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656B1 -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 Google Patents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656B1
KR101000656B1 KR1020080080676A KR20080080676A KR101000656B1 KR 101000656 B1 KR101000656 B1 KR 101000656B1 KR 1020080080676 A KR1020080080676 A KR 1020080080676A KR 20080080676 A KR20080080676 A KR 20080080676A KR 101000656 B1 KR101000656 B1 KR 10100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etachable
image
pictur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0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2149A (ko
Inventor
추봉식
Original Assignee
추봉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봉식 filed Critical 추봉식
Priority to KR1020080080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656B1/ko
Publication of KR20100022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2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액자는 외관상 종래의 액자와 동일하지만, 사진, 그림 또는 문자로 표시되는 화상을 교체할 때는, 투명 전면판이 결합되고 액자틀에서 분리 가능한 테두리를 후면판에서 떼어낼 수 있는 탈부착수단을 구비한 간단한 구조의 액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탈부착 테두리에 고정된 투명 전면판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면서, 상기 투명 전면판과 후면판 사이에 새로이 화상을 용이하게 게시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자는 구조가 단순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충격에 의한 깨짐이나 변형이 적기 때문에 음식점의 메뉴판 또는 가정, 회사, 마트 등의 안내판 등 사람의 왕래가 많고 화상의 교체가 빈번한 곳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액자, 탈부착수단, 화상 교체

Description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easy image changeable frame}
본 발명은 사진, 그림 또는 문자 등의 표현된 화상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구성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액자 틀(13)과, 이 액자틀(13)의 후면으로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14), 사진이나 그림이 표현된 소정 크기의 화상(그림 또는 사진이 표현된 판재)(15), 상기 화상(15)의 후방에 설치되어 고정되는 후면판(1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투명 전면판(14)은 화상(15)의 전면에 설치되어 화상을 보호하는 유리판이고, 상기 후면판(16)은 그 테두리에 설치된 다수의 고정구(161)를 통해서 전면판(14)과 화상(15)을 액자틀(13)에 고정하는 판재이다. 따라서 이러한 액자는 화상(15)을 게시하거나 교체할 때 후면판(16)을 먼저 분리한 뒤 화상(15)을 분리하거나 설치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액자는 화상(15)을 설치하거나 교체하고자 할 때, 후면판(16)의 고정구(161)를 해제하여 후면판(16)을 먼저 액자틀(13)로부터 분 리하여야 한다. 따라서 벽에 걸려 있는 종래의 액자의 화상(14)을 교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액자를 벽에서 떼어낸 다음, 후면판(16)을 분리하여 화상(15)을 교체한 후, 다시 액자를 벽에 걸어야 한다. 그러므로 액자가 크고 무거운 경우, 두 사람 이상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고, 액자를 벽에서 떼었다 붙이는 과정에서 액자가 파손되거나 잘못하여 다치는 문제도 발생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일반 가정에서는 화상(14)을 자주 교체하지 못하고 원래 부착되어 있는 그림이나 사진을 그대로 게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액자는 후면판(16)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므로 액자의 설치방식이나 장소가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액자의 전면을 통해서 화상을 교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액자가 고안되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량된 액자는 액자틀(23)의 전면에 회동축(2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프레임(233)을 각각 설치하고, 이 회동프레임(233)을 이용하여 화상(25)을 고정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개량된 액자를 화상(25)을 설치하거나 교체할 때 액자를 벽에서 떼어낼 필요 없이 회동프레임(233)을 이용하여 액자의 전면으로부터 화상(25)을 쉽게 탈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동프레임(233)이 구비된 액자(20)는 회동프레임(233)의 원활한 회전과 적절한 탄성을 보유하기 위해서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소정의 회동축(233)과 탄성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액자틀(23)의 구조가 복잡하고 무거워서 액자의 가격이 상승하고 취급이 어렵고 다양한 디자인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의 개량된 액자는 액자틀(33)의 전면으로 그림이나 사진 등이 표현된 화상(35)과 투명한 전면판(34)이 차례로 설치되고, 상기 액자틀(33)의 후면으로는 불투명한 후면판(36)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면판(36)은 그 테두리 부에 설치된 고정구(361)를 통해서 상기 액자틀(33)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투명 전면판(34)은 그 후면에 부착되어 있는 소정의 영구자석(38)을 통해서 상기 후면판(36)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후면판(36)의 전면에는 상기 영구자석(38)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금속띠(37)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화상(35)은 영구자석(38)과 금속띠(37)의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하는 후면판(36)과 투명 전면판(34) 사이에 개재된다. 그러나 영구자석(38)이 가장자리에 부착된 투명 전면판(34)을 구비한 액자는 화상을 교체하려 할 때 액자틀(33)로 인하여 투명 전면판(34)을 떼어내기 용이하지 않고, 떼어내는 과정에서 투명 전면판(34)의 앞 또는 뒷면에 지문이나 이물이 묻기 쉽고, 가장자리의 영구자석으로 인하여 나타낼 수 있는 화상의 면적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액자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사진, 그림 또는 문자 등의 표현된 화상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도록 구성된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볍고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한 깨짐이나 변형이 적은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화상을 지지하는 후면판; 및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은 후면판에 고정되는 고정 테두리와 후면판에서 탈부착되는 탈부착 테두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테두리에는 상기 투명 전면판의 한쪽 모서리가 고정되면서 제 1 탈부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맞은 편 고정 테두리 또는 그 고정 테두리 아래 부분의 후면판에 상기 투명 전면판의 탈부착 테두리에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모서리가 고정되며,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제 1 탈부착수단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아래 부분의 후면판에 제 2 탈부착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명 전면판은 상기 화상 또는 후면판에 접한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의 삽입 또는 교체를 위해서 상기 탈부착 테두리를 후면판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는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상기 탈부착수단이 벨크로, 스 넵, 호크 또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제 1 탈부착수단이 자석 또는 금속판이고, 상기 제 2 탈부착수단이 이에 대응하는 금속판 또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상기 투명 전면판이 상기 화상 또는 후면판에 접한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의 게시 또는 교체를 위해서 상기 분리 가능한 테두리를 후면판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는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상기 투명 전면판이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상기 액자틀이 소정 경도의 심재를 가죽, 인조가죽 또는 직물 원단으로 덮어 봉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상기 심재와 상기 원단 사이에 스폰지를 추가로 넣어 봉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액자는 구조가 단순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화상의 교체가 매우 간편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는 가볍고 구조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충 격에 의한 깨짐이나 변형이 적기 때문에 음식점의 메뉴판 또는 가정, 회사, 마트 등의 안내판 등 사람의 왕래가 많고 화상의 교체가 빈번한 곳에 사용되기에 특히 적합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액자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43); 상기 액자틀(43)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화상을 지지하는 후면판(46); 및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44);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43)은 나머지 액자틀을 구성하는 테두리(432, 433 및 434)에서 액자틀에서 분리 가능한 하나 이상의 탈부착 테두리(431)를 포함하고,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에는 제 1 탈부착수단(47)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에는 상기 투명 전면판(44)의 한쪽 모서리(441)가 고정되며,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맞은 편 고정 테두리(432)에 또는 그 고정 테두리 아래 부분의 후면판(462)에 상기 투명 전면판(44)의 나머지 한쪽 모서리(442)가 고정되며,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의 제 1 탈부착수단(47)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아래 부분의 후면판(461)에 제 2 탈부착수단(48)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액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관상 종래의 액자와 동일하지만,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자틀(43)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45)을 교체할 때는, 상기 액자틀(43)에서 분리 가능한 탈부착 테두리(431)를 나머지 고정 테두리(432, 433 및 434) 및 후면판(46)에서 떼어냄으로 인하여,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에 고정된 투명 전면판(44)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면서, 상기 투명 전면판(44)과 후면판(46) 사이에 새로이 화상(45)을 게시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액자틀은 다각형, 원 또는 기타 임의의 모양이 가능하지만, 바람직하게는 다각형 형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4와 같이 탈부착 테두리(431)와 그 맞은 편 고정 테두리(432)가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화상의 교체로 인하여 투명 전면판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졌다 펴졌다를 반복하면서 투명 전면판 소재가 가지는 탄성이나 가요성의 한계 범위를 벗어나게 될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액자틀의 형태는 사각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이다. 그 중에서도 가장 바람직하고 일반적인 형태는 사각형이다.
또한 본 발명의 액자틀은 반드시 테두리로 폐쇄된 모양만 가능한 것이 아니라, 도 4에서 탈부착 테두리(431)와 그 맞은 편 고정 테두리(432)만 존재하면 충분하고, 나머지 고정 테두리(433 및 434)는 없는 형태로, 탈부착 테두리(431)을 액자틀의 상부 테두리로 하고, 그 맞은 편 고정 테두리(432)를 하부 테두리로 하여, 측면 테두리가 없는 형태의 액자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는 액자틀(43)에서 하나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복수개인 것도 가능하며,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은 제 1 탈부착수단(47)을 후면판(46)과 접하는 면에 구비한다. 상기 탈부착수단(47)은 벨크로(velcro, 일명 ‘찍찍이’), 스넵(snap, 일명 똑딱단추), 호크 또는 자석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 1 탈부착수단(47)은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탈부착수단(47) 중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자석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자력을 이용해 탈부착시키는 것이다. 뒤에 설명할 후면판(46)에 설치되는 제 2 탈부착수단(48) 역시 제 1 탈부착수단과 동일한 것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자석 또는 금속판을 이용하여 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을 시킬 경우, 탈부착수단은 반드시 각각 탈부착 테두리(431)와 후면판(46)의 접하는 쪽의 외면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테두리 또는 후면판의 내부 또는 상기 접하는 쪽의 반대 쪽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탈부착 테두리(431)와 후면판(46)의 소재로 금속 소재가 사용될 경우에는 탈부착 테두리(431)와 후면판(46)이 접하는 부분의 금속 소재가 제 1 탈부착수단 또는 제 2 탈부착수단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어느 하나의 탈부착수단에만 자석을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액자틀 또는 이를 구성하는 테두리의 소재는 종이, 원목, 압축목재, 플라스틱, 도자기, 금속 또는 비철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자틀 또는 테두리의 소재를 심재로 사용하고 이를 가죽, 인조가죽 또는 직물 등의 원단으로 덮어 봉재한 것을 액자틀 또는 테두리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심재와 상기 원단 사이에 스폰지를 넣고서 봉재한 것을 액자틀 또는 테두리로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액자에 화상이 게시된 형태에 대한 사시도로서, 그 A-A 단면도인 도 7을 보면 액자에서 화상이 게시된 부분은 후면판(46), 화상(45) 및 투명 전면판(44)의 순서로 접하여 있고, 테두리(431 또는 432)가 종이로 이루어진 심재(435), 인조가죽으로 된 원단(436), 그 사이의 스폰지(437)로 구성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투명 전면판(44)에서 분리되지 않는 고정 테두리(432)와 후면판(46)이 겹치는 부분을 442로 도시하고 있고, 제 1 탈착수단(47)을 구비한 탈부착 테두리(431)과 후면판(46)이 겹치는 부분은 441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가죽 등의 원단으로 심재를 감싼 액자틀 또는 테두리는 경량화가 매우 용이하고, 부드러운 감촉을 주며, 액자가 떨어져서 충격을 받더라도 파손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45)은 종이, 섬유 또는 합성수지 시트 등에 그림, 사진 또는 문자 등이 표현되어 있다. 상기 화상(45)은 액자틀(43)의 안쪽 면에 설치할 수 있는 크기이다.
또한 본 발명의 후면판(46)은 소정의 강도와 두께를 가지는 종이, 원목, 압축목재, 플라스틱, 도자기,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판이고, 액자틀과 마찬가지로 가죽, 인조가죽 또는 직물 등의 원단으로 상기 판을 감싸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후면판(46)은 상기 액자틀(43) 중에서 분리 되지 않는 고정 테두리(432, 433 및 434)에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될 수도 있고, 한편 본 발명에서는 화상(45)의 교체에 후면판(46)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아예 접착시키거나 단단히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전면판(44)는 상기 화상(45) 또는 후면판(46)에 접한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45)의 삽입 또는 교체를 위해서 상기 탈부착 테두리(431)를 후면판(46)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는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합성수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투명 전면판(44)에서 ‘투명’은 완전 투명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액자를 보는 사람에게 선택된 화상이 인식될 수 있을 정도라면 어느 정도 불투명하거나 무늬가 있더라도 관계없이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한편,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재의 투명 전면판(44)는 화상(45)과 접한 상태에서 그 화상(45)과의 정전기 및 마찰력에 의해 액자틀(43) 보다 작은 크기의 화상(45)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전면판(44)의 한쪽 모서리에서 상기 투명 탈부착 테두리(431)와 겹치는 부분(441),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맞은 편 고정 테두리(432) 또는 그 고정 테두리 아래 부분의 후면판(462)에 겹치는 부분(442)를 각각 접한 테두리 또는 후면판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통상의 접착, 봉제, 스테플러, 못질 등 어떠한 방법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액자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량 액자로서 회동프레임을 이용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량 액자로서 자석이 설치된 투명 전면판을 이용한 액자의 분해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자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사시도에 나타난 액자의 A-A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23, 33, 43 : 액자틀
235 : 액자틀 회동축, 233 : 회동테두리,
431 : 탈부착 테두리, 432, 433, 434 : 고정 테두리
435 : 종이 심재, 436 : 인조가죽 원단, 437 : 스폰지
14, 34, 44 : 투명 전면판
441, 442 : 투명 전면판에서 분리 가능한 테두리와 겹치는 모서리 부분
15, 25, 35, 45 : 화상
16, 36, 46 : 후면판,
161, 361, 461 : 후면판 고정구
462 : 후면판에서 분리 가능한 테두리와 겹치는 모서리 부분
37, 47 : 금속띠
38, 48 : 자석

Claims (7)

  1. 소정의 크기와 형태를 갖는 액자틀; 상기 액자틀의 전면에서 설치되고 사진, 그림 또는 문자가 표현되는 소정 크기의 화상; 상기 액자틀의 후면에 고정되어 상기 화상을 지지하는 후면판; 및 상기 화상의 전면에 밀착하게 설치되는 투명 전면판;을 포함하는 액자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은 후면판에 고정되는 고정 테두리와 후면판에서 탈부착되는 탈부착 테두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탈부착 테두리에는 상기 투명 전면판의 한쪽 모서리가 고정되면서 제 1 탈부착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맞은 편 고정 테두리 또는 그 고정 테두리 아래 부분의 후면판에 상기 투명 전면판의 탈부착 테두리에 고정되지 않은 나머지 한쪽 모서리가 고정되며,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제 1 탈부착수단에 대응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탈부착 테두리의 아래 부분의 후면판에 제 2 탈부착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투명 전면판은 상기 화상 또는 후면판에 접한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의 삽입 또는 교체를 위해서 상기 탈부착 테두리를 후면판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는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벨크로, 스넵, 호크 또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탈부착수단은 자석 또는 금속판이고, 상기 제 2 탈부착수단은 이에 대응하는 금속판 또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면판은 상기 화상 또는 후면판에 접한 상태에서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화상의 삽입 또는 교체를 위해서 상기 분리 가능한 테두리를 후면판에서 떼어낸 상태에서는 소정 곡률로 휘어질 수 있도록 소정의 탄성과 가요성을 갖는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면판은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합성수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자틀은 소정 경도의 심재를 가죽, 인조가죽 또는 직물 원단으로 덮어 봉제한 것임을 특징 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와 상기 원단 사이에 스폰지를 추가로 넣어 봉제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1020080080676A 2008-08-19 2008-08-19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10100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76A KR101000656B1 (ko) 2008-08-19 2008-08-19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0676A KR101000656B1 (ko) 2008-08-19 2008-08-19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149A KR20100022149A (ko) 2010-03-02
KR101000656B1 true KR101000656B1 (ko) 2010-12-10

Family

ID=42174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0676A KR101000656B1 (ko) 2008-08-19 2008-08-19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72181A9 (en) * 2014-09-19 2017-06-22 Ginny G McCormick Stencil holder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021A (ja) * 1996-08-05 1998-02-17 Origin Kogyo Kk 横断幕用の額縁
KR200224465Y1 (ko) * 2000-07-10 2001-05-15 우종웅 접철식 일체형 액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43021A (ja) * 1996-08-05 1998-02-17 Origin Kogyo Kk 横断幕用の額縁
KR200224465Y1 (ko) * 2000-07-10 2001-05-15 우종웅 접철식 일체형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2149A (ko) 201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5336A (en) Photo frame and the like
US8464447B2 (en) Signage apparatus having simple magnet-based structure for ease of modification
US20100258691A1 (en) Detachable screen protector assembly for large flat panel displays
US20060162213A1 (en) Changeable artwork display apparatus
US3200526A (en) Picture frame construction
KR101000656B1 (ko) 화상의 교체가 용이한 액자
KR102502632B1 (ko) 유연한 소재 전시물을 위한 액자
US20070119083A1 (en) Sign holder
US20090019753A1 (en) Picture Frame
US20150033602A1 (en) Three dimensional collage
US20070256343A1 (en) Frame for holding pictures or prints
US6735896B1 (en) Display device for sheet material
CN111372497B (zh) 能更换展览品的画框
CN207870527U (zh) 多功能木制展示镜
US7134232B2 (en) Display frame with side edge engagement members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US6189250B1 (en) Magnetic picture display device
KR200477021Y1 (ko) 종이액자
WO1995034877A1 (en) Display assembly for posters and like printed material
KR200483866Y1 (ko) 집게형 액자
JP6609781B1 (ja) 展示用パネル
JP3202031U (ja) 装飾品
KR101154475B1 (ko) 하부 개구홀을 갖는 게시판
KR200391664Y1 (ko) 액자형 냉난방기 및 공기청정기의 액자 탈부착구조
JP3201973U (ja) 表示用紙の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