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733A -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733A
KR20030024733A KR1020030010545A KR20030010545A KR20030024733A KR 20030024733 A KR20030024733 A KR 20030024733A KR 1020030010545 A KR1020030010545 A KR 1020030010545A KR 20030010545 A KR20030010545 A KR 20030010545A KR 20030024733 A KR20030024733 A KR 20030024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lace
portable
collar
passage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0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5052B1 (ko
Inventor
안태진
Original Assignee
안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태진 filed Critical 안태진
Priority to KR10-2003-0010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5052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5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5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Jewellery holding or retaining articles, e.g. eyeglas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하며, 슬림하게 디자인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로(32)가 형성된 조절구(30)와,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부(42)가 형성되도록 양측 선단부가 상기 조절구(30)의 관통로(32)에 끼워지는 목걸이줄(40)과, 휴대품(1)에 일체로 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4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30)를 경유한 목걸이줄(40)의 선단부는 상기 고리(50)에 끼워진 다음 조절구(30)에 체결되어 목걸이줄(4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32)는 좌우측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는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a necklace for portable}
본 발명은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이 간단하여 조작이 용이하며, 슬림하게 디자인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휴대품을 목에 걸어 휴대하면 분실우려가 없으며,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흔히, 휴대폰이나 MP3 등을 목에 걸어 휴대한다. 이와 같이 휴대품을 목에 걸어서 휴대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목걸이줄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므로, 대부분의 휴대품에 장착되는 목걸이에는 길이조절수단이 구비된다.
도 1은 종래 핸드폰에 장착된 목걸이를 보인 것으로, 상하방향으로 관통로(2)가 형성된 조절구(3)와,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부가 형성되도록 양측 선단부가 상기 조절구(3)에 끼워지는 목걸이줄(4)과, 휴대품(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구(5)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구(3)를 경유한 목걸이줄(4)의 선단부가 끼워지는 고리(6)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목걸이줄(4)의 선단부는 고리(6)를 거쳐 상향으로 이동방향이 전환되어 조절구(3)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구(3)에는 전면이 개방된 장착홈(7)이 형성되고, 이 장착홈(7)에는 상기 관통로(2)에 끼워진 목걸이줄(4)이 끼워지는 안내공(8)이 형성되어 전면이 조절구(3) 외부로 노출되도록상기 장착홈(7)에 삽입되는 버튼(9)이 구비되는데, 이 버튼(9)은 안내공(8)이 조절구(3)의 관통로(2)와 어긋나게 위치되도록 스프링(10)에 의해 탄설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9)을 눌러 관통로(2)와 안내공(8)을 정렬시킨 다음, 조절구(3)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시켜 목걸이줄(4)의 길이를 조절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목걸이는 버튼(9)을 눌러 목걸이줄(4)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조절구(3)의 구성이 복잡하며, 조절구(3)의 부피도 다소 커지게 된다. 또한, 길이조절시 버튼(9)을 누른 상태에서 조절구(3)를 상하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조작도 불편하다.
도 2는 종래 다른 형태의 조절구가 구비된 목걸이를 보인 것으로, 상기 조절구(11)에는 전후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되는 3개의 가로바아(12,13,14)가 구비되어, 목걸이줄(4)이 가로바아(12,13,14)에 전후 지그재그로 걸려 목걸이줄(4)과 가로바아(12,13,14) 사이에 항상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조절구(11)가 구비된 목걸이는 목걸이줄(4)과 가로바아(12,13,14) 사이에 작용되는 마찰력에 의해 조절된 목걸이줄(4)의 길이가 고정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은 필요없으나, 목걸이줄(4)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가로바아(12,13,14)와 목걸이줄(4) 사이에 마착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사용자가 목걸이줄(3)을 이완시킨 다음 조절구(11)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길이조절이 상당히 불편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가로바아(12,13,14)들이 전후로 다른 평면상에 위치되며, 이 가로바아(12,13,14)들에 의해 목걸이줄(4)의 이동경로가 전후로 파형을 이루게 되므로 조절구(11)가 상당히 두껍게 제작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조절구를 상하로 슬라이드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목걸이줄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슬림하게 디자인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과 도 2는 종래 목걸이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평단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휴대품 30. 조절구
31. 상단유입구 32. 관통로
33. 하단유입구 36. 체결공
40. 목걸이줄 50. 고리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로(32)가 형성된 조절구(30)와,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부(42)가 형성되도록 양측 선단부가 상기 조절구(30)의 관통로(32)에 끼워지는 목걸이줄(40)과, 휴대품(1)에 일체로 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4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30)를 경유한 목걸이줄(40)의 선단부는 상기 고리(50)에 끼워진 다음 조절구(30)에 체결되어 목걸이줄(4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32)는 좌우측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는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관통로(32)의 상단유입구(31)는 한쌍으로 이루어져서 조절구(30)의 측방향을 향해 서로 대향되도록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조절구(30)의 저면에는 상기 목걸이줄(40)의 양측 선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3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로(32)와 체결공(36)은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내부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로(32)가 형성된 조절구(30)와,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부(42)가 형성되도록 양측 선단부가 상기 관통로(32)를 통해 조절구(10)에 끼워지는 목걸이줄(40)과, 휴대품(1), 즉, 휴대폰 측에 연결되는 고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구(30)의 내부에는 한쌍의 상단유입구(31)와 하나의 하단유입구(33)를 가지는 관통로(32)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관통로(32)는 내부에 좌우측방향으로 소정각도로 절곡된 경로를 가진다. 이때 조절구(30)는 플라스틱으로 사출된 상하케이스(38,39)로 이루어지며, 하부케이스(39)에는 상기 관통로(32)의 경로를 이루는 측벽(37)이 돌출형성되고, 이러한 하부케이스(39)에 상부케이스(38)를 결합시키면, 상기 측벽(37)에 의해 관통로(32)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이 조절구(30)의 저면에는 상기 하단유입구(33)의 양측으로 위치되어 목걸이줄(40)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체결공(36)이 형성되는데, 이 체결공(36)의 내주면에는 선단이 뽀족한 돌기(35)가 다수개 형성되어, 체결공(36)에 삽입되는 목걸이줄(40)이 상기 돌기(3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관통로(32)는 좌우로 절곡되어 관통로(32)가 상단유입구(31)를 지나는 수직평면 상에 위치되고, 목걸이줄(40)의 선단부가 체결되는 체결공(36)은 관통로(32)와 동일평면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조절구(30)에 목걸이줄(40)이 연결되는데, 목걸이줄(40)은 목에 걸 수 있는 루프형상의 목걸이부(42)가 형성되도록 양측 선단부가 조절구(30)의 관통공(32)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조절구(30)를 경유한 목걸이줄(40)은 상기 고리(50)에 걸려 그 이동방향이 상향으로 전환되며, 조절구(30)와 고리(50) 사이에 위치되는 목걸이줄(40)은 두겹으로 겹쳐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고리(50)에 끼워진 목걸이줄(40)의 선단부는 조절구(30)의 체결공(36)에 체결된다. 한편, 상기 고리(50)는 휴대품(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구(60)에 결합되며, 이에 따라 목걸이줄(40)이 휴대품(1)에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고리(50)가 휴대품(1)에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미설명부호 70은 목걸이줄(40)을 정렬시켜 외관상 깔끔하게 보이도록 하는 정렬구이다.
이와 같이 조절구(30)와 고리(50)에 목걸이줄(40)을 끼우고 휴대품(1)에 연결하여 목에 걸면, 목걸이줄(40)이 휴대품(1)의 하중에 의해 팽팽하게 당겨지는데, 이때 목걸이줄은 관통로(32)의 내벽면에 접하게 되어 관통로(32)와 목걸이줄(40)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된다. 특히, 조절구(30)의 관통로(32)가 절곡되어 있으므로 목걸이줄(40)은 관통로(32)의 절곡부에서 절곡되어 조절구(30)에 상대적으로 강하게 가압되어 마찰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목걸이줄(40)과 조절구(3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조절구(30)가 조절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버튼 등이 없이도 조절구(30)가 고정되는 것이다. 반대로, 목걸이줄(40)의 길이를 조절할 때에는 휴대품(1)을 위로 살짝 들어올려 목걸이줄(40)에 작용되는 휴대품의 하중을 제거한 다음, 조절구(3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로(32)의 상단유입구(31)는 조절구(30)의 좌우양측방향을 향해 서로 대향되게 개구된다. 이와 같이 상단유입구(31)가 양측방향을 향해 개구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걸이줄(40)의 목에 걸리는 목걸이부(42)와 조절구의 연결부위가 자연스럽게 벌어지게 되고, 목걸이줄(40)이 상단유입구(31)에서 내측으로 한번 더 절곡되므로 목걸이줄(40)이 상단유입구(31)에 가압밀착되어 조절구(3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통로(3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Y자형상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조절구(30)의 관통로(32)가 절곡형성되어 휴대품(1)의 하중에 의해 조절구(30)와 목걸이줄(4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조절구(30)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종래와 같은 버튼이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절구(30)의 구성이 간단하며, 조절구(30)를 상하로 슬라이드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목걸이줄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조절구(30)가 전술한 바와 같이,상하부케이스(38,39)로 이루어지므로, 목걸이줄(40)이 내부로 관통되고 양측 선단부가 체결공(36)에 삽입되도록 하부케이스(39)에 목걸이줄(40)을 배치한 다음, 상부케이스(38)를 하부케이스(39)에 조립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코스트도 저렴하다.
또한, 조절구(30)의 관통로(32)가 좌우측방향으로 절곡될 뿐만 아니라 목걸이줄(40)의 선단부가 체결되는 체결공(36)이 관통로(32)와 동일동일평면상에 위치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조절구(30)는 종래의 조절구와는 달리 슬림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관통로(32)가 좌우로 분리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좌우 하단유입구(33) 사이에 체결공(36)이 형성된다. 이상에서는 관통로(32)가 절곡경로를 가지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관통로(32)는 만곡된 경로를 가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조절구를 상하로 슬라이드시키는 간단한 조작으로 목걸이줄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슬림하게 디자인이 가능한 새로운 구성의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가 제공된다.

Claims (3)

  1.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로(32)가 형성된 조절구(30)와,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부(42)가 형성되도록 양측 선단부가 상기 조절구(30)의 관통로(32)에 끼워지는 목걸이줄(40)과, 휴대품(1)에 일체로 또는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4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구(30)를 경유한 목걸이줄(40)의 선단부는 상기 고리(50)에 끼워진 다음 조절구(30)에 체결되어 목걸이줄(40)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된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32)는 좌우측방향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는 경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로(32)의 상단유입구(31)는 한쌍으로 이루어져서 조절구(30)의 측방향을 향해 서로 대향되도록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구(30)의 저면에는 상기 목걸이줄(40)의 양측 선단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체결공(36)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로(32)와 체결공(36)은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KR10-2003-0010545A 2003-02-20 2003-02-20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KR100465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545A KR100465052B1 (ko) 2003-02-20 2003-02-20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0545A KR100465052B1 (ko) 2003-02-20 2003-02-20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733A true KR20030024733A (ko) 2003-03-26
KR100465052B1 KR100465052B1 (ko) 2005-01-06

Family

ID=27730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0545A KR100465052B1 (ko) 2003-02-20 2003-02-20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5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95B1 (ko) * 2012-04-27 2014-06-02 김상운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295B1 (ko) * 2012-04-27 2014-06-02 김상운 사진의 위치 및 사진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5052B1 (ko) 200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560Y1 (ko) 안경걸이가 형성된 의복
USD437711S1 (en) Hair accessory and jewelry organizer
KR100465052B1 (ko) 휴대품 휴대용 목걸이
KR20170053558A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CN217565136U (zh) 可更换吊坠的耳环扣
KR101173074B1 (ko) 장신구
KR200326452Y1 (ko) 펜던트 및 반지 겸용 휴대폰 손잡이줄
KR200159851Y1 (ko) 무선전화기용 홀더
KR200391746Y1 (ko) 물품휴대용 줄
US20050262667A1 (en) Rotating pin clasp apparatus
KR20060092399A (ko) 휴대기기 목걸이 및 이를 채택한 휴대기기 목걸이 어셈블리
KR100477183B1 (ko) 링체의 걸이수단이 형성된 핸드폰 줄
CN217695498U (zh) 一种首饰收纳盒
KR200236002Y1 (ko) 목걸이용 장식부재의 착탈구조
JP2022162174A (ja) 機能性縦開き情報端末機ケース
KR102299893B1 (ko) 자석 부착 타입 버클
CN213720461U (zh) 一种户外运动背包
KR200442587Y1 (ko) 넥타이 고정구
KR200415927Y1 (ko)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KR200210251Y1 (ko) 목걸이
GB2435402A (en) Clothes grip
KR200383606Y1 (ko) 휴대기기용 목걸이
KR200208048Y1 (ko) 열쇠고리
KR200294302Y1 (ko) 부가기능을 갖는 펜던트를 구비한 넥타이
KR200190836Y1 (ko) 미용실용 헤어드라이어 거치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