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927Y1 -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 Google Patents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927Y1
KR200415927Y1 KR2020050036586U KR20050036586U KR200415927Y1 KR 200415927 Y1 KR200415927 Y1 KR 200415927Y1 KR 2020050036586 U KR2020050036586 U KR 2020050036586U KR 20050036586 U KR20050036586 U KR 20050036586U KR 200415927 Y1 KR200415927 Y1 KR 200415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bag
handle
length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65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형주
Original Assignee
곽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형주 filed Critical 곽형주
Priority to KR20200500365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2Briefcases or the lik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끈이 상기 가방 상부의 외관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연장 매설되어 있으며 탄성밴드에 의해 환형을 이루며 연결되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끈 길이 조정시 끈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록킹장치가 가방의 상부에 고정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을 제공하여 별도의 어깨끈을 부착하지 않아도 손잡이 끈의 길이 조절에 의해 어깨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길이로 손잡이 끈의 길이조절을 통해 어깨에 메거나 손으로 드는 것 이외에 팔에 걸수도 있고, 더욱이 끈길이 조정시 해당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부지불식간에 끈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내경사면, 걸림단턱, 손잡이 끈, 길이조절, 록킹

Description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A Bag string capable of a length adjust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 장치의 구성 및 작동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의 단면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방 본체 20 : 손잡이
30 : 손잡이 끈 31 : 레일
32 : 탄성밴드 40 : 록킹장치
41 : 버튼 42 : 걸림돌기
43 : 회전축봉 44 : 하우징
45 : 하부커버
본 고안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어깨끈을 부착하지 않아도 손잡이의 길이조절에 의해 어깨끈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끈 길이조절에 의해 메거나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남성 또는 여성 직장인들이나 학생들이 자신의 소지품이나 서류 등을 가지고 다니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방은 그 내부에 물건을 보관할 수 있도록 좌측면과 우측면, 전면, 후면, 저면, 상면으로 이루어진 몸체와 몸체의 상면에는 입구를 막는 장치가 형성되고 전면에 한 개 후면에 한 개씩 한 쌍으로 끈이 부착되거나 또는, 전 후면에 각각 한 개씩 부착하고 좌 우측면에 한 개를 더 부착하므로 경우에 따라서 3개의 끈을 형성하고 좌우측면에 부착된 끈에는 고정대를 삽입하여 끈이 어께에서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복잡한 구조로 구성된다.
즉, 가방의 휴대 및 이송을 위한 어깨끈과 손잡이가 각기 별도로 구성되어 있거나, 어깨끈이나 손잡이 중의 어느 하나만 부착된 구조이거나 아니면 두개를 모두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었다.
따라서 손잡이만 있는 가방을 어깨에 메기 위해서는 별도로 준비된 어깨끈을 달아야 했었다.
또한, 어깨끈만 있는 가방은 손잡이가 없어서 필요에 따라 들고 다닐 수 없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어깨끈을 부착하지 않아도 손잡이의 길이조절에 의해 어깨끈으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끈 길이조절에 의해 메거나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의 특징은,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끈이 상기 가방 상부의 외관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연장 매설되어 있으며 탄성밴드에 의해 환형을 이루며 연결되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끈 길이 조정시 끈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록킹장치가 가방의 상부에 고정되어져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손잡이 끈의 일측면에는 안내경사면과 걸림단턱이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은, 상기 록킹장치는 레일의 부위에 하우징을 부설하되,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회전축봉을 축설하여 일측 버튼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 개하며, 상기 회전축봉에는 걸림돌기를 일체화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방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커버에 의해 가방에 고정되어 지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록킹 장치의 구성 및 작동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의 단면 예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방 본체(10)의 상부에 손잡이(20)가 구비된 것에 있어서, 상기 가방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있는 손잡이(20)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끈(30)이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밴드(32)에 의해 환형을 이루며 연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손잡이 끈(30)의 일측면에는 안내경사면과 걸림단턱이 형성된 레일(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역시 첨부한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 끈(30)의 일측 전면에 형성되어진다. 단, 첨부한 도 3에서는 레일(31)을 일측에만 도시하였음을 미리 밝혀둔다.
이때 손잡이(20)의 양측면에는 상기 손잡이 끈(30)의 끈 길이 조정시 끈의 위치 고 정을 위한 록킹장치(40)가 구비되어지는데, 상기 록킹장치(40)의 구성은 첨부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일(31)의 부위에 하우징(44)을 부설하되, 상기 하우징(44)의 중앙부에는 회전축봉(43)을 축설하여 일측 버튼(41)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개하며, 상기 회전축봉(43)에는 걸림돌기(42)를 일체화 시켰으며, 상기 하우징(44)은 가방(1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44)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커버(45)에 의해 가방(10)에 고정되어 진다.
이때 첨부한 도 2는 구조의 설명을 위해 상하 반전된 상태로 도시되었음을 미리 밝혀둔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록킹장치(40)에서의 회전축봉(43)이 버튼(41)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재하는 방식은 통상의 혁대 등의 방식에서 이미 나타나 있어 이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평상시 록킹장치(40)의 버튼(41)을 눌러 록킹 상태를 해제하면 밴드(32)의 탄성력에 의해 손잡이 끈(31)이 가방(10)의 안으로 딸려 들어가 손잡이 끈이 짧은 형태로 변하게 됨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20)를 이용해 가방을 들고 다니게 된다.
이때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록킹장치(40)의 버튼(41)을 눌러 록킹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록킹 해제되어 있는 손잡이 끈(31)을 밴드(32)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당기게 되면 손잡이 끈(31)이 외부로 딸려 나오게 되고, 적정한 길이가 되었을 경우 누름 상태의 버튼(41)을 누름 해제시키면 걸림돌기(42)에 의해 레일(31)의 걸림단턱이 걸리게 되어 해당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손잡이(20)의 양측에 구비되어 있는 각 록킹장치(40)에 대해 동 일하게 수행하면 손잡이 끈(30)이 외부로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어지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연장되어진 손잡이 끈(30)을 이용해 어깨끈으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을 제공하면 별도의 어깨끈을 부착하지 않아도 손잡이 끈의 길이 조절에 의해 어깨끈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절한 길이로 손잡이 끈의 길이조절을 통해 어깨에 메거나 손으로 드는 것 이외에 팔에 걸수도 있고, 더욱이 끈길이 조정시 해당 길이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부지불식간에 끈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본체의 상부에 손잡이가 구비된 가방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손잡이 끈이 상기 가방 상부의 외관을 따라 일정길이 만큼 연장 매설되어 있으며 탄성밴드에 의해 환형을 이루며 연결되어지고;
    상기 손잡이의 양단에는 상기 손잡이 끈의 끈 길이 조정시 끈의 위치 고정을 위한 록킹장치가 가방의 상부에 고정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끈의 일측면에는 안내경사면과 걸림단턱이 형성된 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장치는 레일의 부위에 하우징을 부설하되, 상기 하우징의 중앙부에는 회전축봉을 축설하여 일측 버튼의 누름탄성에 의해 회전자개하며, 상기 회전축봉에는 걸림돌기를 일체화하고, 상기 하우징은 가방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하부커버에 의해 가방에 고정되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KR2020050036586U 2005-12-28 2005-12-28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KR200415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86U KR200415927Y1 (ko) 2005-12-28 2005-12-28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6586U KR200415927Y1 (ko) 2005-12-28 2005-12-28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927Y1 true KR200415927Y1 (ko) 2006-05-10

Family

ID=41765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6586U KR200415927Y1 (ko) 2005-12-28 2005-12-28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9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53A (ko) * 2018-01-10 2019-07-18 대신증권 주식회사 핸들의 길이가 조절가능한 가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53A (ko) * 2018-01-10 2019-07-18 대신증권 주식회사 핸들의 길이가 조절가능한 가방
KR102005331B1 (ko) * 2018-01-10 2019-07-30 대신증권 주식회사 핸들의 길이가 조절가능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1501B1 (ko)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ATE239403T1 (de) Rucksack
KR20040080988A (ko) 짐을 등에 메는 장치 및 그 짐의 위치를 조정하는 장치
US4537339A (en) Umbrella support
US7125071B2 (en) Carrying strap
US10004288B2 (en) Apparel belt and buckle apparatus
GB2498024A (en) A sling bag
US5799967A (en) Golf trolley
JP2010505508A (ja) 子供運搬装置
KR200415927Y1 (ko) 손잡이 끈 조절이 가능한 가방
KR101132100B1 (ko) 배낭의 가슴멜방용 버클
TWM376404U (en) Carrying type tool box
KR100547406B1 (ko) 배낭용 가슴멜방의 승강장치
US20040238585A1 (en) Skateboard pack
JP3200681U (ja) ランドセル用サブバッグ
CN211154271U (zh) 一种背提两用的手提包
CN212912112U (zh) 竹节式皮具箱包肩带
KR20110011295A (ko) 우산 고정 기구
KR101450000B1 (ko) 배낭의 허리 밴드 체결구조
CN208480723U (zh) 多功能旅行箱
JP3217291U (ja) ポケットティシュ用ストラップ
WO2023212783A1 (en) A strap
JP3063445U (ja) バッグ
KR20090003460U (ko) 수납장치
AU684732B2 (en) A convertible back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