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883U - 전면개폐식 액자 - Google Patents

전면개폐식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883U
KR20130000883U KR2020110006883U KR20110006883U KR20130000883U KR 20130000883 U KR20130000883 U KR 20130000883U KR 2020110006883 U KR2020110006883 U KR 2020110006883U KR 20110006883 U KR20110006883 U KR 20110006883U KR 20130000883 U KR20130000883 U KR 2013000088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upport plate
contents
fron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8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수
Original Assignee
한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수 filed Critical 한성수
Priority to KR20201100068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883U/ko
Publication of KR201300008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88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66Frontloading 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47G2200/106Perman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프레임을 열어서 전시용 내용물을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양면테이프, 걸고리 또는 실리콘을 통해서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판과 상기 벽면부착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내용물이 부착되게 하는 내용물부착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부착판과 상기 내용물부착판의 결합시 "ㄴ"자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기 내용물부착판에 놓인 내용물의 전면부를 덮는 투명덮개판;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요홈을 내측에 형성하여서 상기 받침판과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과 상기 투명덮개판을 상기 요홈에 수용하여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받침판의 안착부에 형성된 제1 수용홈과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되되 제1 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 수용홈에 삽설되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이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게 하는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면개폐식 액자{Picture frame for opening and shutting at frontward}
본 고안은 전면개폐식 액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자의 전방에서 덮개판인 전면프레임을 열어 그림 및 사진 등의 전시용 내용물을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액자의 경우 후방에서 대지를 분리시켜 내용물을 투입하는 것이 보편적이지만, 이 경우에 있어서는 내용물을 탈부착함에 따른 조립공정이 복잡하여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액자는 대부분 액자의 후면부에 다수 개 구성되는 걸림편을 일일이 해제한 다음 후면부의 받침판을 제거하고 그림, 사진 등의 전시용 내용물을 끼우고 다시 받침판을 조립하여 걸림편으로 고정함으로써 내용물의 교체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장식물을 한번 교체하는데, 벽에서 액자를 탈거한 다음 뒤집어 일일이 걸림편을 해제하고 조립하는 등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전면에서 접철되는 액자가 공지된 바 있지만 이 또한 구성이 너무 복잡하고 조잡하여 사용상 실익이 크지 않고 제조공정상 불편함도 많으므로 비용면에서도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면개폐식 액자는, 액자의 기본적인 틀을 이루는 사각프레임(1)과, 내용물(4)의 뒷면에 덧대는 대지(2)와, 상기 내용물(4)의 전면부를 덮는 투명덮개판(3)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사각프레임(1)과 상기 대지(2) 사이에는 사각형상의 고정틀(5)이 구비되게 하고, 상기 사각프레임(1)의 상단하부에는 단턱(6)이 구비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투명덮개판(3)이 상기 고정틀(5)의 하단부와 상기 단턱(6)에 걸리도록 배치되게 하되 그를 분리시킬 때에는 어느 한쪽으로 밀어서 분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내용물(4)이 액자의 전방으로 착탈되게 하여 전면방항에서 덮개판을 열어서 내용물을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면개폐식 액자에 있어서는, 내용물이 사각프레임(1)에 수용되어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투명덮개판(3)과 내용물(4) 사이에 보조대지(7)를 사용하고 있는바, 이는 내용물 설치시 설치를 위한 부재를 다수 포함하게 되어 설치작업을 번거롭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투명덮개판(3)이 단지 단턱(6)을 통해서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지만, 액자가 외부의 힘에 의해 흔들리게 될 때 투명덮개판(3)의 측부에 형성된 여유공간(8)으로, 즉 화살표 방향과 같이 상하좌우 어느 한쪽으로 쏠림현상이 일어나서 사각프레임(1)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현상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조대지(7) 및 내용물(4)이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액자의 전방에서 덮개판인 전면프레임을 열어 전시용 내용물을 간편하게 탈착시킬 수 있게 하되, 내용물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액자가 흔들릴 때에도 전면프레임이 받침판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함으로써 투명덮개판 및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게 하고, 액자를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교체할 수 있는 전면개폐식 액자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을 열어서 전시용 내용물을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는, 양면테이프, 걸고리 또는 실리콘을 통해서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판과 상기 벽면부착판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내용물이 부착되게 하는 내용물부착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부착판과 상기 내용물부착판의 결합시 "ㄴ"자 형상의 안착부가 형성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기 내용물부착판에 놓인 내용물의 전면부를 덮는 투명덮개판; 상기 안착부에 대응되는 요홈을 내측에 형성하여서 상기 받침판과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과 상기 투명덮개판을 상기 요홈에 수용하여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전면프레임; 및 상기 받침판의 안착부에 형성된 제1 수용홈 및 상기 전면프레임에 형성되되 제1 수용홈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 수용홈에 삽설되어서 상기 전면프레임이 상기 받침판에 결합되게 하는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과 상기 전면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상기 자석부재의 상부에는 철편이 장착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프레임에는 상기 자석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에는 상기 자석부재에 대응하여 철편을 장착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과 상기 전면프레임의 결합시 상하부측 중 일측이 경첩을 통해서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이용하여 내용물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전면프레임을 받침판으로부터 들어올리는 형태로 하여 열어서 전시용 내용물을 용이하게 설치 및 분리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전면프레임이 받침판에 밀착하여 결합되기 때문에 액자가 흔들릴 때에도 전면프레임이 받침판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음으로써 투명덮개판 및 내용물이 이탈되지 않게 하며,
액자가 걸려있는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을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철편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를 보인 결합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철편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전면개폐식 액자에 경첩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프레임을 열어서 전시용 내용물을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는 받침판(10), 투명덮개판(20), 전면프레임(30) 및 자석부재(40)를 구성한다.
상기 받침판(10)은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뒷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11)를 통해서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판(12)과, 상기 벽면부착판(12)의 전방으로 돌출되되 전면프레임(30)과 밀착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돌출 높이로 형성되어서 내용물(미도시)이 부착되게 하는 내용물부착판(14)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벽면부착판(12)은 뒷면에 부착된 실리콘이나 일측에 구비된 걸고리(17, 도 2 및 도 3 참조)를 통해서 벽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가벼운 액자 같은 경우에는 양면테이프(11)나 실리콘으로 부착될 수 있게 하고, 조금 무거운 액자 같은 경우에는 벽에 고정설치된 못이나 걸이부재에 걸 수 있는 걸고리(17)를 통해서 부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벽면부착판(12)의 벽면 부착부재인 양면테이프(11), 걸고리(17) 또는 실리콘은 병행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여기에서는, 액자의 크기 또는 높이에 상관없이 뒷면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벽면부착판(12)과 내용물부착판(14) 각각의 크기에 있어서는, 전면프레임(30)이 벽면부착판(12)의 상면에 안착하고 내용물부착판(14)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내용물부착판(14)이 벽면부착판(12)보다 더 작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상기 벽면부착판(12)과 내용물부착판(14)이 결합하게 되면 "ㄴ"자 형상의 안착부(16)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받침판(10)의 안착부(16)와 다음에 기술될 전면프레임(30)의 요홈(36)에 의해서, 전면프레임(30)이 받침판(10)에 밀착하여 결합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전면프레임(30)과 받침판(10) 사이에 개재된 투명덮개판(20) 및 내용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16)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에 기술될 결합부재인 자석부재(4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수용홈(13)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전면프레임(30)은 액자의 두께가 두꺼워져도, 즉 내용물부착판(14)의 두께가 두꺼워져도 돌출된 턱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원래의 형태로도 용이하게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덮개판(20)은 받침판(10)의 내용물부착판(14)과 전면프레임(30) 사이에 설치되어서 내용물부착판(14)에 놓인 내용물의 전면부를 덮는 역할을 하며, 내용물이 그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어 보여지게 한다.
상기 전면프레임(30)은 받침판(10)의 안착부(16)에 대응되는 요홈(36)을 내측에 형성하여서 받침판(10)과 결합되며, 내부가 빈 상태인 사각형, 원형 및 삼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내용물과 투명덮개판(20)을 요홈(36)에 수용하여서 전면프레임(30)과 받침판(10)이 결합된 후에 이탈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인 자석부재(40)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수용홈(33)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16)에 형성된 제1 수용홈(13)과 대응하여 형성된다.
상기 자석부재(4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받침판(10)의 안착부(16)에 형성된 제1 수용홈(13)과 전면프레임(30)에 형성되되 제1 수용홈(13)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 수용홈(33)에 삽설되어서 전면프레임(30)이 받침판(10)에 결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전면프레임(30)은 그의 제2 수용홈(33)에 수용된 자석부재(40)와 받침판(10)의 제1 수용홈(13)에 수용된 자석부재(40)의 결합을 통해서 단단히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도 3 및 도 4 참조).
여기서, 상기 자석부재(40)의 상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0)과 전면프레임(30)의 결합을 조력하는 철편(50)이 추가로 장착된다.
즉, 상기 철편(50)이 전면프레임(30)과 받침판(10)의 안착부(16)에서 자석부재(40)에 부착되어 장착되게 하여서 전면프레임(30)과 받침판(10)과의 결합을 조력함과 동시에 결합력을 증진시켜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철편(50)은 자석부재(40)에 의한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면프레임(30)과 받침판(10)의 어느 하나에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전면프레임(30)에는 자석부재(40)를 설치하고 받침판(10)에는 자석부재(40)의 설치없이 단지 철편(50)만 장착하여 일정부분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상기 전면프레임(30)에는 철편(50)을 설치하고 받침판(10)에는 철편(50)의 설치없이 단지 자석부재(40)만 장착하여 일정부분 결합력을 제공함으로써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10)과 전면프레임(30)은 그들 상하부측 중 일측이 경첩(60)을 통해서 결합되게 하였다.
따라서, 상기 경첩(60)을 통해서 받침판(10)과 전면프레임(30)이 결합되고, 결합된 후 내용물을 교체하기 위해 전면프레임(30)을 받침판(10)으로부터 분리 또는 열고자 할 때는, 전면프레임(30)이 받침판(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하는 상태에서 내용물을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건물의 벽면으로부터 액자를 떼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단지 전면프레임(30)만을 열어 내용물을 교체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받침대 11: 양면테이프
12: 벽면부착판 13: 제1 수용홈
14: 내용물부착판 16: 안착부
17: 걸고리
20: 투명덮개판 30: 전면프레임
33: 제2 수용홈 36: 요홈
40: 자석부재 50: 철편
60: 경첩

Claims (4)

  1. 전면프레임을 열어서 전시용 내용물을 탈착시킬 수 있게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에 있어서,
    양면테이프(11), 걸고리(17) 또는 실리콘을 통해서 벽면에 부착되는 벽면부착판(12)과 상기 벽면부착판(12)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내용물이 부착되게 하는 내용물부착판(14)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벽면부착판(12)과 상기 내용물부착판(14)의 결합시 "ㄴ"자 형상의 안착부(16)가 형성되는 받침판(10);
    상기 받침판(10)의 상기 내용물부착판(14)에 놓인 내용물의 전면부를 덮는 투명덮개판(20);
    상기 안착부(16)에 대응되는 요홈(36)을 내측에 형성하여서 상기 받침판(10)과 결합되며, 상기 내용물과 상기 투명덮개판(20)을 상기 요홈(36)에 수용하여서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전면프레임(30); 및
    상기 받침판(10)의 안착부(16)에 형성된 제1 수용홈(13) 및 상기 전면프레임(30)에 형성되되 제1 수용홈(13)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2 수용홈(33)에 삽설되어서 상기 전면프레임(30)이 상기 받침판(10)에 결합되게 하는 자석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과 상기 전면프레임(3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상기 자석부재(40)의 상부에는 철편(5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면프레임(30)에는 상기 자석부재(40)를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10)에는 상기 자석부재(40)에 대응하여 철편(50)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10)과 상기 전면프레임(30)의 결합시 상하부측 중 일측이 경첩(60)을 통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개폐식 액자.
KR2020110006883U 2011-07-28 2011-07-28 전면개폐식 액자 KR2013000088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83U KR20130000883U (ko) 2011-07-28 2011-07-28 전면개폐식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883U KR20130000883U (ko) 2011-07-28 2011-07-28 전면개폐식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883U true KR20130000883U (ko) 2013-02-06

Family

ID=52424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883U KR20130000883U (ko) 2011-07-28 2011-07-28 전면개폐식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883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73Y1 (ko) * 2019-01-30 2019-07-05 장명진 물품 수납함용 다목적 손잡이
KR20220067096A (ko) * 2020-11-17 2022-05-24 반용태 개폐형 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73Y1 (ko) * 2019-01-30 2019-07-05 장명진 물품 수납함용 다목적 손잡이
KR20220067096A (ko) * 2020-11-17 2022-05-24 반용태 개폐형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0883U (ko) 전면개폐식 액자
KR200484378Y1 (ko) 패널의 설치와 분리가 쉬운 전시용 부스
KR200453604Y1 (ko) 배면 덮개부가 용이하게 분리되는 액자
KR100976257B1 (ko) 미러 장착용 부재 및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19644A (ko) 부착형 액자 앨범
KR100976258B1 (ko) 미러 장착용 부재 및 거울 겸용 디스플레이 장치
CN108109524B (zh) 显示装置及其显示面板
KR200475790Y1 (ko) 우드프레임이 구비된 강화유리 선반
KR20110010087U (ko) 벽걸이용 액자
KR101702443B1 (ko) 다용도 액자
KR20110007180U (ko) 전면 개방형 사진액자틀
KR20060129703A (ko) 액자테
JP6272055B2 (ja) 壁面に対する物品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用部材
KR20180074954A (ko) 프레임이 없는 사진 액자
KR20150024709A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KR200439263Y1 (ko) 액자형 틀체
KR200470100Y1 (ko) 액자
KR101043516B1 (ko) 대형 시트광고물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시트광고물용 액자
KR200168670Y1 (ko) 액자가 부착된 거울
JP4378497B2 (ja) 額縁
KR101034821B1 (ko) 현수용 양면액자
KR20120003781U (ko) 카렌다의 이월시트 홀더구조
JP3193836U (ja) 写真立て付き兜置き
JP2594270Y2 (ja) 壁掛け金具
TW201700038A (zh) 經改良之圖畫框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