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980U - 집게형 액자 - Google Patents

집게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980U
KR20160002980U KR2020150001141U KR20150001141U KR20160002980U KR 20160002980 U KR20160002980 U KR 20160002980U KR 2020150001141 U KR2020150001141 U KR 2020150001141U KR 20150001141 U KR20150001141 U KR 20150001141U KR 20160002980 U KR20160002980 U KR 201600029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plates
frame
photograph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3866Y1 (ko
Inventor
조순자
Original Assignee
조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자 filed Critical 조순자
Priority to KR2020150001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6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29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9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8Frameless picture holder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높이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과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거치판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힌지축과 스프링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제1 및 제2밀착판 사이에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집게형 액자를 구성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으로 제조단가를 낮추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전체적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사진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집게형 액자에 있어서, 제1프레임(10); 상기 제1프레임(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20);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상호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축(30); 및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진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며; 일정길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12)(22);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 및 제2거치판(14)(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형 액자{A tongs type frame}
본 고안은 집게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높이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과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거치판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힌지축과 스프링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제1 및 제2밀착판 사이에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집게형 액자를 구성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으로 제조단가를 낮추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전체적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집게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액자는 벽체 표면에 못 등의 도구에 의해 걸거나 또는 책상 위에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등 각기 지지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주거공간 내에서 가족 공동원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냉장고의 전면에 메모지나 장식용 사진 및 기타 소도구를 고정수단에 의한 부착으로 누구나 확인 또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가 등장하고 있다.
또한, 사진 액자의 구성요소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액자 앞쪽에서 볼 때 안쪽으로 층을 이루면서 장착되는 부재들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액자의 틀인 프레임, 유리나 아크릴 등으로 된 투명판, 작품의 표면을 액자의 유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매트, 사진 작품, 폼보드나 매트지를 사용한 배접판, 합판이나 MDF를 사용한 뒷판, 마감용 종이인 먼지덮개, 법퍼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액자의 재질은 보통 나무를 재단해서 만들지만, 근래에는 알루미늄, MDF, 플라스틱 등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액자는 눈에 잘 띄는 벽면이나 장식대 등에 올려놓고 수시로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투명유리를 통하여 사진 및 그림을 볼 수 있다.
최근에는 투명유리의 중량이 무거워 취급의 어려움과 파손 시 부상 등의 위험성으로 인해 사진이나 그림의 표면에 직접 수지필름막을 코팅하여 투명유리없이도 사진이나 그림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 경량화 및 취급이 용이해졌고, 사진이나 그림의 질감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사진이나 그림을 액자의 배면에 위치하는 배면판과 사진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접착제 표면에 사진이나 그림을 접착시켜 사진 등이 배면판 표면에 균일하게 밀착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액자는 구성요소들이 많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에게 공급하는 단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자에 사진의 넣고, 빼는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액자는 사진이 수납되는 위치가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자유롭게 개성연출을 할 수 없다는 사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5-26541호(1995.10.16.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73658호(2000.03.15.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8401호(2000.10.16. 등록)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높이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과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거치판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힌지축과 스프링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제1 및 제2밀착판 사이에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집게형 액자를 구성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으로 제조단가를 낮추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전체적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집게형 액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집게형 액자에 있어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이 상호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축; 및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진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은,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며; 일정길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 및 제2거치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레임 각각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과 제1 및 제2거치판이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밀착판의 하단에는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 및 제2삽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삽입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밀착판 각각 또는 이들 모두의 내측에는, 사진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계수가 높으며,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마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제1 및 제2프레임 모두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는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정높이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과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지면에 거치가 가능하도록 제1 및 제2거치판으로 구성되는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에 힌지축과 스프링을 구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의 제1 및 제2밀착판 사이에 사진의 전시가 가능한 집게형 액자를 구성함으로써, 조립의 간편성으로 제조단가를 낮추고,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전체적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게형 액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게형 액자의 벌린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집게형 액자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집게형 액자의 일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집게형 액자의 벌린상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집게형 액자(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0)과, 상기 제1프레임(10)과 대칭되게 구성되는 제2프레임(20)과,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에 구성되어 이를 중심으로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축(30), 및 상기 힌지축(30) 또는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에 구성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상호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사이에 사진을 수납시켜 상기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진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진 전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내측이 투시가능한 투명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합성수지 즉, 아크릴임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프레임(10)은 일정높이를 가지는 제1밀착판(12)과, 상기 제1밀착판(1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지면에 거치되는 제1거치판(14) 및 내측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중앙에 힌지축(30)이 삽입 지지되는 제1힌지판(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프레임(20)은 일정높이를 가지는 제2밀착판(22)과, 상기 제2밀착판(2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지면에 거치되는 제2거치판(24) 및 내측에 돌출되게 구성되어 중앙에 힌지축(30)이 삽입 지지되는 제2힌지판(2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 사이에 사진을 수납시키고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사진이 수납된 상태로 전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거치판(14)(24)이 상호 외측으로 벌어지는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벌림공간 만큼 지면에 거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프레임(10)(20) 중 어느 하나는 투명체로 구성하고, 다른 하나는 불투명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진을 전시할 때 이면이 외부에서 투시되지 않도록 하여 전시효과를 극대화한다.
상기 제1 및 제2힌지판(16)(26)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 즉,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14)(24)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판(16)(26)이 하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축(30)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힌지판(16)(26)이 상호 맞닿는 부분에 삽입시킴으로써,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상호 벌림 또는 밀착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힌지축(30)은 복수의 제1 및 제2힌지판(16)(26) 각각에 구성되거나 또는 하나로 해서 복수의 제1 및 제2힌지판(16)(26)에 연속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프링(40)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밀착판(12)(22)이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사진 등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스프링(40)은 코일스프링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판스프링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집게형 액자의 조립 및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거치판(14)(24)의 내측에 구성된 제1 및 제2힌지판(16)(26)을 맞대고, 그 사이에 스프링(40)을 위치시킨 후 중앙에 힌지축(30)을 삽입시켜,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각각이 상호 벌어질 수 있도록 조립한다.
이후, 사진을 전시하고자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제1 및 제2거치판(14)(24)을 상호 조여지도록 누르면, 상기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상방에 위치한 제1 및 제2밀착판(12)(22)이 상호 벌어지게 된다.
그리고, 벌어진 제1 및 제2밀착판(12)(22) 사이에 사진을 위치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각도 및 위치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위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개성연출이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14)(24)에 가해지는 조임력을 해제하면, 상기 힌지축(30)에 지지를 받는 스프링(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어졌던 제1 및 제2밀착판(12)(22)이 상호 밀착됨으로써, 사진을 압착하여 고정이 완료된다. 이때, 하방에 구성된 제1 및 제2거치판(14)(24)은 상호 벌어지게 작용됨으로써, 지면에 용이하게 안착 또는 거치된다.
이를 통해, 사진의 전시효과 및 집게형 액자(1)의 용이한 거치가 가능하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집게형 액자(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프레임(10)(20)의 제1 및 제2밀착판(12)(22)과 제1 및 제2거치판(14)(24)이 상호 분리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14)(24)의 상단에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8)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의 하단에 제1 및 제2삽입홈(18)(28)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길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삽입돌기(19)(29)를 각각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14)(24)의 제1 및 제2삽입홈(18)(28) 각각에 제1 및 제2삽입돌기(19)(29)를 삽입시켜, 일체형의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구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삽입홈과 삽입돌기는 제1 및 제2거치판(14)(24)과 제1밀착판(12)(22) 사이에 치환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삽입홈(18)(28)과 제1 및 제2삽입돌기(19)(29)는 더브테일방식으로 가공된 더브테일홈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거치판(14)(24)에 제1 및 제2밀착판(12)(22)의 삽입이 용이하면서 쉽게 빠지지않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T'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14)(24)에 제1 및 제2밀착판(12)(22)을 어느 한 방향에서만 삽입이 가능하도록 다른 한쪽에는 삽입홈 및 삽입돌기를 형성하지 않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밀착판(12)(22)과 제1 및 제2거치판(14)(24) 각각을 분리형으로 형성하는 것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상 또는 색상을 가지는 액자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제2밀착판(22)과 제1 및 제2거치판(14)(24)은 불투명 또는 이종의 색상으로 하고, 상기 제1밀착판(12)을 투명으로 하여 사진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는, 제1프레임(10)은 분리형으로 하고, 제2프레임은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3실시 예>
제1 및 제2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 예의 집게형 액자(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프레임(10)(20) 즉, 제1 및 제2밀착판(12)(22)의 내측에 마찰력을 향상시켜 사진 등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마찰부재(50)가 도포되어 있다.
상기 마찰부재(50)는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또는 점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50)는 제1 및 제2밀착판(12)(22)에서 0.1 ~ 0.5mm 정도의 두께로 도포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찰부재(50)는 투명체임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집게형 액자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집게형 액자 10: 제1프레임
12: 제1밀착판 14: 제1거치판
16: 제1힌지판 18: 제1삽입홈
19: 제1삽입돌기 20: 제2프레임
22: 제2밀착판 24: 제2거치판
26: 제2힌지판 28: 제2삽입홈
29: 제2삽입돌기 30: 힌지축
40: 스프링 50: 마찰부재

Claims (5)

  1. 사진을 전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집게형 액자에 있어서,
    제1프레임(10);
    상기 제1프레임(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20);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이 상호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축(30); 및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사이에 구성되어 상호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여 사진의 전시가 가능하도록 하는 스프링(4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은,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며;
    일정길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제1 및 제2밀착판(12)(22);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 및 제2거치판(14)(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각각 또는 이들 모두는,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과 제1 및 제2거치판(14)(24)이 상호 분리;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액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의 하단에는 일정길이 돌출되는 제1 및 제2삽입돌기(19)(29)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거치판(14)(24)의 상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삽입돌기(19)(29)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1 및 제2삽입홈(18)(2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액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밀착판(12)(22) 각각 또는 이들 모두의 내측에는,
    사진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찰계수가 높으며, 일정두께로 도포되는 마찰부재(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액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0)(20) 모두 또는 이들 중 어느 하나는 투명체;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액자.
KR2020150001141U 2015-02-17 2015-02-17 집게형 액자 KR200483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41U KR200483866Y1 (ko) 2015-02-17 2015-02-17 집게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141U KR200483866Y1 (ko) 2015-02-17 2015-02-17 집게형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980U true KR20160002980U (ko) 2016-08-25
KR200483866Y1 KR200483866Y1 (ko) 2017-07-03

Family

ID=5685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141U KR200483866Y1 (ko) 2015-02-17 2015-02-17 집게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66Y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541U (ko) * 1994-03-21 1995-10-16 이동우 액자 및 집게가 일체로 구성된 거울
KR950026541A (ko) 1994-03-03 1995-10-16 오쿠보 아키오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KR19980022894U (ko) * 1996-10-30 1998-07-25 김성수 휴대용 사진 케이싱
KR200173658Y1 (ko) 1999-09-03 2000-03-15 권오민 부착식 액자
KR200208401Y1 (ko) 2000-03-14 2001-01-15 박창용 액자독서대
JP2001070116A (ja) * 1999-09-09 2001-03-21 Tsuneo Nagamoto シート片起立保持具
KR20130003354U (ko) * 2011-11-29 2013-06-07 김택정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6541A (ko) 1994-03-03 1995-10-16 오쿠보 아키오 분별여과방법 및 분별여과장치
KR950026541U (ko) * 1994-03-21 1995-10-16 이동우 액자 및 집게가 일체로 구성된 거울
KR19980022894U (ko) * 1996-10-30 1998-07-25 김성수 휴대용 사진 케이싱
KR200173658Y1 (ko) 1999-09-03 2000-03-15 권오민 부착식 액자
JP2001070116A (ja) * 1999-09-09 2001-03-21 Tsuneo Nagamoto シート片起立保持具
KR200208401Y1 (ko) 2000-03-14 2001-01-15 박창용 액자독서대
KR20130003354U (ko) * 2011-11-29 2013-06-07 김택정 액자틀이 없는 양면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866Y1 (ko) 201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25147A (en) Display frame
US9271586B2 (en) Magnetic frame assembly and magnetic frame
US20150272350A1 (en) Picture fram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rim and base section
US8857088B1 (en) Collectibles display case
US8959817B1 (en) Magnetic frame arrangements
US4286400A (en) Picture frame and manufacture thereof
US4250640A (en) Picture frames
US20070089343A1 (en) Picture frame
US20100154266A1 (en) Magnetic photo display assembly
KR101744907B1 (ko) 콘택트렌즈용 지지부재 및 이를 적용한 탁상용 진열대
KR200483866Y1 (ko) 집게형 액자
US20070234621A1 (en) Display apparatus
US20150305522A1 (en) Frame structure
US6282828B1 (en) Picture frame
US7134232B2 (en) Display frame with side edge engagement members
CN210810275U (zh) 一种相框及一种包装盒
US10945540B2 (en) Hanger bracket for use with picture frames
KR200477021Y1 (ko) 종이액자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KR101000656B1 (ko)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200477945Y1 (ko) 퍼즐 전용 액자
US20080204363A1 (en) Display Device
TWM561464U (zh) 展示框組合結構
GB2515823A (en) A display holder
KR20030061065A (ko)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