면에 알루미늄박막층(12)의 제1면이 결합하고, 이 알루미늄박막층(12)의 제2면에 제2사진층(13b)의 배면이 위치함과 아울러 제2사진층(13b)의 표면이 제2아크릴투명층(11b)의 배면에 투명접착제(14)로 접착 결합되어 액자 본체(10)를 형성하되,상기 제1,제2아크릴투명층(11a)(11b)의 표면에 UV-차단층(15)을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제1아크릴투명층(11a)(11b)은 폴리에스터(PET)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카보네이트(PC)수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수지 또는 유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투명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면중 도 5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받침대가 구현된 액자의 설치구조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액자본체(10)는 상기 실시예들의 모든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중 어느 하나를 삽입하여 수직 설치토록 하는 것으로 삽입홈(21)을 형성한 받침대(20)의 삽입홈(21)에 삽입하여 설치사용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6의 (a),(b),(c),(d),(e)는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적용된 받침대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는 투명한 아크릴과 사진이 투명접착제로서 밀착되어 접착됨으로써 아크릴 또는 유리와 사진 사이를 떨어뜨린 일반 액자보다 난반사를 줄여 사진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빛의 반사율을 높이고,알루미늄 박막층을 중간에 둠으로써 배면으로부터 오는 광투과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사진의 선명도가 높아져 눈의 피로감을 줄여 주며, 완전 밀착하여 차단함으로써 공기와 수분으로 인한 변색을 최소화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 양면액자의 단점들을 극복하여 인조목재 등을 사용하지 않아 휨없이 매우 얇은 두께로 제작되며, 외곽틀을 생략하여 심플하며, 구조도 간단하고, 공용의 받침대를 빼면 두께가 4.5mm ~6.5mm에 불과한 판형이므로 책과 같이 꽂을 수 있어 사용후 보관이 용이하고, 양면을 사용하므로 비용도 절감되는, 종래 양면액자에 비하여 우수하고, 문제점들이 개선된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를 제공하게 되었다.
10:액자본체, 11a:제1아크릴층, 11b:제2아크릴투명층,
12: 알루미늄박막층, 13a:제1사진층, 13b:제2사진층, 14:투명접착제,
15: UV-차단층, 20:받침대, 21:삽입홈,

Claims (4)

  1.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에 있어서,
    제1아크릴층(11a)의 내측에 투명접착제(14)로 제1사진층(13a)의 표면이 표현되도록 접착,형성하고, 이 제1사진층(13a)의 배면에 제2사진층(13b)의 배면이 위치함과 아울러 제2사진층(13b)의 표면이 제2아크릴투명층(11b)의 배면에 투명접착제(14)로 접착 결합된 액자 본체(10)로 이루어져,
    제1,제2투명아크릴층(11a),(11b)의 양면을 통하여 제1,제2사진층(13a),(13b)이 각각 동시에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2. 제1항에 있어서,
    제1사진층(13a)과 제2사진층(13b)의 사이에 알루미늄박막층(12)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2아크릴투명층(11a)(11b)의 표면에 UV-차단층(15)을 형성하여서 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4. 제3항에 있어서,
    액자본체(10)가 삽입되어 수직 설치되도록 삽입홈(21)을 형성한 받침대(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KR2020110010586U 2011-11-29 2011-11-29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KR201300033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86U KR20130003354U (ko) 2011-11-29 2011-11-29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586U KR20130003354U (ko) 2011-11-29 2011-11-29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3354U true KR20130003354U (ko) 2013-06-07

Family

ID=52429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586U KR20130003354U (ko) 2011-11-29 2011-11-29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335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0Y1 (ko) * 2014-07-21 2015-04-07 에코사운드 주식회사 다용도 흡음 액자
KR20160002980U (ko) * 2015-02-17 2016-08-25 조순자 집게형 액자
US10820727B2 (en) * 2018-07-06 2020-11-03 Norion Michael Ubechel Methods and systems of an illuminated base mounted fram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780Y1 (ko) * 2014-07-21 2015-04-07 에코사운드 주식회사 다용도 흡음 액자
KR20160002980U (ko) * 2015-02-17 2016-08-25 조순자 집게형 액자
US10820727B2 (en) * 2018-07-06 2020-11-03 Norion Michael Ubechel Methods and systems of an illuminated base mounted fram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85498B (zh) 背光模组、液晶显示装置
US5619816A (en) Free-standing display frame
CN101435948B (zh) 背光模块及包括其的液晶显示器
KR20130003354U (ko)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EP1092918B1 (en) Planar light-emitting display panel
WO2016049948A1 (zh) 一种显示装置
US5371963A (en) Display apparatus for desired items with easy exchange of desired items, and with protection from ultra-violet light
CN205247012U (zh) 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20160070197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0992152B1 (ko) 전시용 액자
US7536814B2 (en) Frame system
US20110302814A1 (en) Picture frame assembly with water-resistant seal structure and kit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150277025A1 (en) Fine line gridable light panel
KR20150127010A (ko) 휨 방지용 경량액자
CN217408373U (zh) 一种双面可视化画作装裱结构
KR200481017Y1 (ko) 돌출형 액자
KR200360633Y1 (ko) 틀이 없는 액자
RU17970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монстрации 3d/vario изображений
CN215678913U (zh) 一种增强显示器显示效果的光学器件及显示器
US8001713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80080075A1 (en) Mirror device
CN211264890U (zh) 一种墙面展示框
KR20120008559U (ko) 후레임의 노출이 없는 광고용의 패널
JP3097830U (ja) 写真掲示用具
JP4068864B2 (ja) 積層体およびそれを含む表示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22

Effective date: 201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