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443B1 - 다용도 액자 - Google Patents

다용도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443B1
KR101702443B1 KR1020150131474A KR20150131474A KR101702443B1 KR 101702443 B1 KR101702443 B1 KR 101702443B1 KR 1020150131474 A KR1020150131474 A KR 1020150131474A KR 20150131474 A KR20150131474 A KR 20150131474A KR 101702443 B1 KR101702443 B1 KR 101702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frame
front cover
groove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1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건희
Original Assignee
오건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건희 filed Critical 오건희
Priority to KR1020150131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72Picture frames employing magnet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를 착탈하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면 커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제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어 이미지 또는 사진이 수용되는 전부 공간과, 상기 전부 공간에 구비되어 이미지 또는 사진을 보호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커버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창과, 상기 창을 커버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액자{a multi-function picture frame}
본 발명은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를 착탈하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면 커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제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원형 또는 사각판체의 구조를 비롯한 여러 가지 형태 및 종류의 액자들이 사용되어 오고 있는 바, 이러한 종래 액자의 일 예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판체의 형상을 이루는 사각액자가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사각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사각액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각액자(1)은 합성수지 또는 나무로 이루어지고 중앙부에 투공부(3)가 형성된 4각 프레임(2), 사각프레임(2)의 배면에 투공부(3)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된 사각유리(4), 사각유리(4)의 배면에서 사각유리(4)를 지지하기 위한 배면판(5)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사각유리(4)와 배면판(5) 사이에 사진(P)이 삽입되어 사각프레임(2)과 결합됨에 있어서 사각프레임(2), 사각유리(4), 사진(P), 배면판(5)의 순서로 겹쳐져서 결합되고, 결합된 후의 이들 구성부재들 간의 고정은 지지프레임 내측면을 따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고정된 4개의 고정구(2a), (2b), (2c), (2d)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액자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교체하는 경우, 적어도 4개의 고정구를 고정하지 않는 장소로 이동시키거나, 드라이버로 나사를 풀어서 원래의 사진을 떼어내고 재차 고정구로 고정시켜야 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6861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 또는 캘린더의 표시 부재(32), 상기 표시 부재(32)를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투명부를 구비한 투명판(33), 상기 표시 부재(32)를 지지하고, 액자(31)의 4각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34), 상기 지지판(34)과 상기 4각 프레임 사이의 4변의 주변 부분에 마련된 철판(35)과 상기 철판(35)에 대응하여 상기 투명판(33)의 이면에 마련된 자석 부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자석 부재와 상기 철판(35)이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26861호에 기재된 기술은 자석을 이용하여 표시 부재(32)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표시 부재(32)를 보호하기 위한 투명판(33)이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투명판(33)의 측부에서 외부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의 기술은 단순한 액자의 기능만 수행하는 것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의 전부에 사진 또는 이미지가 수용되는 전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부 공간에는 사진 또는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면 커버는 사진 또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창이 형성되고 창에는 투명판이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결합되고, 몸체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전면 커버를 착탈할 수 있으며, 상기 전부 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전면 커버의 측부를 보호하는 제1테두리가 돌출 형성되어 전면 커버의 측부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면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다용도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의 측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바를 삽입 고정하여 다수의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의 하부에는 내부에 고체형태의 방향제가 수용되는 후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후부 공간은 연결홈과 연통되도록 하여 방향제가 외부로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에 자석을 구비하되, 자석은 전면 커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 수용홈을 형성하여 설치하는데, 상기 자석 수용홈을 장홈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석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수용홈의 측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자석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자석의 위치가 고정부재의 위치와 멀어지게 되면 자력이 약해지므로 용이하게 전면 커버를 전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다용도 액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어 이미지 또는 사진이 수용되는 전부 공간과, 상기 전부 공간에 구비되어 이미지 또는 사진을 보호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면 커버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창과, 상기 창을 커버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부 공간은 상기 전면 커버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전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테두리와, 상기 제1테두리 내측에 제1테두리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진 또는 이미지가 수용되는 제2테두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바가 삽입되어 인접한 액자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후부에는 내부에 고체형태의 방향제가 수용되는 후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부 공간은 연결홈과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자석이 수용되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수용홈의 측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석 수용홈에는 상기 자석을 가이드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자석을 가압하는 레버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제3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3테두리의 내측에는 자석 수용홈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은 거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의 전부에 사진 또는 이미지가 수용되는 전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전부 공간에는 사진 또는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면 커버는 사진 또는 이미지가 보여지는 창이 형성되고 창에는 투명판이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결합되고, 몸체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비하여 용이하게 전면 커버를 착탈할 수 있으며, 상기 전부 공간의 가장자리에는 전면 커버의 측부를 보호하는 제1테두리가 돌출 형성되어 전면 커버의 측부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면 커버가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의 측면에 연결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바를 삽입 고정하여 다수의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의 하부에는 내부에 고체형태의 방향제가 수용되는 후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후부 공간은 연결홈과 연통되도록 하여 방향제가 외부로 용이하게 전이되도록 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에 자석을 구비하되, 자석은 전면 커버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 수용홈을 형성하여 설치하는데, 상기 자석 수용홈을 장홈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석을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 수용홈의 측부로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레버의 작동에 의해 자석을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자석의 위치가 고정부재의 위치와 멀어지게 되면 자력이 약해지므로 용이하게 전면 커버를 전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액자의 분리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개선된 액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전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후부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자석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전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후부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의 자석이 설치된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액자를 서로 연결하는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액자를 형성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전부에 형성되어 사진 또는 이미지를 수용하는 전부 공간(110)과 상기 전부 공간(110)에 구비되어 사진 또는 이미지를 보호하는 전면 커버(2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원형 또는 타원형이나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전부에 형성되는 전부 공간(110)은 가장자리를 따라 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제1테두리(112)와 상기 제1테두리(112)의 내측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테두리(1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테두리(112)는 상기 전면 커버(200)의 측면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200)의 측면과 제1테두리(112)의 측면이 접하게 되며, 상기 제2테두리(114)는 제1테두리(112)의 내측으로 이격형성되어, 상기 제2테두리(114)의 내측에 사진 또는 이미지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제2테두리(114)에 의해 사진 또는 이미지의 위치가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면 커버(200)는 몸체(10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중심부에는 제2테두리(114)의 내측에 수용되는 이미지 또는 사진이 전부로 보여지도록 창(210)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200)의 후면에는 창(210)을 커버하는 투명판(23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전면 커버(200)의 후면에는 창(210)의 외측에 안착턱(2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턱(220)의 크기는 상기 투명판(230)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투명판(230)이 안착턱(220)에 설치되는데, 상기 안착턱(220)에 투명판(230)이 안착되면, 상기 투명판(230)과 전면 커버(200)의 후면이 동일한 높이로 되어 전체가 평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투명판(230)을 전면 커버(200)에 고정할 때, 볼트 등의 고정부재(240)를 사용하여 고정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부재(240)는 자석과 잘 붙을 수 있는 금속볼트를 사용하게 되며, 투명판(230)을 전면커버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을 사용하면 투명판(230)에 자성체를 접착함으로써, 후술하는 자석(52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100)에는 자석(520)이 구비되는데, 상기 자석(520)은 상기 고정부재(240)의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여 전면 커버(200)에 설치되는 고정부재(240)가 자석(52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되게 되므로 전면 커버(200)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투명판(33)이 액자(31)의 전면에 자석을 이용하여 착탈되는데, 액자(31)의 가장자리에 별도의 테두리가 구비되지 않아 투명판(33)의 측면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어 투명판(33)의 측면으로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투명판(33)이 임의로 분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몸체(100)에 형성되는 제1테두리(112)에 수용되는 전면 커버(200)의 측면 전체는 제1테두리(112)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전면 커버(200)의 측부에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전면 커버(200)가 임의로 전면 공간(110)에서 분리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의 후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석(520)이 수용되는 자석 수용홈(1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자석 수용홈(130)은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자석(520)이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자석 수용홈(130)의 측부에는 몸체(100)의 외측으로 관통되도록 가이드홈(140)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수용홈(130)의 내측에는 자석(520)을 상기 가이드홈(14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52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40)에는 레버(150)가 삽입되는데, 상기 레버(150)의 일측 단부는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되며 타측 단부는 자석 수용홈(13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자석 수용홈(130)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걸림턱(152)이 형성되어 레버(15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레버(150)를 가압하게 되면 레버(150)가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레버(150)의 단부에 접하고 있는 자석(520) 역시 이동하게 됨으로써, 자석(520)이 전면 커버(200)에 구비되는 고정부재(240)와 멀어지게 되므로 금속 볼트(240)에 미치는 자석(520)의 자력이 약해지게 되어 전면 커버(2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전면 커버(200)의 측면은 제1테두리(112)에 의해 전체가 보호되기 때문에 전면 커버(20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은데, 상기 레버(150)를 가압하여 전면 커버(200)의 고정부재(240)에 미치는 자석(520)의 자력을 약화시킨 후, 전면 커버(200)가 하부를 향하도록 액자를 뒤집게 되면 전면 커버(200)는 용이하게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전면 커버(200)를 분리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제1테두리(112)의 내측에 제2테두리(114)가 구비되는데, 상기 전면 커버(200)의 가장자리는 제2테두리(114)의 외측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전면 커버(200)의 일측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2테두리(114)를 중심으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전면 커버(200)의 타측 단부가 전부 공간(110)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전면 커버(200)의 측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됨으로 사용자가 노출된 측부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제3테두리(122)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3테두리(122)의 내측에는 후면 커버(300)가 구비되어, 상기 자석 수용홈(130)에 수용된 자석이 후부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면 커버(300)의 후면은 거울로 이루어져 본원 발명의 액자를 액자 뿐만 아니라 거울로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후면 커버(300)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몸체(100)의 후면에 부착할 수도 있고, 볼트나 양면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는 연결홈(160)이 형성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홈(160)은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고, 다수의 연결홈(160) 중에서 액자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결홈(160)에는 지지부재(420)를 결합하여 액자를 테이블이나 책상 등에 세워서 장식할 수 있고, 액자의 다양한 방향에 형성되는 연결홈(160)에 연결바(410)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다수의 이미지 또는 사진을 연속적으로 보여지도록 사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0)의 후부에는 후부 공간(120)이 형성되는데,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부 공간(120)의 외측은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결홈(160)과 서로 연통되도록 통공(165)을 통하여 연결되게 되고, 후부 공간(120)의 후방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후부 공간(120)의 내부에는 방향제(510)가 구비되는데, 상기 방향제(510)는 다양한 향을 띄는 향수와 합성수지를 합성하여 고체형태로 형성함으로써, 후부 공간(120)의 상하 좌우가 외부와 관통되더라도 향수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으며, 통공(165)을 통하여 안정적으로 향기를 외부로 전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부 공간(120)의 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방향제(510)를 착탈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쓴 방향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후부 공간(120)의 외측표면에는 양면테이프를 구비하여 후면 커버(300)를 착탈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양면테이프는 자석 수용홈(130)을 커버할 수도 있어 자석의 이탈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을 이용하여 사진 또는 이미지를 보호하기 위한 전면 커버를 착탈하도록 하고 외부의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전면 커버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다수의 액자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향제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액자에 관한 것이다.
100 : 몸체 110 : 전부 공간
112 : 제1테두리 114 : 제2테두리
120 : 후부 공간 122 : 제3테두리
130 : 자석 수용홈 140 : 가이드홈
150 : 레버 152 : 걸림턱
160 : 연결홈 165 : 통공
200 : 전면 커버 210 : 창
220 : 안착턱 230 : 투명판
240 : 고정부재 300 : 후면 커버

Claims (8)

  1.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부에 형성되어 이미지 또는 사진이 수용되는 전부 공간과,
    상기 전부 공간에 구비되어 이미지 또는 사진을 보호하는 전면 커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커버는 중심부에 형성되는 창과, 상기 창을 커버하는 투명판과, 상기 투명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후면에는 자석이 수용되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자석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석 수용홈의 측부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기 자석 수용홈에는 상기 자석을 가이드홈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에는 자석을 가압하는 레버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공간은 상기 전면 커버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전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테두리와,
    상기 제1테두리 내측에 제1테두리와 이격되게 형성되어 사진 또는 이미지가 수용되는 제2테두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측면에는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홈에는 연결바가 삽입되어 인접한 액자를 서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부에는 내부에 고체형태의 방향제가 수용되는 후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부 공간은 연결홈과 서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자.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면 가장자리에는 제3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3테두리의 내측에는 자석 수용홈을 커버하는 후면 커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 커버의 후면은 거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액자.
KR1020150131474A 2015-09-17 2015-09-17 다용도 액자 KR10170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74A KR101702443B1 (ko) 2015-09-17 2015-09-17 다용도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1474A KR101702443B1 (ko) 2015-09-17 2015-09-17 다용도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443B1 true KR101702443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1474A KR101702443B1 (ko) 2015-09-17 2015-09-17 다용도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2893A (zh) * 2020-08-18 2020-11-2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开启式挂图镜框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435A (ja) * 1998-03-17 1999-09-28 Nakatsu Shiko Kk 額 縁
KR200270217Y1 (ko) * 2001-12-28 2002-03-28 김한수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KR200387279Y1 (ko) * 2005-04-01 2005-06-17 (주)이엘티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액자
KR20140033941A (ko) * 2012-09-11 2014-03-19 한정화 개선된 액자 프레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2435A (ja) * 1998-03-17 1999-09-28 Nakatsu Shiko Kk 額 縁
KR200270217Y1 (ko) * 2001-12-28 2002-03-28 김한수 사진교환이 간편한 자석부착식 액자
KR200387279Y1 (ko) * 2005-04-01 2005-06-17 (주)이엘티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액자
KR20140033941A (ko) * 2012-09-11 2014-03-19 한정화 개선된 액자 프레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72893A (zh) * 2020-08-18 2020-11-24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一种开启式挂图镜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6792B2 (en) Picture frame assembly
US20050005494A1 (en) Combination display frame
CN105308798A (zh) 可互换的盖系统
CN103777400A (zh) 显示装置
JP2010068389A (ja) 支持スタンド
KR101702443B1 (ko) 다용도 액자
US20150230633A1 (en) Display frame for collectables
KR200483334Y1 (ko) 슬라이드식 사진체결구조를 갖는 액자
US20040261307A1 (en) Shadow box having multiple display surfaces and shadow box kit
KR200489718Y1 (ko) 입체 액자
JP2012133348A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装置
KR20120013855A (ko) 자력착탈식 액자
US8695255B2 (en) Holder for displaying a sheet of material
KR200226861Y1 (ko) 자석 액자
KR20140044666A (ko) 액자
KR200485877Y1 (ko) 전방삽입형 다기능 액자
JP3613322B2 (ja) 計器ケースの取付装置
KR200245967Y1 (ko) 액자
JP3226146U (ja) 額縁及び展示物
JP2006034480A (ja) 展示用パネル
JP3226256U (ja) スクリーン設置装置
KR200491128Y1 (ko) 거치대
KR200483866Y1 (ko) 집게형 액자
KR20130000883U (ko) 전면개폐식 액자
KR20100044981A (ko) 사진 교체가 용이한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